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929B1 -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929B1
KR101347929B1 KR1020110146731A KR20110146731A KR101347929B1 KR 101347929 B1 KR101347929 B1 KR 101347929B1 KR 1020110146731 A KR1020110146731 A KR 1020110146731A KR 20110146731 A KR20110146731 A KR 20110146731A KR 101347929 B1 KR101347929 B1 KR 10134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ghting
analog control
control signa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024A (ko
Inventor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Priority to KR102011014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9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통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통신부 및 제1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해석하여 아날로그(analog)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 조명장치는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통신부가 조명장치와 별도로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조명장치를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새로 개발하거나 각각을 인증 받을 필요가 없어, 조명장치의 개발시간 및 개발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LIGHTING SYSTEM USING OPTOSEMICONDUCTOR}
본 발명은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조광을 할 수 있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 시스템은 조작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온(on)/오프(off)되거나 휘도가 조절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통신수단을 통해 휘도뿐만 아니라 조명색 등이 조절되고 있다. 특히, 최근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제품에는 에너지 절감, 감성 조명 등의 목적으로 여러 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조광을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개발된 LED 조명장치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구비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에 따라 네트워크(network)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프로토콜이 하나가 아니라 다양하므로, 각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SMPS를 개발하여야 하고, 각각에 대해서 인증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각 통신 프로토콜마다 SMPS를 개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통신부 및 제1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해석하여 아날로그(analog)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는 아날로그 디밍신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1 출력포트로 제공하는 제1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제1 전원모듈 및 제1 조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모듈은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조광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조명모듈은 상기 제1 전원모듈로부터 인가된 상기 조명 구동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제1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2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1 조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통신부 및 복수의 제1 조명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해석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제1 조명장치들은 각각의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각각 제어된다.
상기 제1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제1 조명장치들의 제1 출력포트들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2 조명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1 출력포트로 제공하는 제1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 각각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채널들별로 각각 제어되는 아날로그 디밍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통신부들 및 복수의제1 조명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들은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각각 인가받아 해석하여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1 조명장치들은 각각의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각각 제어된다.
상기 제1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제1 조명장치들의 제1 출력포트들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2 조명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통신부들로 상기 신호들을 각각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들 각각은 고유의 주소값(adress)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들의 주소값을 통해 상기 통신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에 따르면, 외부의 신호를 해석하여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가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의해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조명장치와 별도로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를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새로 개발하거나 각각을 인증 받을 필요가 없어, 상기 조명장치의 개발시간 및 개발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를 확대해서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조명장치(100), 통신부(200A), 제어부(300) 및 전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통신부(200A)로부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광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조광특성이 제어된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복수개, 예를 들어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00A)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해석하여 아날로그(analog)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통신부(200A)는 상기 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통신 제어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부(200A)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통신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제어신호는 여러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200A)는 상기 통신 제어신호가 어느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어떤 내용의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해석할 수 있는 신호해석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통신부(200A) 및 상기 조명장치(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통신부(200A) 및 상기 조명장치(100)로 직류전원을 직접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통신부(200A) 및 상기 조명장치(100)로 교류전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부(400)가 상기 교류전원을 제공할 경우, 상기 통신부(200A) 및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할 수 있는 전원변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4개의 조명장치들(100) 각각을 제1, 제2, 제3 및 제4 조명장치들로 명명할 때, 상기 통신부(200A) 하나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조명장치들을 시리얼(serial)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200A)가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조명장치로 제공하면,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조명장치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는 상기 제2 내지 제4 조명장치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2 내지 제4 조명장치들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를 확대해서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2을 우선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00)는 입력포트(110), 출력포트(120), 전원포트(130), 전원모듈(140) 및 조명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포트(110)는 상기 통신부(20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신부(200A)로부터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다시 상기 출력포트(120) 및 상기 전원모듈(140)로 각각 제공한다.
상기 출력포트(120)는 외부의 조명장치의 입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포트(110)에서 제공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의 조명장치의 입력포트로 제공한다.
상기 전원포트(130)는 상기 전원부(130)로부터 구동전원, 예를 들어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원모듈(140)로 제공한다.
상기 전원모듈(140)는 상기 입력포트(110)에서 제공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을 제어 입력단을 통해 인가받아 제어되고, 상기 전원포트(130)에서 제공된 상기 구동전원을 전원 입력단을 통해 인가받아 구동된다. 상기 전원모듈(140)은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조명모듈(150)의 구동시키기 위한 조명 구동신호를 조명 출력단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모듈(140)로 제공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는 아날로그 디밍신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날로그 디밍(dimming)신호는 0~10 디밍신호 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디밍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모듈(140)는 상기 전원포트(130)에서 인가된 전원이 교류전원인 경우,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하는 컨버터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150)은 상기 전원모듈(140)로부터 인가된 상기 조명 구동신호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된 광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조명모듈(150)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전계 광반도체 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 구동신호는 PWM 방식으로 상기 조명모듈(1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입력포트(110)에서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출력포트(120)로 제공하는 신호 증폭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는 도선을 통해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전압감소(voltage drop)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전압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력포트(110) 및 상기 출력포트(120) 사이에 상기 신호 증폭기(160)를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포트(110), 상기 출력포트(120), 상기 전원포트(130)는 상기 전원모듈(140)을 수용하는 전원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지만, 상기 조명장치(100)을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신호를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통신부(200A)가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의해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상기 조명장치(100)와 별도로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00) 자체에서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상기 조명장치(100)를 각종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새로 개발하거나, 이렇게 새로 개발된 조명장치 각각을 다시 인증 받을 필요가 없게 되어, 상기 조명장치(100)의 개발시간 및 개발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포트(110) 및 상기 출력포트(120) 사이에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상기 신호 증폭기(160)가 배치됨에 따라, 상기 입력포트(110)로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가 상기 출력포트(120)를 통해 출력될 때 전압감소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조명장치들(100), 통신부(200B), 제어부(300) 및 전원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장치(1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명장치(100), 제어부(300) 및 전원부(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200B)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해석하여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통신부(200B)는 상기 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통신 제어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채널들을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상기 조명장치들(100) 각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장치들(100)의 개수가 4개일 경우, 상기 통신부(200B)의 채널수도 4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들 별로 출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200B)는 채널들 별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조명특성을 갖도록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00B)는 상기 채널들 모두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들(100) 모두를 제어할 수도 있지만, 상기 채널들 중 일부만을 통해 상기 조명장치들(100)의 일부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부(200B)의 채널들 각각이 복수개의 조명장치들(100)을 시리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00B)의 각 채널이 3개의 조명장치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신부(200B)가 모두 12개의 조명장치들(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200B)가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병렬 또는 직병렬로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신부(2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200B)가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병렬 또는 직병렬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통신부(200B) 하나에서 제어되는 상기 조명장치들(100)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조명장치들(100), 복수의 통신부들(200C), 제어부(300) 및 전원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장치(1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명장치(100), 제어부(300) 및 전원부(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부들(200C) 각각은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해석하여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통신부들(200C) 각각은 상기 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통신 제어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장치들(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들(200C)의 개수는 3개일 수 있고, 상기 통신부들(200) 각각은 3개의 조명장치들(100)을 시리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들(200C) 각각은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병렬 또는 직병렬로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00)에서 출력되어 상기 통신부들(100C) 각각으로 제공되는 상기 통신 제어신호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들(200C)는 상기 통신 제어신호들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블록별로 서로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들(200C) 각각은 서로 고유한 주소값(adress)을 갖고 있어,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통신부들(200C) 모두를 제어하거나 선택적으로 일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200C)가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이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블록별로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신부(2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200C)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조명장치들(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 하나가 상기 통신부들(200C)를 통해 상기 조명장치들(100)을 블록별로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조명장치 110 : 입력포트
120 : 출력포트 130 : 전원포트
140 : 전원모듈 150 : 조명모듈
160 : 신호 증폭기
200A, 200B, 200C : 통신부 300 : 제어부
400 : 전원부

Claims (17)

  1. 외부의 제어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 제어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제어신호가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어느 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인지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통신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아날로그(analog)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부; 및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1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2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1 출력포트로 제공하는 제1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는
    아날로그 디밍신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는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조광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원모듈 및
    상기 제1 전원모듈로부터 인가된 상기 조명 구동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키는 제1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1 조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8. 외부의 제어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 제어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제어신호가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어느 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인지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통신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추출하며,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통신부; 및
    각각의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각각 제어되는 복수의 제1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조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들의 제1 출력포트들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2 조명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제1 출력포트로 제공하는 제1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 각각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채널들별로 각각 제어되는 아날로그 디밍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시스템.
  13. 외부의 제어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 제어신호들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통신 제어신호들 각각이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어느 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인지 각각 파악한 후, 상기 파악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상기 통신 제어신호들을 각각 해석하여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들을 각각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제어정보들에 각각 대응되는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의 통신부들; 및
    각각의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각각 제어되는 복수의 제1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조명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들 각각은
    상기 제1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장치들의 제1 출력포트들을 통해 출력된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을 각각 인가받고, 상기 아날로그 제어신호들에 따라 조광특성이 제어되는 제2 조명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들로 상기 신호들을 각각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들 각각은 고유의 주소값(adress)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들의 주소값을 통해 상기 통신부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20110146731A 2011-12-30 2011-12-30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34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31A KR101347929B1 (ko) 2011-12-30 2011-12-30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31A KR101347929B1 (ko) 2011-12-30 2011-12-30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24A KR20130078024A (ko) 2013-07-10
KR101347929B1 true KR101347929B1 (ko) 2014-01-09

Family

ID=4899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731A KR101347929B1 (ko) 2011-12-30 2011-12-30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72B1 (ko) * 2020-11-05 2023-03-31 용남순 프로토콜 변환 및 주소 부여형 리피터를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150A (ja) *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システム
JP2005510007A (ja) * 2001-05-30 2005-04-14 カラー・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照明システム内の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090038091A (ko) * 2007-10-15 2009-04-20 (주)세오전자 멀티통신을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KR20100104965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월드조명 조명 시스템에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개념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 통신 속도를 낮추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0007A (ja) * 2001-05-30 2005-04-14 カラー・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照明システム内の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2004119150A (ja) *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システム
KR20090038091A (ko) * 2007-10-15 2009-04-20 (주)세오전자 멀티통신을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KR20100104965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 월드조명 조명 시스템에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는 개념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기 위한 제어 신호 통신 속도를 낮추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24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4534B (zh) 对用于传感器就绪led驱动器的隔离的辅助电源和dali电源的控制
EP2026635A3 (en) Lighting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lighting equipment
TW201340777A (zh) 使用網路基礎結構以供電至led及/或控制led
US1035686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ternal programming of processor of LED driver
US92825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LED lighting
US986724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fetime extension of LED-based lighting units
KR101306762B1 (ko) 무선통신 기반 led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7929B1 (ko) 광반도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232304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CN105165125B (zh) Led的操作装置
US9763304B2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aratus
US20150173160A1 (en) Network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ch lighting apparatus to identify itself and communicate its network
EP3095301B1 (en) A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led strings
US20180192498A1 (en) Environmental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328340B1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방법
US20150223302A1 (en) Lighting color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150076481A (ko) PoE 기반의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69717A (ko) 전원스위치 조작에 의한 led 조명 빛의 색상 및 디밍 제어방법
KR20140115408A (ko) Led 구동 장치
KR20160095773A (ko) 조명 디바이스
CN215300634U (zh) 光通信驱动装置、led灯和光通信系统
KR20180020469A (ko) 다양한 색온도 구현이 가능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JP6252936B2 (ja) 電源装置及び該電源装置を用いた照明器具
JP200828761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20160102709A (ko)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