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199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199B1
KR101349199B1 KR1020070053260A KR20070053260A KR101349199B1 KR 101349199 B1 KR101349199 B1 KR 101349199B1 KR 1020070053260 A KR1020070053260 A KR 1020070053260A KR 20070053260 A KR20070053260 A KR 20070053260A KR 101349199 B1 KR101349199 B1 KR 10134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vacuum cleaner
waste container
vacuum
suc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537A (ko
Inventor
송정곤
정삼종
김명호
류태영
이주상
김흥이
최삼현
고장연
김경웅
김대형
이학봉
조윤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19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8Dual-powered vacuum cleaners, i.e. devi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mains power supply or by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2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means for connecting a ho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47L9/104Means for intercepting smal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기본체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와, 흡입구조립체가 흡입한 오물을 진공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연장유로를 포함하며, 흡입구조립체 및 연장유로의 일부가 진공청소기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구조립체는,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자체적인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진공청소기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진공청소기본체가 제공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자체적인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전기를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수단; 및 흡입력 발생수단이 발생시킨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흡입력 발생수단에 충전된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사용중에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도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 흡입구조립체, 스틱형, 흡입모터

Description

진공청소기{A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되는 모습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오물수거통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오물수거통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5는 도 4를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흡입구조립체 내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진공청소기본체 20 : 연장유로
21 : 손잡이 23 : 흡입호스
25 : 연장관 30 : 흡입구조립체
31 : 상부케이스 32 : 하부케이스
33 : 오물수거통 33b : 공기유입구
33d : 먼지필터 33f : 공기출구
33g : 개폐부재 34 : 흡입모터
35 : 충전수단 36 : 브러시
37 : 브러시 구동모터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사용중에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도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대다수의 진공청소기가 진공원이 내장된 진공청소기본체와, 피청소면과 대향 접촉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흡입구조립체와 진공청소기본체 사이에는 흡입구조립체로부터 진공청소기본체로 흡입된 오물을 안내하는 연장유로가 마련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구조립체가 바로 진공청소기본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중에서 연장유로가 마련된 청소기의 형태를 흔히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라고 한다.
이러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흡입구조립체가 청소기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 흡입구조립체와 연장유로의 일부를 청소기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스틱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가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흡입구조립체 부분에 진공청소기본체에 있는 흡입모터 와는 별개로 소형의 흡입모터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 소형의 흡입모터에 의해 흡입구조립체가 진공청소기본체와 분리되더라도 흡입구에 흡입력을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형의 흡입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가 추가로 장착되어 진공청소기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충전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가 별도로 마련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충전기를 별도로 마련하는 것은 제품의 비용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는 중에 흡입구조립체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비사용중에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도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진공청소기본체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와, 상기 흡입구조립체가 흡입한 상기 오물을 상기 진공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연장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조립체 및 상기 연장유로의 일부가 상기 진공청소기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자체적인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공청소기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진공청소기본체가 제공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자체적인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 해 사용될 전기를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수단; 및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이 발생시킨 상기 전기를 충전하였다가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에 상기 충전된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력 발생수단은, 흡입모터로 마련되며, 상기 흡입모터는,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진공청소기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흡입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수거통은, 상기 진공청소기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 상기 피청소면 및 상기 흡입모터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흡입모터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오물물수거통은,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모터 측으로 빠져나갈 때 상기 공기로부터 오물을 걸러내는 먼지필터; 상기 공기유입를 통하여 상기 오물수거통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장유로로 빠져나가는 공기출구; 및 상기 공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수거통은, 상기 흡입구조립체의 상부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되는 모습의 개략도이며, 도 3a는 도 1의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오물수거통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오물수거통을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흡입구조립체 내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1)는, 진공청소기본체(10)와, 연장유로(20)와, 흡입구조립체(30)를 구비한다.
진공청소기본체(10)는, 피청소면 상의 오물을 흡입하는 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오물이 퇴적되는 집진부(미도시)가 구비한다.
연장유로(20)는, 진공청소기본체(10)와 흡입구조립체(30)를 연결하여, 흡입구조립체(30)가 흡입한 오물을 진공청소기본체(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연장유로(2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제작된 손잡이(21)와, 손잡이(21)와 진공청소기본체(10)를 연결하는 흡입호스(23)와, 손잡이(21)와 흡입구조립체(30)를 연결하는 연장관(25)을 구비한다.
흡입구조립체(30)는, 피청소면 상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피청소면 상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조립체(30)는 상부케이스(31)와 하부케이스(32)를 구비하며, 상부케이스(31)에는 별도로 오물수거통(33)이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오물수거통(3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흡입구조립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인 흡입력 발생을 위해 흡입력 발생수단(34)을 구비한다. 이처럼 흡입구조립체(30)에 흡입력 발생수단(34)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은, 진공청소기(1)를 일체형 뿐만 아니라 스틱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진공청소기(1)는 도 1에서처럼 진공청소기본체(10)와, 연장유로(20)와, 흡입구조립체(30)가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즉 일체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에서처럼 흡입구조립체(30)와 연장유로(20)의 일부만이 결합된 채로 즉 스틱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유로(20)는 손잡이(21)와 흡입호스(23)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력 발생수단(34)은 흡입모터(34)로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흡입모터(34)의 내부에는 회전자, 고정자, 모터축 및 임펠러가 구비된다. 모터축의 일단에는 회전자가 결합되며 타단에는 임펠러가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자의 주변에는 고정자가 둘러싼 형태를 갖는다.
그리하여 회전자에 전기가 공급되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회전자에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모터축을 통하여 임펠러에 전달되어 임펠러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흡입모터(34)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조립체(30)는 스틱형으로 사 용되더라도 진공청소기본체(10) 없이도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진공청소기(1)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흡입구조립체(30)가 진공청소기본체(1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오물은 진공청소기본체(10) 내의 집진부에 축적될 수 없다.
따라서, 흡입구조립체(30)는 별도로 내부에 먼지수용공간을 갖는 오물수거통(33)을 구비한다. 이러한 오물수거통(33)은 상부케이스(31) 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 1에서처럼 오물수거통(33)은 상부케이스(31) 상에 장착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오물수거통(33)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부케이스(31)로부터 이탈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오물수거통(33)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36, 후술함) 측을 향하는 측면(33a)에 공기유입구(33b)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력모터(34) 측을 향하는 측면(33c)에 먼지필터(33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오물수거통(33)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33b)가 형성된 측면(33a)에 대향하는 반대측면(33e)에 공기출구(33f)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공기출구(33f)는, 공기출구(33f)가 형성된 동일측면(33e)에 설치된 개폐부재(33g)에 의해 개폐된다. 즉, 개폐부재(33g)는 진공청소기본체(10)에서 흡입구조립체(30)에 흡입력을 제공할 때에는 그 흡입력에 의해 열린상태가 되며, 그 외의 경우에는 닫힌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오물수거통(33)의 구성에 의해, 진공청소기(1)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구(33b)를 통하여 오물수거통(33) 내부로 유입된 후 먼지필터(33d)를 지나 흡입모 터(34)로 흡입된다. 이때, 공기출구(33f)는 개폐부재(33g)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진공청소기(1)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구(33b)를 통하여 오물수거통(33)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출구(33f)를 통과하여 연장유로(20)로 향하게 된다. 이때, 공기출구(33f)는 개폐부재(33g)에 의해 닫혀있지 않고 열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진공청소기본체(10)에서 흡입구조립체(30)에 제공한 흡입력에 의해, 일정량의 외부공기가 흡입모터(34)에 유입되며, 이러한 외부공기는 오물수거통(33)의 먼지필터(33d)를 통하여 오물수거통(33)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출구(33f)를 통과하여 연장유로(20)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흡입모터(34) 내의 임펠러는, 흡입모터(34)의 회전자에 전기가 공급될 때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진공청소기본체(10)에서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 한편으로는 피청소면 상의 오물이 흡입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흡입구조립체(30) 내의 흡입모터(34)에 구비된 임펠러가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진공청소기본체(10)가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 임펠러와 연결된 회전자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자 주위에는 고정자가 둘러싸고 있으므로 회전자에는 전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흡입모터(34)는 진공청소기(1)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1)가 일체형으로 사 용될 때 흡입모터(34)를 이용하여 전기를 얻을 수 있게 되며, 흡입구조립체(30)는 이러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수단(35, 도 4 참조)을 구비한다.
이러한 충전수단(35)은 흡입모터(34) 내부의 회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진공청소기(1)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 흡입모터(34)가 발전한 전기를 충전하며, 진공청소기(1)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자체에 충전된 전기를 흡입모터(34)에 공급하여 흡입모터(34)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충전수단(35)을 매개로 하여 흡입모터(34)가 발생시킨 전기를 다시 흡입모터(34)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충전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흡입모터(34)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흡입구조립체(34)에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36)와, 브러시(36)를 회전 구동하는 브러시 구동모터(37)를 구비한다. 브러시(36)가 마련됨으로써, 흡입구조립체(30)가 피청소면 상의 오물을 흡입할 때 피청소면 상으로부터 오물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1)의 흡입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1)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진공청소기(1)가 도 1에서처럼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청소기(1)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진공청소기본체(10) 내의 흡입모터(미도시)가 발생시킨 흡입력이 흡입구조립체(30)에 제공된다.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청소면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오물수거통(33)의 공기유입구(33b)로 유입된 후 공기출구(33f)를 통하여 연장유로(20)로 빠져나간다.
또한 이러한 흡입력은 흡입구조립체(30) 내에 설치된 흡입모터(34) 측에도 미치며, 이때 흡입모터(34)에서 오물수거통(33) 측으로의 유로가 형성된다. 즉, 일정량의 공기가 흡입모터(34)에서 먼지필터(33d)를 통하여 오물수거통(33)으로 유입된 후 공기출구(33f)를 통하여 연장유로(20)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흡입모터(34)의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고, 임펠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자에 전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전기는 회전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수단(35)에 충전된다.
다음으로, 진공청소기(1)가 도 2에서처럼 스틱형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청소기(1)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 상기 충전수단(35)은, 진공청소기(1)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 충전한 전기를 흡입모터(34)에 공급한다. 흡입구조립체(30)는 내부에 설치된 흡입모터(34)에 의해 자체적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이때 흡입구조립체(30) 내의 공기의 유동은 도 5에서와 같아진다. 즉, 피청소면 상에서 오물과 함께 흡입구조립체(30) 내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구(33b)를 통하여 오물수거통(33)에 유입된 후 먼지필터(33d)를 통하여 흡입모터(34) 내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모터(34) 내로 유입된 공기에 함유되어 있던 오물은 먼지필터(33d)에 의해 걸러져 오물수거통(33) 내 공간에 쌓이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조립체 내에 발전 기능을 갖춘 흡입모터를 장착함으로써 비사용중에 별도로 충전하지 않고도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 흡입모터를 가진 진공청소기본체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조립체와, 상기 흡입구조립체가 흡입한 상기 오물을 상기 진공청소기본체로 안내하는 연장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조립체 및 상기 연장유로의 일부가 상기 진공청소기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틱형으로 겸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진공청소기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제1 흡입모터가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제2 흡입모터; 및
    상기 제2 흡입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청소기가 일체형으로 사용될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충전하며,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상기 임펠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기를 상기 제2 흡입모터에 공급하는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진공청소기가 스틱형으로 사용될 때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 조립체 내로 흡입되는 흡입된 오물을 수거하도록, 상기 피청소면과 상기 제2 흡입모터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오물수거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조립체는,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오물을 분리시키기 위한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통은,
    상기 브러시를 향해 배치되는 상기 오물수거통의 제1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상기 제2 흡입모터를 향해 배치되는 상기 오물수거통의 제2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상기 제2 흡입모터로 이동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걸러내는 먼지필터;
    상기 제1 측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기 오물수거통의 제3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오물수거통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장유로로 빠져나가는 공기출구; 및
    상기 공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오물수거통의 제3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흡입모터가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열려지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통은,
    상기 흡입구조립체의 상부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
KR1020070053260A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 KR10134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60A KR101349199B1 (ko)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60A KR101349199B1 (ko)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37A KR20080105537A (ko) 2008-12-04
KR101349199B1 true KR101349199B1 (ko) 2014-01-10

Family

ID=4036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260A KR101349199B1 (ko) 2007-05-31 2007-05-31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7094A (zh) * 2014-02-21 2014-05-28 慈溪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内机的真空清洁装置
CN112813902A (zh) * 2019-10-24 2021-05-18 曾涵宇 一种机械加工场地地面油污清洁系统及方法
CN113550875B (zh) * 2021-09-06 2023-06-02 华能阜新风力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风力发电机舱内轮毂内部清洁保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022B2 (ja) * 1985-04-19 1996-10-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2001204657A (ja) 2000-01-25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JP2003111695A (ja) 2001-10-09 2003-04-15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100382244B1 (ko) 2000-04-06 2003-05-09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패러렐 하이브리드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3022B2 (ja) * 1985-04-19 1996-10-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具
JP2001204657A (ja) 2000-01-25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並びに電気掃除機
KR100382244B1 (ko) 2000-04-06 2003-05-09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패러렐 하이브리드 차량
JP2003111695A (ja) 2001-10-09 2003-04-15 Hitachi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37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952B1 (ko) 핸디청소기 일체형 진공청소기
KR101340423B1 (ko) 스틱형 진공청소기
KR10061536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KR101369234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디형 진공청소기
KR20210002057A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1471026B1 (ko)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CN109124465A (zh) 手持式吸尘器及其组合件、推杆式吸尘器
JP2010508884A (ja) 真空掃除方法
JP5070322B2 (ja) 電気掃除機
KR20070061643A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AU2007234560A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KR101349199B1 (ko) 진공청소기
KR20100088360A (ko) 아지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41117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먼지 분리 장치
JP2008272020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147770B1 (ko) 진공 청소기
JP4748453B2 (ja) 電気掃除機
KR20100059551A (ko) 흡입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2013059516A (ja) 電気掃除機
KR100504890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101436630B1 (ko) 진공 청소기
TW201306785A (zh) 電動吸塵器
KR101052134B1 (ko) 진공 청소기의 먼지 흡입장치
JP6847575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KR100539745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