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770B1 -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770B1
KR101350770B1 KR1020130065831A KR20130065831A KR101350770B1 KR 101350770 B1 KR101350770 B1 KR 101350770B1 KR 1020130065831 A KR1020130065831 A KR 1020130065831A KR 20130065831 A KR20130065831 A KR 20130065831A KR 101350770 B1 KR101350770 B1 KR 10135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cro
panel
head c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홍환
Original Assignee
고홍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홍환 filed Critical 고홍환
Priority to KR102013006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배수공의 최종 직경이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가져 미세 물줄기 형태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수중에 용해된 공기가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하며 함께 배출되게 되어 그만큼 피부 및 두발에 쉽게 흡수되어 세척력이 우수한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는 수도시설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장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고 감쇠배수공을 구비한 감압패널; 및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충돌하도록 이격 배열된 감압충돌부와, 감압충돌부에 부딪혀 퍼지는 물을 최종 배출하는 복수의 미세배수공을 갖는 헤드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SHOWER HEAD ASSEMBLY FOR MICRO-BUBB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배수공의 최종 직경이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가져 미세 물줄기 형태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수중에 용해된 공기가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하며 함께 배출되게 되어 그만큼 피부 및 두발에 쉽게 흡수되어 세척력이 우수하며,
더 나아가 미세배수공이 형성된 헤드캡의 전방에 감쇠배수공이 형성된 감압패널이 배열되어 수압으로 인한 미세배수공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헤드캡에 구비되고 감쇄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부딪히는 감압충돌부를 통하여 마이크로 버블 생성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세척력 강화와 피부 및 머릿결 미용성 향상 등을 위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관련 기술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 중 특허등록 제10-1166975호(등록일자 2012년07월12일)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샤워기 내부 수로에 단순 구조의 버블 발생관을 형성시켜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샤워기를 통해 다량의 마이크로 버블이 분사되도록 하여 수돗물의 정화 및 살균 효능을 향상시킨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또 특허등록 제10-1237119호(등록일자 2013년02월19일)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샤워기]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초미세기포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수돗물의 정화 및 살균 효능을 향상시키는 버블 노즐이 설치되어 피부 세균의 살균이 가능한 음이온 발생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포함하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250646호(등록일자 2013년03월28일)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에서 제시된 기술은 수전으로 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에 충격과 함께 와류현상이 일어나도록 설계된 버블발생기를 샤워헤드 내에 장착하여서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초미세 기포화시킴에 따라 수돗물의 정화 및 살균 효능을 향상시켜 피부 세균의 살균이 가능함과 더불어 영구자석을 부설하여서 수돗물을 인체에 유익한 자화수(6각수)로 변화시켜 피부의 촉촉함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13-0037070호(공개일자 2013년04월15일)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에서 제시된 기술은 내부에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되며, 레인 샤워기와 벽면 부착형 샤워기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샤워기의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들 특허를 비롯한 종래기술들은 물이 통과하는 유로의 내경을 작게 하였다가 확장하거나 경로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형태로 수돗물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가하여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 버블화하는 기술이어서 그만큼 부품수도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불량 발생도 많아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히 미세배수공, 특히 최종 직경이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가져 미세 물줄기 형태로 물을 배출하는 미세배수공을 통하여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 버블로 형성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우수한 세척력을 확보하도록 한 헤드캡을 구비한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헤드캡이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압충돌부가 구비되어 있어 수압으로 인한 미세배수공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헤드캡에 구비되고 감쇄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부딪히는 감압충돌부를 통하여 마이크로 버블 생성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헤드캡의 각 미세배수공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1통과부와, 상대적으로 작고 점감하는 단면적을 갖는 제2통과부로 구성되어 베르누이 원리 및 `레너드 효과'(폭포수 이론)에 따라 음이온 수반 물줄기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 미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헤드캡을 제1통과부를 갖는 제1노즐패널과, 제2통과부를 갖는 제2노즐패널로 구성하여 제조용이성을 확보한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는
수도시설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장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고 감쇠배수공을 구비한 감압패널; 및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충돌하도록 이격 배열된 감압충돌부와, 감압충돌부에 부딪혀 퍼지는 물을 최종 배출하는 복수의 미세배수공을 갖는 헤드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에서
상기 헤드캡의 감압충돌부는 커브홈을 갖고,
이 커브홈의 단면적은 상기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의 단면적 보다 크고,
상기 헤드캡의 각 미세배수공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1통과부와, 상대적으로 작고 점감하는 단면적을 갖는 제2통과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캡은 제1통과부를 갖는 제1노즐패널과, 제2통과부를 갖는 제2노즐패널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는 헤드캡에 단순히 미세배수공, 특히 최종 직경이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가져 미세 물줄기 형태로 물을 배출하는 미세배수공을 형성하여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 버블로 형성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어 우수한 세척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상기 헤드캡이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압충돌부가 구비되어 있어 수압으로 인한 미세배수공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헤드캡에 구비되고 감쇄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부딪히는 감압충돌부를 통하여 마이크로 버블 생성효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헤드캡의 각 미세배수공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1통과부와, 상대적으로 작고 점감하는 단면적을 갖는 제2통과부로 구성되어 베르누이 원리 및 `레너드 효과'(폭포수 이론)에 따라 음이온 수반 물줄기 형성이 가능하며, 아울러 헤드캡을 제1통과부를 갖는 제1노즐패널과, 제2통과부를 갖는 제2노즐패널로 구성하여 제조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의 요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의 변형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에 도입되는 필터조립체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물의 소통 경로를 따라 물이 최초 유입되는 연결부(11) 쪽을 전방, 물이 최종 배출되는 미세 배수공(43)이 형성된 쪽을 후방으로 정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A)는 수도시설과 연결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13)에 결합되는 감압패널(30), 미세배수공(43)이 형성된 헤드캡(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연결부는 수도시설에 연결되는데, 통상의 샤워기 시설에 사용되는 주름관(자바라(蛇腹,じゃばら)관, bellows) 형태의 호스(20)를 통하여 수도시설에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호스(20) 생략 후 직접 수도꼭지를 구성하거나, 속칭 '해바라기 샤워기'로 불리는 고정형 샤워기를 구성하는 형태로 본 발명의 개념이 변형 적용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샤워기' 헤드라는 표현은 수돗물이 최종 배출되는 부분의 구조물을 대표하여 지칭한 것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샤워기나 수도꼭지에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 경우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하우징(10)의 연결부(11)는 주름관 형태의 호스(20)의 체결링(21)의 암나사부(21a)에 결합되는 수나사부(11a)를 갖는데, 암수 나사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상호 뒤바뀔 수 있다. 이 암수 나사부(21a)(11a) 사이에는 수밀성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패킹부재가 도입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직경이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가져 미세 물줄기 형태로 물이 배출도록 하는 헤드캡(40)의 미세배수공(43)이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필터 조립체(50)가 결합되는 수용부(15)가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유로 후방에는 장착부(1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장착부(13)에는 먼저 감압패널(30)이 결합되고, 이어 헤드캡(40)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3)의 전단에는 감압패널(20)의 고정테두리(33a)가 안착되는 걸림턱(13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장착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3a)가 형성되어 있어, 헤드캡(40)의 수나사부(45a)가 체결된다. 역시 암수 나사부는 도 3의 변형예와 같이 뒤바뀔 수 있다.
상기 감압패널(30)은 감쇠배수공, 특히 중앙에 1개 구비된 감쇠배수공(31)을 갖는데, 특히 물 속 용존기체의 마이크로버블 형성을 위하여 감쇠배수공(31)에서 분출되는 물이 감압패널(30)과 헤드캡(40)에 충돌하면서 와류를 일으키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 외주면 라운드부(33)의 정점에 감쇠배수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라운드부(33)의 종료지점인 테두리에는 하우징(10) 장착부의 걸림턱(13A)에 맞물리는 고정테두리(3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턱과 고정테두리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수밀성 보장 패킹부재가 도입될 수 있고,
또 이 걸림턱과 고정테두리의 밀착은 헤드캡(40)의 수나사부(45a)가 하우징(10)의 장착부(13) 암나사부(13a)에 결합됨에 따라 수나사부(45a) 전방의 고정단부(45f)가 고정테두리(33a)를 누르게 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헤드캡(40)은 물을 최종 배출하는 복수의 미세배수공(43)을 갖고, 특히 상기 감압패널(30)의 감쇠배수공(31)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충돌하도록 이격 배열된 감압충돌부(41)를 가지며, 이 감압충돌부에 부딪혀 퍼지는 물이 복수의 미세배수공(43)을 토하여 마이크로버블을 내포한 형태로 배출된다.
아래 일반적인 종래 샤워기는 배수공의 직경이 0.5~1mm 정도의 크기를 갖고, 최대 100개 정도 형성되어 있다.
[사진-일반 샤워기]
Figure 112013051145543-pat00001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는 아래 사진과 같이, 각 미세배수공(43)의 크기의 최종 직경(제2통과부(43B)의 후단 직경)이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갖고, 헤드캡(40)의 유효면적(미세배수공 형성부위) 40~100mm에 대하여 약 1,000~5,000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Figure 112013051145543-pat00002

또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2 [A]의 헤드캡(40) 배면도 및 도 2[B]의 헤드캡 및 감압패널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감압패널(30)의 감쇠배수공(31)에서 분출되는 물줄기가 최초 충돌하여 수압으로 인한 미세배수공(43)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캡(40)에는 감압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는데,
감쇠배수공(31)에서 분출되는 물줄기가 직접 미세배수공(43)과 충돌하지 않도록 이 감압충돌부(41)의 단면적은 상기 감쇄배수공의 단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감쇄배수공(31)의 단면적은 4~8mm이고, 감압충돌부(41)의 단면적은 5~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감압충돌부(41)로 인하여 헤드캡(40)에 형성될 미세배수공(43) 형성 가능 면적이 줄지 않도록 하면서도, 감쇠배수공(31)에서 분출되는 물줄기가 직접 미세배수공(43)과 충돌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대처하면서도, 감쇠배수공(31)에서 분출되는 물줄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감압충돌부에 충돌하여 퍼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감압충돌부(41)의 전단부에는 커브홈(4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브홈(41A)의 전방 단멱적은 감압충돌부(41)의 단면적이 감쇠배수공(31)이 단면적 보다 크므로 당연히 감쇠배수공 보다 크지만 특유의 곡면으로 인하여 감쇠배수공에서 분출되는 물줄기가 충돌하는 표면적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헤드캡(40)과 감압패널(30) 사이에는 와류효과가 더욱 증대되면서 용존기체의 마이크로버블화 효과는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더욱이 감쇠배수공(31)에서 분출되는 물줄기가 확실하게 감압충돌부(41)에 확실하게 충돌됨은 물론 감압패널(30)의 표면 라운드부(33)로 인하여 헤드캡(40)과의 사이에 형성된 와류 공간이 확대되고 불규칙한 충돌이 증대되면서 용전기체를 내포한 물에 스트레스를 더욱 강하게 가하여 마이크로버블 발생률은 더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감압충돌부(41)의 감쇠배수공(31) 사이의 거리는 2~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캡(40)의 결합부(45), 특히 수나사부(45a)는 하우징(10) 장착부(13)의 암나사부(13a)에 결합되고, 수나사부(45a)의 고정단부(45f)는 감압패널(30)의 고정테두리(33a)를 눌러 장착부(13)의 걸림턱(13A)에 밀착시키고, 또 헤드캡의 걸림플렌지(40f)는 장착부(13) 단부에 걸린다.
도 2[B]의 헤드캡 측단면도에서 하나의 미세배수공(43)을 확대한 일점 쇄선 원내 도면과 같이, 상기 헤드캡(40)의 각 미세배수공(43)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1통과부(43A)와, 상대적으로 작고 점감하는 단면적을 갖는 제2통과부(43B)(미세배수공의 '최종 직경' 0.01~0.15mm은 제2통과부(43B) 후단의 직경을 나타낸다)를 갖는다. 제1통과부(43A)는 제2통과부(43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단면적이 점감하는 형태를 갖지만 필요에 따라 제1통과부의 단면적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이러한 미세배수공은 에칭공법이나, 정밀 사출 공법, 기타 다양한 공지의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기가 서로 다르고 전체적으로 단면적이 점감하는 형태의 유로, 즉 제1 및 제2 통과부(43A,43B)를 갖는 미세배수공(43)으로 인하여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압력은 낮아진다'고 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베르누이 원리와, 폭포수 등의 물방울에서 오존을 수반하지 않는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레너드 효과'(폭포수 이론)(물이 고체와 충돌해 부서지는 과정에서 음이온이 발생한다는 독일 노벨물리학상(1905, 음극선(Cathod rays) 실험에 대한 연구) 수상자 필립 레너드(Philipp Eduard Anton von Lenard (1862~1947))의 이름을 딴 효과)에 따라 특유의 마이크로 버블 함유 물줄기 및 폭포 근처에 온 것 같으면서도 오존을 수반하지 않는 공기속의 비타민, 음이온 수반 효과를 통하여
식기 세척, 목욕, 머리감기 등에서 세척력 증대, 건강증진, 비누(샴푸)나 세제 잔류 방지 효과 등이 기대된다.
실제 단순히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은 일반 수도꼭지(또는 샤워기)의 잠금레버 조절(20~30% 개방)에 의해서도 아래 사진과 같이 가능하다.
[일반 수도꼭지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
Figure 112013051145543-pat00003

또 아래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 실험 사진과 같이, 단순히 마이크로버블의 양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것이 더 적은 것으로 보이나, 마이크로버블의 잔류 시간은 평균 20% 이상 더 길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
Figure 112013051145543-pat00004

또 본 발명의 미세배수공(43)이 감압충돌부(41)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수압에 의하여 파손되고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호스(20)의 체결링921) 내측에 중공(27h)을 갖는 감쇠패널(27)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감쇠패널의 중공(27h)은 노즐부(23)(통상적으로 테플론 튜브가 사용된다)의 노즐공(23h) 보다 작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캡(40)의 미세배수공(43)이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필터조립체(50)가 하우징(10)의 수용부(15)에 도입되는데,
이 필터조립체는 필터케이스(51), 필터케이스의 수용공간(51s)에 배열되는 필터부재(53), 필터케이스의 수용공간 상부(후방) 개구부를 막는 마개(51B)를 포함한다.
주름관 형태의 호수(20)의 노즐부(23)에 결합되는(노즐부 외경보다 내경이 더 커서 노즐부가 끼워지는) 필터케이스(51)의 입수노즐(51A)로 유입된 수돗물은
필터케이스의 수용공간(51s)에 장착된 필터부재(53)의 통과중공(53a)을 거쳐 필터부재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통과하면서 필터링 되고,
이어 필터케이스(51)의 메쉬를 거처 필터케이스 외부로 배출된 후, 하우징(10)의 수용부(15) 내주면과 필터케이스 사이의 공간을 지나 감압패널(30)에 이루게 된다.
필터케이스의 정위치 배열을 위하여 하우징(10)의 수용부(15)에는 감쇄링(15m)이 별도로 도입되거나 일체형 돌턱이 구비되어 있어 필터케이스의 하우징 수용부 내 상부 이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이 감쇄링(15m)은 분해된 필터조립체(50)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필터케이스 장착 위치 보다 상부에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편의상의 표현일 뿐이다.
또 상기 감쇠링(15m)이 마개(51B)와 맞닿아 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51B)에는 지지턱(51p)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이 지지턱과 감쇠링(15m) 사이의 틈새로 필터부재에 의하여 필터링된 수돗물이 통과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 4의 조립형 감쇠링(15m)과 달리 하우징 수용부(15a) 내에 일체로 형성된 돌턱 형태의 감쇠링(15a)을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도 3 [A]에 도시된 개략적인 분해 복합 도면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는데,
오직 이해의 편의상 도 3 [A]는 헤드캡(40m)과 미세배수공(43) 형성 노즐패널(40p)은 전면에서 관찰한 사시도이고,
변형 감압패널930)은 감쇠배수공(31)의 구체적인 확인을 위하여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변형 하우징(10m)은 장착부(13)의 구체적 확인을 위하여 후방에서 관찰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달리 하우징(10m)의 장착부(13)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헤드캡(40m)에는 이에 결합되는 암나사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 하우징(10m)의 장착부(13)에 결합되는 감압패널(30)은 내주면 걸림턱(13A)에 전단 테두리가 걸리게 되며,
변형 감압패널(30m)은 라운드부(33) 끝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부(35)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이 이격 지지부(35)에 노즐패널(40p) 전방 테두리가 지지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이 이격 지지부(35)로 인하여 커브홈(41A)을 갖는 감압충돌부(41)가 감쇠배수공(31)에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 지지부(35)에 전면 테두리가 이격 지지되는 노즐패널(40p)의 후면 테두리는 헤드캡(40m)의 개구부(40h) 둘레 걸림턱(40F)에 의하여 가압되고
결국 이 헤드캡(40m)의 암나사부(45b)가 하우징(10)의 수나사부(13b)에 체결됨으로써
개구부(40h) 둘레 걸림턱(40F)이 노즐패널(40p)의 후면 테두리를 가압하고,
노즐패널(40p)의 전면 테두리가 감압패널(30)의 이격 지지부(35)를 가압하며,
이격 지지부(35)의 전방, 즉 라운드부(33)의 종료 지점인 전방 테두리는 하우징910)의 장착부913) 걸림턱(13A)에 밀착된다. 필요에 따라 이들 각 부재의 접면에는 패킹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도 3 [A] 구성요소들은 생산성 및 조립성, 유지보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B](좌측 사시도, 중간 일점 쇄선 원내 분해 정면도, 우측 제1 및 제2 통과부 연속 확대 단면도가 차례로 도시됨)에는
도 3 [A]의 일체형 노즐패널(40p), 나아가 도 1 및 도 2의 제1 및 제2 통과부(43A)(43B) 일체형 미세배수공(43) 구조에 비하여
제1 및 제2 통과부(43a)(43b)(중간 일점 쇄선 원내에서는 통과부만은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시도 형태로 도시함)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노즐패널(40A)(40B)의 두 몸체의 결합으로 구성된 조립형 노즐패널(40P)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형 노즐패널(40P)은 예를 들어 제1노즐패널(40A)은 사출로 제조하여 제1통과부(43a)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제2통과부(43b)를 갖는 제2노즐패널(40B)은 에칭으로 제2통과부를 제조하는 형태와 같이,
각 통과부(43a)(43b) 특성에 맞는 제조공법을 이용하여 생산성 향상 및 단가경쟁력 확보에 유리하다.
또 제1 및 제2 노즐패널(40A)(40B) 각각은 제1 및 제2 통과부(43a)(43b)가 정확하고 쉽게 일치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위치 결합수단(43N)은 예들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된 위치에 원형 제1 및 제2 노즐패널(40A)(40B)의 귀퉁이를 제거하여 직선부(n1,n2)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도 3 [B]의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개략적인 추가 변형 하우징(10M)의 배면도와 같이, 장착부(13m)의 내주면에
제1 및 제2 노즐패널(40A)(40B)의 직선부(n1,n2)에 상응하는 직선부(10n)를 추가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수돗물의 수압, 샤워기의 구체 형태, 수도꼭지에 적용될 경우의 결합구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10,10m: 하우징
11: 연결부 13: 장착부
15: 수용부 20: 호스
21: 체결링 23: 노즐부
30,30m: 감압패널 31: 감쇠배수공
33: 라운드부 35: 지지부
40,40m: 헤드캡 41: 감압충돌부
41A: 커브홈 43: 미세배수공
43A,43B: 통과부 49p,40p,40A,40B: 노즐패널
45: 결합부 50: 필터조립체
51: 필터케이스 53: 필터부재

Claims (4)

  1. 수도시설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장착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고 감쇠배수공을 구비한 감압패널; 및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고, 상기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줄기와 충돌하도록 이격 배열된 감압충돌부와, 감압충돌부에 부딪혀 퍼지는 물을 최종 배출하는 복수의 미세배수공을 갖는 헤드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캡의 감압충돌부는 커브홈을 갖고, 이 커브홈의 단면적은 상기 감압패널의 감쇠배수공의 단면적 보다 크고,
    상기 헤드캡의 각 미세배수공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제1통과부와, 상대적으로 작고 점감하는 단면적을 갖는 제2통과부를 갖고,
    상기 헤드캡은 제1통과부를 갖는 제1노즐패널과, 제2통과부를 갖는 제2노즐패널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노즐패널 각각은 제1 및 제2 통과부가 정확하고 쉽게 일치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결합수단(43N)은
    원형 제1 및 제2 노즐패널(40A)(40B)의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직선부(n1,n2)와, 하우징(10M)의 장착부(13m) 내주면에 형성된 상응 직선부(1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제2통과부의 최종 직경은 0.01~0.15mm 정도의 크기를 갖고,
    상기 하우징(10)은 수용부(15)를 갖고,
    이 수용부에는 헤드캡(40)의 미세배수공(43)이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는 필터 조립체(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립체(50)는 필터케이스(51), 필터케이스의 수용공간(51s)에 배열되는 필터부재(53), 필터케이스의 수용공간 상부(후방) 개구부를 막는 마개(5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필터케이스의 정위치 배열을 위하여 하우징(10)의 수용부(15)에는 감쇄링(15m)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감쇠링(15m)이 마개(51B)와 맞닿아 유로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51B)에는 지지턱(51p)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KR1020130065831A 2013-06-10 2013-06-10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KR10135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831A KR101350770B1 (ko) 2013-06-10 2013-06-10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831A KR101350770B1 (ko) 2013-06-10 2013-06-10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770B1 true KR101350770B1 (ko) 2014-01-14

Family

ID=5014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831A KR101350770B1 (ko) 2013-06-10 2013-06-10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60B1 (ko) * 2015-05-06 2016-11-01 고홍환 마이크로 버블 음이온 샤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99A (ja) * 1995-04-07 1996-10-22 Inax Corp シャワーヘッド
KR100201200B1 (ko) * 1995-11-27 1999-06-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비가역 회로 소자
KR20120119218A (ko) * 2011-03-09 2012-10-31 신천식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20130037070A (ko) * 2011-10-05 2013-04-15 (주)엠이씨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99A (ja) * 1995-04-07 1996-10-22 Inax Corp シャワーヘッド
KR100201200B1 (ko) * 1995-11-27 1999-06-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비가역 회로 소자
KR20120119218A (ko) * 2011-03-09 2012-10-31 신천식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20130037070A (ko) * 2011-10-05 2013-04-15 (주)엠이씨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960B1 (ko) * 2015-05-06 2016-11-01 고홍환 마이크로 버블 음이온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58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ES2956096T3 (es) Atomizador y cabezal de ducha
CN105008054B (zh) 用于卫生出水装置的雾化喷嘴以及具有出水装置的卫生出水配件
KR101166975B1 (ko)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ITUD20000064A1 (it) Rosetta per docetta
EP3334534B1 (en) Fluidic faucet spray face and spray generation method
US20160339457A1 (en) Water outlet valve core of a wall mounted shower head and water output device using the same
KR101581391B1 (ko)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샤워기 노즐
KR101350770B1 (ko)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헤드 어셈블리
KR101199501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WO2012033126A1 (ja) 泡沫水生成コマ
KR200446903Y1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CN204412487U (zh) 一种节水型出水装置及花洒
KR101441605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101178550B1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CN209900045U (zh) 一种带稳压喷头的复合洗眼器
US20180043377A1 (en) Splash water outlet mechanism
KR101670960B1 (ko) 마이크로 버블 음이온 샤워기
KR102250713B1 (ko) 고압수 분사를 위한 와류 형성 장치
CN209810450U (zh) 一种同时具有两种出水造型的出水装置
KR20200068856A (ko) 변환장치를 갖는 워터랩 샤워헤드
GB2536785A (en) A water outlet structure for generating cone shaped water and a shower head mounting the same
CN215612426U (zh) 花洒
TWM570387U (zh) Micro-nano bubble generator
CN214460914U (zh) 一种喷头组件、喷杆装置和智能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