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036B1 -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 Google Patents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036B1
KR101348036B1 KR1020120128967A KR20120128967A KR101348036B1 KR 101348036 B1 KR101348036 B1 KR 101348036B1 KR 1020120128967 A KR1020120128967 A KR 1020120128967A KR 20120128967 A KR20120128967 A KR 20120128967A KR 101348036 B1 KR101348036 B1 KR 10134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hot water
water
water stor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토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24H4/04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급탕장치에 있어서 압력 릴리프 밸브의 수를 삭감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한다.
(해결수단) 급탕장치(10)는 저탕탱크(32)와; 저탕탱크(3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34)과; 저탕탱크(32)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저탕탱크(32)에서 온수를 출탕하는 급탕관(36)과; 상류측이 저탕탱크(32)의 상부(32a)와 하부(32b)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저탕탱크(32)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를 개방하는 단일의 압력 릴리프 밸브(38)와; 저탕탱크(32)의 상부(32a)와 압력 릴리프 밸브(38)를 접속하는 관로(40)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통과하는 것을 금지하는 온수차단밸브(4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HOT WATER SUPPLY DEVICE HAVING HOT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급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급탕장치는 저탕탱크와, 저탕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저탕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저탕탱크에서 온수를 출탕하는 급탕관을 구비하고 있다.
저탕탱크 내의 물은, 가열수단에 의해서 가열되면, 팽창하여 저탕탱크 내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급탕장치에는 2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가, 즉 저탕탱크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압력 릴리프 밸브와 저탕탱크의 하부에 접속된 제 2 압력 릴리프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압력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력은 제 1 압력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력보다도 낮게 되어 있으며, 저탕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에, 제 2 압력 릴리프 밸브가 우선적으로 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탕탱크의 하부에 존재하는 냉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저탕탱크의 상부에 존재하는 온수를 배출한다고 하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10-243121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급탕장치는 2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즉, 저탕탱크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압력 릴리프 밸브와 저탕탱크의 하부에 접속된 제 2 압력 릴리프 밸브)를 필요로 한다. 압력 릴리프 밸브는 비교적 값이 비싸다는 점에서, 2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필요로 하는 구성에서는 급탕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저탕탱크의 상부에 접속된 제 1 압력 릴리프 밸브는, 비어 있는 저탕탱크를 물로 채워갈 때 등에 있어서 저탕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것이므로, 이것을 단순히 삭감할 수는 없다. 또, 저탕탱크의 하부에 접속된 제 2 압력 릴리프 밸브에 대해서도, 이것을 삭감하면, 저탕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에, 저탕탱크의 상부에서 가열수단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된다고 하는 손실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2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이용하는 것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1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삭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급탕장치는, 저탕탱크와; 저탕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저탕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저탕탱크에서 온수를 출탕하는 급탕관과; 상류측이 저탕탱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저탕탱크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를 개방하는 단일의 압력 릴리프 밸브와; 저탕탱크의 상부와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접속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통과하는 것을 금지하는 온수차단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급탕장치에서는 단일의 압력 릴리프 밸브가 저탕탱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만, 저탕탱크의 상부에 대해서는 온수차단밸브를 통해서 압력 릴리프 밸브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급수관을 통해서 비어 있는 저탕탱크를 물로 채워갈 때에는 저탕탱크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저탕탱크의 상부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를 통해서 배출된다. 온수차단밸브는 밸브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저온의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 후, 저탕탱크 내의 물이 가열수단에 의해서 가열되어 저탕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가면, 저탕탱크의 하부에 존재하는 냉수가 저탕탱크의 하부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를 통해서 우선적으로 배출된다. 이 단계에서는 저탕탱크의 상부에 온수가 존재하고 있어, 온수차단밸브가 밸브를 폐쇄하여 온수의 통과를 금지하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서, 저탕탱크의 상부에서 가열수단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된다고 하는 낭비를 피할 수 있다.
상기한 급탕장치에 있어서, 저탕탱크의 상부와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접속하는 제 1 릴리프 관과 저탕탱크의 하부와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접속하는 제 2 릴리프 관의 합류위치는 저탕탱크의 상부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급수관을 통해서 비어 있는 저탕탱크를 물로 채워갈 때에, 제 2 릴리프 관에서 제 1 릴리프 관으로 물이 유입되는 일 없이, 저탕탱크 내의 공기를 최후까지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이용하는 급탕장치와 비교하여, 그 이점을 유지하면서 적어도 1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급탕난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저탕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관도
도 3은 급수관을 통해서 비어 있는 저탕탱크를 물로 채워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저탕탱크에 충전된 물을 가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급탕장치는 저탕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서 히트 펌프, 연료전지, 발전기, 태양광, 가스 열원기(熱源機), 전기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급탕장치는 저탕탱크에서 출탕된 온수를 더 가열하는 보조 열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열원기는 기체연료를 연소하는 가스 열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급탕장치는 급탕기능에 더하여 난방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탕탱크에 저장된 온수의 열을 난방기능에서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인 급탕난방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탕난방장치(10)는 주로 히트 펌프 유닛(20)과 저탕 유닛(30)과 급탕 난방 유닛(66)과 난방 단말(78)을 구비하고 있다.
저탕 유닛(30)은 온수를 저장하는 저탕탱크(32)를 가지고 있다. 저탕탱크(32)의 용량은, 일례로서 50리터이다. 저탕 유닛(30)에는 저탕탱크(32)에 물{상수(上水)}을 공급하는 급수관(34)과, 저탕탱크(32)에서 온수를 출탕하는 급탕관(36)이 접속되어 있다.
히트 펌프 유닛(20)은 대기중에서 채열(採熱)하여 저탕탱크(32)의 온수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이다. 히트 펌프 유닛(20)은 축열 이송관(22)과 축열 복귀관(24)을 통해서 저탕 유닛(30)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탱크(32)의 온수는 축열 이송관(22)을 통해서 히트 펌프 유닛(20)으로 이송되고, 히트 펌프 유닛(20)에서 가열된 후에 축열 복귀관(24)를 통해서 저탕탱크(32)로 되돌려진다. 이것에 의해서, 저탕탱크(32)에 온수를 축적할 수 있다. 저탕탱크(32)의 온수는 급탕관(36)을 통해서 수도꼭지 등의 급탕 개소로 보내진다. 또한, 급탕난방장치(10)는 히트 펌프 유닛(20)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연료전지, 발전기, 태양광, 전기히터 등의 다른 열원에 의해서 저탕탱크(32)의 물을 가열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급탕 난방 유닛(66)은 도시가스 등의 기체연료를 연소시키는 가스 열원기이다. 급탕 난방 유닛(66)은 가열 이송관(62)과 가열 복귀관(64)을 통해서 급탕관(36)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탱크(32)의 온수가 소진되었을 경우 혹은 저탕탱크(32)의 온수의 온도가 부족한 경우, 급탕관(36)의 온수는 가열 이송관(62)을 통해서 급탕 난방 유닛(66)으로 이송된다. 급탕 난방 유닛(66)으로 이송된 온수는 급탕 난방 유닛(66)에서 가열된 후에 가열 복귀관(64)을 통해서 급탕관(36)으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급탕 난방 유닛(66)은 저탕탱크(32)에서 출탕된 온수를 더 가열하기 위한 보조 열원기로서 기능한다. 혹은, 급탕 난방 유닛(66)에서 가열된 온수는 욕조 복귀관(72)을 통해서 욕조(68)에 공급된다. 즉, 욕조(68)도 급탕 개소의 하나이다.
급탕 난방 유닛(66)은 욕조(68)의 온수를 순환 가열하는(즉, 식은 목욕물을 다시 데우는) 열원기이기도 하다. 급탕 난방 유닛(66)은 욕조 이송관(70)과 욕조 복귀관(72)을 통해서 욕조(68)에 접속되어 있다. 욕조(68)의 온수는 욕조 이송관(70)을 통해서 급탕 난방 유닛(66)으로 이송되고, 급탕 난방 유닛(66)에서 가열된 후에 욕조 복귀관(72)를 통해서 욕조(68)로 되돌려진다. 온수의 순환은 급탕 난방 유닛(66)의 욕조 펌프(도시생략)에 의해서 실시된다. 또한, 급탕난방장치(10)의 내부에 있어서, 욕조(68)의 온수를 순환시켜서 가열하는 경로는, 위생면을 고려하여 상기한 급탕관(36)의 온수를 순환시켜서 가열하는 경로로부터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다.
급탕 난방 유닛(66)은 난방 단말(78)의 열매체를 순환시켜서 가열하는 열원기이기도 하다. 난방 단말(78)이란, 일례로서 온수 마루 난방 패널이나 욕실 난방기이다. 급탕 난방 유닛(66)은 난방 이송관(76)과 난방 복귀관(74)을 통해서 난방 단말(78)에 접속되어 있다. 난방 이송관(76)과 난방 복귀관(74)의 내부에는 열매체(본 실시예에서는 부동액)가 봉입되어 있다. 난방 단말(78)의 열매체는 난방 이송관(76)을 통해서 급탕 난방 유닛(66)으로 이송된다. 난방 이송관(76)은 저탕 유닛(30)을 경유하고 있으며, 저탕탱크(32)의 온수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후, 열매체는 급탕 난방 유닛(66)에서 더 가열되어 난방 복귀관(74)을 통해서 난방 단말(78)로 되돌려진다. 이 열매체의 순환은 급탕 난방 유닛(66)의 난방 펌프(도시생략)에 의해서 실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저탕 유닛(3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탕 유닛(30)은 원기둥 형상의 저탕탱크(32)를 구비하고 있다. 저탕탱크(32)의 하부(저면)(32b)에는 급수관(34)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관(34)의 타단은 상수도(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탱크(32)에는 급수관(34)을 통해서 상수가 공급된다. 급수관(34)에는 역지밸브나 감압밸브(46)가 설치되어 있다.
저탕탱크(32)의 상부(상면)(32a)에는 급탕관(36)이 접속되어 있다. 급탕관(36)의 타단은 수도꼭지 등의 급탕 개소(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탱크(32) 내의 온수는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서 출탕되어 급탕관(36)을 통해서 급탕 개소에 공급된다. 또한, 도 2∼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탕탱크(32)의 하부(32b)에는 축열 이송관(22)이 접속되어 있고,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는 축열 복귀관(24)이 접속되어 있다{축열 이송관(22) 및 축열 복귀관(24)에 대해서는 도 1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탕 유닛(30)은 압력 릴리프 밸브(38)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38)는 제 1 릴리프 관(40)을 통해서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 2 릴리프 관(44)을 통해서 저탕탱크(32)의 하부(32b)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38)는 저탕탱크(32)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이면 밸브를 폐쇄하고, 저탕탱크(32)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서, 압력 릴리프 밸브(38)는 저탕탱크(32) 내의 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압력 릴리프 밸브(38)의 설정압력은 조정할 수 있다.
제 1 릴리프 관(40)에는 온수차단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온수차단밸브(42)는 서모 밸브라고도 하며, 통과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밸브이다. 온수차단밸브(42)는 설정온도 이하의 물이 통과하는 것은 허용하고, 설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통과하는 것을 금지한다. 온수차단밸브(42)의 구성은 공지이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249715호 공보에서도 "열탕차단밸브"로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차단밸브(42)의 설정온도는 분위기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이고, 저탕탱크(32)에 축적되는 온수의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 설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5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탕 유닛(30)에서는 단일의 압력 릴리프 밸브(38)의 상류측(입구측)이 저탕탱크(32)의 상부(32a)와 하부(3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 대해서는 온수차단밸브(42)를 통해서 압력 릴리프 밸브(38)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저탕탱크(32)의 하부(32b)에 대해서는 온수차단밸브(42)를 통하는 일 없이 압력 릴리프 밸브(38)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관(34)을 통해서 비어 있는 저탕탱크(32)를 물로 채워갈 때에는 저탕탱크(32)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38)를 통해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저탕탱크(32) 내는 저온이고, 이것에 의해서 온수차단밸브(42)는 밸브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비어 있는 저탕탱크(32)를 물로 채워갈 때에는, 압력 릴리프 밸브(38)의 설정압력을 급수압력{감압밸브(46)의 설정압력}보다도 낮게 설정해 둔다.
여기서, 제 1 릴리프 관(40)과 제 2 릴리프 관(44)의 합류위치(43)는 제 1 릴리프 관(40)이 접속되어 있는 저탕탱크(32)의 상부(32a)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서, 급수관(34)을 통해서 비어 있는 저탕탱크(32)를 물로 채워갈 때에, 제 2 릴리프 관(44)에서 제 1 릴리프 관(4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저탕탱크(32) 내의 공기를 최후까지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제 1 릴리프 관(40)과 제 2 릴리프 관(44)의 합류위치(43)는 반드시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 대해서 상측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 2 릴리프 관(44)에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두어도 좋고, 제 1 릴리프 관(40)에 역지밸브를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이러한 밸브를 설치함에 의해서도, 비어 있는 저탕탱크(32)를 물로 채워갈 때에 제 2 릴리프 관(44)에서 제 1 릴리프 관(40)으로의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저탕탱크(32)를 물로 채운 후에는, 저탕탱크(32) 내의 물을 히트 펌프 유닛(20)에 의해서 가열한다. 저탕탱크(32) 내의 물을 가열하여 가면, 저탕탱크(32) 내의 압력도 상승하여 간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탕탱크(32)의 하부(32b)에 존재하는 냉수가 저탕탱크(32)의 하부(32b)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38)를 통해서 우선적으로 배출된다. 즉,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서 온수가 배출되는 일이 없다. 이 단계에서는,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 온수가 존재하고 있어, 온수차단밸브(42)가 밸브를 폐쇄하여 온수의 통과를 금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저탕탱크(32) 내의 온수를 가열하여 나갈 때에는 압력 릴리프 밸브(38)의 설정압력을 급수압력{감압밸브(46)의 설정압력}보다도 높게 설정해 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 의하면, 저탕탱크(32)에 물을 채워갈 때에는 저탕탱크(32) 내의 공기를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서 확실하게 배출하고, 저탕탱크(32) 내의 물을 가열하여 나갈 때에는 저탕탱크(32) 내의 냉수를 저탕탱크(32)의 하부(32b)에서 배출한다. 이것에 의해서, 저탕탱크(32)의 상부(32a)에서 히트 펌프 유닛(20)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된다고 하는 손실을 피할 수 있다. 또, 종래에는 2개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이용하여 실현되었던 구성이 단일의 압력 릴리프 밸브(38)에 의해서 실현되었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서는 에너지 절약 대책이 더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탕탱크(32)는 단열재(48)로 덮여져 있어 저탕탱크(32)로부터의 방열이 억제되어 있다. 그러나, 저탕탱크(32)를 단열재(48)로 덮었다 하더라도, 저탕탱크(32)의 열은 저탕탱크(32)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56)를 타고서 저탕 유닛(30)의 프레임(52)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저탕 유닛(30)에서는, 저탕탱크(32)와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56)와의 사이에 단열재(58)를 개재하고 있다. 또한, 지지 다리부(56)와 이것이 고정되는 프레임(52)과의 사이에도 단열재(54)를 개재하고 있다. 이들 단열재(54,58)에 의해서 저탕탱크(32)에서 지지 다리부(56)나 프레임(52)으로 전달되는 방열을 억제할 수 있다. 단열재(54,58)를 형성하는 재료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열전도율의 낮은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발포성 수지나 고무재료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고, 출원시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고, 그 중의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가지는 것이다.
10 - 급탕난방장치(급탕장치) 20 - 히트 펌프 유닛
30 - 저탕 유닛 32 - 저탕탱크
32a - 저탕탱크의 상부 32b - 저탕탱크의 하부
34 - 급수관 36 - 급탕관
38 - 압력 릴리프 밸브 40 - 제 1 릴리프 관
42 - 온수차단밸브 44 - 제 2 릴리프 관
43 - 제 1 릴리프 관과 제 2 릴리프 관의 합류위치

Claims (2)

  1. 저탕탱크와,
    상기 저탕탱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저탕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저탕탱크에서 온수를 출탕하는 급탕관과,
    상류측이 상기 저탕탱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저탕탱크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를 개방하는 단일의 압력 릴리프 밸브와,
    상기 저탕탱크의 상부와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접속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통과하는 것을 금지하는 온수차단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탕탱크의 상부와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접속하는 제 1 릴리프 관과 상기 저탕탱크의 하부와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접속하는 제 2 릴리프 관이 합류하는 합류위치는, 상기 제 1 릴리프 관이 상기 저탕탱크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장치.
KR1020120128967A 2012-11-14 2012-11-14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KR10134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67A KR101348036B1 (ko) 2012-11-14 2012-11-14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967A KR101348036B1 (ko) 2012-11-14 2012-11-14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036B1 true KR101348036B1 (ko) 2014-01-03

Family

ID=5014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967A KR101348036B1 (ko) 2012-11-14 2012-11-14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0829A (zh) * 2017-05-05 2017-09-01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单水箱恒温供水的控制系统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047A (ja) 2004-11-16 2006-06-08 Sanyo Electric Co Ltd 貯湯式温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047A (ja) 2004-11-16 2006-06-08 Sanyo Electric Co Ltd 貯湯式温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0829A (zh) * 2017-05-05 2017-09-01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单水箱恒温供水的控制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126A1 (en) Structured hot water demand flow control system with expansion tank
CN207922926U (zh) 熔融盐管路系统以及太阳能发电站
KR101348036B1 (ko) 저탕탱크를 가지는 급탕장치
US7020386B2 (en) Recreational vehicle water heater
CN207515028U (zh) 一种供暖和生活热水集成的中央热水装置
JP2018031520A (ja) 貯湯給湯装置
JP5921416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給湯設備
JP5439444B2 (ja) 貯湯タンクを有する給湯装置
CN102494406A (zh) 一种太阳能热水系统及其水温加热方法
JP5671304B2 (ja) 熱源装置
KR101542199B1 (ko) 저수식 열회수 보일러
JPS6273033A (ja) 給湯システム
CN107620999A (zh) 一种供暖和生活热水集成的中央热水装置
JP6152659B2 (ja) 給湯装置
JP6182732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2350060B1 (ko) 가열 장치
US20100258062A1 (en) Cold water pre-heater
JP2013213598A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TWI716905B (zh) 電熱水器構造
JP2007147263A (ja) 貯湯ユニット
JP2019035514A (ja) 給湯給水管及び給湯システム
JP2009019802A (ja) 貯湯式給湯機
JP6667161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1012905A (ja) 熱供給設備
JP200901980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