KR101351476B1 -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476B1
KR101351476B1 KR1020070050762A KR20070050762A KR101351476B1 KR 101351476 B1 KR101351476 B1 KR 101351476B1 KR 1020070050762 A KR1020070050762 A KR 1020070050762A KR 20070050762 A KR20070050762 A KR 20070050762A KR 101351476 B1 KR101351476 B1 KR 10135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shampoo composition
vinyl copolymer
conditioning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706A (ko
Inventor
박현석
전현욱
이인호
강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50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47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3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화학식을 갖는 글리세릴 4급 알킬아미도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특정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이 많아 모발 흡착성이 양호하여 모발 유연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글리세릴 4급 알킬아미도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코아세르베이트

Description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cationic vinyl copolymer}
본 발명은 음이온 세정제와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에 의해 생성되는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갖는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양을 증대시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강화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잦은 빗질이나 파마, 염색 등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요인에 의하여 모발이 손상됨으로써 거칠음이 증가하고, 윤기를 잃어 부드러움과 유연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모발 손질이 어려워지고, 모발이 잘리거나 끝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정 시 혹은 세정 후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기 위한 세정제 또는 모발 컨디셔닝 성분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특히 종래에 세정 기능만을 강조하여 모발 및 두피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던 샴푸에 모발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며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성분인 세정기능의 계면활성제 이외에 컨디셔닝제를 더 첨가한 소위 컨디셔닝 샴푸가 개발 되어 실용화되었으며,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미국특허 제5,104,646호, 제6,930,078호 등에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에 의해서 생성되는 코아세르베이트를 이용하여 실리콘 등과 같은 모발 컨디셔닝 성분의 모발에 대한 흡착성을 높여 컨디셔닝 효과를 높이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컨디셔닝 성분을 단순 첨가하거나, 또는 음이온 세정제와 양이온 폴리머의 단순 조합에 의한 코아세르베이트 생성으로 컨디셔닝 효과 부여를 부여하고 있어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이 많지 않고 따라서 컨디셔닝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코아세르베이트는 폴리머의 종류, 함량 등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고, 이러한 물리적 성질들은 샴푸의 컨디셔닝 효과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양이온성 폴리머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감이 우수한 코아세르베이트를 생성시키고, 또한 이러한 코아세르베이트 형성을 극대화하여 컨디셔닝 효과를 강화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리세릴 4급 알킬아미도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나)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와 (b)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제조된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3823544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가 11 내지 21인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족 원소, 설페이트기 및 아세테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CH2=C(R1)-CO-(O)a-(NH)1-a-(CH2)b-N+R2R3R4·Y-
상기 화학식 2에서, R1는 수소 또는 메틸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24의 알킬기, 알릴기 또는 아릴기,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4의 알킬기, 알릴기, 아릴기 또는 -CH2-CH(OH)-CH2-N+R9R10R11·Z-이며, R9, R10 및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24의 알킬기, 알릴기 또는 아릴기이고,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메토설페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음이온이며, a는 0 또는 1, b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CH2=C(R5)-CO-NR6R7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 또는 메틸기,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은 1 내지 4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전술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있어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있어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컨디셔닝 역할을 하는 동시에 코아세르베이트의 형성을 촉진하는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4급 암모늄 화합물의 구조로서, 암모늄이온의 1개 치환기가 알킬 아미도기, 2개 치환기가 메틸기, 나머지 한 개가 친수성기를 갖는데, 이러한 친수성기는 하나 이상의 글리세릴기가 축합되어 반복된 구조이며, 반복단위의 수는 1 내지 11이다.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인 글리세릴기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상호작용을 통해 통상적으로 유사-비이온성 복합 계면활성제(pseudo-nonionic complex surfactant)라고 명명되는 수용액에 녹는 혼합 미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비이온성 복합 계면활성제는 양이온 폴리머와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고점도, 침전 등의 문제점을 개선해 주기 때문에,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도 양이온 폴리머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장쇄 지방산기 대신 상대적으로 친수성을 갖는 알킬 아미도기를 포함하고 있어 유사-비이온성 복합 계면활성제(pseudo-nonionic complex surfactant)의 혼합 미셀 형성력이 더 우수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도 양이온 폴리머의 사용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의 콤플렉스인 코아세르베이트를 더 많이 생성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 향상 효과를 달성하기 어 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에 눅눅한 느낌을 주고 침전 및 상 안정성 저해 우려가 있어 사용 시 부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코아세르베이트를 생성하기 위한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코아세르베이트는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많이 받지만, 양이온 폴리머의 함량 및 구조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양이온성 폴리머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특정 양이온성 구조를 갖는 폴리머를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글리세릴 4급 알킬아미도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코아세르베이트를 잘 형성하여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전술한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상기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에서 있어 양이온 부분인 화학식 2의 단량체 유니트는 25 내지 45 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있어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에서는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이 저조하여 컨디셔닝 성분의 흡착 저하로 기인하는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코아세르베이트의 과도한 생성으로 컨디셔닝 성분이 모발과 두피에 과도하게 흡착하여 좋지 않은 느낌을 주기 때문, 즉 사용감이 나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또한 세정 성분으로서 음이온 계면활성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인 샴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에서는 세정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정력이 과도하여 모발에 거친 느낌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세정력 증가 등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베타인,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알킬 설포베타인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술 한 양이온성 폴리머, 실리콘 화합물 및 유성 오일 중에서 선택된 컨디셔닝제를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적용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샴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어, 수불용성 비휘발성의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아미노화 실리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비닐 실리콘 등의 실리콘으로 통칭되는 성분 및 이들의 유도체들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적용되는 유성 오일은 통상적으로 샴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어, 탄화수소 오일 및 합성 에스테르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에는 유동파라핀(Mineral Oil), 이소파라핀, 수소화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에스테르 오일에는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C12 -15 알킬 벤조에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샴푸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정제, pH조정제, 향료, 염료, 컨디셔닝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상품명: Kathon CG, 제조회사: 미국 롬앤하스사) 을 들 수 있다. 점증제와 점도 조정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컨디셔닝제로는 동식물성 추출물, 단백질 및 단백질 변형체, 고급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N,N-디메틸-N- 글리세릴 스테아릴 아미도프로필 암모니움 클로라이드의 합성
4급 암모늄 형태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4급 암모늄기를 한 개 포함하는 모노타입(mono-type)인 N,N-디메틸-N-글리세릴 스테아릴 아미도프로필 암모니움 클로라이드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Figure 112007038235440-pat00002
3구 플라스크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알킬아미도프로필아민 및 이와 당량의 1-클로로-2,3-프로판디올을 넣은 후, 촉매로 소디움 이오디드(sodium iodide)를 첨가한 다음 환류시켰다. 아민%를 측정하여 반응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120℃로 올린 후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반응이 95% 진행되었다. 반응 결과물을 아세톤에 부은 후 냉각하여 재결정하였다. 결과물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재결정 후 거름을 통해 얻은 결과물은 곧바로 진공 건조하였다.
N,N-디메틸-N- 디글리세릴 스테아릴 아미도프로필 암모니움 클로라이드의 합성
Figure 112007038235440-pat00003
글리세릴기 2개가 치환된 디글리세릴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서, 모노글리세릴 화합물에 글리세릴기를 추가적으로 도입하였다. 3구 플라스크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모노글리세릴 화합물 및 글리시돌을 넣은 후, 온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료하였다. 혼합물에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감압 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결과물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결과물을 증류수 50% 용액으로 만들어 보관하였다.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의 제조>
환류냉각기, 적하 로더(Loader),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 장치가 부착된 반응기에 증류수 200 중량부를 넣고, 적하 로더에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N,N,N-트리메틸암노늄클로라이드 43 중량부, 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57 중량부 및 증류수 80 중량부를 넣어 단량체 혼합액을 준비하였다. 반응기에 질소를 치환한 후 90℃까지 가온하고, 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0.5 중량부를 투입한 후, 단량체 혼합액을 4시간 동안 적하시켰다. 적하 종료 후 20시간 반응시켜 냉각 후 하기 화학식 5의 공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함량으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화학식 5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를 증류수에 분산 용해시킨 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점도 조정 및 기포안정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를 첨가한 후 디메치콘,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교반시킨 후 미리 정제수에 용해시킨 카보폴(Carbopol)-1342, 향료, 방부제, NaOH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8235440-pat00004
상기 화학식 5에서, m은 50 내지 6,000이다.
Figure 112007038235440-pat00005
원료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정제수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화학식 5의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1) 0.50 1.00 0.50 1.00 1.00 - 0.50 -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 나트륨(3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디메치콘(2) 2.00 - 2.00 - 2.00 2.00 - 2.00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 0.20 - 0.20 - - 0.20 -
화학식 6의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3) 1.00 1.00 2.00 2.00 4.00 - - 2.00
Carbopol-1342(4)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3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향료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NaOH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잔량(100 중량%가 될 때까지 첨가)
상기 표 1에서 (1)은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N,N,N-트리메틸암노늄클로라이드/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 (2)는 상품명 DC 200F 10,000 cst(Dow Corning사)를 이용하였고, (3)은 N,N-디메틸-N-디글리세릴 스테아릴 아미도프로필 암모니움 클로라이드이며, (4)는 Noveon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 평가>
컨디셔닝 성분의 모발 흡착을 강화시키는 코아세르베이트의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제 샴푸를 사용하는 농도를 샴푸 10 중량%로 판단하였고, 이 농도에서의 코아세르베이트 양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 10 g을 물 90 g에 희석시켜 생성되는 코아세르베이트를 원심분리(3,000 rpm, 30분)시켜 상층액을 버리고 침전된 부분을 취하여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으로 판단하였다. 경우에 따라서 코아세르베이트 생성 농도가 10% 이하인 경우는 실제 샴푸를 사용하여 헹굴 때 씻겨나가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샴푸 10 중량%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mg)
52 81 79 154 149 0 23 1
<샴푸의 컨디셔닝 효과 평가>
모발 제품에 대한 관능 평가 경험이 풍부한 여성 80명에게 통상의 샴푸 사용방법으로 각각 10명씩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샴푸를 사용한 후 모발 감촉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방법은 모발 감촉이 매우 나쁜 경우 1점, 모발 감촉이 나쁜 경우 2점, 모발 감촉이 보통인 경우 3점, 모발 감촉이 좋은 경우 4점, 모발 감촉이 매우 좋은 경우 5점을 부여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모발감촉 4.2 4.1 4.5 4.4 4.7 1.9 2.6 2.3
상기 표 2와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화학식 5의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N,N,N-트리메틸암노늄클로라이드/N,N-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와 상기 화학식 6의 N,N-디메틸-N-디글리세릴 스테아릴 아미도프로필 암모니움 클로라이드를 함께 함유한 실시예들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서 코아세르베이트 생성량이 많았고, 또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4급 암모늄 형태의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본 발명의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를 동시에 함유하여 우수한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5)

  1. (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리세릴 4급 알킬아미도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나)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와 (b)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단량체로 제조된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85068353-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가 11 내지 21인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족 원소, 설페이트기 및 아세테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임;
    <화학식 2>
    CH2=C(R1)-CO-(O)a-(NH)1-a-(CH2)b-N+R2R3R4·Y-
    상기 화학식 2에서, R1는 수소 또는 메틸기,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24의 알킬기, 알릴기 또는 아릴기, R4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4의 알킬기, 알릴기, 아릴기 또는 -CH2-CH(OH)-CH2-N+R9R10R11·Z-이며, R9, R10 및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가 1 내지 24의 알킬기, 알릴기 또는 아릴기이고,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 메토설페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음이온이며, a는 0 또는 1, b는 1 내지 10의 정수임;
    <화학식 3>
    CH2=C(R5)-CO-NR6R7
    상기 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 또는 메틸기,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3의 알킬기이며, R6 및 R7의 탄소수의 합은 1 내지 4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 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내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 유니트가 25 내지 45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의 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20070050762A 2007-05-25 2007-05-25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35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62A KR101351476B1 (ko) 2007-05-25 2007-05-25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762A KR101351476B1 (ko) 2007-05-25 2007-05-25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706A KR20080103706A (ko) 2008-11-28
KR101351476B1 true KR101351476B1 (ko) 2014-01-14

Family

ID=4028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762A KR101351476B1 (ko) 2007-05-25 2007-05-25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7974A (zh) * 2017-12-04 2018-05-08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含有一种多羟基化合物的洗涤剂组合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269B1 (ko) * 1999-10-20 2003-01-24 로레알 비닐 디메티콘/디메티콘 공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50073446A (ko) * 2002-08-12 2005-07-13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조절제를 포함하는 가교된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모발화장 제제에서의 그의 용도
KR100560355B1 (ko) * 2001-11-08 2006-04-07 로레알 아미노실리콘 및 컨디셔너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이의 용도
KR100644466B1 (ko) * 2004-07-10 2006-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269B1 (ko) * 1999-10-20 2003-01-24 로레알 비닐 디메티콘/디메티콘 공중합체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560355B1 (ko) * 2001-11-08 2006-04-07 로레알 아미노실리콘 및 컨디셔너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이의 용도
KR20050073446A (ko) * 2002-08-12 2005-07-13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조절제를 포함하는 가교된 양이온성 공중합체, 및 모발화장 제제에서의 그의 용도
KR100644466B1 (ko) * 2004-07-10 2006-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706A (ko) 200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1632B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JP4726963B2 (ja) 毛髪化粧料
KR20090120955A (ko) 컨디셔닝 효과가 향상된 비듬 방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H0341015A (ja) 毛髪化粧料
KR10074381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ES2459626T3 (es) Compuestos de alquil-quaternium-silicona
KR101351476B1 (ko)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090117081A (ko) 바이오계면활성제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743829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JP6945824B2 (ja) 速乾性毛髪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毛髪に速乾性を付与する方法
KR20080101107A (ko) 코아세르베이트 컨디셔너 조성물
JP5661247B2 (ja) 毛髪化粧料
KR100610470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755543B1 (ko) Uv 차단용 샴푸 조성물
KR20080104799A (ko) 양이온성 비닐 공중합체 함유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740733B1 (ko)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KR101071499B1 (ko)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JP2576554B2 (ja) 洗浄剤組成物
KR100914352B1 (ko) 마른 후 사용감이 개선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743831B1 (ko) 청량감 세정제 조성물
KR20080103704A (ko) 우수한 기포 감촉을 갖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080101949A (ko) 컨디셔닝 효과가 향상된 코아세르베이트 샴푸 조성물
KR20120019667A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150111709A (ko) 컨디셔닝 효과가 개선된 모발 세정용 조성물
JP2977637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