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515B1 -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515B1
KR101349515B1 KR1020110146981A KR20110146981A KR101349515B1 KR 101349515 B1 KR101349515 B1 KR 101349515B1 KR 1020110146981 A KR1020110146981 A KR 1020110146981A KR 20110146981 A KR20110146981 A KR 20110146981A KR 101349515 B1 KR101349515 B1 KR 10134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display
inner shell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184A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5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와 맞물리는 하우징 바디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공간 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로부터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근접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DISPLAY UNIT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NIT}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 저하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손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화상 표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장치는 차량, 공작 기계,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게임기 등의 장치들에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장치들의 다양한 기능적 선택을 위하여 스위치 장치도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단순한 푸시 스위치 타입의 버튼 스위치 이외에도 축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리 스위치 들도 있고, 로터리 스위치는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기 흡입력을 이용한 구조에 대하여도 다양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계적 스위치 이외에 터치 센서와 같은 기계적 작동이 수반되지 않는 다양한 스위치도 생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 터치 센서의 보편화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접촉을 통하여 소정의 제어 동작을 구현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생산 및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 특히 운전자가 이를 가동시키는 조작 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전방 주의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즉, 소정의 음악 청취 내지 네비게이션 가동으로 인한 기존 작동 상태의 화상이 표현되는 경우 운전자가 이를 다시 접촉 동작을 통하여 화면을 전환하고 다시 세부 메뉴로 들어가 개별 동작을 구현하여야 하는 등 조작 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수반되고, 궁극적으로 운전자 등의 전방 주의력 등을 저하하는 결과도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상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 상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와 맞물리는 하우징 바디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공간 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로부터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근접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을 상호 간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는 아우터 쉘 영역과 이너 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아우터 쉘 영역의 공간 상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아우터 쉘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 영역인 이너 쉘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이너 쉘 공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플레인 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내측에는 사전 설정된 각도로 챔퍼링되는 아우터 쉘 챔퍼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아우터 쉘 챔퍼링부보다 더 큰 각도로 챔퍼링되는 이너 쉘 챔퍼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는 상기 아우터 쉘 챔퍼링부에, 그리고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는 상기 이너 쉘 챔퍼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는 각각 좌우 대칭 배치 구조를 이루고,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에서 발신되는 발신 신호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서 발신되는 발신 신호는 서로 상이한 신호 패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와 맞물리는 하우징 바디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공간 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로부터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근접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단부에배치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을 상호 간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는 아우터 쉘 영역과 이너 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아우터 쉘 영역의 공간 상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아우터 쉘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 영역인 이너 쉘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이너 쉘 공간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가 상기 아우터 쉘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우터 쉘 작동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가 실행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 쉘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너 쉘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너 쉘 작동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너 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디스플레이 단계가 실행된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플레인 센서에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전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레인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레인 센서의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레인 센서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우터 쉘 작동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에러 코드를 출력하는 에러 코드 출력 단계를 실행할수도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상 표시를 전환 내지 변화시켜 소정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화상 표시를 전환 내지 변화시켜 소정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전자 등의 전방 주의력 감소를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공간 감지의 영역을 아우터 쉘 영역과 이너 쉘 영역으로 분할하여 단계적 내지 다층적 입력 감지를 실행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 전환 내지 변경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센서에 대하여 상이한 발신 신호 패턴을 형성하여 수신 신호의 패턴을 통하여 해당 영역의 점유 상태를 정확히 감지함으로써 센서 간의 간섭 발생을 방지 내지 최소화할 수도 있고, 각각의 센서가 배치되는 하우징 커버의 영역이 챔퍼링되는 구조를 통하여 조사 영역의 정확한 분할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배치되는 공간 센서부를 통하여 다층적 내지 단계적 감지와 더불어 보다 정확한 감지 결과를 도출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 상태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10)는 하우징(14)과, 디스플레이(50)와, 감지부(100)와, 저장부(30)와, 제어부(20)를 구비한다.
하우징(14)은 하우징 커버(11)와 하우징 바디(12)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커버(11)와 하우징 바디(12)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11)의 일면은 개방된 구조를 취하여 하기되는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상을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한다. 하우징 커버(11)와 하우징 바디(1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기판(2)이 배설되는데, 기판(2)은 회로배선(미도시) 및 전기 소자들이 배치되고, 일면 상에 제어부(20), 저장부(30) 및 연산부(40)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배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5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50)로의 화상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고 감지부(100)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2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1)의 개방된 일면에는 디스플레이(50)가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50)는 화상을 표시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화상 표시부로 구현되나,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50)는 LCD, 유기전계발광소자디스플레이(O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나 소정의 사전 설정된 화상을 표현하는 범위에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50)는 하우징 커버(11)와 하우징 바디(12)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디스플레이(50)의 화상표시면은 하우징 커버(11)의 개방된 일면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50)는 배선을 통하여 기판(2)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감지부(100)는 사용자의 동작 및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하여 감지신호에 기초한 디스플레이(50)의 화상 표시 작동을 이루도록 하는데, 감지부(100)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입력하는 입력부의 기능을 담당한다.
감지부(100)는 공간 센서부(110)와 플레인 센서부(120)를 포함하는데, 공간 센서부(110)는 하우징(14)에 배치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즉, 공간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될 수 있는데, 공간 센서부(110)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하우징(14)의 하우징 커버(11)에 배치된다. 공간 센서부(110)는 설정된 영역인 디스플레이(50)의 전방 영역으로 발신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등의 손을 통하여 발신 신호가 반사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설정 영역 내 사용자의 진입 여부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소정의 사전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공간 센서부(110)는 하우징(14)의 하우징 커버(11)에 배치되는데, 공간 센서부(110)는 하우징 커버(11)의 디스플레이(50)를 향한 단부에 배치된다. 공간 센서부(110)는 디스플레이(50)의 전방 설정 영역에 대한 동작 감지를 위하여 신호의 발신 및 반사되는 신호의 수신을 모두 담당한다. 이러한 신호의 발신 및 수신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소정의 전방 설정 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공간 센서부(110)는 하우징 커버(14)의 디스플레이(50)가 배치되는 개방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된다.
공간 센서부(110)는 디스플레이(50)의 전방 설정 영역을 분할하여 감지함으로써 다단 동작 감지 내지 동작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디스플레이(50)의 디스플레이 화상의 작동 제어를 보다 다양하고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공간 센서부(110)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를 포함하는데,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는 디스플레이(50)의 전방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되,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가 감지하는 공간을 분리하여 다단 동작 감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가 입력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전방 설정 감지 영역은 도면 부호 Ao로 지시되는 아우터 쉘 영역(Ao)이고, 이너 쉘 공간 센서(113)가 입력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전방 설정 감지 영역은 도면 부호 AI로 지시되는 이너 쉘 영역(AI)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의 전방 영역 중 내측 공간은 이너 쉘 영역(AI)으로 설정되고 이너 쉘 영역(AI)의 외측 영역은 아우터 쉘 영역(Ao)으로 설정되어,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가 각각 감지하는 공간을 분할 감지는데,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가 감지하는 입력 감지 영역에 대한 적외선 신호 등의 발신 영역을 한정하는 것은 적외선 센서로 구현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 및 이너 쉘 공간 센서(113)의 출력값을 조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입력 감지 영역의 분할 및 입력 감지 영역의 다단 내지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동작의 단계적 감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50)의 보다 다양한 동작 제어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0)의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는 쌍을 이루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는 각각 쌍을 이루며 디스플레이(50)를 중심으로 하우징 커버(11)의 좌우측 테두리(베젤)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의 좌우측에 각각 쌍을 이루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는 디스플레이(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50)의 중심 전방 영역에 신호의 발신되는 입력 감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쉘 공간 센서(113;113a,113b)도 하우징 커버(11)의 좌우측에 각각 쌍을 이루며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디스플레이(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 전방 영역에 이너 쉘 공간 센서(113;113a,113b)에 의하여 조사되는 입력 감지 영역인 이너 쉘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너 쉘 영역은 아우터 쉘 영역의 내측에 공간 분할되어 이격 형성된다.
또한,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 113a,113b)는 각각 상이한 발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이너 쉘 영역(AI) 내지 아우터 쉘 영역(Ao) 내에 사용자의 신체 등이 공간 점유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등에 의하여 반사되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 등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느 공간 센서부의 센서로부터 발신되는 신호에 대한 반사 수신 신호인지를 파악 가능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등의 정확한 점유 공간을 파악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배치되는 각 쌍의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로부터 출력되는 발신 신호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113a,113b)로부터 출력되는 발신 신호가 서로 상이한 신호 패턴을 구비함으로써,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내지 이너 쉘 공간 센서가 발신 신호와 동일한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하거나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내지 이너 쉘 공간 센서가 수신하는 개별 수신 신호를 하기되는 제어부(20)가 판독하여 어느 쉘 영역에서의 반사인지를 파악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이너 쉘 공간 센서의 발신 신호 패턴이 각각 좌우측에 대하여 동일한 발신 패턴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좌우측에 대하여도 그리고 이너 쉘 공간 센서 인지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인지에 대하여 각각 발신 패턴을 달리하여 개별적으로 이너 쉘 영역 내지 아우터 쉘 영역을 입력 감지 가능하도록 하여,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가 디스플레이(50)의 일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의 근접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가 디스플레이(50)의 전면 영역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와 같은 신체의 이동 방향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이너 쉘 공간 센서는 좌우 각각이 서로 교번적으로 가동되는 구조를 취하여, 사용자의 손 등의 신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센서 들의 상호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차단함과 동시에, 시간대별로 점유 상태 변화가 가능하여, 신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쌍을 이루며 좌우 배치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 113a,113b)는 좌우 대칭되는 각각의 센서가 조사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지니되, 조사 영역인 입력 감지 영역이 비중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면 부호 111a, 111b로 지시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a,111b)는 각각의 아우터 쉘 영역(Ao)을 구비하고, 도면 부호 113a, 113b로 지시되는 이너 쉘 공간 센서(113a,113b)는 각각의 이너 쉘 영역(AI)을 구비하되, 서로 중첩되지 않고 디스플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개별 입력 감지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공간 센서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 등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113a,113b)는 하우징 커버(11)에 배치되는데,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113a,113b)는 소정의 사전 설정된 각도로 조사 방향이 조정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113a,113b)의 발신 영역인 입력 감지 영역으로서의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을 분할 구획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커버(11)의 디스플레이를 향한 내측, 즉 디스플레이(50)의 외측 테두리(베젤)를 구성하는 하우징 커버(11)의 개방된 부분의 외측에는 사전 설정된 각도로 챔퍼링되는 아우터 쉘 챔퍼링부(15)와 이너 쉘 챔퍼링부(17)를 포함한다. 이너 쉘 챔퍼링부(17)는 디스플레이(50)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에 대하여 아우터 쉘 챔퍼링부(15)보다 더 큰 각도로 챔퍼링된다. 즉, 디스플레이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아우터 쉘 챔퍼링부(15)와 디스플레이가 이루는 평면 사이의 사이각보다 이너 셀 챔퍼링부(17)와 디스플레이(50)가 이루는 평면 사이의 사이각이 더 큰 값을 구비하고, 아우터 쉘 챔퍼링부(17) 및 이너 쉘 챔퍼링부(15) 각각에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가 배치된다. 아우터 쉘 공간 센서로부터 출사되는 발신 신호와 이너 쉘 공간 센서(113)에서 출사되는 발신 신호는 각각의 아우터 쉘 챔퍼링부(17) 및 이너 쉘 챔퍼링부(15)의 일면의 법선 방향으로 조사됨으로써,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발신 신호와 이너 쉘 센서의 발신 신호의 조사 영역이 각각 아우터 쉘 영역(Ao)과 이너 쉘 영역(AI)을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부(100)는 공간 센서부(110)이외에 플레인 센서부(120)를 더 포함한다. 플레인 센서부(120)는 투명 기판화되는 터치 센서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5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인 센서부(12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입력받는 입력 감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즉, 디스플레이(50)에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화상의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가 접촉하는 경우 이의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의 변화로 전환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입력 신호가 어느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작동 유니트 등에 대하여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10)는 저장부(30) 및 제어부(20)를 포함하고, 연산부(40)를 더 구비하는데, 저장부(30)는 감지부(100)의 공간센서부(110)의 근접 여부 내지 플레인 센서부(120)의 접촉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사전 설정 데이터에는 공간 센서부(110) 및 플레인 센서부(120)의 근접 내지 접촉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화상을 디스플레이(50)에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상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30)는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시간적으로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연산부(40)는 제어부(30)의 소정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연산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감지부(100) 및 저장부(30) 및 연산부(40)와 연결되어 감지부(100)로부터 감지 신호 및 이를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를 이용 비교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50)에의 근접도, 즉 사용자의 신체가 아우터 쉘 영역을 점유하는지, 이너 쉘 영역을 점유하는지, 내지는 사용자의 신체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소정의 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 내지 작동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50) 내지 작동 유니트(60)로 전달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상 표시 내지 작동 유니트(60) 동작을 실행한다. 작동 유니트(60)는 공조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차량 오디오 등 차량에서 작동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10)가 제공되는 제공 단계(S10)가 실행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로 대체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아우터 쉘 실행 단계(S20)를 실행하는데,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가 아우터 쉘 영역(Ao)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가 제어부(20)로 전달되어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대응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50)로 인가한다. 즉, 감지 신호 유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가 변화하여 디스플레이 화상 표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아우터 쉘 실행 단계(S20)는, 아우터 쉘 영역 감지 단계(S21)와,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S23)를 포함하고,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S2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S27) 내지 대기 단계(S25)가 실행될 수 있다. 아우터 쉘 영역 감지 단계(S21)에서 제어부(20)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 111a,111b)에 아우터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아우터 쉘 영역(Ao)에서의 사용자의 신체 등의 진입 내지 점유 상태를 감지한다. 아우터 쉘 영역(Ao)의 감지 단계에 있어 이너 쉘 공간 센서 및 플레인 센서는 대기 상태로 형성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런 후,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로부터 아우터 쉘 영역(Ao)에 대한 공간 감지 신호가 제어부(20)로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111a,111b)의 감지 신호와 저장부(30)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내지 점유 상태가 형성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근접도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손 등이 아우터 쉘 영역(Ao)에 진입 내지 점유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근접도 기준값은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가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하여 반사되는 수신 신호의 값과 비교하는 값으로서 수신 신호의 세기가 근접도 기준값이하인 경우 사용자의 손 등이 아우터 쉘 영역(Ao)을 점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 흐름을 단계 S25로 전환하여 일정 시간 대기 상태를 형성한 후 다시 단계 S21로 진행하여 감지 단계를 반복한다. 이때, 디스플레이(50)에는 대기 상태의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화상 표시하지 않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현재 실행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반면, 수신 신호의 세기가 근접도 기준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20)는 아우터 쉘 영역에 사용자의 손 등이 진입 내지 점유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 흐름을 단계 S27로 진행하여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S27)를 실행한다.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S27)에서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우터 쉘 작동 데이터를 디스플레이(50)로 전달하고 아우터 쉘 영역(Ao)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내지 진입한 경우 표시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상을 디스플레이(50)가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아우터 쉘 영역(Ao)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내지 진입한 경우 표시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상은 화상의 밝기를 높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아우터 쉘 영역(Ao)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는 대기 상태를 형성하여 화면 표시되지 않거나 약한 밝기의 화상 표시 상태를 형성하나, 아우터 쉘 영역(Ao)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내지 진입하면 디스플레이 화상 표시의 밝기를 높이는 구조를 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이너 쉘 실행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너 쉘 실행 단계(S30)는 사용자의 손 등이 적어도 아우터 쉘 영역(Ao)이 점유했던 경우 후속적으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손 등이 디스플레이(50)로 어느 정도 더 근접할 것인지를 이너 쉘 공간 센서(113)가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부(20)가 근접도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전달할 수 있다.
이너 쉘 실행 단계(S30)는 쉘 영역 감지 단계(S31)와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S32)를 포함하고, 단계 S32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S33)와, 이너 쉘 디스플레이 단계(S35)를 포함할 수 있다. 쉘 영역 감지 단계(S31)에서 제어부(20)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 및 이너 쉘 공간 센서(113)에 각각 아우터 쉘 영역(Ao) 및 이너 쉘 영역(AI)에서의 사용자의 손 등의 점유 내지 진입 상태를 감지하도록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를 통하여 아우터 쉘 실행 단계에서 아우터 쉘 영역(Ao)을 점유하던 사용자의 손이 아우터 쉘 영역(Ao)을 유지하는지, 이너 쉘 영역(AI)으로 진입하는지, 아우터 쉘 영역(Ao)으로부터 벗어나 비점유 상태를 형성하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32로 전환하여 쉘 영역 감지 단계(S31)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 및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근접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근접도 여부를 판단하여 아우터 쉘 영역(Ao) 및 이너 쉘 영역(AI)의 각각의 영역에서의 점유 내지 진입 내지 비점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2에서 제어부(20)가 사용자의 손 등이 아우터 쉘 영역(Ao)을 점유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S34)를 실행하는데, 제어부(20)는 이너 쉘 공간 센서(113)의 감지 신호 및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의 근접도 기준 값을 사용하여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4에서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즉 점유 상태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신체가 아우터 쉘 영역을 점유하지 않고 이너 쉘 영역을 점유하는 것은 불가능한바, 이는 센서의 오류라고 판단하고, 에러 코드 출력 단계(S38)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50)에 해당 에러 코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저장부(30)에 에러코드 저장 신호를 출력하여 에러 상황의 이력을 기록한다.
한편, 단계 S34에서 이너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형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 상태를 형성한 후(S39) 제어 흐름을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아우터 쉘 실행 단계(S20)를 반복하도록 한다.
또 한편, 단계 S32에서 아우터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손 등이 이너 쉘 영역(AI)에서도 점유 상태를 이루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S33)를 실행한다. 제어부(20)는 이너 쉘 공간 센서(113)의 감지 신호 및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의 근접도 기준 값을 사용하여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3에서 이너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형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사용자의 손은 아우터 쉘 영역(Ao)만을 점유한 것으로 판단하고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하는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S36)를 실행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단계 S36으로 단계를 진행시켰으나, 경우에 따라 단계 S33에서 이너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형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27로 진행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단계 S33에서 이너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형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사용자의 손은 아우터 쉘 영역(Ao)을 넘어 이너 쉘 영역(AI)도 점유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너 쉘 영역 디스플레이 단계(S35)를 실행한다. 이너 쉘 디스플레이 단계(S35)에서 제어부(20)는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너 쉘 작동 데이터를 디스플레이(50)로 전달하고 이너 쉘 영역(AI)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내지 진입한 경우 표시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상을 디스플레이(50)가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너 쉘 영역(AI)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내지 진입한 경우 표시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화상은 초기 메뉴 화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너 쉘 영역(AI)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는 아우터 쉘 영역 점유 상태에서의 밝기 증진된 상태를 형성하나, 이너 쉘 영역(AI)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내지 진입하면 초기 메뉴 등으로 전환, 화상 색상 변경, 아이콘의 재배열 등과 같이 화상 표시의 변화가 발생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단계 S35가 진행된 후, 제어부(20)는 플레인 모드 설정 단계(S37)를 실행하는데, 제어부(20)는 후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플레인 모드라고 판단하여 설정하고, 제어흐름을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플레인 실행 단계(S40)를 실시한다.
플레이 실행 단계(S40)는 전 영역 감지 단계(S41)와 터치 판단 단계(S43)를 포함한다. 전 영역 감지 단계(S41)는 제어부(20)가 아우터 쉘 공간 센서(111), 이너 쉘 공간 센서(113) 및 플레인 센서(120)에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여 전방위 입력 감지 상태를 형성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감지된 감지 신호 중 플레인 센서(120)와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터치 기준 값을 사용하여 플레인 센서에의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 단계(S43)를 실행한다. 터치 기준 값을 플레인 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가 정상적인 터치로 인하여 이루어진 것인지 아니면 오차로 인한 감지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사용된다.
제어부(20)가 단계 S43에서 플레인 센서가 정상적으로 감지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플레인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어 동작을 실행하도록 작동 유니트(60)에 소정의 작동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조 유니트의 작동을 플레인 센서(120)를 통하여 입력한 경우 제어부(20)는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작동 유니트(60)로서의 공조 유니트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소정의 작동을 실행한다.
반면, 단계 S43에서 정상적인 플레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이너 쉘 공간 센서(120)의 감지 신호와 사전 설정 데이터의 근접도 기준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이 이너 쉘 영역 내에 점유 상태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S47)를 재차 실행한다.
단계 S47에서 이너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는 제어 흐름을 단계 S30으로 전환하여 이너 쉘 실행 단계를 실행하고, 단계 S47에서 이너 쉘 영역 내 사용자의 손 등이 점유 상태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는 제어 흐름을 단계 S20으로 전환하여 아우터 쉘 실행 단계를 실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11...하우징 커버 12...하우징 바디
14...하우징 20...제어부
30...저장부 40...연산부
50...디스플레이 100...감지부
110...공간 감지부 120...플레인 센서부

Claims (15)

  1.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와 맞물리는 하우징 바디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공간 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로부터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근접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을 상호 간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는 아우터 쉘 영역과 이너 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아우터 쉘 영역의 공간 상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아우터 쉘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 영역인 이너 쉘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이너 쉘 공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플레인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내측에는 사전 설정된 각도로 챔퍼링되는 아우터 쉘 챔퍼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아우터 쉘 챔퍼링부보다 더 큰 각도로 챔퍼링되는 이너 쉘 챔퍼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는 상기 아우터 쉘 챔퍼링부에, 그리고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는 상기 이너 쉘 챔퍼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는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는 각각 좌우 대칭 배치 구조를 이루고,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에서 발신되는 발신 신호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서 발신되는 발신 신호는 서로 상이한 신호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7.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와 맞물리는 하우징 바디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설정된 영역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공간 센서부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로부터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 설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와 상기 저장부의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 근접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한 단부에배치되고,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형성하는 전면 공간을 상호 간에 이격된 거리를 가지는 아우터 쉘 영역과 이너 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아우터 쉘 영역의 공간 상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아우터 쉘 공간 센서와, 상기 아우터 쉘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 영역인 이너 쉘 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이너 쉘 공간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가 상기 아우터 쉘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우터 쉘 작동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가 실행된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 쉘 영역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너 쉘 실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너 쉘 작동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이너 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에서의 상기 공간 센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플레인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너 쉘 디스플레이 단계가 실행된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플레인 센서에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전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레인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레인 센서의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판단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플레인 센서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로 상기 저장부에 사전 설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아우터 쉘 작동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아우터 쉘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실행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 및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에 아우터 쉘 영역 및 이너 쉘 영역 감지 제어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쉘 영역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우터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와,
    상기 아우터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아우터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너 쉘 공간 센서의 감지 신호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쉘 동작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너 쉘 영역 내 동작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에러 코드를 출력하는 에러 코드 출력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KR1020110146981A 2011-12-30 2011-12-30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KR10134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81A KR101349515B1 (ko) 2011-12-30 2011-12-30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81A KR101349515B1 (ko) 2011-12-30 2011-12-30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184A KR20130078184A (ko) 2013-07-10
KR101349515B1 true KR101349515B1 (ko) 2014-01-16

Family

ID=4899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981A KR101349515B1 (ko) 2011-12-30 2011-12-30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5658B (zh) * 2013-12-13 2016-11-0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設置於交通工具上之電子裝置及其開機畫面顯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217A (ko) * 1998-05-07 2001-07-28 추후제출 수기 및 음성으로 자동차 부속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KR20040028369A (ko) * 2002-09-30 200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88942A1 (ja) 2006-02-03 2007-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90189858A1 (en) 2008-01-30 2009-07-30 Jeff Lev Gesture Identification Using A Structured Light Patter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217A (ko) * 1998-05-07 2001-07-28 추후제출 수기 및 음성으로 자동차 부속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KR20040028369A (ko) * 2002-09-30 200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88942A1 (ja) 2006-02-03 2007-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90189858A1 (en) 2008-01-30 2009-07-30 Jeff Lev Gesture Identification Using A Structured Light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184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8397B2 (en) Selectively adjustable icons for assisting users of an electronic device
EP31145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US7129933B1 (en) Touch-operating input device, display system, and touch-operation assisting method for touch-operating input device
KR101503108B1 (ko)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객체의 표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동차의 디스플레이 및 조작 시스템과 그 디스플레이 및 조작 시스템을 작동하는 방법
EP3288655B1 (en) Game controller function remapping via external accessory
KR101453582B1 (ko) 개선된 선택 동작을 갖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및 동작 장치, 및 이러한 다기능 디스플레이 및 동작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101932688B1 (ko) 휴대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ui 모드 제공 방법
US20090284465A1 (en) Capacitive motion detection device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KR102705793B1 (ko) 키 구조, 키의 제어 방법 및 전자 기기
US831974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KR2009002184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50032324A (ko) 조작 인터페이스, 조작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0078228A2 (en) Remote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ctive surfaces
KR101628090B1 (ko) 집중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146901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input device
KR101349515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차량 디스플레이 유니트 제어 방법
JP4850995B2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
JP4303402B2 (ja) 操作入力装置
JP6265839B2 (ja) 入力表示装置、電子機器、アイコン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WO2009082527A1 (en) User input device with expanded functionality
JP2000194483A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
JP2000194505A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
JP2013084052A (ja) 車両用操作装置
US20180292924A1 (en) Input processing apparatus
JP2000194486A (ja) タッチ操作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