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676B1 -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676B1
KR101348676B1 KR1020120037821A KR20120037821A KR101348676B1 KR 101348676 B1 KR101348676 B1 KR 101348676B1 KR 1020120037821 A KR1020120037821 A KR 1020120037821A KR 20120037821 A KR20120037821 A KR 20120037821A KR 101348676 B1 KR101348676 B1 KR 10134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vot
lifting
pai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494A (ko
Inventor
박재상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12003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67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판의 승강 거리 및 슬라이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스텝 동작 및 런닝 동작에 가까운 동작이 구현 되도록 한 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피벗, 일단부가 상기 제 1피벗에 연결되고 상기 제 1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부가 승강되는 승강링크,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링크,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하는 제 2피벗 및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2피벗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승강링크의 승강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장치{EXERCISING MACHINE}
본 발명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텝 동작, 또는 런닝 동작이 연출 가능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쁜 일정 속에 생활하는 대다수의 현대인들은 비교적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운동장치들을 활용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장치들은 크게 유산소 운동장치와 무산소 운동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장치로는 런닝 머신, 사이클 머신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하지만, 런닝 머신, 사이클 머신 등은 하지 운동에 비해 상지 운동에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지 운동 효과와 더불어 상지 운동 효과까지 함께 거둘 수 있는 운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 하지 운동이 가능한 운동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22257;물리적 운동장치 및 이러한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발판"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운동장치는 레일을 따라 발판이 슬라이딩 구동되며, 발판과 상호교환 운동되는 핸들에 의해 상, 하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운동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판의 승강 거리 및 슬라이드 거리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운동을 하게 되면, 상, 하체의 근육에 무리가 가게되어 운동 효과가 저하되거나, 심하게는 부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22257 (2006. 03. 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판의 승강 거리 및 슬라이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자연스러운 스텝 동작 및 런닝 동작에 가까운 동작이 구현 되도록 한 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피벗, 일단부가 상기 제 1피벗에 연결되고 상기 제 1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부가 승강되는 승강링크,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링크,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하는 제 2피벗 및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2피벗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승강링크의 승강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한다.
승강 조절부는 상기 승강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피벗을 지지하여 상기 제 2피벗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승강링크에는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제 2피벗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핀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승강 조절핀일 수 있다.
상기 승강링크는 상기 제 1피벗에 연결되는 고정링크와,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링크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링크로 분리되며, 상기 제 2피벗은 상기 슬라이드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고정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를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드링크를 슬라이드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고정링크와 상기 슬라이드링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핀홀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제 1핀홀에 대응되는 제 2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제 1핀홀 중 어느 하나와 제 2핀홀에 삽입되는 승강 조절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피벗, 상기 제 1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는 한쌍의 승강링크, 상기 한쌍의 승강링크의 타단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롤러, 상기 한쌍의 지지롤러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롤러 상에서 각각 슬라이드되며, 사용자의 보폭에 따라 슬라이드 거리가 조절되는 한쌍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레일은 상기 한쌍의 레일의 중앙부가 상기 한쌍의 롤러 상에 정렬되도록 제 1곡률반경을 가지는 슬라이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레일은 상기 제 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2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의 전방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전방한계부 및 상기 제 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3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의 후방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후방한계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피벗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의 좌측면과 상기 크랭크의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한쌍의 크랭크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한쌍의 크랭크암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판의 승강 거리 및 슬라이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러운 스텝 동작과 런닝 동작이 연출되어 운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링크, 지지링크, 제 2피벗 및 승강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타나낸 도면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대기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이하, '운동장치'라 함)(100)는 "L" 자의 측면형상 및 "I"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1)의 하부에는 이송휠(112)과 지지다리(1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휠(112)은 운동장치(100)를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다리(113)는 운동장치(100)가 바닥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다리(113)에는 완충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상, 하지 운동에 사용되는 것으로, 몇몇 구성요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좌우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111)의 좌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프레임(111)의 우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프레임(111)의 좌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프레임(111)에는 제 1피벗(121)이 설치된다. 제 1피벗(121)에는 승강링크(131)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승강링크(131)는 제 1피벗(1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승강링크(131)의 타단부는 제 1피벗(121)을 중심으로 승강될 수 있다. 승강링크(131)의 타단부에는 롤러(132)가 지지된다. 롤러(132)에는 레일(133)이 지지된다.
롤러(132)의 표면에는 레일(133)이 롤러(132)의 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32a)이 형성된다. 레일(133)에는 슬라이드부(133a), 전방한계부(133b) 및 후방한계부(133c)가 형성된다.
슬라이드부(133a)는 제 1곡률반경을 가진다. 따라서 슬라이드부(133a)는 레일(133)의 중앙부가 롤러(132) 상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전방한계부(133b)는 슬라이드부(133a)의 후단에 형성되며, 후방한계부(133c)는 슬라이드부(133a)의 전단에 형성된다. 전방한계부(133b)는 제 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2곡률반경을 가지며, 후방한계부(133c)는 제 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3곡률반경을 가진다. 전방한계부(133b)는 롤러(132)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레일(133)이 롤러(132)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한계부(133c)는 롤러(132)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레일(133)이 롤러(132)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레일(133)에는 발판(134)이 설치된다. 발판(134)은 레일(133)에 사용자의 발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판(134)에는 사용자의 발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벨트, 벨크로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장치(100)는 롤러(132) 상에 레일(133)이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보폭에 따라 레일(133)의 슬라이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승강링크(131)의 타단부에는 제 2피벗(122)이 연결되며, 제 2피벗(122)에는 지지링크(141)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제 2피벗(122)은 승강링크(131)가 지지링크(141)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링크(141)는 승강링크(131)를 구속하여 승강링크(131)의 하강 높이와 상승 높이가 제한되도록 한다.
프레임(111)에는 크랭크(142)가 설치될 수 있다. 크랭크(142)는 제 1피벗(121)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크랭크(142)의 일측면에는 크랭크암(143)이 설치된다. 크랭크암(143)은 크랭크(14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다. 지지링크(141)의 타단부는 크랭크암(143)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암(143), 지지링크(141), 및 승강링크(131)는 좌우 한쌍으로 마련된다. 한쌍의 크랭크암(143)은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크랭크(142)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지지링크(141)에 의해 한쌍의 크랭크(142)에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승강링크(13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크랭크(142)의 상측에는 크랭크(142)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 1제동부(150)와, 크랭크(14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너레이터(generator;160)가 설치된다.
제동부(150)는 제동디스크(151), 종동풀리(152), 벨트(153), 텐셔너(154) 및 패드(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동디스크(151)는 프레임(111)에 설치된다. 종동풀리(152)는 제동디스크(151)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제동디스크(151)와 함께 회전된다. 벨트(153)는 종동풀리(152)와 제동디스크(151)에 연결된다. 텐셔너(154)는 종동풀리(152)와 크랭크(142)의 사이에 배치된다. 텐셔너(154)는 벨트(153)의 텐션이 조절되도록 한다. 패드(155)는 제동디스크(151)에 탈착되도록 설치된다.
제너레이터(160)는 제동디스크(151)에 연결된다. 제너레이터(160)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은 운동장치(100)의 전반적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사용자가 운동장치(100)를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조작 패널(미도시), 이후에 설명될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제너레이터(160)는 이미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레일(133)에는 제 3피벗(123)이 연결되며, 제 3피벗(123)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핸들링크(171)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제 1핸들링크(171)의 타단부에는 제 4피벗(124)이 연결되며, 제 4피벗(124)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핸들링크(172)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 1핸들링크(171)의 일단부는 레일(133)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며, 제 1핸들링크(171)의 타단부는 제 2핸들링크(17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제 2핸들링크(172)에는 제 5피벗(125)이 연결된다. 제 2핸들링크(172)는 제 5피벗(12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 1핸들링크(171), 제 3피벗(123) 및 제 4피벗(124)는 레일(133)에 의해 제 2핸들링크(172)이 원활하게 스윙 동작될 수 있도록 상하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운동장치(100)는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승강 조절부를 포함한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링크, 지지링크, 제 2피벗 및 승강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타나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는 제 2피벗(122)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제 2피벗(122)과 제 1피벗(121)의 이격거리가 작아질수록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는 커지며, 제 2피벗(122)과 제 1피벗(121)의 이격거리가 커질수록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제 2피벗(122)의 위치를 가변시켜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조절부(190)를 포함한다.
승강 조절부(190)는 승강링크(131)에 고정되고 제 2피벗(122)을 지지하며, 승강링크(131)의 길이방향으로 제 2피벗(12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승강 조절부(190)는 제 2피벗(122)을 지지하는 지지블록(191)과, 지지블록(191)을 직선 이송하는 유/공압실린더(192)와, 지지블록(192)의 직선 이송을 가이드하는 리니어 가이드(193)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승강 조절부(190)는 랙&피니온을 이용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또는 볼 스크류와 회전모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안전바(196)와 고정핸들(197)이 고정될 수 있다. 안전바(196)는 운동장치(100)의 이상 작동 등에 대비하여 사용자가 안전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핸들(197)은 사용자가 상체 운동을 생략하고, 하체 운동을 하고 싶을 때, 양팔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운동장치(100)는 상술한 구동에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대기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33a)가 제 1곡률반경을 가지므로 레일(133)의 중앙부는 롤러(132) 상에 정렬된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패널(미도시)을 조작하여 크랭크(142)를 제동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핸들링크(172)의 상단, 또는, 안전바(196), 또는 고정핸들(197)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고, 양 발을 발판(134)에 올려놓음으로써 운동장치(100)에 탑승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조작패널(미도시)을 조작하여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를 조절한다. 즉, 조작패널(미도시)이 조작됨에 따라, 승강 조절부(190)는 제 2피벗(122)의 위치를 승강링크(131)의 길이방향으로 가변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가 조절되면, 사용자는 크랭크(142)의 제동을 해제하고 운동을 개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운동을 위해 왼발에 하중을 줄 수 있다. 이때, 좌측 레일(133)로 하중이 전달되고, 좌측 승강링크(131)가 하강된다. 이와 함께 좌측 지지링크(141)가 회전되고, 좌측 지지링크(141)에 연결된 좌측 크랭크암(143)이 회전된다. 좌측 크랭크암(143)으로 회전됨에 따라 크랭크(142)가 회전된다.
크랭크(142)가 회전되면, 좌측 크랭크암(143)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우측 크랭크암이 회전되고, 우측 크랭크암에 의해 우측 지지링크가 회전된다. 우측 지지링크)가 회전됨에 따라 우측 지지링크에 연결된 우측 승강링크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좌측 승강링크(131)와 우측 승강링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며, 자연스러운 스텝 동작이 연출된다.
한편, 운동장치(100)는 상술된 승강링크(131)의 승강과 레일(133)의 슬라이드가 연동되면, 런닝 동작이 연출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승강링크(131)의 승강될 때, 사용자가 왼발을 앞쪽으로 전진시키면, 좌측 레일(133)은 좌측 롤러(132)에 구름 동작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때, 좌측 레일(133)의 슬라이드부(133a)는 제 1곡률반경을 가지있으므로, 좌측 레일(133)은 타원형의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좌측 레일(133)의 전방한계부(133b)는 좌측 레일(133)이 슬라이드부(133a)로부터 부드럽게 연결되어 제 1곡률반경과 제 2곡률반경을 따라 구름 동작되도록 하며, 좌측 레일(133)이 좌측 롤러(132)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좌측 레일(133)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좌측 제 1핸들링크(171)의 타단부가 전진된다. 좌측 제 1핸들링크(171)의 타단부가 전진됨에 따라 좌측 제 2핸들링크(172)는 제 5피벗(125)을 기준으로 스윙 구동되어 좌측레일(133)과 상호교환 운동이 구현된다.
이와 반대로, 좌측 레일(133)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될 때, 우측 레일은 우측 롤러에 구름 동작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때, 우측 레일의 슬라이드부는 제 1곡률반경을 가지있으므로, 우측 레일은 타원형의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우측 레일의 후방한계부는 우측 레일이 슬라이드부로부터 부드럽게 연결되어 제 1곡률반경과 제 2곡률반경을 따라 구름 동작되도록 하며, 우측 레일이 우측 롤러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우측 레일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됨에 따라 우측 제 1핸들링크의 타단부가 후진된다. 우측 제 1핸들링크의 타단부가 후진됨에 따라 우측 제 2핸들링크는 제 5피벗(125)을 기준으로 스윙 구동되어 우측레일과 상호교환 운동이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승강링크의 승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스텝 운동 또는 런닝 운동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0)의 승강 조절부는 승강 조절핀(190a)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링크(131)에는 승강링크(13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핀홀(1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피벗(122)을 지지하는 브라켓(122a)에는 복수의 제 1핀홀(131a)에 대응되는 제 2핀홀(12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핀홀(122b)을 복수의 제 1핀홀(131a) 중 어느 하나에 정렬하고, 제 1핀홀(131a)과 제 2핀홀(122b)에 승강 조절핀(190a)을 삽입하여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3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0)의 승강링크(131)는 고정링크(131a)와 슬라이드링크(131b)로 분리될 수 있다. 고정링크(131a)는 제 1피벗(121)에 연결되고, 슬라이드링크(131b)는 레일(133)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링크(131b)는 고정링크(131a)에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크(131a)를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피벗(122)은 슬라이드링크(131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조절부(190b)는 고정링크(131a)에 고정되고 슬라이드링크(131b)를 지지하며, 승강링크(13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링크(131b)를 직선 이송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승강 조절부(190b)는 슬라이드링크(131b)에 결합되는 지지블록(191b)과, 지지블록(191b)을 직선 이송하는 유/공압실린더(192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패널(미도시)을 조작하여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작패널(미도시)이 조작됨에 따라, 승강 조절부(190b)는 슬라이드링크(131b)를 슬라이드시켜 제 2피벗(122)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제 4실시예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승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4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0)의 승강링크(131)는 고정링크(131a)와 슬라이드링크(131b)로 분리될 수 있다. 고정링크(131a)는 제 1피벗(121)에 연결되고, 슬라이드링크(131b)는 레일(133)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링크(131b)는 고정링크(131a)에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크(131a)를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피벗(122)은 슬라이드링크(131b)에 결합될 수 있다.
승강 조절부는 승강 조절핀(190c)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링크(131b)에는 승강링크(13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핀홀(131c)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링크(131a)에는 복수의 제 1핀홀(131c)에 대응되는 제 2핀홀(131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핀홀(131d)을 복수의 제 1핀홀(131c) 중 어느 하나에 정렬하고, 제 1핀홀(131c)과 제 2핀홀(131d)에 승강 조절핀(190c)을 삽입하여 승강링크(131)의 승강 거리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운동장치 111 : 프레임
112 : 이송롤러 113 : 지지다리
121 : 제 1피벗 122 : 제 2피벗
123 : 제 3피벗 124 : 제 4피벗
125 : 제 5피벗 131 : 승강링크
132 : 롤러 133 : 레일
141 : 지지링크 142 : 크랭크
143 : 크랭크암 150 : 제동부
160 : 제너레이터 171 : 제 1핸들링크
172 : 제 2핸들링크 190 : 승강 조절부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피벗;
    일단부가 상기 제 1피벗에 연결되고 상기 제 1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타단부가 승강되는 승강링크;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링크;
    상기 지지링크의 타단부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하는 제 2피벗;및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 2피벗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승강링크의 승강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 조절부는
    상기 승강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제 2피벗을 지지하여 상기 제 2피벗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크에는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제 2피벗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핀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승강 조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크는 상기 제 1피벗에 연결되는 고정링크와, 상기 고정링크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링크로 분리되며,
    상기 제 2피벗은 상기 슬라이드링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고정링크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링크를 지지하여 상기 슬라이드링크를 슬라이드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크와 상기 슬라이드링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승강링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핀홀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제 1핀홀에 대응되는 제 2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제 1핀홀 중 어느 하나와 제 2핀홀에 삽입되는 승강 조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7.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피벗;
    상기 제 1피벗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는 한쌍의 승강링크;
    상기 한쌍의 승강링크의 타단부에 지지되는 한쌍의 지지롤러;
    상기 한쌍의 지지롤러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롤러 상에서 각각 슬라이드되며, 사용자의 보폭에 따라 슬라이드 거리가 조절되는 한쌍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일은
    상기 한쌍의 레일의 중앙부가 상기 한쌍의 롤러 상에 정렬되도록 제 1곡률반경을 가지는 슬라이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일은
    상기 제 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2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의 전방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전방한계부;및
    상기 제 1곡률반경보다 작은 제 3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의 후방 슬라이드 범위를 제한하는 후방한계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벗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크랭크;및
    상기 크랭크의 좌측면과 상기 크랭크의 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한쌍의 크랭크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지지링크의 타단부는 상기 한쌍의 크랭크암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KR1020120037821A 2012-04-12 2012-04-12 운동장치 KR10134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821A KR101348676B1 (ko) 2012-04-12 2012-04-12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821A KR101348676B1 (ko) 2012-04-12 2012-04-12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94A KR20130115494A (ko) 2013-10-22
KR101348676B1 true KR101348676B1 (ko) 2014-01-10

Family

ID=4963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821A KR101348676B1 (ko) 2012-04-12 2012-04-12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6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240B1 (ko) 2008-02-18 2008-05-22 주식회사 모투스 페달 원호궤적 운동기구
KR20090004091U (ko) * 2007-10-29 2009-05-06 진첸 추앙 타원 운동기
KR20100003026U (ko) * 2008-09-08 2010-03-17 진첸 추앙 엘립티컬 트레이너
KR20110002785A (ko) * 2009-07-02 2011-01-10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091U (ko) * 2007-10-29 2009-05-06 진첸 추앙 타원 운동기
KR100831240B1 (ko) 2008-02-18 2008-05-22 주식회사 모투스 페달 원호궤적 운동기구
KR20100003026U (ko) * 2008-09-08 2010-03-17 진첸 추앙 엘립티컬 트레이너
KR20110002785A (ko) * 2009-07-02 2011-01-10 정연옥 다기능 트위스트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94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106B2 (en) Weight lifting machine
US6916278B2 (en) Composite motion exercise machine with movable linkage system
US7052444B2 (en) Composite motion exercise machine
EP2942085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non-uniform foot pad transverse spacing
US5643162A (en) Exercise apparatus
US7963890B2 (en) Exercise machine with pivoting user support and multiple cam linkage
US7648473B1 (en) Traction extension table
CN210021019U (zh)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设备
US8852060B1 (en) Swiveling user support for exercise machine
CN102755715B (zh) 具有摆动的使用者支撑件的臀部健身器
KR101239059B1 (ko) 재활용 보행 운동장치
CN209714163U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体育分腿器
CN110270061A (zh) 一种医疗用帕金森疾病辅助用肌肉拉伸装置
KR20150103539A (ko) 리포머 운동기구
CN203663049U (zh) 卧床全身康复机
KR102098959B1 (ko) 착석형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착석형 보행 훈련 장치
KR101093558B1 (ko) 전신 운동 기구
KR20110103112A (ko) 운동기구
KR101348676B1 (ko) 운동장치
KR101301242B1 (ko) 하체회전 운동기구
JP2007319523A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JP2008035927A (ja) 鍛練装置
KR20140021920A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CN101357258B (zh) 椭圆运动机
KR20100076768A (ko) 보행궤적 가변형 보행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