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501B1 -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501B1
KR101199501B1 KR1020100109875A KR20100109875A KR101199501B1 KR 101199501 B1 KR101199501 B1 KR 101199501B1 KR 1020100109875 A KR1020100109875 A KR 1020100109875A KR 20100109875 A KR20100109875 A KR 20100109875A KR 101199501 B1 KR101199501 B1 KR 10119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nozzle
tap water
fauc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302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이씨 filed Critical (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0010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냉수, 온수 및 혼합수가 배출되며, 내주에 체결부가 형성된 배출구,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상기 배출구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노즐 케이스와, 상기 노즐 케이스에 내장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시키는 버블 발생노즐과, 및 수돗물이 버블 발생노즐에 유입될 때,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버블 노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Micro bubble nozzl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수돗물의 자체 압력 변화로 발생하는 마찰저항, 압력저항, 물 및 용존 산소의 팽창 등으로 인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노즐을 통해 수돗물의 정화 효능 및 살균 효능을 극대화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유해세균으로 인하여 가려움증이나 알레르기, 아토피 등 각종 피부병을 방지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고 수로와 연통되며, 온수 및 냉수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관통 형성되어 그 기단부가 물을 공급하는 급수라인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하여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밸브 어셈블리가 구성되는 기구이다.
그런데, 종래의 수도꼭지에는 장기간 사용시 그 내부의 수로에 유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며, 샤워시 유해 세균이 물과 함께 신체와 직접 접촉에 의한 피부 건강 등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피부가 민감한 사람의 경우에는 유해세균으로 인하여 심할 경우 가려움증이나 알레르기, 아토피 등 각종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살균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배관에 살균 처리 기능을 구비하거나, 수도꼭지에 구비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살균 기능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도꼭지는 외부의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수돗물이 공급되는 공급관과 연결되며, 냉수 또는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0)과, 유입관(110)과 연결되어 냉수, 온수 그리고 혼합수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본체(120)와, 본체(120)의 일단에 형성되어 냉수, 온수 및 혼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0) 및 본체(120)에 장착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유로,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배출구(130)와 연결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조절밸브(140)가 구성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수도꼭지에는 수돗물에 포함된 유해세균을 살균처리하기 위하여 본체(120)와 배출구(130) 사이에 살균 처리부재(150)가 구성되어 있어서 조절밸브(140)의 작동에 따라 냉수, 온수 또는 혼합수가 공급될 때 이 살균 처리부재(150)를 통과하면서 살균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살균 기능이 구비된 수도꼭지는 본체(120)에 살균 필터의 기능을 하는 살균 처리부재(150)를 통해 유해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고 물의 살균 효과를 우수하게 유지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살균 처리부재(150)를 별도로 설치한다 하더라도, 살균 처리부재(150)의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처리부재(150)의 교체 설치 비용과 같은 코스트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수돗물의 자체 압력 변화로 발생하는 마찰저항, 압력저항, 물 및 용존 산소의 팽창 등으로 인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노즐을 통해 수돗물의 정화 효능 및 살균 효능을 극대화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유해세균으로 인하여 가려움증이나 알레르기, 아토피 등 각종 피부병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냉수, 온수 및 혼합수가 배출되며, 내주에 체결부가 형성된 배출구,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상기 배출구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노즐 케이스와, 상기 노즐 케이스에 내장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시키는 버블 발생노즐과, 및 수돗물이 버블 발생노즐에 유입될 때,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버블 노즐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노즐은 황동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수돗물이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버블 발생부, 및 이 제1버블 발생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의 2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버블 발생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버블 발생부는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이 유입되고, 이 수돗물이 빠른 유속을 지닐 수 있도록 그 직경이 0.7mm ~ 1.0mm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단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수돗물에 압력 저항을 발생시키는 압력부와,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마찰부로 이루어진 2차 버블 발생부, 및 상기 2차 버블 발생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라 이루어진 수돗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체결수단은 수도꼭지와 버블 노즐 간의 수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나사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부에는 다수의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에는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수돗물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력 상승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체결부와 상기 노즐 케이스에 형성된 체결수단 사이에는 수밀력이 상승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수밀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노즐은 그 표면에 참나무숯과 은이 코팅처리되며, 상기 본체부의 유로에 더 구성되되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노즐의 유입구의 수는 12개 ~ 16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수돗물의 자체 압력 변화로 발생하는 마찰저항, 압력저항, 물 및 용존 산소의 팽창 등으로 인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노즐을 통해 수돗물의 정화 효능 및 살균 효능을 극대화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유해세균으로 인하여 가려움증이나 알레르기, 아토피 등 각종 피부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살균 기능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는 냉수, 온수 또는 냉수와 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212)가 형성된 본체부(210), 본체부(2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냉수, 온수 및 혼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230), 본체부(210)에 장착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유로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배출구(230)와 연결되는 유로(212)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조절밸브(240)가 구성된 밸브 조립체(250) 및 배출구(230)의 내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로(212)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노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210)는 설계 및 디자인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며, 공급되는 수돗물이 흐를 수 있도록 냉수유로, 온수유로를 포함하는 유로(212)가 형성되고, 상부 내주면에 밸브 조립체(250)가 체결되도록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10)의 일단에는 유로(212)를 통해 흐르는 냉수, 온수 또는 혼합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구(230)가 구성되며, 이 배출구(230)의 내주면에는 버블 노즐(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체결부(2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210)의 배출구(230)에는 유로(212)를 통해 이동하는 수돗물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력 상승부(260)가 형성되는데, 이 압력 상승부(260)는 유로(212)의 직경이 배출구(230)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되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부(210)의 유로(212)를 통해 이동하는 수돗물의 수압이 이 압력 상승부(260)를 지나면서 상승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체부(210)의 상측에 구성되는 밸브 조립체(250)측의 유로(212) 직경보다 본체부(210)의 배출구(230)측에 형성되는 유로(212)의 직경이 더욱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압력 상승부(260)를 통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의 수압을 상승시켜 후술할 버블 노즐(200)에서 마이크로 버블 발생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돗물 내에 포함되는 용존 산소의 기포화가 활성화되어 수돗물의 정화 및 살균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배출구(2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부(232)는 후술할 버블 노즐(200)이 결합되고, 수도꼭지와 버블 노즐(200)간의 수밀력을 강화하기 위해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며, 이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12)을 버블 노즐(20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나사 체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체결부(232)의 내주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돌기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돌기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 돌기(미도시)를 버블 노즐(20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본체부(210)의 배출구(230)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도꼭지와 버블 노즐(200) 간의 수밀력이 상승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수밀패킹(270)이 구비되어 버블 노즐(200)이 본체부(210)의 체결부(232)에 결합될 때 이 수밀패킹(270)이 압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버블 노즐(200)과 수도꼭지의 본체부(210) 사이에 발생하는 미세한 틈을 막아 수밀력을 상승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버블 노즐(200)은 설계 및 디자인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시키는 버블 발생노즐(320)과, 이 버블 발생노즐(320)을 수도꼭지의 배출구(230)에 체결하는 노즐 케이스(310) 및 수돗물이 버블 발생노즐(320)에 유입될 때,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름망(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노즐 케이스(310)는 외주면에 본체부(210)의 배출구(230)에 형성된 체결부(232)에 체결되도록 체결수단(312)이 형성되며, 체결부(232)와 체결수단(312) 사이에 구성되는 수밀패킹(270)을 압착하면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노즐 케이스(310)는 버블 발생노즐(320)이 고정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부 및 하부가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버블 발생노즐(320)의 하측 단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314)가 형성된다.
이때, 노즐 케이스(310)와 버블 발생노즐(320)은 단순 삽입 방식에 의해 삽입되어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플라인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노즐 케이스(310)의 내면과 버블 발생노즐(320)의 외면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노즐 케이스(310)와 버블 발생노즐(320)의 결합력을 극대화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 케이스(310)의 관통 형성되는 상측 단부에는 본체부(210)의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3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노즐 케이스(310)와 거름망(330) 역시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 또는 스플라인을 각각 형성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버블 발생노즐(320)은 황동 재질로 제작되며, 유로(212)를 통해 흐르는 수돗물이 거름망(330)을 통과한 후,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버블 발생부(322), 이 제1버블 발생부(322)의 바닥면에 다수 형성되어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의 2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버블 발생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버블 발생부(322)는 버블 발생노즐(320)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구된 상부에는 거름망(330)이 위치함에 따라 배출구(230)측으로 유입되는 수돗물이 압력 상승부(260)를 통해 소정의 수압을 가진채로 거름망(330)을 통과하면서 제1버블 발생부(322)의 바닥면에 충돌에 의해 버블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버블 발생부(322)의 바닥면에는 2차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버블 발생부(324)의 유입구(410)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1차 버블이 완료된 수돗물이 바로 2차 버블 발생을 위해 유입구(4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제2버블 발생부(324)는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10), 이 유입구(4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압력부(422)와 마찰부(424)가 형성되는 2차 버블 발생부(420) 및 2차 버블 발생부(4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유출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구(410)는 용존 산소가 포함된 수돗물이 제1버블 발생부(322)를 통해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이 소정의 수압을 가진채로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수돗물의 양과 수도꼭지의 공급량 등의 필요 유량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12개 ~ 16개의 유입구(41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입구(410)는 그 직경이 0.8mm ~ 1.0mm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빠른 유속을 지닐 수 있도록 구성된다.
2차 버블 발생부(420)는 압력부(422)에서 발생되는 압력 저항과 마찰부(424)에서 발생되는 마찰 저항에 의해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 산소를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초미세기포화가 이루어진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유입구(4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유입구(410)의 내측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유입구(410)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의 압력에 의해 저항이 발생되도록 하는 압력부(422)와, 유입구(410)와 압력부(422)를 통해 흐르는 수돗물이 유입구(410)의 내측벽면과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되도록 이 압력부(422)와 연결되며, 유입구(410)와 동일 중심을 가지는 마찰부(4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2차 버블 발생부(420)의 선단부 다시말해, 마찰부(424)의 선단부에 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유출되는 유출구(430)가 형성되며, 유출구(430)는 유입구(410)의 직경 : 유출구(430)의 직경에 대한 비율이 1 : 3.4 이상의 비율로 유입구(410)의 직경보다 크게 유출구(430)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2차 버블 발생부(420)의 길이 역시 유출구(430)의 직경 : 2차 버블 발생부(420)의 길이에 대한 비율이 1 : 5 이상의 비율로 길게 형성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가 유입구(410)와 마찰부(424) 사이에서 소정의 마찰 저항으로 와류 현상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2차 버블 발생부(420)는 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구(410)의 내측벽면을 통해 흐르다가 마찰부(424)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해 굴절되어 그 유속이 느려진 수돗물이, 유입구(410)의 중앙측을 통해 흐르는 빠른 유속의 단일방향성을 가진 수돗물의 압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저항에 의해 급격한 난류가 발생하여 팽창되고, 유출구(430)를 통해 유출되기 전까지 다수의 난류층을 형성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유입구(410)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압력부(422)와 마찰부(424)를 통해 수차례 팽창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의 기포화 현상이 수차례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이 용존 산소가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초미세기포화가 이루어져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도록 한것이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수돗물은 일반적인 수돗물보다 그 살균 및 정화 효능을 극대화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의 유로(212)에 제1버블 발생부(322)와 제2버블 발생부(324)로 이루어진 황동 재질의 버블 발생노즐(320)이 일체로 더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조절밸브(240)의 조절에 따라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수도꼭지 본체부(210)에 형성된 유로(212)를 통해 유입되면, 이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버블 발생노즐(320)과, 본체부(210)의 배출구(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또 다른 버블 노즐(200)을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 산소가 와류 현상으로 팽창하여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초미세기포화가 이루어져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 노즐을 통해 수돗물의 정화 효능 및 살균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부(210)의 유로(212)에 일체로 구성되는 버블 발생노즐(320)의 표면에는 참나무 숯과 은(銀)을 코팅처리함으로써,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중금속 및 세균을 살균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배출구(230)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황동 재질의 버블 발생노즐(320) 역시 참나무 숯 및 은이 그 표면에 코팅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버블 노즐 210: 본체부
212: 유로 230: 배출구
232: 체결부 240: 조절밸브
250: 밸브 조립체 260: 압력 상승부
270: 수밀패킹 310: 노즐 케이스
312: 체결수단 314: 안착부
320: 버블 발생노즐 322: 제1버블 발생부
324: 제2버블 발생부 330: 거름망
410: 유입구 420: 2차 버블 발생부
422: 압력부 424: 마찰부
430: 유출구

Claims (7)

  1.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에 있어서,
    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냉수, 온수 및 혼합수가 배출되며, 내주에 체결부가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도꼭지; 및
    상기 배출구의 체결부와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노즐 케이스와, 상기 노즐 케이스에 내장되어 수돗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를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시키기 위해 황동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수돗물이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제1버블 발생부와, 이 제1버블 발생부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의 2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2버블 발생부로 이루어진 버블 발생노즐 및 수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1차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버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 케이스는 버블 발생노즐이 고정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부 및 하부가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버블 발생노즐의 하측 단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의 체결부와 노즐 케이스에 형성된 체결수단 사이에 구성되어 체결부와 체결수단 사이에 압착되게 체결되며, 수밀력이 상승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수밀패킹
    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2. 삭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블 발생부는
    1차 버블이 발생된 수돗물이 유입되고, 이 수돗물이 빠른 유속을 지닐 수 있도록 그 직경이 0.7mm ~ 1.0mm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단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수돗물에 압력 저항을 발생시키는 압력부와, 마찰 저항을 발생시키는 마찰부로 이루어진 2차 버블 발생부, 및
    상기 2차 버블 발생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초미세기포화라 이루어진 수돗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체결수단은 수도꼭지와 버블 노즐 간의 수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나사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부에는 다수의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에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억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에는 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수돗물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압력 상승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노즐의 유입구의 수는 12개 ~ 16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KR1020100109875A 2010-11-05 2010-11-05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KR10119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75A KR101199501B1 (ko) 2010-11-05 2010-11-05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75A KR101199501B1 (ko) 2010-11-05 2010-11-05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302A KR20120048302A (ko) 2012-05-15
KR101199501B1 true KR101199501B1 (ko) 2012-11-09

Family

ID=4626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875A KR101199501B1 (ko) 2010-11-05 2010-11-05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06A1 (ko) * 2017-06-07 2018-12-13 황재구 미세 버블 발생장치
WO2018225905A1 (ko) * 2017-06-07 2018-12-13 황재구 미세 버블 분사용 유체노즐
WO2019022303A1 (ko) * 2017-07-26 2019-01-31 황재구 미세 버블 발생장치
KR102059039B1 (ko) * 2019-01-30 2019-12-26 (주)해드림디앤엠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3430B (zh) * 2018-07-02 2024-02-02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出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780A (ja) * 2003-03-31 2004-10-28 Ec Techno:Kk 給水活性化装置
JP2007162400A (ja) 2005-12-15 2007-06-28 Kazumi Doinai 節水コマ構造
KR100942589B1 (ko) * 2009-06-02 2010-02-16 (주)엠이씨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780A (ja) * 2003-03-31 2004-10-28 Ec Techno:Kk 給水活性化装置
JP2007162400A (ja) 2005-12-15 2007-06-28 Kazumi Doinai 節水コマ構造
KR100942589B1 (ko) * 2009-06-02 2010-02-16 (주)엠이씨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06A1 (ko) * 2017-06-07 2018-12-13 황재구 미세 버블 발생장치
WO2018225905A1 (ko) * 2017-06-07 2018-12-13 황재구 미세 버블 분사용 유체노즐
WO2019022303A1 (ko) * 2017-07-26 2019-01-31 황재구 미세 버블 발생장치
KR102059039B1 (ko) * 2019-01-30 2019-12-26 (주)해드림디앤엠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302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58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 샤워기
KR101199501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수도꼭지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BR9801069A (pt) Conjunto de bico de torneira
WO2016178436A2 (ja) 液体処理ノズル、それを用いた液体処理方法、ガス溶解方法及びガス溶解装置
KR101166975B1 (ko)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EP2612581A2 (en) Showerhead for generating micro air bubbles
KR101298922B1 (ko) 버블 효과가 극대화된 다기능 샤워기
JP2009045619A (ja) 集約型微細気泡発生装置
US6357483B1 (en) Flow controller
JP3112008U (ja) 脱着洗眼器具
KR200449102Y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
JP200730128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風呂用給湯装置
KR101298923B1 (ko) 버블 효과가 극대화된 주방용 샤워기
KR200446903Y1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KR200294241Y1 (ko) 비타민필터가 내장된 샤워기
KR101270464B1 (ko) 샤워기
KR20060059623A (ko) 샤워기용 다기능필터
KR20130037070A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
KR101178550B1 (ko)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CN211329878U (zh) 一种具有多种出水方式的出水装置
SI1351774T1 (sl) Škropilna šoba za razdeljevanje majhnih kapljicvode
CN208944389U (zh) 一种过滤花洒
KR101076226B1 (ko) 일정량의 액상이 유입되는 필터
CN215127396U (zh) 具有消毒功能的出水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