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318B1 - 접이식 시트 - Google Patents

접이식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318B1
KR101349318B1 KR1020117008310A KR20117008310A KR101349318B1 KR 101349318 B1 KR101349318 B1 KR 101349318B1 KR 1020117008310 A KR1020117008310 A KR 1020117008310A KR 20117008310 A KR20117008310 A KR 20117008310A KR 101349318 B1 KR101349318 B1 KR 101349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all
linkage
linkage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477A (ko
Inventor
마이클 씨. 나지오네
스티븐 피. 리브세이
문너 오머 다그시오글루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1005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서브-프레임 부재, 제1 링키지 부재, 제2 링키지 부재, 및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듀얼 링키지 시스템.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에 커플링되고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에 커플링되고, 상기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단부에 커플링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2 단부가 차량에 커플링된다. 상기 링키지 시스템은 상기 시트 베이스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접힐 수 있게 하여 적재 플로어를 형성하고 그로 인해 차량 내 화물 공간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접이식 시트{FOLDING SEAT}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편입된 것으로 간주되는, Nazione 등에 의해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DUAL FRONT LINKAGE SYSTEM)"이라는 명칭으로 2008. 9. 10.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095,713호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시팅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사용되는 접이식 차량 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적재 공간을 증가시키고, 시트를 적재용 플로어로 활용하고, 차량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차량으로 드나드는 것이 용이하게 하고, 및/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차량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납작해지고(flattened), 포개지고(folded), 접히고(stowed), 회전되고(tumbled), 및/또는 주저앉혀질(collapsed) 수 있는 차량 시트 조립체들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개선된 진출입 공간을 더 잘 제공하고 지붕(head restraint)과 차량 플로어 사이의 공간을 더 잘 활용하는 개선된 링키지 시스템을 갖는 개선된 접이식 차량 시트 조립체의 제공에 대한 상당하고 지속적인 요구가 있는 실정이다.
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차량 내에 사용되는 시트로서, 상기 시트가 시트 등받이와 링키지 시스템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시트 베이스를 갖는 것이 개시된다. 상기 링키지 시스템은 제1 링키지 부재, 제2 링키지 부재, 그리고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키지 부재는 시트 베이스 부재의 서브-프레임 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시트 베이스에 커플링된다. 또한, 상기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2 단부는 차량에 커플링된다. 상기 링키지 시스템은 시트가 제1, 설계 또는 착석 위치로부터 제2 또는 접힌 위치(stowed position)로 전방 및 하방으로 포개질 수 있게 하여, 이로 인해 적재 용량 및 차량에 대한 진출입을 향상시킨다. 상기 링키지 시스템은 또한 차량 시트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3 또는 회전(tumble) 위치로 제1 피봇 핀 상에서 피봇식으로 전방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시트 베이스가 상기 시트 베이스와 상기 시트 등받이 상에 납작하게 포개지고 상기 시트 베이스가 차량 플로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차량의 진출입 공간을 개선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조립체를 위한 중첩식 구성(nested configuration)을 갖는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등각도(isometric view)이다.
도 4a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조립체를 위한 병렬 구성(side-by-side configuration)을 갖는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등각도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설계 시팅 위치에 있는 듀얼 링키지 시스템을 갖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전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접힌 위치에 있는 듀얼 링키지 시스템을 갖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용이한 진입 위치에 있는 듀얼 링키지 시스템을 갖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시트 조립체와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듀얼 링키지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 링키지 장치를 갖는 시트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링키지 장치의 확대된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피봇 지점을 갖는 설계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설계 위치에 있는 앞 열 시트 조립체와 설계 위치에 있는 제2 열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설계 위치에 있는 앞 열 시트 조립체와 용이-진입 위치에 있는 제2 열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용이-진입 위치에 있는 제2 열 시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설계 위치에 있는 제1 열 시트 조립체와 접힌 위치에 있는 제2 열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면들을 전체적으로,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10)은 차량의 탑승자를 위해 제공된 단수 또는 복수의 차량 시트(12)를 포함한다. 도시된 차량(10)이 4-도어 미니 밴이지만, 상기 시트(12)가 미니 밴, 스포츠 유틸리티, 크로스 오버 또는 기타 종류의 차량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사람을 이동시키거나 임의의 시판이나 적용을 위해 물건을 운반 또는 이송하는 기타 수단들에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사무실 의자에서부터 비행기와 우주 여행 그리고 그 중간 단계의 것들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포함된다. 도시된 차량 시트(12)는 시트 등받이(14)와 시트 쿠션(16)을 포함한다. 커버를 씌운 시트 구조물(12)의 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12)는 머리 받침(18)과 시트 쿠션(16)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 베이스부(20)를, 통상적으로 그렇듯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18)은 시트 등받이(14)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구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쿠션(16) 및/또는 베이스부(20)는 상기 시트(12)가 (수동으로 또는 모터 구동식으로)상기 차량(10) 인테리어에 대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도 3a 내지 4b를 참조하면,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조립체(12)용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이 도시되어 있다.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은 도 3a 및 3b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중첩식(nested) 구성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기타의 구성으로도 대안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식 구성에서,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이 특히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 베이스 부재(30), 제1 피봇 핀(32), 제2 피봇 핀(34), 로크 핀(lock pin; 36), 그리고 다수의 패스너(38)(예를 들어, 부싱, 나사, 볼트 등)를 포함한다.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는 다수의 구멍(46)을 갖는 제1 및 제2 부착 부재(42, 44)(예를 들어, 탭(tab) 등)를 구비한 제1 단부(40)와 다수의 구멍(50)을 갖는 제2 단부(48)를 포함한다. 제1 링키지 부재(26)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고, 제1 및 제2 단부(52, 54)를 포함하고, U자형 공간(62)을 형성하는 제3 측면(60)에 수직이고 이격된 제1 및 제2 측벽(56, 58)을 포함하며, 또한 다수의 구멍(64)을 포함한다. 제2 링키지 부재(28)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고, 제1 및 제2 단부(66, 68)를 포함하고, U자형 공간(76)을 형성하는 제3 측면(74)에 수직이고 이격된 제1 및 제2 측벽(70, 72)을 포함하며, 다수의 구멍(78)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30)는 일반적으로 다각형 모양(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등)이고, 제1 및 제2 단부(80, 82)를 포함하고, U자형 공간(90)을 형성하는 제3 측면(88)에 수직이고 이격된 제1 및 제2 측벽(84, 86)을 포함하며, 또한 제1 및 제2 부착 부재(94, 96)(예를 들어, 탭 등)를 포함한다.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는 그 제1 단부(40)에서 부착 부재들(42, 44)과 제2 피봇 핀(34)에 의해 제1 링키지 부재(26)의 제2 단부(54)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되고, 그 제2 단부(48)에서 차량 시트(12)(예를 들어, 시트 베이스 등)에 커플링된다. 제1 링키지 부재(26)는 그 제1 단부(52)에서 제1 피봇 핀(32)에 의해 제2 링키지 부재(28)의 제1 단부(66)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제1 링키지 부재(26)는, 설계 또는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제2 링키지 부재(28)의 U자형 공간(76)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가 상기 제1 링키지 부재(2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straddle) 한다. 제2 링키지 부재(28)는 패스너(38)(예를 들어, 부싱)에 의해 베이스 부재(30)의 제1 단부(80)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제2 링키지 부재(28)는, 설계 또는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부재(30)의 U자형 공간(90) 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30)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를 에워싸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30)는 패스터(예컨대, 볼트, 나사 등) 또는 기타 부착 기술(예컨대, 용접 등)을 이용하여 부착 부재들(94, 96)에 의해 차량(10)의 일부분(예를 들어, 플로어 등)에 커플링(예를들어, 장착, 부착 등)될 수 있다. 로크 핀(36)이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30) 및 제2 링키지 부재(28)상의 구멍들) 내로 로킹되게 삽입되어,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을 로킹 및 고정하고 이로 인해 차량 시트(12)가 제 위치(예를 들어, 설계 또는 사용 위치 등)에 로킹 및 고정된다.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을 언로킹하고 차량 시트(12)를 다른 위치(예를 들어, 접힌 위치, 포개진 위치 등)로 재배열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크 핀(36)이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으로부터 제거 및 분리되고 차량 시트(12)가 제1 및 제2 피봇 핀들(32, 34)(즉, 피봇 지점들)상에서 전방으로 회전(tumble)된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이, 도 4a 및 4b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병렬 구성(side-by-side configuration)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병렬 구성에서,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이, 무엇보다도,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 제1 링키지 부재(26), 제2 링키지 부재(28), 베이스 부재(30), 제1 피봇 핀(32), 제2 피봇 핀(34), 로크 핀(36), 및 다수의 패스너(38)(예를 들어, 부싱, 나사, 볼트 등)를 포함하고, 또한 제3 피봇 핀(98)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는 그 제1 단부(40)에서 부착 부재들(42, 44) 및 제2 피봇 핀(34)에 의해 상기 제1 링키지 부재(26)의 제2 단부(54)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되고 그 제2 단부(48)에서 차량 시트(12)(예를 들어, 시트 베이스, 시트 프레임 등)에 커플링된다. 제1 링키지 부재(26)는 그 제1 단부(52)에서 제1 피봇 핀(32)에 의해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의 제1 단부(66)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제1 링키지 부재(26)는 설계 또는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위치한다(다시 말해, 상기 제1 링키지 부재(26)의 제2 측벽(58)이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의 제1 측벽(70)에 인접하도록 병렬로 위치함).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는 제3 피봇 핀(98)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30)의 제1 단부(80)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는, 설계 또는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부재(30)의 U자형 공간(90) 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30)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를 에워싸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30)는 패스너(예를 들어, 볼트, 나사 등) 또는 기타 부착 기술들(예를 들어, 용접 등)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일부분(예를 들어 플로어 등)에 커플링(예를 들어, 장착, 부착 등)될 수 있다. 상기 로크 핀(36)은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30)상의 구멍들)내로 로킹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을 로킹 및 고정하고 이로 인해 차량 시트(12)가 제 위치(예를 들어, 설계 또는 사용 위치 등)에 로킹 및 고정된다.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을 언로킹하고 차량 시트(12)를 다른 위치(예를 들어, 접힌 위치, 포개진 위치 등)로 재배열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크 핀(36)이 상기 듀얼 프론트 링키지 시스템(22)으로부터 제거 및 분리되고 차량 시트(12)가 제1, 제2, 및 제3 피봇 핀들(32, 34, 98)(즉, 피봇 지점들)상에서 전방으로 회전(tumble)된다.
이제 도 5를 참고하면, 시트 조립체(12)가 설계 또는 사용 위치에 있고 상기 시트 조립체(12)의 배향을 피봇식으로 조절하기 위한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을 가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은 상기 시트 어셈블리(12)를 설계 위치, 접힌 위치, 및/또는 용이-진입 위치(즉, 접히고 회전된 위치) 중 하나의 사이에서 조절한다. 상기 시트 어셈블리(12)는,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나타난 것처럼, 제1 또는 내측 후방 래치(100), 제2 또는 외측 후방 래치(102), 제1 후방 스트라이커(104) 및 제2 후방 스트라이커(106)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후방 래치들(100, 102)은 시트 베이스(16)에 한 단부(108, 110)가 커플링되고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104, 106) 각각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한 제2 단부(112, 11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들(104, 106)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차량(10)에 대해 정지 위치(stationary position)(예를 들어, 차량 플로어 등)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되었으나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래치들(100, 102)이 상기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들(104, 106)에 부착되어 있을 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시트 베이스(16)가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 로킹되고 상기 시트 조립체(12)가 설계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이 제1 또는 내측 링키지 부재(26), 제2 또는 외측 링키지 부재(28), 제1 또는 상부 피봇 핀(32), 제2 하부 피봇 핀(34), 제3 하부 피봇 핀(98),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 및 베이스 부재(30)를 포함한다. 제1 링키지 부재(28)는 한 단부(52)에서 상기 제1 피봇 핀(32)에 의해 시트 베이스(16)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되고 그 제2 단부(54)에서 상기 제2 피봇 핀(34)에 의해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는 한 단부(66)에서 상기 제1 피봇 핀(32)에 의해 상기 시트 베이스(20)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되고 그 제2 단부(68)에서 상기 제3 피봇 핀(98)에 의해 베이스 부재(30)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은 접힌 납작한 시트(12)가 회전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용이-진입 옵션을 제공하고 낮은 화물 적재 플로어 및 평평한 차량(10) 플로어 팬(pan)이라는 차량(10) 패키지 요건들이 주어진다. 상기 두 개의 링키지 부재들(26, 28)은 공통의 상부 피봇(32)을 공유하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렬된 것으로 나타난 개별적인 하부 피봇들(34, 98)을 갖는다. 상기 링키지 부재들(26, 28)은 상기 시트(12)가 설계 위치에서 접힌 위치로 이동할 때 서로 함께 이동한다. 접힌 위치에 도달하면, 제1 또는 내측 링키지 부재(26)가 시트 서프-프레임(24)에 로킹된다. 그러면 후방 플로어 래치들(100, 102)의 해제에 의해 시트(12)가 접힌 위치로부터 용이-진입(즉, 회전된) 위치로 회전하도록 선택적으로 설계된다. 상기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은 쿠션(16) 접힘 플랫 링크의 상향 피봇과 동시에 일어나는 피봇으로부터 텀블링 회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것은 차량(10) 플로어 팬에 대한 최대의 머리 받침 간극 및 뒷좌석 탑승자를 위한 최대의 출입 공간을 제공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시트(12)가 접힌 위치에 놓이도록 조절될 수 있어서 적재 플로어를 만들고 차량(10) 내부 공간을 증가시킨다. 차량 시트(12)를 접힌 위치로 조절하기 위해, 시트 등받이 경사 메카니즘(116)이 해제되어 시트 등받이(14)를 시트 베이스(16)의 윗면 쪽으로 앞으로 접는다.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은 이동이 자유롭고(로킹되어 있지 않고) 제1 및 제2 링키지 부재들(26, 28)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피봇 핀들(32, 34, 98)에 의해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로부터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로 피봇식으로 앞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접힌 위치에서, 시트 베이스(16)는 실질적으로 납작하고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되며 시트 등받이(14)는 실질적으로 납작하고 시트 베이스(16)의 윗면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을 갖는 차량 시트 조립체(12)의 접힘 및 회전 기능 도중에, 후방 래치들(100, 102)가 시트 조립체(12)에 단단히 커플링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래치들(100, 102)이 시트 조립체(12)에 피봇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후방 래치들(100, 102)이 회전 또는 접힐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 시트 조립체(12)를 적재 플로어로부터 회전 위치로 배열할 때 추가로 더 큰 출입 공간을 제공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이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접힌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 시트(12)가 접힌 위치에 놓였을 때, 제1 (내측) 및 제2 (외측) 링키지 부재들(26, 28)이 각각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 및 베이스 부재(30)와 함께 피봇 핀 부착부(32, 34, 98)로부터 수평으로 앞쪽으로(차량의 앞쪽을 기준으로 할 때) 연장되어 있다. 이것은 시트 베이스(16)가 낮게 그리고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납작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여 적재 플로어(load floor)를 형성한다.
이제 도 9 내지 11을 참고하면, 차량 시트(12)가 용이 진입 위치로도 조절될 수 있다. 차량 시트(12)를 용이 진입 위치로 조절하기 위해, 시트 등받이 경사 메카니즘(116)이 해제되고 상기 시트 등받이(14)가 시트 베이스(16)에 대해 앞으로 접힌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래치들(100, 102)이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104, 106) 각각으로부터 래치 해제된다. 그러면 상기 시트 등받이(14), 시트 베이스(16) 그리고 제1 및 제2 후방 래치들(100, 102)이 제1 피봇 핀(32)에 의해 피봇식으로 앞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시트 등받이(14), 상기 시트 베이스(16)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후방 래치들(100, 102)이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자세에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차량(10) 내부 공간의 개선 및/또는 제3 열 탑승자의 차량(10) 출입의 허용을 초래한다. 상기 후방 래치들(100, 102)은 또한 후퇴될( 수 있어서(retractable) 출입 및 공간의 저장 능력을 더 향상시킨다. 도 9 내지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 시트 조립체(12)와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이 용이 진입 위치에 있을 때, 제1 또는 내측 링키지 부재(26)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에 있고 제2 또는 외측 링키지 부재(28)가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에 있다.
도 12 및 13은 중첩식(nested) 배열이고 시트 조립체(12)(시트 베이스 프레임(118) 및 시트 등받이 프레임(120))에 커플링된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을 도시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 도 13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키지 부재(26)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28) 내에 중첩된다.
도 14는 설계 또는 사용 위치에 있고 차랑 플로어 팬(122)에 커플링된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을 도시한 것이다. 차량 시트 조립체(12) 및 듀얼 링키지 시스템(22)은 다수의 피봇 지점들을 갖는다. 등받이 접힘 피봇(124)은 시트 등받이(14)의 아랫단에 위치하여 시트 등받이(14)가 설계 또는 사용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앞으로 피봇식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에서, 경사 피봇(126)이 경사 메카니즘(recliner mechanism; 116) 상에 그리고 시트 등받이(14)와 시트 베이스(16) 사이에 위치하여 시트 등받이(14)가 앞뒤 방향으로 선택적 그리고 피봇식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키지 부재(26, 28)가 시트 베이스(16)에 커플링되는 시트 베이스(16)의 앞부분에 프론트 링크 상부 피봇 지점(128)이 위치한다. 상기 프론트 링크 상부 피봇 지점(128)은 시트 베이스(16)가 접힌 위치로 앞으로 피봇될 수 있게 하고 후속적으로 텀블링 피봇 지점(130)이 되고 시트(12)가 용이 진입 위치로 앞으로 조절(또는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 2 링키지 부재들(26, 28)이 베이스 부재(30) 및/또는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24)에 커플링되는 곳에 프론트 링크 하부 피봇 지점(132)이 위치한다. 상기 프론트 링크 하부 피봇 지점(132)은 시트 베이스(16)가 접힌 위치로 앞으로 조절(즉, 피봇)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도 15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열 시트 조립체(134, 136)가 설계 위치에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설계 위치에서, 상기 제2 열 차량 시트 조립체(136)의 시트 등받이(14)는 머리 받침(18)이 앞 열 차량 시트 조립체(134)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 등받이(14)가 전방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윙 아크 궤적(138; swing arc trajectory)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앞 열 차량 시트 조립체(134)와 제2 열 시트 조립체(136)의 등받이(14)의 스윙 아크 궤적(138) 사이에 충분한 간극(140)이 있다.
이제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차량(10) 내부에서 용이-진입 위치에 있는 제2 열 시트 조립체(136)가 도시되어 있다. 용이-진입 위치에서, 상기 제2 열 시트 조립체(136)(즉, 시트 등받이와 시트 베이스 등)이 상기 제1 열 시트 조립체(134)의 시트 등받이(14)의 배면을 향해 앞으로 피봇식 조절(즉, 회전 또는 텀블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10) 내부로 출입하는 탑승자를 위한 출입 공간(142)(즉, 용이 진입 공간) 및 머리 받침 대 플로어 팬 간극(144)이 극대화된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열 시트 조립체(136)가 접힌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힌 위치에서, 제2 열 시트 조립체(136)의 시트 등받이(14)가 제2 열 시트 조립체(136)의 시트 베이스(16)의 윗면 쪽으로 전방으로 (피봇 또는 회전) 조절(즉, 접힘 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시트 등받이(14) 및 시트 베이스(16)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차량(10) 플로어에 대해 수평(평행)이며 따라서 개선된 내부 차량(10) 공간을 위한 화물 적재 플로어를 형성한다.
개시의 목적으로, "커플링"이라는 용어는 두 부품들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합은 특성상 정지식일 수도, 이동식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은 (전기적 또는 기계적) 두 개의 부품들 및 또는 임의의 부가적 중간 부재들이 서로 또는 상기 두 개의 부품들과 단일체로 일체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부품들과 임의의 부재가 서로 부착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특성상 영구적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제거나 해제가능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그리고 기타 예시적 실시예들로 설명한 바와 같은 차량 시트의 요소들의 구조와 배열은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서만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명세서를 검토한 해당 분야의 전문가라면 여기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의 신규한 교시들과 장점들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서 많은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예컨대 여러 요소들의 사이즈, 크기, 구조, 형상 및 비율, 파라미터 값들, 장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상, 배향 등의 변경)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난 요소들이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수의 부품들로 도시된 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의 작동이 역으로 되거나 달리 변경될 수 있고, 구조 및/또는 부재들 또는 커넥터 또는 시스템의 기타 요소들의 길이나 폭이 변경될 수 있고, 요소들 간에 제공된 조절 위치들의 특성이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시스템의 요소들 및/또는 조립체들은 다양한 색상, 짜임 및 조합으로 충분한 강도 또는 내구성을 제공하는 광범위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 바람직한 그리고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계, 작동 조건 및 배열에서 기타의 치환, 수정, 변경 및 생략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6)

  1.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링키지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시트로서,
    시트 베이스;
    상기 시트 베이스에 커플링된 시트 등받이;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 -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에 커플링됨 -;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제1 링키지 부재 -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됨 -;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제2 링키지 부재 -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됨 -; 및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베이스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2 단부가 차량에 커플링되어, 상기 시트 베이스가 착석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전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 접혀서 적재 플로어를 형성하고,
    제1 피봇 핀이 상기 제1 및 제2 링키지 부재들을 함께 커플링하고 상기 시트가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피봇 지점으로 작용하고,
    상기 차량 시트가 상기 접힌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상기 제1 피봇 핀을 중심으로 앞으로 회전하는
    차량 시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위치에서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측벽이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측벽과 인접하고 이와 정렬되는
    차량 시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위치에서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 내에 중첩되는(nested)
    차량 시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위치에서 상기 시트 등받이가 상기 시트 베이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상기 접힌 위치에서 상기 시트 등받이가 앞으로 접히고 상기 시트 베이스와 정렬되는
    차량 시트.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위치에서 상기 시트 등받이가 상기 시트 베이스에 대해 앞으로 접히고 상기 시트 등받이 및 시트 베이스가 차량 플로어에 대해 수직인
    차량 시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가 차량에 커플링된 스트라이커와 상호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시트를 제 위치에 로킹하는
    차량 시트.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 시스템이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상에 위치된 구멍 내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상의 구멍 내로 삽입을 위한 로킹 핀을 더 포함하고 그로 인해 상기 링키지 시스템을 로킹하는
    차량 시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제1 벽, 상기 제1 벽에서 이격된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3 벽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키지 부재가 제1 벽, 상기 제1 벽에서 이격된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2 링키지 부재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3 벽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제1 벽, 상기 제1 벽에서 이격된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3 벽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상기 착석 위치로부터 상기 접힌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링키지 부재들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에 로킹(locked)되는
    차량 시트.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상기 접힌 위치에서 회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링키지 부재가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으로 유지되는
    차량 시트.
  21. 시트를 조절하기 위한 링키지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시트로서,
    시트 베이스;
    상기 시트 베이스에 커플링된 시트 등받이;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 -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시트 베이스에 커플링됨 -;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제1 링키지 부재 -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제1 벽, 상기 제1 벽에서 이격된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3 벽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됨 -;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제2 링키지 부재 - 상기 제2 링키지 부재가 제1 벽, 상기 제1 벽에서 이격된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2 링키지 부재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3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1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됨 -;
    제1 및 제2 단부들을 갖는 베이스 부재 - 상기 베이스 부재가 제1 벽, 상기 제1 벽에서 이격된 제2 벽 및 상기 제1 벽과 제2 벽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가 U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제3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1 단부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제2 단부가 차량에 커플링되어 상기 시트가 착석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링키지 부재들이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접힌 위치에서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상기 시트 서브-프레임에 로킹됨 -;
    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상기 접힌 위치에서 회전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링키지 부재가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을 유지하는
    차량 시트.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위치에서 상기 제1 링키지 부재의 측벽이 상기 제2 링키지 부재의 측벽에 인접하고 이와 정렬되는
    차량 시트.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위치에서 상기 제1 링키지 부재가 상기 제2 링키지 부재 내에 중첩되는
    차량 시트.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 위치에서 상기 시트 등받이가 상기 시트 베이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상기 접힌 위치에서 상기 시트 등받이가 앞으로 접히고 상기 시트 베이스와 정렬되며, 상기 시트 등받이가 상기 시트 베이스쪽으로 앞으로 접히고 회전 위치에서 상기 시트 등받이 및 시트 베이스가 차량 플로어에 대해 수직인
    차량 시트.
  26. 제21 항에서,
    상기 차량 시트가 차량에 커플링된 스트라이커와 서로 맞물려 차량 시트를 제 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KR1020117008310A 2008-09-10 2009-09-09 접이식 시트 KR101349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71308P 2008-09-10 2008-09-10
US61/095,713 2008-09-10
PCT/US2009/056354 WO2010030660A1 (en) 2008-09-10 2009-09-09 Folding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477A KR20110053477A (ko) 2011-05-23
KR101349318B1 true KR101349318B1 (ko) 2014-01-10

Family

ID=4200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310A KR101349318B1 (ko) 2008-09-10 2009-09-09 접이식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20996B2 (ko)
EP (1) EP2321143A4 (ko)
JP (1) JP5422656B2 (ko)
KR (1) KR101349318B1 (ko)
CN (1) CN102143858B (ko)
WO (1) WO2010030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9361A1 (de) * 2010-08-16 2012-02-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mehreren Beschlägen
US9050914B2 (en) * 2012-12-31 2015-06-0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CN103395380B (zh) * 2013-08-19 2016-05-11 常州市万翔车辆部件有限公司 双驱动折叠座椅
CN103625321A (zh) * 2013-11-01 2014-03-12 张家港市隆旌汽车零部件有限公司 卡车后排座椅
US9126538B1 (en) 2014-04-30 2015-09-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including collapsible cargo container
JP6473430B2 (ja) * 2016-03-31 2019-02-2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10005500B2 (en) * 2016-06-10 2018-06-26 CNH Idustrial America LLC Operator station for an autonomous work vehicle
US10052983B2 (en) 2016-07-18 2018-08-21 Lear Corporation Fold and tumble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CN106427711B (zh) * 2016-08-31 2018-09-28 长春富维—江森自控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防止座椅坐垫意外翻起机构
EP3747694A4 (en) 2018-01-29 2021-04-28 TS Tech Co., Ltd. LOCKING DEVICE AND VEHICLE SEAT
US10843599B2 (en) * 2019-03-20 2020-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8823U (ko) * 1988-03-18 1989-09-21
JP2001047916A (ja) 1999-08-10 2001-02-20 Araco Corp 車両用リヤシート
WO2008098200A2 (en) * 2007-02-08 2008-08-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old and tumb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8823A (ja) 1987-11-26 1989-05-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携帯用ワイヤレス発信器
US5038437A (en) * 1990-10-26 1991-08-13 Chrysler Corporation Folding seat hinge assembly
JP3821416B2 (ja) * 1998-12-22 2006-09-1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
US6000742A (en) * 1999-02-01 1999-12-14 Ford Motor Company Multi-positional seat mounting apparatus
KR100461102B1 (ko) * 2002-08-0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7165801B2 (en) * 2002-09-20 2007-01-23 Intier Automotive Inc. Stow in floor seat assembly with automatic lateral displacement
DE10247398A1 (de) * 2002-10-08 2004-04-22 Volkswagen Ag Zusammenlegbarer Rücksitz zur Erzeugung eines Stauraumes
US7121624B2 (en) * 2005-01-13 2006-10-17 Fisher Dynamics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manual tumble with interlock and powered recline, fold and kneel
FR2882706B1 (fr) * 2005-03-07 2007-06-15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presentant un dossier rabattable vers l'avant
US7377571B2 (en) * 2005-10-20 2008-05-27 Chrysler Llc Collapsible seat mechanism with integrated subfl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8823U (ko) * 1988-03-18 1989-09-21
JP2001047916A (ja) 1999-08-10 2001-02-20 Araco Corp 車両用リヤシート
WO2008098200A2 (en) * 2007-02-08 2008-08-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old and tumb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20996B2 (en) 2014-05-13
US20110163582A1 (en) 2011-07-07
EP2321143A1 (en) 2011-05-18
EP2321143A4 (en) 2017-12-27
WO2010030660A1 (en) 2010-03-18
KR20110053477A (ko) 2011-05-23
CN102143858B (zh) 2014-10-22
JP5422656B2 (ja) 2014-02-19
JP2012501915A (ja) 2012-01-26
CN102143858A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318B1 (ko) 접이식 시트
US7328929B2 (en) Vehicle seat and a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seat
US7762604B1 (en) Vehicle seating arrangement
US7393056B2 (en) Vehicle seat release assembly
US6715825B2 (en) Multi-positionable and reversible seat assembly
US8313144B2 (en) Stand up and kneel seat
US6837530B2 (en) Stowable seat assembly having a center pivot
CA2448588C (en) Easy entry seat with seat back mounted floor latch
EP2066525B1 (en) Stand up seat assembly with retractable rear leg
KR20140108766A (ko) 자동차용 시트 격납 장치
EP1602525B1 (en) Seat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KR100568980B1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JP6912722B2 (ja) 乗物用シート
JP5742537B2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JP5727221B2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該シートフレームを備えた車両用格納シート
JP6068413B2 (ja) シート構造
CN217396318U (zh) 汽车座椅收纳系统
JP2011131662A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4892586B2 (ja) シートバックの遠隔操作装置
CN114771374A (zh) 一种汽车座椅收纳系统
CA3232247A1 (en) Swivel seat assembly with a kickstand mechanism
JP2001039192A (ja) 乗物用シート
JPH11342778A (ja) 自動車の後部座席
JP2005008101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