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88B1 -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88B1
KR101348388B1 KR1020130100407A KR20130100407A KR101348388B1 KR 101348388 B1 KR101348388 B1 KR 101348388B1 KR 1020130100407 A KR1020130100407 A KR 1020130100407A KR 20130100407 A KR20130100407 A KR 20130100407A KR 101348388 B1 KR101348388 B1 KR 10134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uction
suction port
cleaning vehicl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호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주)깨끗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깨끗한도시 filed Critical (주)깨끗한도시
Priority to KR102013010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E01H1/103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in which the soiled loosening or washing liquid is removed, e.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는, 청소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와, 상기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의 후방으로 상기 청소차량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된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에는 노면의 슬러지를 직접 흡입하도록 각각 구비된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이 구비되되,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흡입구통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진 분할형 흡입구통이고, 다른 하나는 1개의 흡입구통으로만 이루어진 일체형 흡입구통이며, 그리고,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의 각 흡입구통은 흡입구가 1개가 구비되고,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은 2개의 흡입구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은 상기 청소차량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되, 청소차량의 중앙부분에서 전후로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 및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의 내부 및 외부에는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SLUDGE SUCTION DEVICE FOR ROAD CLEANING VEHICLE}
본 발명은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의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가 개선된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이미 건설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로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노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노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 청소작업은 도로 청소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노면 청소차량을 이용한다.
상기한 노면 청소차량은, 물을 분사하는 살수노즐과, 도로상의 각종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브러시 및 진공흡입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서 물을 분사하고, 브러시와 진공흡입기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수거한다.
상기한 청소작업은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통 정체를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도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차량에는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고압살수장치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살수장치는, 차량에 중앙 일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전방 고압살수장치(A)와, 차량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 고압살수장치(A)와 함께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후방 고압살수장치(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및 후방 고압살수장치(A,B)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흡입호스(도 2의 8b)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직접 흡입하도록 하는 흡입구통(17a,17b)과, 이 흡입구통(17a,17b)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게 구비된 물분사 파이프(13a,13b)와, 이 물분사 파이프(13a,13b)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물펌프에서 발생된 강한 수압으로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여 흡입구통(17a,17b)으로 슬러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물분사 노즐(14a,1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분사 파이프(13a,13b)는 흡입구통(17a,17b) 전후방으로 설치되어 물펌프(2)에서 발생된 강한 수압을 다수 개의 물분사 노즐(14a,14b)에 분배하여 노면에 분사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좌우 흡입구통(17a,17b)의 흡입구에 개별 분사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통(17a,17b)의 상부 일측에는 물분사 노즐(14a,14b)의 수압을 변환하기 위한 살수변환밸브(3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방 및 후방 고압살수장치(A,B)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0688257호(2007. 03. 02)의 '이중 고압살수장치가 채용된 노면 진공청소차량'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통(17a,17b) 중 전방의 흡입구통(17a)은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되되, 이 흡입구통(17a)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2개의 흡입구통(17a)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빈 공간으로 인해, 흡입되지 않은 슬러지가 생겨, 청소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차량의 중앙 부분의 노면이 청소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재 청소 작업시에는 청소차량이 아닌 수작업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 노즐(14a,14b)이 흡입구통(17a,17b)의 외부에 설치되고, 흡입구통(17a,17b)이 크기가 커, 흡입구통(17a,17b) 내부로 슬러지가 흡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재 청소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전방 및 후방 고압살수장치(A,B)의 흡입구통(17a,17b)의 구조가 일률적이다. 즉, 상기 전방의 흡입구통(17a)은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후방의 흡입구통(17b)은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청소차량의 작업 사정에 따라 상기 흡입구통(17a,17b)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손상이 될 수 있다. 즉, 도로가 굴곡이 심한 경우나 꺾인 부분이 많은 도로에서는 전방의 흡입구통이 일체로 되거나, 반대로 후방의 흡입구통이 2개로 분리되어야만 하는 경우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2개의 흡입구통 중간에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물분사 노즐을 흡입구통 내부에 설치하여 슬러지의 흡입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도로의 조건에 따라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을 적절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는, 청소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와, 상기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의 후방으로 상기 청소차량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된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에는 노면의 슬러지를 직접 흡입하도록 각각 구비된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이 구비되되,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흡입구통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진 분할형 흡입구통이고, 다른 하나는 1개의 흡입구통으로만 이루어진 일체형 흡입구통이며,
그리고,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의 각 흡입구통은 흡입구가 1개가 구비되고,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은 2개의 흡입구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은 상기 청소차량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되, 청소차량의 중앙부분에서 전후로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 및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의 내부 및 외부에는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청소작업 조건에 따라 또는 차량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흡입구통을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청소차량이 진행하는 노면 중앙에 기존과 같이 슬러지의 흡입이 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지 않고, 흡입구통 내부에 물분사 노즐을 설치함으로써 노면의 슬러지를 모두 흡입할 수 있어, 청소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구통의 길이를 차량의 폭에 맞추어 구비하였기 때문에 청소 작업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의 고압살수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부분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는 도 5 및 도 6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7의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노면 청소차량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들어 이미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구성만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9의 부분 측단면도는 도 8의 측면도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도 8의 부분 측단면도의 도시를 생략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는, 청소차량(100a,100b)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C)와, 이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C)의 후방으로 청소차량(100a,100b)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방이라는 표현은 후방에 상대되는 표현으로, 상기한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C)가 청소차량(100a,100b)의 전방에 설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며,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D) 보다 앞에 있다는 의미가 더 맞는 의미이다.
상기한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C)는 청소차량(100a,100b)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슬러지 흡입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C,D)에는 노면의 슬러지를 직접 흡입하도록 각각 구비된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이 구비되되, 이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흡입구통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흡입구통(210,220)이고, 다른 하나는 1개의 흡입구통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흡입구통(300)이 구비된다.
즉, 상기한 흡입구통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쪽에 각각 구비되는데, 이 중 하나는 2개로 분할된 분할형 흡입구통(210,220)이고, 나머지 하나는 일체로 된 일체형 흡입구통(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210,220)은 청소차량(100a,100b)의 좌우에 각각 전후로 설치되되, 중앙부분(X)이 청소차량(100a,100b)의 전후로 서로 겹쳐지며 설치된다.
즉,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210,220) 2개가 청소차량(100a,100b)의 좌측에 하나, 우측에 하나가 각각 설치되되, 기존과는 다르게 청소차량(100a,100b)의 중앙에 빈 공간이 남지 않도록 상기한 중앙부분(X)에서 2개의 분할형 흡입구통(210,220)이 청소차량(100a,100b)의 전후로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C,D)의 전체 길이는, 청소차량(100a,100b)의 폭(W)과 거의 같은 길이가 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210,220) 하나의 길이(L)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차량(100a,100b)의 폭(W)의 1/2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210,220) 및 일체형 흡입구통(300)의 내부 및 외부에는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230,330)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 조립체(230,330)는,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232,332)과,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설치되되, 브라켓(232,332)에 고정 설치되어 청소차량(100a,100b)에 후방 상부에 구비된 물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이 공급되게 구비된 물분사 파이프(231,331)와, 이 물분사 파이프(231,331)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청소차량(100a,100b)의 일측에 구비된 물펌프에서 발생된 강한 수압으로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여 흡입구통으로 슬러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물분사 노즐(233,333)과, 이 물분사 노즐(233,333)의 수압을 변환하기 위해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외부에 설치된 살수변환밸브(237,337)와, 상기 물분사 노즐(233,333)의 수압이나 온/오프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노즐 조립체(230,330) 중 물분사 노즐(233,333)은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내부의 유입구(201a,301a)를 향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물분사 노즐(233,33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내부의 전후 벽면에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물분사 노즐(233,333)의 설치 수량은 특정한 개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후 벽면은 물론이고 좌우 벽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분사 노즐(233,333)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는 흡입구통(210,220,300)의 구조나 크기 또는 도로의 청소작업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변환밸브(237,337)는 작업 조건상 흡입구통(210,220,3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일측에는 개구(203,302)가 형성된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300)의 중앙 내부에는 좌측의 흡입구통(311)과 우측의 흡입구통(312)을 구획하는 구획부재(303)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획부재(303)는 좌우의 흡입구(301) 중 해당 구역의 흡입구(301)로 구분되어 슬러지가 흡입되도록 하여, 적정량의 슬러지가 각각의 흡입구(301)로 분배되어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 구획부재(303)는 일체형 흡입구통(300)의 형상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300)의 중앙 부분이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구획부재(303)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210,220,300)의 각 몸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곡선의 라운드(R)를 형성하며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C,D)는, 청소차량(100a,100b)의 구조나 청소작업이 이루어지는 도로의 사정(예를 들어, 도로의 굴곡, 경사 또는 커브 정도 등)에 따라 청소차량(100a,100b)의 전방에 일체형 흡입구통(300)을 설치할 수도 있고, 후방에 일체형 흡입구통(300)을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청소 작업을 하려는 도로가 커브가 연속해서 있는 경우, 청소차량(100a,100b)이 주행 중 한쪽으로 반복하여 쏠리게 된다.
그리고 분리형 흡입구통(210,220)이 일체형 흡입구통(300)에 비해 무게도 많이 나가기 때문에 주행 중인 청소차량(100a,100b)이 중심을 잡는데도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로의 지면 상태에 따라(도로의 지면이 굴곡이 심한 경우), 흡입구통(210,220,300)의 높이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생기는데, 이런 경우 전방 흡입구통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생길 수도 있고, 후방 흡입구통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분리형 흡입구통(210,220)이나 일체형 흡입구통(300)을 청소차량(100a,100b)의 전방 및 후방에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특히, 상기 분리형 흡입구통(210,220)의 경우에는 중심부분(X)에서 청소차량(100a,100b) 전후로 서로 겹치게 설치되기 때문에, 청소 중 노면의 슬러지가 모두 흡입된다. 따라서, 청소작업의 효율성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또한 각 흡입구통(210,220,300)의 내부 전후로 물분사 노즐(233,333)이 설치되기 때문에, 살수 효율성이 향상되어, 결국 슬러지의 흡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흡입구통(210,220,300) 바로 아래서 물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러지가 흡입구통(210,220,300) 바로 아래서 흡입구통(210,220,300)으로 튀어 오르기 때문에 모든 슬러지가 흡입구통(210,220,300)으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불량 청소작업이 줄어들어, 청소작업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흡입구통(210,220,300)의 전체 길이가 청소차량(100a,100b)의 폭과 거의 같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청소차량이 지나간 자리의 노면은 청소차량의 폭(W)만큼 전부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 노즐(233,333)은 수압은 노면의 청소작업 조건에 따라 제어부(250,350)의 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어, 물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통(210,220,300)의 각 몸체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R)를 형성함으로써, 슬러지 흡입시 흡입구통(210,220,300)의 슬러지가 몸체 벽면에 충돌량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충돌이 되더라도 작은 저항을 받으며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통(210,220,300)의 슬러지 흡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청소차량
210,220. 분할형 흡입구통
233,333. 물분사 노즐
237,337. 살수변환밸브
300. 일체형 흡입구통
C.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
D.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
X. 중앙부분

Claims (5)

  1. 청소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와, 상기 전방 슬러지 흡입장치의 후방으로 상기 청소차량에 설치되어 노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된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슬러지 흡입장치에는 노면의 슬러지를 직접 흡입하도록 각각 구비된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이 구비되되,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 중 어느 하나는 2개의 흡입구통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진 분할형 흡입구통이고, 다른 하나는 1개의 흡입구통으로만 이루어진 일체형 흡입구통이며,
    그리고,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의 각 흡입구통은 흡입구가 1개가 구비되고,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은 2개의 흡입구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은 상기 청소차량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되, 청소차량의 중앙부분에서 전후로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분할형 흡입구통 및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의 내부 및 외부에는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의 전체 길이는 상기 청소차량의 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조립체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의 내부 및 외부에 걸쳐 설치되되,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물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되게 구비된 물분사 파이프와;
    상기 물분사 파이프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물펌프에서 발생된 강한 수압으로 물을 고압으로 노면에 분사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으로 슬러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물분사 노즐과;
    상기 물분사 노즐의 수압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의 외부에 설치된 살수변환밸브와;
    상기 물분사 노즐의 수압이나 온/오프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흡입구통의 중앙 내부에는 좌측의 흡입구통과 우측의 흡입구통을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흡입구통의 각 몸체는, 라운드(R)를 형성하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KR1020130100407A 2013-08-23 2013-08-23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KR10134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7A KR101348388B1 (ko) 2013-08-23 2013-08-23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7A KR101348388B1 (ko) 2013-08-23 2013-08-23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388B1 true KR101348388B1 (ko) 2014-01-08

Family

ID=5014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07A KR101348388B1 (ko) 2013-08-23 2013-08-23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608A (zh) * 2016-07-06 2016-11-23 詹晨 一种市政工程用混凝土道路辅助行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29A (ja) * 1994-09-07 1996-09-24 Morita Tokushu Kiko Kk 排水性舗装機能回復車
KR200414481Y1 (ko) 2005-12-28 2006-04-20 (주)깨끗한도시 노면 청소 차량
KR100688257B1 (ko) 2006-04-11 2007-03-02 (주)깨끗한도시 이중 고압살수장치가 채용된 노면 진공청소차량
KR20130044520A (ko) * 2011-10-24 2013-05-03 (주) 동화크린 물 분사 노즐을 구비한 청소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29A (ja) * 1994-09-07 1996-09-24 Morita Tokushu Kiko Kk 排水性舗装機能回復車
KR200414481Y1 (ko) 2005-12-28 2006-04-20 (주)깨끗한도시 노면 청소 차량
KR100688257B1 (ko) 2006-04-11 2007-03-02 (주)깨끗한도시 이중 고압살수장치가 채용된 노면 진공청소차량
KR20130044520A (ko) * 2011-10-24 2013-05-03 (주) 동화크린 물 분사 노즐을 구비한 청소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608A (zh) * 2016-07-06 2016-11-23 詹晨 一种市政工程用混凝土道路辅助行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80315U (zh) 滚筒洗衣机清洁装置
CN103103956B (zh) 道路清洁车
CN202247764U (zh) 路面清洁车辆
CN105042459A (zh) 一种设有喷雾装置和清洗装置的路灯
JP2008231749A (ja) トンネル粉塵・排気ガス等の清浄装置
KR101348388B1 (ko) 노면 청소차량의 슬러지 흡입장치
CN210522807U (zh) 一种静电除尘器
CN102644321A (zh) 城市下水道污泥吸排清理车
CN205088608U (zh) 一种组合式吸嘴
CN104328761A (zh) 道路清洗车
CN104485446A (zh) 一种新型蓄电池极板清除装置
CN110656693A (zh) 一种一体化泵站快速清淤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976043U (zh) 一种一体化泵站快速清淤控制装置
CN204033261U (zh) 一种应用于地毯清洗机的喷水器
CN206887861U (zh) 一种机电液一体化智能式洗地机
CN106140737A (zh) 一种喷吸式清洗方法
CN105794598A (zh) 一种推拉式莲头浇水装置
CN207347985U (zh) 一种道路精细化清洁车
KR101218281B1 (ko) 살수차량용 플러쉬 노즐
CN220237848U (zh) 便于清理的废水沉淀池
CN212594238U (zh) 一种喷塑线预处理装置
CN205128555U (zh) 一种玻璃清洗装置
CN103203343A (zh) 冷却翅片清洗系统
CN216194386U (zh) 一种市政工程用环保型洒水装置
CN212772158U (zh) 具有回水结构的环卫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