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82B1 -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 Google Patents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82B1
KR101348182B1 KR1020130025966A KR20130025966A KR101348182B1 KR 101348182 B1 KR101348182 B1 KR 101348182B1 KR 1020130025966 A KR1020130025966 A KR 1020130025966A KR 20130025966 A KR20130025966 A KR 20130025966A KR 101348182 B1 KR101348182 B1 KR 10134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jaw
ground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도
Original Assignee
정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도 filed Critical 정성도
Priority to KR102013002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bar disposed on the ground and, more specifically, to a guide bar disposed on the ground which has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art of a display unit thereof, which is combined with a base unit, for enabling the display unit to be easily combined with the base unit and for preventing the display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unit. The guide bar disposed on the ground comprises a base unit disposed on the ground and a display unit which is combined with the base unit and which has a bar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The base unit includes a binding hole with which the display unit is combined and a protrusion locking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inding hole. The display unit includes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positioned on the protrusion locking groove.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prevents the display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unit by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inding hole.

Description

지면설치안내봉{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안내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봉의 받침부에 결합되는 표시부 하부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쉽게 결합되면서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표시부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지면설치안내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rod which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separation or breakage while being easily coupled to form a separation prevention jaw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of the guide rod, and also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display unit. It relates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일반적으로 차선규제봉은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가 지나는 차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차선규제봉을 보면서 운전자는 보다 안전하게 자동차를 운행하게 된다.In general, the lane control rod is intended to guide a lane through which a vehicle driving on a road passes. As a result, the driver can drive a vehicle more safely.

이러한 차선규제봉은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표시부분이 있어,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도 차선규제봉을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인성이 양호한 도료가 차선규제봉에 도포되는 것이다.These lane control rods have a display portion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by the driver driving the car, so the lane control rods can be easily seen at any distance. To this end, paint with good visibility is applied to the lane-regulated rod.

이외에도 보행자의 보행공간을 안내하거나, 주차장에 주차하려는 차량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유도봉이 마련되기도 한다.In addition, a vehicle guide bar is provided to guide a pedestrian's walking space or to guide a vehicle to be parked in a parking lot.

이러한 차선규제봉이나 차량 유도봉 등은 지면에 고정되는 부분과, 시인성이 양호한 도료가 도포된 부분이 형성된 것으로 시인성 도료가 도포된 부분은 대체로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 또는 파이프의 형태를 갖는다.Such lane-regulating rods, vehicle guide rods, and the like are formed on portions fixed to the ground and on which portions of the paint having good visibility are applied. The portions on which the visibility paint is applied have a rod shape or a pipe formed generally vertically.

이러한 차선규제봉이나 차량 유도봉 등이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는 중에, 차량사고 또는 운행미숙 등에 의해 차선규제봉이나 차량 유도봉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While driving a vehicle while the lane control rod or the vehicle guide rod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lane control rod or the vehicle guide rod is often damaged due to a vehicle accident or immature driving.

이처럼 종래의 차선규제봉이나 차량 유도봉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지면에 고정된 것을 모두 지면으로부터 제거한 다음에 다시 설치 시공하게 되어, 재시공 공사가 쉽지 않게 된다. 특히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앙카볼트 등이 파손된 경우에는 차선규제봉이나 차량 유도봉을 분리시키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시 그 자리에 설치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곳에다 다시 시공해야 하는 등 다소 복잡하고 난잡한 재시공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conventional lane regulating rod or the vehicle guide rod is damaged, all the fixed parts on the ground are removed from the ground and then installed again, so that the reconstruction work is not easy. Especially when the anchor bolt for fixing to the ground is damaged, it is not only difficult to separate the lane regulating rod or the vehicle guide rod, but also it is not easy to install it again. Difficult reconstruction occurs.

아울러 종래의 차선규제봉이나 차량 유도봉 등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파손된 재료들을 버려야 하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발생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lane regulation rod or the vehicle guide rod is easily broken, so that the resources are wasted because the damaged materials have to be discard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에 결합되는 표시부 등이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has an object of facilitating binding and separation because the main portion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display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is made of a major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에 결합되는 표시부 하부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쉽게 결합되면서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eparture prevention jaw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to prevent being easi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부에 결합된 표시부의 이탈방지턱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표시부가 차량 등에 꺾인 경우라도 표시부가 완전히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부 손상을 줄이면서 외력이 제거된 이후 표시부의 원형 복원특성이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departure prevention jaw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can be flowed to prevent the display unit from fully bent even when the display is bent in a vehicle, etc. to reduce the damage to the display portion while removing the external force After that, the circular rest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are improve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부 내부에 변형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성하여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성이 월등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member that prevents deformation inside the display unit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unit and to restore the characteristics to its original form.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부와 받침부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분리결합장치를 마련함으로써 표시부와 받침부의 결합 및 분리가 아주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parate coupling device for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make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very easily.

특히 분리결합장치를 단순하게 작동하는 것만으로도 받침부로부터 표시부를 손쉽게 분리하고 결합시킬 수 있어, 전체 교체작업이라던가 분리작업이 손쉽고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combine the display unit from the support unit by simply operat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so that the entire replacement operation or the separation operation is easy and the time can be greatly redu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봉형상 또는 통형상을 이루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표시부가 결합되는 결착공; 및 결착공 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턱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턱걸림홈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결착공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표시부가 받침부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to form a rod or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 binding hole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coupled; And a jaw catching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inding hole, wherein the display portion includes a release preventing jaw position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and the release preventing jaw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inding hole so that the display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portion. It provides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의 두께는 턱걸림홈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provides a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jaw lock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턱걸림홈의 높이는, 이탈방지턱의 두께 및 유동공간의 높이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가 일측 방향으로 꺾일 경우, 표시부가 꺾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이탈방지턱은 턱걸림홈 상부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의 하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표시부가 꺾이는 방향 및 반대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의 이탈방지턱은 턱걸림홈 아래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의 상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jaw engaging groove is made of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and the height of the flow space, and when the display unit is bent in one direction, the display part is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ending direction The jaw is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jaw groove so that a flow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jaw drop, and the jaw of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be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located below the jaw groove and flows on the top of the jaw drop. It provides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is formed.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가 지면에 고정되게 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설치부재가 위치되는 설치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통공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n installation member to be fixed to the ground,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i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is located, further comprising a cov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Provides a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characterized by.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부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표시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휨방지부재; 및 표시부의 상부에 구비된 반구형의 상부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the bending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isplay unit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unit; And a hemispherical upper display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표시부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서 받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provides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in the inverted state do.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면설치안내봉의 표시부를 가압하여, 지면설치안내봉의 받침부로부터 표시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there is provided a separate coupling device for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display portion from the base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면설치안내봉의 표시부를 삽입하는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링부; 상기 삽입링부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가압회동부; 및 가압회동부에 연결되고 삽입공에 위치되어 표시부 일측을 가압하는 표시부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봉형상 또는 통형상을 이루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표시부가 결합되는 결착공; 및 결착공 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턱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턱걸림홈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결착공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표시부가 받침부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지면설치안내봉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시부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지거나 펴져 원형 형태를 이루며, 표시부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서 받침부의 결착공 상부측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표시부의 이탈방지턱이 받침부의 결착공 상부방향에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가 지면에 고정되게 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설치부재가 위치되는 설치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통공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의 두께는 턱걸림홈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턱걸림홈의 높이는, 이탈방지턱의 두께 및 유동공간의 높이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가 일측 방향으로 꺾일 경우, 표시부가 꺾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이탈방지턱은 턱걸림홈 상부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의 하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표시부가 꺾이는 방향 및 반대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의 이탈방지턱은 턱걸림홈 아래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의 상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휨방지부재; 및 표시부의 상부에 구비된 반구형의 상부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면설치안내봉(10)의 표시부(20)가 중앙으로 삽입되는 삽입공(62)이 형성된 삽입링부(61); 상기 삽입링부(61)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가압회동부(63);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되고 삽입공(62)에 위치되어 표시부(20) 일측을 가압하여 안쪽으로 우그러지게 하는 표시부가압부(64); 상기 삽입링부(61) 일측의 막혀진 부분에 고정된 고정손잡이(65); 및 상기 가압회동부(63)의 끝 부분에는 가압손잡이(66)를 포함하여 지면설치안내봉의 표시부를 가압하여, 지면설치안내봉의 받침부로부터 표시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며, 상기 삽입링부(61)는 원형의 형태를 갖고 상하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고, 상기 삽입링부(61)는, 상하측 부분으로는 외향으로 수평의 날개 형상의 판형태 림부분(611); 및 상하의 림부분들의 안쪽을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중앙부분(6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분(612)은 막혀진 부분과 횡방향으로 터진 공간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막혀진 부분에는 고정손잡이(65)가 결합되고, 터진 공간부분으로 가압회동부(63)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압회동부(63)는, 판형태 림부분(611)의 상하 부분에 각각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고, 상기 표시부가압부(64)는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되면서 함께 회동되며, 삽입링부(61) 내부의 원형 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표시부가압부(64)의 형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표시부(20)의 종방향으로 가압하여 표시부(20)가 안쪽으로 잘 우그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을 제공한다.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ring portion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 pressurized rotating part pivoted about one side of the insertion ring part;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unit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to press the display unit to press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to form a rod or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support unit comprises: a binding hole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coupled; And a jaw catching groov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inding hole, wherein the display portion includes a release preventing jaw position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In preventing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the display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lexible),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ortion is bent inwards or unfolded to form a circular shape,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ortion is inclined inwardly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of the display un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binding hole so as to be coupled or separ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inding hole of the base portion, and includes a mounting member for fixing the base portion to the ground. The installation hole is located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It provides a ground-mounted guide rods into.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bumps is formed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jaw locking groove, the height of the jaw locking groove is made of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bumps and the height of the flow space, the display unit Is bent in one direc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play bending direc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jaw engaging groove to form a flow spa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the display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e prevention jaw is provided below the jaw locking groove provides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spac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the anti-bending member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portion; And a hemispherical upper display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62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display portion 2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 pressurized pivot portion 63 pivoted about one side of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A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rotation portion 63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62 to pressurize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20 to be inwardly curved; A fixed handle 65 fixed to a blocked portion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And a press knob 66 at the end of the pressurizing pivot 63 to press the display portion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to engage or separate the display por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nd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is It has a circular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up and down, and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like rim portion of the wing shape horizontally outward; And a central portion 612 for extending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rim portion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entral portion 612 is formed of a blocked portion and a transversely exploded space portion, and a fixed handle ( 65 is coupled, the pressurized pivot portion 63 is movable to the exploded space portion, and the pressurized pivot portion 63 is centered on the pivot shafts fix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shaped rim portion 611, respectively. Rotated, the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is rotated togeth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ress rotation portion 63, is located in a circular space inside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the shape of the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is vertical It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the press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0 provides a separate coupling device for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20 is provided to be inclined in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에 결합되는 표시부 등이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유기적 구성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by including organic components that facilitate binding and separation since the main portion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display portion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main configuration.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받침부에 결합되는 표시부 하부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쉽게 결합되면서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eparture prevention jaw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coupled to the supporting unit to prevent the separation even when easily coupl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받침부에 결합된 표시부의 이탈방지턱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표시부가 차량 등에 꺾인 경우라도 표시부가 완전히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부 손상을 줄이면서 외력이 제거된 이후 표시부의 원형 복원특성이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release prevention jaw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can flow,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from being fully bent even when the display is bent in a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damage to the display and removing external force. After that, the circular rest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are improved.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표시부 내부에 변형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성하여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성이 월등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member that prevents deformation inside the display unit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unit and to restore the characteristics to its original form.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표시부와 받침부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분리결합장치를 마련함으로써 표시부와 받침부의 결합 및 분리가 아주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e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display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특히 분리결합장치를 단순하게 작동하는 것만으로도 받침부로부터 표시부를 손쉽게 분리하고 결합시킬 수 있어, 전체 교체작업이라던가 분리작업이 손쉽고 시간을 월등히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combine the display unit from the support unit by simply operat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so that the entire replacement operation or the separation operation is easy and the time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대한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대한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대한 저면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대한 측방향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표시부 아래와 받침부 사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대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 일측이 외력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 일측이 외력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록, 구부러진 방향 및 반대방향과, 이들과 직교되는 방향의 이탈방지턱 및 턱걸림홈에서의 유동공간 사이에서 나타난 현상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낱개로 내부에 결착된 휨방지부재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낱개로 내부에 결착된 휨방지부재의 분해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파이프 일체형으로 내부에 결착된 휨방지부재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파이프 일체형으로 내부에 결착된 휨방지부재 및 표시부에 대한 분해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결합되는 분리결합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분리결합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분리결합장치가 결합되어 가압됨으로써 표시부 아래가 움푹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 대한 상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분리결합장치가 결합되어 가압됨으로써 표시부 아래가 움푹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 대한 상방향 평면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분리결합장치가 결합되어 가압됨으로써 표시부 아래가 움푹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 대한 저면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 분리결합장치가 결합되어 가압됨으로써 표시부 아래가 움푹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서 받침부로부터 표시부가 이탈되기 위해, 받침부의 결착공 중앙으로 표시부 아래부분이 이동한 상태로, 받침부로부터 표시부가 분리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top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utaway view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and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support uni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ed state for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of one side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bent by the exter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bent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enomenon shown between the bent and opposite directions and the flow space in the jaw and jaw groov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m so as to enlarge the portion “B” of FIG. 9.
Figure 1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bending prevention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individually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emplary view of an exploded state of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individually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illustration of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is fixed to the inside as a pipe integral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and the display unit which are fixed to the inside as a pipe integral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ion coupling device coupled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s bent inwardly by being coupled to the ground coupling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18 is an upward plan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essed downward in a recessed state.
19 is an exemplary bottom view of a state in which a bottom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is bent inwardly by being coupled and pressed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shows th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binding hole of the support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is detached from the support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ng coupling device is coupled to and pressed under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can remove a display part from a support part in one state.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 등에서와 같이, 지면설치안내봉(10)의 아래는 도로나 주차장, 구획된 공간 등의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향으로 형광색이나 황색, 또는 빨강색 등과 같이 시인성이 있는 색상으로 도색된 표시부가 마련된다.That is,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20 attached, the bottom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ground, such as a road or parking lot, partitioned space and upward As a result, a display unit painted with a visible color such as fluorescent color, yellow color, or red color is provided.

그리하여 주차를 하거나 주행을 할 때,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경로로써 소정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지면설치안내봉(10)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지면에 설치되면서 차량이나 사람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Thus,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is provided to separate a predetermined area as a path for parking or driving or when a person moves. That is,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or person.

특히 본 발명의 지면설치안내봉(10)은 표시부분이 지면에 설치가 용이하여 빠르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와 같은 외부 추돌이 가해져도 쉽게 손상되지 않으면서 다시 복원도 용이하게 되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or detach the display portion is easy to install on the ground, and also easy to restore again without being easily damaged even when an external collision such as a car is applied, It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지면설치안내봉(10)에 대한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우선 지면설치안내봉(10)의 주요 구성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30) 및 상기 받침부(30)에 결합되고 봉형상을 이루는 표시부(20) 등을 포함한다.First of all, the main component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includes a support portion 30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display portion 20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0 to form a rod shape.

이에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30)는 대체로 납작한 형상의 둥근 원판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며 중앙으로 표시부(2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부(30)의 중앙이 다소 높은 높이를 이루고 반면 주변은 지면에 접하도록 경사진 상부면을 갖는다. 그리고 받침부(30)의 저부에는 도 3, 도 4에서처럼 다수의 형태유지살(34)이 마련되어 받침부(3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강성을 주게 된다.The support portion 30 installed on the ground has a shape close to a round disk having a generally flat shape, and the display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center.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30 has a rather high height while the periphery has an inclined top surface to contact the ground. And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ape retaining 34,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o give rigidity to prevent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30 is deformed.

따라서 차량의 바퀴에 눌려도 경사면을 타고 바퀴가 구르기 때문에 받침부(30)가 쉽게 손상되지 않고 오래도록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pressed on the wheel of the vehicle, since the wheel is rolled on the inclined surface, the support part 30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easily damaged.

이러한 받침부(30)에 결합되는 표시부(20)는 대체로 상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형상을 갖는다.The display unit 20 coupled to the supporting unit 30 has a rod shape that is generally elongated upwar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의 표시부(20)는 시인성을 갖는 표시영역에 시인성물질(예 : 페인트, 형광도료 등)이 도포될 수도 있고, 시인성물질이 도포된 테잎을 표시영역에 붙여서 사용할 수 있는 표시부재(21)가 마련된 것이다. 이에 표시부재(21)는 시인성물질이 도포된 테잎을 붙여서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테잎이 손상되었거나 색상이나 다른 시인성물질을 사용할 경우 표시영역에 붙였던 테잎을 제거한 후 다시 새로운 것을 붙여서 사용하는 등, 재사용이 양호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2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ated with a visibility material (eg, paint, fluorescent paint, etc.) on the display area having visibility, and the display area with the tape coated with the visibility material. The display member 21 which can be attached to and used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display member 21 is reused by removing a tape stuck to the display area when the tape is damaged or using a color or other visible material. This is a good one.

즉 도 2에서와 같이 마련된 예시에서와 같이 표시부(20)의 중간중간에 테잎(27)이 붙여질 수 있거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는 표시영역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표시영역에 도포된 도료가 변색되거나 벗겨진 경우 다시 도색을 하게 된다. 또한 테잎을 붙인 실시예일 때, 테잎이 손상되거나 테잎의 색상이 변색/훼손된 경우에는 표시영역에서 테잎을 떼어내고 다시 새 테잎을 붙이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a display area in which a tape 27 may be attached or a paint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isplay unit 20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paint applied to the display area is discolored or peeled off, the paint is applied again. In the tape-attached embodiment, when the tape is damaged or the color of the tape is discolored / damaged, the tape is detached from the display area and the new tape is attached again.

그리고 표시부(20)의 상부에는 반구형의 상부표시부(26)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표시부(26)는 시인성 물질이 도포되어 표시부(20)가 더욱 잘 확인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부표시부(26)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폴리우레탄 재질과 같이 내부에 기공이 많이 형성된 재질로써, 반구형 스폰지볼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반구형 상부표시부(26)는 표시부(20)의 몸체와 나사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표시부(26)는 외부면이 촉광처리를 하여 낮에는 자연광에 의해 시인성을 갖는 색상으로 멀리서도 쉽게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밤에는 촉광처리에 의한 야광물질에 의한 높은 시인성으로 멀리서도 운전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In addition, a hemispherical upper display part 26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rt 20, and the upper display part 26 is provided with a visibility material so that the display part 20 may be more clearly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upper display portion 26 is a material formed with a lot of pores therein, such as a polyurethane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damage and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mispherical sponge ball shape. The hemispherical upper display part 26 may be formed by screwing or bonding the body of the display part 20 with an adhesive. In addition, the upper display unit 26 is a tactile treatment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see it from a distance in a color having visibility by natural light during the day, and at a high visibility due to the luminous material by the tactile treatment at night It is easy to check with the naked eye.

이처럼 표시부(20) 상부의 반구형 상부표시부(26)가 외부면에는 밝은색(노란색, 빨강색, 흰색 등)이 도포되거나 촉광처리로 밤에도 잘 볼 수 있게 하여 시인성을 높이게 하고, 또한 내부는 스폰지볼 형태의 폴리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hemispherical upper display part 26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part 20 is coated with bright colors (yellow, red, white, etc.) on the outer surface, or can be easily seen at night by candles, and the visibility is increased. It is made of a polyurethane material in the form of a ball to prevent easy breakage.

또한 표시부(20)는 설치되는 도로나 지면의 여건 및 시설되는 위치의 관련 규정 등에 알맞게 하기 위해, 도 3에서처럼 표시영역이 2개 형성된 경우, 도 1 내지 여타의 도면에서처럼 표시영역이 3개 형성된 경우 등 설치 상황에 맞게 표시영역을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has two display areas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suit the relevant regulations such as the conditions of the road or ground to be installed and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and three display areas as shown in FIGS. 1 to 3. The display area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uation.

또한 도 2에서처럼 다수의 표시영역이 마련된 경우 표시부(20)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게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표시부(20)의 상부나 하부가 파손되거나 변색된 경우 해당 부분만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도 2에서처럼 표시부(2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이 표시영역에 위치되도록 하면 테잎 등에 의해 상부와 하부의 경계부분이 가려지고 상부와 하부가 테잎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re provided, the display unit 20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Whe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art 20 is damaged or discolored, only the corresponding part may be replac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unit 20 is positioned in the display area,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covered by the tape,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more firmly coupled by the tap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아울러 상기 받침부(30)는, 표시부(20)가 결합되는 결착공(3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30, the binding hole 31 to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coupled is formed.

그리하여 표시부(20)가 결착공(31)에 결합되는 것이다.Thus, the display unit 20 is coupled to the binding hole 31.

특히 표시부(20)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진 표시부(20)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서 받침부(30)에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이 또한 주요 특징인 것이다.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20 is made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it is easily coupled or separated to the support 30 in the state th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20 made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inwardly It is also a major feature.

예를 들면 표시부(20)는 실리콘재질, 우레탄재질, 폴리우레탄재질, 수지재질, 섬유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플렉서블(flexible)한 상태를 갖기 때문에 손쉽게 일측을 변형시켜 받침부(30)의 결착공(31) 내로 삽입이 가능한 것이다.For example, since the display unit 20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a urethane material, a polyurethane material, a resin material, a fiber material, and the like and has a flexible state, the display part 20 can easily be de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0. 31) It can be inserted into.

반면 표시부(20)의 아래가 받침부(30)의 결착공(31) 내로 삽입되는 것인바, 표시부(20)의 아래에는 외향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형 턱인 이탈방지턱(23)이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이탈방지턱(23)은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표시부(20)의 아래 부분의 형상이 원형을 이루면서 일그러지지 않게 형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31 of the support portion 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has a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which is a circular jaw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utward, is forme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has a property of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without being distorted as long as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not applied.

따라서 표시부(20)를 받침부(30)에 결합시킬 때, 손이나 후술되는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아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탈방지턱(23)을 비롯한 표시부(20)의 아래부분의 일측을 내향으로 일그러트려 우그러진 상태에서 표시부(20)의 아래 부분을 받침부(30)의 결착공(31)에 삽입시켜, 표시부(20)와 받침부(30)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물론 받침부(30)에서 표시부(20)를 분리할 때에도 도 19, 도 20에서처럼 손쉽게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display unit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0, it can be easily combined using a hand or a separate coupling device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low the display unit 20 includ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23.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31 of the support portion 30 in a state in which the one side of the portion is distorted inwardly, thereby making it easier to engage the display portion 20 and the support portion 30. Can be. Of course, even when the display unit 2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30, it can be easily separated as shown in Figs.

반면 받침부(30)의 결착공(31) 내부로 들어간 표시부(20)의 하부는, 이탈방지턱(23)을 비롯하여 표시부(20)의 하부가 원형 형태를 유지하려고 할 뿐, 받침부(30)에 의해 외부가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표시부(20)의 하부나 이탈방지턱(23)이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표시부(20)의 하부가 받침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표시부(20)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that enters into the binding hole 31 of the support portion 30, includ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tries to maintain a circular shape, and the support portion 30 is provided. Since the outside is blocked by the state,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20 or the departure prevention jaw 23 are not easily deformed. Therefore,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 to maintain the circular shape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unit 30,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splay unit 20 is stably maintained.

이를 위해 받침부(30)의 결착공(31) 아래 부분에는, 결착공(31)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턱걸림홈(32)이 형성된 것이다.To this e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inding hole 31 of the support part 30, the jaw catching groove 32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inding hole 31 is formed.

그리고 상기 표시부(20)에는 턱걸림홈(32)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턱(23)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20)의 이탈방지턱(23)은 받침부(30)의 턱걸림홈(32)에 위치되고, 이탈방지턱(23)의 상면이 턱걸림홈(32)의 상부면인 턱걸림면(33)에 닿게 된다. 그리하여 턱걸림면(33)에 이탈방지턱(23)이 걸려 표시부(20)가 받침부(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ng jaw 23 position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The detachment prevention jaw 23 of the display unit 20 is locat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of the support part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ment preventing jaw 23 is the upper surface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 33). Thus,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is caught on the jaw surface 33 so that the display portion 20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30.

그리하여 도 3 내지 도 6 등에서처럼 상기 이탈방지턱(23)은 결착공(31)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받침부(30)에 대해 표시부(20)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 주요 특징 중에 하나인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3 to 6, the separation preventing jaw 23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inding hole 31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from the support part 30. .

이에 더하여 상기 받침부(30)가 지면에 고정되게 하는 설치부재(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앙카볼트 등으로 되는 설치부재(40)에 의해 받침부(30) 및 표시부(20)를 비롯한 본 발명의 지면설치안내봉(10)이 지면에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tallation member 40 which allows the support part 30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includes the support part 30 and the display part 20 by the installation member 40 made of an anchor bolt or the like.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10 is to be fixed to the ground.

또한 상기 받침부(30)는 설치부재(40)가 위치되는 설치통공(35)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30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35 i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40 is located.

그리고 이러한 상기 설치통공(35)에 결합되는 덮개(5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앙카볼트 등의 설치부재(40)가 설치통공(35)에 결합되어 받침부(30)를 지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설치통공(35)에 덮개(50)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설치통공(35)이 덮개(50)로 가려지게 함으로써, 설치통공(35)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한다. 또한 설치통공(35)에 위치된 설치부재(40)가 비나 수분, 이물질 등에 오염되지 않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부재(40)를 비롯한 받침부(30)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And further comprising a cover 50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35, the installation member 40, such as anchor bolts are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35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30 to the ground In, to install the cover 50 to the through-hole 35. Thus, the installation hole 35 is covered by the cover 50,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tallation hole 35. 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member 40 located in the installation hole 35 can prevent corrosion without being contaminated with rain, moisture, and foreign matters, preventing damage to the support member 30 including the installation member 40 and the lik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To improve.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은 도 1 내지 도 7 등에서처럼 설치된 지면에 위치를 정하여 구멍을 뚫은 다음에, 표시부(20) 상부로 받침부(30)를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지면의 구멍에 맞게 받침부(30) 및 표시부(20)를 위치시키고, 구멍에 맞게 앙카 볼트 등의 설치부재(40)를 결합하여 받침부(30) 및 표시부(2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후 설치부재(40)가 결합된 설치통공(35)에 덮개(50)를 결합시킴으로써 설치통공(35) 및 설치부재(40)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때 설치통공(35)에 덮개(50)를 결합시키면, 덮개(50) 저부 내측으로 형성된 홈(52)에 앙카볼트 등의 설치부재(40)의 머리 부분이 들어가게 된다.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is way is drilled by positioning a hole on the ground installed as shown in Figures 1 to 7, and then insert the support portion 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Then, the support part 30 and the display part 20 are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hole of the ground, and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display part 20 are fixed to the ground by combining the mounting members 40 such as anchor bolts to fit the hole. . Thereafter, by coupling the cover 50 to the installation hole 35 to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40 is coupled, the damage of the installation hole 35 and the installation member 40 is prevented. At this time, when the cover 50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hole 35, the head portion of the installation member 40 such as an anchor bolt enters the groove 52 formed inside the bottom of the cover 50.

이로써 지면설치안내봉(10)의 설치과정을 완료하게 된다.This completes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10).

이후 사용 중에 차량이나 노후 등에 의해 표시부(20)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색상이 변색되는 경우에는 교체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대부분 받침부(30)의 손상보다 표시부(20)의 손상이 대부분이므로, 받침부(30)는 지면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두고, 단지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만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수선을 하게 된다.When the part of the display unit 20 is damaged or discolored due to the vehicle or the aging during use, it should be replaced. In this case, since the damage of the display unit 20 is more than the damage of the support unit 30, the support unit 30 is left as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only remove the display unit 20 from the support portion 30 to replace or replace with a new one.

이에 후술되는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받침부(30) 상측 부근인 표시부(20)의 저부가, 안쪽으로 우그러들게 한 다음에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By us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described later, the bottom of the display portion 20 nea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30 may be inclined inward, and then the display portion 20 may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30. will be.

특히 표시부(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록 표시부(20) 아래에 소정 두께를 갖는 이탈방지턱(23)에 의한 변형방지력이 있다 하여도,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면 손쉽게 우그러들게 할 수 있어 교체가 손쉽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display unit 2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even if there is a deformation preventing force due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23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under the display unit 20,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is used. It can be used to make it easier to replace, making it easier to replace.

또한 지면에 설치된 받침부(30)의 결착공(31) 내부로 표시부(20)를 결합시키는 것은, 단지 사용자가 손으로 표시부(20)의 아래부분을 안쪽으로 우그러지게 하거나,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도 17 내지 도 20에서처럼 안쪽으로 우그러지게 하여 받침부(30)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of the display unit 20 into the binding hole 31 of the support unit 30 installed on the ground, the user only to bend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 inward by hand,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17) to be inwardly curved as shown in FIGS. 17 to 20 so that i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0.

이처럼 표시부(20)를 손쉽게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기존의 받침부(30)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원 낭비도 줄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Since the display unit 20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work time can be reduced, and further, since the existing support unit 30 can be used as it is,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reducing resource waste.

아울러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은 도로나 주차장, 또는 사람들이 걸어다니는 지역에 주로 설치되며, 사람이라던가 주로 차량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특히 도 9의 예시에서처럼 자동차의 바퀴에 부딪힐 뿐만 아니라 표시부(20) 위로 바퀴가 올라타기도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is way is mainly installed in the road or parking lot, or the area where people walk,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by people or vehicles.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ure 9 not only hit the wheel of the vehicle, but also the wheel rides on the display unit 20.

따라서 이처럼 외력이 가해져도 지면설치안내봉(10)의 훼손이 거의 없도록 제안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받침부는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대체로 원형 판처럼 형성되고, 종방향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바퀴가 올라타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된다.Therefor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t should be suggested that there is almost no damage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as a generally circular plat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becaus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has a triangular shape has a structure that is not easily damaged even when the wheel is climbed.

반면 표시부(20)는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봉형상, 특히 중앙이 비어있는 수직 기둥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하여 차량이나 사람이 가하는 외력을 쉽게 받는 것이다. 이처럼 외력이 표시부(20)에 작용하더라도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 특성에 의해 잠시 우그러진다 해도 다시 복원되어 원래 형태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portion 20 has a rod shape, in particular, a vertical column shape with a hollow center as in the exampl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fore, it is easy to receive external force exerted by a vehicle or a person. In this way, even if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display unit 20, even if it is temporarily deformed by the flexible material characteristic, it is restored again to have the original shape.

특히 표시부(20)의 내부에는 표시부의 변형방지 및 원래 형태로의 복원특성이 양호하도록 하는 구성이 더 부가된다.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display unit 20 is further configured to improve the deformation preventio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rest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form.

즉 상기 표시부(20)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표시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휨방지부재(2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the display unit 20 further includes a bending preventing member 25 provided in the inner space to prevent the display unit 20 from being damaged.

이러한 휨방지부재(25)는 도 11 내지 도 14 등의 예시에서처럼 원통 형상을 갖는 표시부(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첨부도면의 예에서는 표시부(20)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를 갖는 예를 보이고 있다.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25 is provided inside the display unit 2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s in the example of FIGS. 11 to 14, and the like has an elongat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0 in the exampl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xample is shown.

기타 표시부(20) 내부면을 따라 스파이럴의 스프링 형태로 감겨지면서 휨방지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고, 단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스폰지나 솜, 다공성 우레탄이나 다공 수지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prevention member may be provided while being wound in the form of a spiral spr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display unit 20, or may be formed in a simple rod shape, or may be formed of a sponge, cotton, porous urethane, or a porous resin material.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휨방지부재(25)가 다수 개로 이루어져 표시부(20) 종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예로 보이고 있다. 그리고 휨방지부재(25)가 작은 크기의 파이프 형상을 이룸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보인 것이다. 이처럼 다수 휨방지부재(25)들이 작은 크기의 파이프 형상을 이룸으로써 자동차 바퀴 등과 같이 무거운 하중의 외력에 눌려도 휨방지부재(25)가 파이프 형상을 이루어 일측이 일그러지나 전체적인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개별 휨방지부재들이 파이프 형태를 어느 정도 회복됨으로써 전체 휨방지부재(25)를 비롯하여 표시부(20)의 형태도 원래 형태로 회복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In the exampl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shown that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25 is made up of a pluralit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0 as an example. And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25 is shown as a preferred embodiment to achieve a small size pipe shape. As such, the plurality of anti-bending members 25 form a small pipe shape, so that the anti-bending members 25 form a pipe shape even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of a heavy load such as an automobile wheel, so that one side is distorted but maintains the overall shape to some extent. Will be.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individual bending preventing members recover the pipe shape to some extent, so that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20 including the entire bending preventing member 25 is also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즉 이러한 휨방지부재(25)에 의하여 표시부(20) 및 지면설치안내봉(10)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휨방지부재(25)에 의하여 표시부(20) 및 지면설치안내봉(10)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성도 향상되는 것이다.That is, the display unit 20 and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re prevented by the bending prevention member 25,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display unit 20 and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re prevented by the bending prevention member 25. The characteristic in which (1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is also improved.

이러한 휨방지부재(25)에 있어서 도 11, 도 12에서는 낱개의 휨방지부재(25)가 표시부(20) 내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개별 휨방지부재를 표시부(20) 내면에 접착시킬 수도 있고, 또는 표시부(20)를 성형시킬 때 일체로 휨방지부재도 함께 성형되도록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FIG. 11 and FIG. 12, the individual anti-bending members 2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individual anti-bending members ar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0. Alternatively, or when the display unit 20 is molded, the bending preventing member may be integrally molded together.

또는 도 13, 도 14에서처럼 개별 휨방지부재가 내부에 형성된 파이프부재를 먼저 마련하고 이러한 파이프부재를 표시부(20) 내부에 삽입시켜 휨방지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개별 휨방지부재와 파이프부재는 접착에 의할 수도 있고 일체의 성형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지면설치안내봉 및 규정, 또는 제조과정의 편의성 등에 의해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3 and FIG. 14, a pipe member having an individual bending preventing member formed therein may be prepared first and such a pipe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display unit 20 to provide a bending preventing member. Of course, the individual anti-bending member and the pipe member may be formed by bonding or may be formed by an integral molding method. There will be.

이상에서처럼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은 전체적으로 시인성을 갖는 표시부(20)와, 표시부(2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부(30)가 마련되며, 물론 받침부(30)를 지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앙카볼트 등의 설치부재(40), 그리고 앙카볼트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50) 등이 마련된다.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20 having visibility as a whole, and a support portion 30 for fixing the display portion 20 to the ground, and of course, the support portion 30. )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member 40, such as an anchor bolt, which is not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a cover 50, etc.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anchor bolt.

이에 받침부(30)에 결합된 표시부(20)의 저부에는 원형의 링 형태로 갖는 림형상으로 외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23)이 마련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턱(23)이 받침부(30) 중앙의 결착공(31)에 대해, 결착공(31) 아래의 턱걸림홈(32)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탈방지턱(23)이 턱걸림홈(32)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23)을 비롯한 표시부(20)가 받침부(30)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것이다.In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2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0,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23 protruding outward in a rim shape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is provide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is locat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below the binding hole 31 with respect to the binding hole 31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 30, and the departure preventing jaw 23 is the jaw catching groove ( It is located in the 32 to prevent the display unit 20, including the separation prevention step 23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30.

이에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턱(23)의 두께(d)는 턱걸림홈(32)의 높이(h)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thickness d of the release preventing jaw 23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h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특히 턱걸림홈(32)의 높이(h)보다 이탈방지턱(23)의 두께(d)가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 of the release preventing jaw 23 is smaller than the height h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이러한 경우 상기 턱걸림홈(32)의 높이(h)는, 도 6의 예에서처럼 이탈방지턱(23)의 두께(d) 및 유동공간(321)의 높이(e)의 합으로 이루어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height (h)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is made of the sum of the thickness (d) of the departure stop 23 and the height (e) of the flow space 321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턱걸림홈 높이(h) = 이탈방지턱 두께(d) + 유동공간 높이(e)
Jaw Groove Height (h) = Breakaway Jaw Thickness (d) + Flow Space Height (e)

즉 턱걸림홈(32)의 종방향 높이(h)가 이탈방지턱(23)의 종방향 두께(d)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턱걸림홈(32) 내에 이탈방지턱(23)이 위치된 상태에서, 유동공간(321)의 종방향 높이(e) 만큼의 여유 공간 내에서 이탈방지턱(23)이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longitudinal height (h)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is made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thickness (d) of the departure stop 23, in the state that the departure stop 23 is locat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The departure stop 23 is movable within the clearance space as long as the longitudinal height e of the flow space 321.

대체로 표시부(20)의 아래 부분은 상부가 하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상협하광(上陜下廣)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표시부(20) 아래의 넓은 부분이 받침부(30) 결착공(31)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이탈방지턱(23)이 비록 턱걸림홈(32) 내에서 유동공간(321) 만큼의 여유 공간이 있다 하여도 표시부(20)와 받침부(30)가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잘 움직이지 않고 안정된 결합상태를 갖게 된다.In general,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beams having an upper portion narrower than the lower portion, and a wide portion under the display portion 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30. It is coup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has a free space as much as the flow space 321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since the display portion 20 and the support portion 3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does not move and has a stable coupling state.

다만 도 8, 도 9 등에서와 같이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이탈방지턱(23)이 유동공간(321) 만큼의 여유 공간 내에서 턱걸림홈(32)에서 움직이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as shown in Fig. 8, 9, etc., the departure stop 23 is mov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in the free space as much as the flow space 321.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의 표시부(20)는 재질이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작용하면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를 가졌다가 다시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성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2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lexible) material has an inwardly bent inwar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agai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gain Has the property of being.

다만 턱걸림홈(32) 내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턱(23)은 일측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함으로써 표시부(20)와 받침부(30)의 분리됨을 방지하는 것이다.However,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positioned in the jaw catching groove 32 i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upport unit 30 by maintaining the shape to some extent unless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이에 도 8, 도 9에서처럼 외력이 작용할 때 표시부(20)의 일측이 꺾이는 형태를 갖는 경우, 받침부(30)의 턱걸림홈(32) 내에서 표시부(20)의 이탈방지턱(23)의 다수 곳이 유동공간(321) 내에서 변형됨으로써 표시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8 and 9, whe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20 is b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large number of the departure prevention jaw 23 of the display unit 20 in the jaw groove 32 of the support part 30. The place is deformed in the flow space 321 to prevent damage to the display unit 20.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as follows.

즉 도 8 내지 도 10에서처럼 상기 표시부(20)가 일측 방향으로 꺾일 경우, 표시부(20)가 꺾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이탈방지턱(23)은 턱걸림홈(32) 상부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23)의 하부에 유동공간(3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10의 아래부분 양측에서처럼 유동공간(321)이 이탈방지턱(23) 아래에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20 is bent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departure prevention jaw 2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bent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to prevent the departure prevention jaw ( 23 is a flow space 32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flow space 321 is formed below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23 as shown in the lower both sides of FIG.

반면 표시부(20)가 꺾이는 방향 및 반대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의 이탈방지턱(23)은 턱걸림홈(32) 아래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23)의 상부에 유동공간(3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10의 아래부분 중앙에서처럼 유동공간(321)이 이탈방지턱(23) 상부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be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positioned below the jaw catching groove 32 so that the flow space 321 is formed above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 That is, the flow space 321 is formed on the departure stop 23 as in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FIG.

이와 같이 표시부(20)가 꺾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는 굽어짐에 의해 표시부(20) 아래 부분 및 이탈방지턱(23)을 꺾이는 부분으로 당기게 되나, 표시부의 꺾이는 방향과 반대방향 등에 직교되는 방향의 표시부(20)는 당기는 작용이 없기 때문에 이탈방지턱(23)이 그대로 있게 된다. 다만 도 9에서처럼 자동차의 바퀴 등 외부 물체에 의한 하중의 작용으로 표시부(20)가 눌리게 되어 도 10의 아래 중앙에서처럼 이탈방지턱(23)이 지면에 밀착되어 유동공간(321)이 이탈방지턱(23) 상부에 형성된다.In this way, the display unit 20 is b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thereby pu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into the bending portion, but the display uni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or the like. 20 has no pulling action, so the departure prevention jaw 23 remains intact. However, as shown in FIG. 9, the display unit 20 is pressed by the action of a load by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wheel of an automobile. As shown in the lower center of FIG. 10, the release stop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flow space 321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stop 23. ) Is formed on top.

반면 표시부(20)가 꺾이는 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표시부를 당기게 되므로 도 10의 아래 양측에서처럼 유동공간(321)이 이탈방지턱(23) 아래에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splay unit 20 pulls the display unit in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e flow space 321 is positioned below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23 as shown in the lower both sides of FIG. 10.

이처럼 이탈방지턱(23) 및 표시부(20)가 꺾이는 부분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당겨지는 만큼 표시부(20)의 꺾임현상은 적어지고 나중에 형태복원시에도 표시부의 꺾임부분이 원래 형태로 복원되는 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As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and the display unit 20 are pulled into the bent portion, the bending phenomenon of the display unit 20 is reduced as much as it is pulled,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be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the shape is restored later. Will be.

만약 턱걸림홈(32) 내에 유동공간(321)을 형성하지 않아 이탈방지턱(23)이 다소 당겨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표시부(20)의 꺾여진 부분에서는 더욱 확연하게 꺾여지게 되고 결국 표시부의 꺾여진 부분이 파손 또는 절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 유동공간이 없음에 의해서 표시부(20)의 복원특성이라던가 재사용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어 결국 표시부가 낭비될 수 있을 것이다.If the separation preventing barrier 23 cannot be pulled slightly because the flow space 321 is not formed in the jaw groove 32, the bent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is bent more clearly and eventually the bent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This may be broken or cut off. In this case, there is no flow space, and thus the resilience of the display unit 20 or the reus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us the display unit may be wasted.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에 의하면 표시부(20)의 이탈방지턱(23)이 다소 유동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받침부(30) 턱걸림홈(32) 내에 유동공간(321)으로 형성됨으로써 표시부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이를 위한 표시부(20)는 실리콘재질, 우레탄재질, 폴리우레탄재질, 수지재질, 섬유재질 등과 같이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꺾인 부분에 대한 당김 현상이 더욱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국 표시부(20)의 파손방지 및 원래 형태로의 복원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 space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23 of the display unit 20 can be somewhat flowed is the flow space 321 in the support portion 30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It is formed to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for this purpos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material, urethane material, polyurethane material, resin material, fiber material, and the like, so that the pulling phenomenon on the bent portion is made better. (20) prevents damage and restores to its original form.

이에 턱걸림홈(32)의 종방향 높이(h), 이탈방지턱(23)의 종방향 두께(d) 및 유동공간(321)의 종방향 높이(e)는, 7 : 3 ~ 6 : 1 ~ 4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h : d : e = 7 : 5 : 2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longitudinal height (h) of the jaw catching groove 32, the longitudinal thickness (d)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barrier 23 and the longitudinal height (e) of the flow space 321 is 7: 3 ~ 6: 1 ~ 4 may be formed. Therefore,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h: d: e = 7: 5: 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에서는 받침부(30)의 턱길림홈(32) 내에 위치된 표시부(20)의 이탈방지턱(23)이 유동공간(321) 만큼의 여유 공간을 갖기 때문에, 외부 충돌에 의한 꺾임 현상이 있을 때 꺾임부분에서 꺾여짐에 의한 당김현상으로 인한 파손우려가 유동공간 확보에 의해 파손의 우려를 적게 한다. 또한 이로 인하여 받침부(30) 상부에 근접된 위치의 표시부(20)가 굽혀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표시부(20)의 굽혀진 범위가 넓지 않게 된다. 이로써 외부 충돌에 의한 표시부(20)의 손상 범위가 넓지 않게 되고, 표시부(20)의 굽혀진 부분의 높이가 받침부(30)에 근접되기 때문에, 차량의 하중 등이 표시부(20)에 얼마 실리지 않고 거의 대부분 받침부(30) 및 지면으로 전달되므로, 결국 표시부(20)의 손상을 현저히 줄이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본 발명에 대한 실험에서는 거의 대부분, 받침부(30)의 상부로부터 5cm 이하의 표시부(20)에서 굽혀짐이 나타나고 이로써 표시부(20)에는 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차량의 하중이 받침부(30) 및 지면으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23 of the display unit 20 located in the jaw zigzag groove 32 of the support part 30 has a free space as much as the flow space 321. Therefore, when there is a bending phenomenon due to an external collision, there is a fear of breakage due to the pulling phenomenon due to the bending at the bending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damage by securing the flow space. In addition, because of this, the display unit 20 in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30 is bent, so that the entire bent range of the display unit 20 is not wide. As a result, the damage range of the display unit 20 due to an external collision is not widened, and the height of the bent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 approaches the support unit 30, so that the load of the vehicle or the like is not carried on the display unit 20. Since most of them are delivered to the support part 30 and the ground, it will have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damage of the display unit 20. In the exper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ending occurs in the display unit 20 that is 5 cm or less from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30. Thus, the display unit 20 has almost no damage and the load of the vehicl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 30) and to the ground.

반면 종래의 안내봉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에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거의 대부분의 종래의 안내봉은 받침부로부터 대략 13cm 이상에서 꺾이게 되어 차량에 의해 눌려지는 범위가 본 발명에 비하여 수치상으로는 최하 2.6배 이상으로 나타나나 실제로는 파손 범위라던가 파손의 정도를 보면 종래의 안내봉은 거의 재사용이 불가능한 정도로 파손됨이 시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보다 본 발명에서처럼 외부 충돌시 표시부(20)의 파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은 종래의 것보다 재사용 장점을 갖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nventional guide rods, the same effect as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obtained, and most of the conventional guide rods are bent at approximately 13 cm or more from the supporting portion so that the range pressed by the vehicle is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numerical value, it is at least 2.6 times higher than the actual value. However, the actual damage range and the degree of the damage showed that the conventional guide rods were broken to the extent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use. Therefor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an in the prior art as well as to reduce the damage of the display unit 20 during the external collision,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use than the conventional.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면설치안내봉(10)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리하여 표시부(20)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서 받침부(3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20 is made of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20 is inwardly inclined The main feature is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30.

받침부(30)에 표시부(20)를 결합시키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표시부(20)의 아래, 이탈방지턱(23) 부분을 안쪽으로 우그러트린 상태에서 받침부(30)의 결착공(31) 내부로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0, the binding hole 31 of the support unit 3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rushes the release prevention jaw 23 portion under the display unit 20 inward. You can also insert it into the inside.

또한 도 15 내지 도 20 등에서와 같은 별도의 결착도구인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표시부(20)를 받침부(3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받침부(30)에 결합된 표시부(20)는 평상시 사람들이 맨손이나 여타 작업기구로 쉽게 빼지 못하도록 마련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의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unit 30 by using a separate coupling device 60 for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s as a separate binding tool as shown in FIGS. 15 to 20. In particular, since the display unit 2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0 is provided to prevent people from being easily pulled out by bare hands or other work tools in general, the display unit from the support unit 30 us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be able to isolate 20).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지면설치안내봉의 표시부(20)에 결합되어 표시부를 가합함에 의하여, 지면설치안내봉(10)의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60)가 마련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is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nd the display unit 20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unit 3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Coupling device 60 is provided.

이러한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60)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for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as follows.

즉 도 15 내지 도 20 등에서와 같이, 지면설치안내봉의 표시부(20)가 중앙으로 삽입되는 삽입공(62)이 형성된 삽입링부(61)가 구비된다. 이러한 삽입링부(61)는 대체로 원형의 형태를 갖고 상하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고, 도면의 예에서처럼 상하측 부분으로는 외향으로 수평의 날개 형상의 판형태 림부분(611)을 갖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하의 림부분들의 안쪽을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중앙부분(612)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분(612)은 막혀진 부분과 횡방향으로 터진 공간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막혀진 부분에는 고정손잡이(65)가 결합되고, 터진 공간부분으로 후술되는 가압회동부(63)가 이동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5 to 20, the insertion portion 61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62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portion 2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to the center. The insertion ring 61 has a generally circular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up and down, and has a shape having a plate-shaped rim portion 611 of a wing shape horizontally outward as the upper and lower parts as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 . And a central portion 612 is formed to continue the inn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rim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612 is made of a blocked portion and a space portion explo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xed portion 65 is coupled to the blocked portion, the pressurized rotation portion 63 to be described later as a burst space portion is to move. .

즉 상기 삽입링부(61)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가압회동부(63)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압회동부(63)의 끝 부분에는 가압손잡이(66)가 마련된다. 또한 판형태 림부분(611)의 상하 부분에 각각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가압회동부(63)가 회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surizing pivot 63 is pivoted around one side of the insertion ring 61. And the pressing knob 66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pivot (63). In addition, the pressurizing rotation part 63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s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late-shaped rim part 611.

특히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되고 삽입공(62)에 위치되어 표시부(20) 일측을 가압하는 표시부가압부(64)가 구비되는 것으로, 표시부가압부(64)에 의해 표시부(20)의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지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display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64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portion 63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62 to press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20, and the display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by the pressing portion 64. One side will be inwardly bent.

이러한 표시부가압부(64)는 가압회동부(63)와 연결되는 것으로, 가압회동부(63)는 삽입링부(61) 중앙의 터진 공간부분을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것이다. 이에 표시부가압부(64)는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되면서 함께 회동되며, 단지 삽입링부(61) 내부의 원형 공간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표시부가압부(64)가 작은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삽입링부(61) 내부 원형 공간에만 위치되지 않고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display portion press unit 64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rotation unit 63, and the pressurizing rotation unit 63 is free to move the spaced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The display portion pressure portion 64 is rotated togeth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ressing rotation portion 63, it will be preferable to be located only in the circular space inside the insertion ring (61). Of course, when the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is made in a small form, it may be implemented not to be located only in the circular space inside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to be rotated freely.

다만 표시부가압부(64)의 형태가 첨부된 도면의 예시에서처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에는 삽입링부(61) 내부 원형 공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owever, when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long as the shape of the pressing portion 64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preferable to be located in the circular space inside the insertion ring (61).

특히 이처럼 표시부가압부(64)의 형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표시부(20)를 종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표시부(20)가 안쪽으로 잘 우그러지게 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즉 표시부(20) 종방향으로 보다 넓게 가압하기 때문에 표시부(20)의 우그러지는 현상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shape of the display portion press part 64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play portion 20 is pressuri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us, the display portion 20 is easily bent inward. That is, since the display portion 20 is pressed more wid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henomenon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20 is bent is well achieved.

이와 같이 마련되는 분리결합장치(60)의 사용실시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use embodiment of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is provided as follows.

즉 대체로 원형링형상을 이루며, 외향으로 펼쳐진 원형 원판 형태의 림부분이 상하로 마련되고, 이러한 상하 림부분을 연결하는 중앙부분이 포함되어 삽입링부(61)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삽입링부(61)는 분리결합장치(60)의 전체적인 틀을 이룬다.That is, the rim portion of the circular disk shape which is generally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and spread outward is provided up and down, and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is provided by including a central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rim portions, such an insertion ring portion 61. ) Forms the overall frame of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그리고 삽입링부(61)의 상하 림부분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가압회동부(63) 및 가압회동부(63) 일측에 고정되어 함께 회동되는 표시부가압부(64)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pressing pivot portion 63 pivoted around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rim portions of the insertion ring 61 and a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fixed to one side of the pivoting rotation portion 63 and rotated together are provided.

이에 삽입링부(61)에 고정된 고정손잡이(65)에 대해 가압회동부(63) 끝단에 마련된 가압손잡이(66)를 벌려, 표시부가압부(64)가 삽입링부(61) 내부 원형 공간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게 한다.Therefore, the pressing knob 66 provided at the end of the pressing pivot section 63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xed knob 65 fixed to the insertion ring section 61, and the display section press section 64 is one side of the circular space inside the insertion ring section 61. Position it on the edge.

그런 다음에 삽입링부(61)의 원형 공간으로 표시부(20)가 들어가도록 끼우는 것으로, 도 16에서처럼 표시부(20) 아래 부분, 즉 받침부(30) 바로 상부에 분리결합장치(60)가 위치되게 한다.Then, by inserting the display unit 20 into the circular space of the insertion ring 61,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is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unit 20, that is, just above the support unit 30 as shown in FIG. do.

이후 삽입링부(61)에 결합된 고정손잡이(65)로 가압손잡이(66)를 당기게 되면, 가압손잡이(66)가 연결된 가압회동부(63)가 회동되고, 이에 의해 도 17에서처럼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된 표시부가압부(64)가 표시부(20) 아래 부분을 안쪽으로 가압하게 된다.Then, when the pressure knob 66 is pulled by the fixed knob 65 coupled to the insertion ring 61, the pressure pivot 66 connected to the pressure knob 66 is rotated, whereby the pressure pivot ( The display portion press unit 64 connected to the 63 presses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 inward.

그리하여 도 18 내지 도 20에서처럼 표시부가압부(64)에 의해 표시부(20) 아래 부분은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Thus, as shown in FIGS. 18 to 20,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is inclined inward by the display portion pressure portion 64.

도 18, 도 19에서처럼 표시부가압부(64)에 의해 표시부(20) 아래 부분을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를 만든 다음에, 도 20에서처럼 표시부(20) 아래 부분을 받침부(30)의 결착공(31) 중앙으로 이동시킨 후,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를 들어올려 표시부(20)를 받침부(30) 및 결착공(31)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display portion makes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bent inwardly by the pressing portion 64, and then, as shown in FIG. 20, the binding hole of the support portion 30 receives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 31) After moving to the center, the display unit 20 is lifted from the support unit 30 to separate the display unit 20 from the support unit 30 and the binding hole 31.

이처럼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를 분리시키는 과정은, 단지 분리결합장치(60)를 표시부(20)에 끼운 후 양측 손잡이(고정손잡이(65)와 가압손잡이(66))를 모으는 가압을 행한 후, 분리결합장치(60) 및 표시부(20)를 들어올리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받침부(30)로부터 표시부(20)를 손쉽게 분리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As such,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play unit 20 from the supporting unit 30 only presses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to the display unit 20 and then collects both handles (fixed handle 65 and the pressurized handle 66). After the process,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and the display unit 20 are lifted up. As such, the display unit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part 30 us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물론 표시부(20)를 받침부(30)에 결합시키는 과정도, 분리결합장치(60)로 표시부(20) 아래를 안쪽으로 우그러트린 상태에서 표시부(20)의 아래부분을 받침부(30)의 결착공(31) 내에 넣는 것이다. 이처럼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하여 손쉽게 표시부(20)와 받침부(30)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를 위한 표시부(20), 받침부(30)의 형상 및 구조의 유기적 결합구성이 탁월한 특성을 갖는 것이며, 나아가 분리결합장치(60)를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표시부(20)의 분리결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Of course, the process of coupling the display unit 20 to the support unit 30 is also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20 is crushed inwardly under the display unit 20 by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of the support unit 30. It is put in the binding hole 31. As such,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upport unit 30 is easily performed by us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For this, the organic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upport unit 30 is achieved. It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furthermore, by using the separation coupling device 60, the separation coupling process of the display unit 20 can be easily perform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0 : 지면설치안내봉
20 : 표시부 21 : 표시부재
23 : 이탈방지턱 25 : 휨방지부재
26 : 상부표시부 27 : 테잎
30 : 받침부
31 : 결착공 32 : 턱걸림홈
321 : 유동공간 33 : 턱걸림면
34 : 형태유지살 35 : 설치통공
40 : 설치부재 50 : 덮개
52 : 홈 60 : 분리결합장치
61 : 삽입링부 611 : 림부분
612 : 중앙부분 62 : 삽입공
63 : 가압회동부 64 : 표시부가압부
65 : 고정손잡이 66 : 가압손잡이
10: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20: display unit 21: display member
23: departure prevention jaw 25: bending prevention member
26: upper display unit 27: tape
30: supporting part
31: Binding Hole 32: Jaw Catch Home
321: flow space 33: jaw surface
34: form maintenance 35: installation
40: mounting member 50: cover
52: groove 60: separation and coupling device
61: insertion ring 611: rim
612 center portion 62 insertion hole
63: pressurization rotating part 64: display part pressurizing part
65: fixed handle 66: pressurized handle

Claims (8)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봉형상 또는 통형상을 이루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표시부가 결합되는 결착공; 및 결착공 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턱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턱걸림홈에 위치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결착공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표시부가 받침부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하는 지면설치안내봉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시부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지거나 펴져 원형 형태를 이루며,
표시부의 하부 일측이 안쪽으로 우그러진 상태에서 받침부의 결착공 상부측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표시부의 이탈방지턱이 받침부의 결착공 상부방향에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가 지면에 고정되게 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설치부재가 위치되는 설치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통공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display unit coupled to the support unit to form a rod or cylinder.
The support portion, the binding hole coupled to the display portion; And jaw gripping groov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inding hole,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jaw positioned in the jaw locking groove,
In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is formed in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inding hole in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to prevent the display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The display un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part is bent or extended inward to form a circular shape.
When the lower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is inwardly inclin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binding hole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of the display portion is provided to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inding hole of the supporting portion,
It includes an installation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to the ground,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hole in which the installation member is located,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further comprises a cover coupled to the installation through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의 두께는 턱걸림홈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턱걸림홈의 높이는, 이탈방지턱의 두께 및 유동공간의 높이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부가 일측 방향으로 꺾일 경우, 표시부가 꺾이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이탈방지턱은 턱걸림홈 상부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의 하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고, 표시부가 꺾이는 방향 및 반대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의 이탈방지턱은 턱걸림홈 아래측에 위치되어 이탈방지턱의 상부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is formed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jaw locking groove,
The height of the jaw locking groove is made of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and the height of the flow space,
When the display portion is bent in one direc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bent is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of the jaw engaging groove so that a flow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jaw, and the display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bending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he anti-separation jaw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jaw stopping jaw is located below the jaw locking groo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휨방지부재; 및
표시부의 상부에 구비된 반구형의 상부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Bending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unit; And
A hemispherical upper display uni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s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지면설치안내봉(10)의 표시부(20)가 중앙으로 삽입되는 삽입공(62)이 형성된 삽입링부(61);
상기 삽입링부(61) 일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가압회동부(63);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되고 삽입공(62)에 위치되어 표시부(20) 일측을 가압하여 안쪽으로 우그러지게 하는 표시부가압부(64);
상기 삽입링부(61) 일측의 막혀진 부분에 고정된 고정손잡이(65); 및
상기 가압회동부(63)의 끝 부분에는 가압손잡이(66);
를 포함하여 지면설치안내봉의 표시부를 가압하여, 지면설치안내봉의 받침부로부터 표시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며,
상기 삽입링부(61)는 원형의 형태를 갖고 상하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고,
상기 삽입링부(61)는, 상하측 부분으로는 외향으로 수평의 날개 형상의 판형태 림부분(611); 및
상하의 림부분들의 안쪽을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중앙부분(6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분(612)은 막혀진 부분과 횡방향으로 터진 공간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막혀진 부분에는 고정손잡이(65)가 결합되고, 터진 공간부분으로 가압회동부(63)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압회동부(63)는, 판형태 림부분(611)의 상하 부분에 각각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고,
상기 표시부가압부(64)는 가압회동부(63)에 연결되면서 함께 회동되며, 삽입링부(61) 내부의 원형 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표시부가압부(64)의 형태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표시부(20)의 종방향으로 가압하여 표시부(20)가 안쪽으로 잘 우그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설치안내봉용 분리결합장치.
An insertion ring portion 61 having an insertion hole 62 into which the display portion 20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1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A pressurized pivot portion 63 pivoted about one side of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A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rotation portion 63 and positioned in the insertion hole 62 to pressurize one side of the display portion 20 to be inwardly curved;
A fixed handle 65 fixed to a blocked portion of one side of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And
An end of the pressurizing pivot (63) at a pressurizing handle (66);
Press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including, to combine or separate the display portion from the base of the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has a circular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up and down,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is a plate-like rim portion 611 of the wing shape horizontally outwar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 central portion 61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rim portions,
The central portion 612 is composed of a blocked portion and a space portion explo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xed portion 65 is coupled to the blocked portion, the pressurizing rotation portion 63 is provided to be movable to the blown space portion. ,
The pressurizing rotation unit 63 is rotated around a rotation shaft fix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shaped rim portion 611, respectively.
The display portion press portion 64 is rotated togeth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pressurizing rotation portion 63, and is located in a circular space inside the insertion ring portion 61,
Separating device for a ground installation guide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64, the display portion 20 is bent inwardly by pre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ortion 20 .
삭제delete
KR1020130025966A 2013-03-12 2013-03-12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KR101348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66A KR101348182B1 (en) 2013-03-12 2013-03-12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66A KR101348182B1 (en) 2013-03-12 2013-03-12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182B1 true KR101348182B1 (en) 2014-01-07

Family

ID=5014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966A KR101348182B1 (en) 2013-03-12 2013-03-12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10B1 (en) *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파트너스 Enhanced visibility and a light emitting load lane regulation b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32A (en) * 2002-01-09 2003-05-09 최기주 Lane-dividing pole
KR20070057098A (en) * 2007-03-09 2007-06-04 주식회사 세기텍 Regulating pole for a traffic lane
KR100969451B1 (en) * 2009-11-23 2010-07-14 (주)고려진공안전 A road line safety pillar for regulating traffic lane
KR20110114923A (en) * 2010-04-14 2011-10-20 (주)에덴공사 Traffic lane regulating post and fix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732A (en) * 2002-01-09 2003-05-09 최기주 Lane-dividing pole
KR20070057098A (en) * 2007-03-09 2007-06-04 주식회사 세기텍 Regulating pole for a traffic lane
KR100969451B1 (en) * 2009-11-23 2010-07-14 (주)고려진공안전 A road line safety pillar for regulating traffic lane
KR20110114923A (en) * 2010-04-14 2011-10-20 (주)에덴공사 Traffic lane regulating post and fix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10B1 (en) *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파트너스 Enhanced visibility and a light emitting load lane regulation 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1323A2 (en) Support cap for thin and/or high heels on women's shoes
KR101348182B1 (en) Guide bar which is established on the ground
CN105008619A (en) Delineator post having restoration function
KR100756544B1 (en) A road line safety pillar
KR101573765B1 (en) Tubular markers of road
KR101379245B1 (en) A blinker device
KR100997901B1 (en) The vehicle control bollard having changeable reflection bands
DE4225802C2 (en) Rim protection for vehicle wheels to be provided with anti-skid chains
KR100594730B1 (en) By by hand ballard for ascent and descent vehicles entry interception that is descended
KR200392250Y1 (en) Street Lamp Housing Attachable Structure
KR101645706B1 (en) Bollard and manufacturing methods
KR100906411B1 (en) Glance guide bar
KR200451407Y1 (en) Bollard having shock absorber
KR101092347B1 (en) Grass protection mat
KR100950544B1 (en) Cable fixing device for streetlight
KR200470254Y1 (en) Road Marker by Up-down construction method
KR101027802B1 (en) Roadstud
KR20090045456A (en) A rood stud
KR101067811B1 (en) A Road Stud with standing side impacts closing the road
KR200446914Y1 (en) A safety device for Street
EP3029202A1 (en) Modular metallic retaining device for roadways, module and installation method
CN216341409U (en) Light steel structure is rail guard for factory building
US20120011755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0222498Y1 (en) Lane Regulator
KR200359987Y1 (en) By by hand ballard for ascent and descent vehicles entry interception that is descend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