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773A - 조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조명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5773A KR20160095773A KR1020150017149A KR20150017149A KR20160095773A KR 20160095773 A KR20160095773 A KR 20160095773A KR 1020150017149 A KR1020150017149 A KR 1020150017149A KR 20150017149 A KR20150017149 A KR 20150017149A KR 20160095773 A KR20160095773 A KR 201600957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ing
- unit
- light emitting
- current
- uni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05B37/027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9/00—Details of vacuu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21/00
- H01J19/02—Electron-emitting electrodes; Cathodes
- H01J19/24—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 H04W4/008—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05B33/081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 예는, 광을 방출하는 제1, 2 발광부, 상기 제1, 2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외부로부터 제1 명령 및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동작신호와, 제2 명령 및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2 동작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2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이 방출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 예는 조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빛을 내는 발광소자로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냉음극형광램프의 경우, 응답속도가 느리고 색재현성이 떨어진다. 또한, 수은 사용으로 인해 환경 유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왔다.
최근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가 친환경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냉음극형광램프와 비교할 때, 반도체로 만들고, 소비전력이 적어 환경친화적이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재현성이 우수하다. 또한,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의 광량을 조절하여 백라이트의 휘도 및 색 온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 조명 디바이스, 즉 2 등형 형광등의 경우, 2 등형 형광등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발광부에 대하여 개별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1, 2 동작신호에 포함된 제1, 2 고유 ID 및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제어모드에 따라 제1, 2 발광부를 개별 제어하기 용이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는, 광을 방출하는 제1, 2 발광부, 상기 제1, 2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외부로부터 제1 명령 및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동작신호와, 제2 명령 및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2 동작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2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이 방출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는, 입력된 동작신호에 포함된 고유 ID 및 명령에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발광부가 설정된 구동제어모드로 동작되게 함으로써, 적어도 2 이상의 발광부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디밍 모드, 온/오프 모드 및 감성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되게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간략한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동제어모드에 대한 동작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간략한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동제어모드에 대한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디바이스는 제1, 2 발광부(110, 120), 통신부(130), 구동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발광부(110, 120)는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제1, 2 구동전류(i1, i2)에 의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발광부(110, 120)는 구동부(140)에 의해 독립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발광부(110)는 복수의 제1 발광소자, 즉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연결되며, 제1 구동전류(i1)에 의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부(120)는 제1 발광부(110)와 동일 형태로 복수의 제2 발광소자가 연결되며, 제2 구동전류(i2)에 의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우선, 통신부(130)는 제1, 2 통신부(132, 134)를 포함하며, 제1 통신부(132)는 외부장치(미도시)로부터 제1 명령 및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동작신호(ss1)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134)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제2 명령 및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동작신호(ss2)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장치는 제1, 2 통신부(132, 134)와 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제1, 2 통신부(132, 134) 각각은 상기 제1, 2 고유 ID와 매칭하는 ID가 설정되고, 상기 ID에 따라 제1, 2 동작신호(ss1, ss2)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통신부(132, 134)는 무선통신모듈 및 유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2 통신부(132, 134)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에 따라 제1, 2 동작신호(ss1, s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동작신호(ss1)는 제1 통신부(132)에 설정된 ID와 매칭되는 제1 고유 ID 및 제1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명령은 예를 들어, 온/오프 명령 및 디밍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2 동작신호(ss2)는 제2 통신부(134)에 설정된 ID에 매칭되는 제2 고유 ID 및 제2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명령은 예를 들어, 온/오프 명령 및 디밍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구동부(140)는 제1 구동부(142), 제2 구동부(144) 및 정류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류부(146)는 입력된 ac 전원을 전파정류하여 dc 전원(vdc)을 출력할 수 있다.
dc 전원(vdc)는 맥류 전원 또는 상기 맥류 전원이 평활된 직류 전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정류부(146)는 dc 전원(vdc)을 제1, 2 구동부(142, 144) 중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로 출력한다.
제1 구동부(142)는 dc 전원(vdc) 입력시, 제1 발광부(110)로 제1 구동전류(i1)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구동부(144)는 dc 전원(vdc) 입력시, 제2 발광부(120)로 제2 구동전류(i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2 구동부(142, 144) 각각은 벅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및 플라이백 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2 구동전류(i1, i2)의 전류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2 구동부(142, 144) 각각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는 스위치 소자(미도시)의 온 및 오프 동작시간에 따라 전류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전류(i1)의 전류레벨은 제2 구동전류(i2)의 전류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낮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모드선택부(152), 어드레스 선택부(154) 및 구동제어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152)는 제1, 2 구동부(142, 14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제1, 2 구동신호(ss1, ss2)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제1, 2 구동신호(ss1, ss2)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구동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제어모드는 디밍 모드, 온/오프 모드 및 감성 모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통칭하여 구동제어모드로 설명한다.
이때, 어드레스 선택부(154)는 제1, 2 구동신호(ss1, ss2)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제1, 2 구동신호(ss1, ss2)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상기 제1, 2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1, 2 발광부(110, 120) 각각에 설정된 제1, 2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156)는 어드레스 선택부(154)에서 상기 제1, 2 어드레스 중 선택된 어드레스, 즉 제1, 2 발광부(110, 120) 중 선택된 발광부가 모드선택부(152)에서 선택된 상기 구동제어모드로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2 구동부(142, 144)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드레스 선택부(154)가 상기 제1 어드레스를 선택하고, 모드선택부(152)가 온 모드에 대응하는 구동제어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구동제어부(156)는 상기 제1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110)가 상기 구동제어모드로 구동되게 제1 발광부(110)로 제1 구동전류(i1)를 공급하는 제1 구동부(142)로 제1 구동제어신호(sc1)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이며, 제1, 2 구동부(142, 144) 각각이 제1, 2 발광부(110, 120) 각각으로 제1, 2 구동전류(i1, i2)를 공급하는 온 구간 및 제1, 2 구동전류(i1, i2)를 차단하는 오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는 상기 온 구간의 구간시간에 따라 제1, 2 구동전류(i1, i2) 각각의 전류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의 간략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140)는 제1, 2 구동부(142, 144) 및 정류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146)는 입력된 ac 전원, 예를 들면 형광등용 안정기에서 공급된 교류전원 또는 상용전원을 dc 전원(vdc)으로 전파정류하여 제1, 2 구동부(142, 14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2 구동부(142, 144)는 정류부(146)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2 구동부(142, 144)는 제1, 2 발광부(110, 120) 각각으로 제1, 2 구동전류(i1, i2)를 공급하는 벅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제1, 2 구동부(142, 144) 각각은 벅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제1 구동부(142)는 제1 스위치소자(Q1), 제1 다이오드(D1), 제1 인덕터(L1)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소자(Q1)는 도 1에서 상술한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제1 구동제어신호(sc1)에 의해 스위칭 온 및 오프 동작하여, 정류부(146)에서 정류된 dc 전원(vdc)을 제1 인덕터(L1)로 공급 및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제1 스위치소자(Q1)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BJT 트랜지스터 및 릴레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제1 다이오드(D1)는 제1 스위치소자(Q1) 및 제1 인덕터(L1)와 병렬 연결되며, 제1 스위치소자(Q1)에서 공급되는 dc 전원(vdc)가 제1 인덕터(L1)로 공급되게 역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덕터(L1)는 dc 전원(vdc)이 공급되면 제1 구동전류(i1)에 대응하는 전류를 충전하며, 제1 스위치소자(Q1)가 스위치 오프 동작시 충전된 제1 구동전류(i1)가 제1 발광부(110)로 공급되게 할 수 있으며, 제1 구동전류(i1)의 전류패스에 대해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커패시터(C1)는 제1 인덕터(L1)로부터 공급된 dc 전원(vdc)를 충전하며, 제1 인덕터(L1)에서 충전된 제1 구동전류(i1)가 제1 발광부(110)로 공급시, 충전된 전원을 제1 다이오드(D1)로 공급하여, 제1 다이오드(D1), 제1 인덕터(L1) 및 제1 커패시터(C1)로 이루어진 폐회로가 구현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구동부(144)는 제2 스위치소자(Q2), 제2 다이오드(D2), 제2 인덕터(L2)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스위치소자(Q1)는 도 1에서 상술한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된 제2 구동제어신호(ss2)에 의해 스위칭 온 및 오프 동작하여, 정류부(146)에서 정류된 dc 전원(vdc)을 제2 인덕터(L2)로 공급 및 차단되게 할 수 있다.
제2 스위치소자(Q2)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BJT 트랜지스터 및 릴레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제2 다이오드(D2)는 제2 스위치소자(Q2) 및 제2 인덕터(L2)와 병렬 연결되며, 제2 스위치소자(Q2)에서 공급되는 dc 전원(vdc)가 제2 인덕터(L2)로 공급되게 역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덕터(L2)는 dc 전원(vdc)이 공급되면 제2 구동전류(i2)에 대응하는 전류를 충전하며, 제2 스위치소자(Q2)가 스위치 오프 동작시 충전된 제2 구동전류(i2)가 제2 발광부(120)로 공급되게 할 수 있으며, 제2 구동전류(i2)의 전류패스에 대해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2 인덕터(L2)로부터 공급된 dc 전원(vdc)를 충전하며, 제2 인덕터(L2)에서 충전된 제2 구동전류(i2)가 제2 발광부(120)로 공급시, 충전된 전원을 제2 다이오드(D2)로 공급하여, 제2 다이오드(D2), 제2 인덕터(L2) 및 제2 커패시터(C2)로 이루어진 폐회로가 구현된다.
도 2에 나타낸 제1 발광부(110)는 복수의 발광소자(LD1)가 서로 직렬 연결되며, 제1 구동부(142)로부터 공급된 제1 구동전류(i1)에 의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부(120)는 복수의 발광소자(LD2)가 서로 직렬 연결되며, 제1 구동부(142)로부터 공급된 제2 구동전류(i2)에 의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소자(LD1, LD2) 각각은 서로 직렬 연결된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병렬 연결 또는 직병렬 혼합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방식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동제어모드에 대한 동작도이다.
도 3은 제1 통신부(132)로 제1 구동신호(ss1)이 입력시, 제어부(160)가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로 제1, 2 구동부(142, 144)를 제어하여, 제1 발광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LD1)로 제1 구동전류(i1)가 공급되게 제1 전류패스(ps1)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3(a)는 제어부(150)가 출력하는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를 나타낸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제1 구동신호(ss1)에 포함된 제1 명령 및 제1 고유 ID를 기반으로, 제1 발광부(110) 만 온 모드로 동작되게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가 모두 출력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제1 발광부(110)에서만 광이 방출되므로 제2 구동제어신호(sc2)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류패스(ps1)는 제1 구동제어신호(sc1)의 온 구간(①)에 의해 제1 스위치소자(Q1)이 스위칭 온 동작하여, 정류부(146)에서 공급되는 dc 전원(vdc)에 해당되는 전류, 또는 제1 구동전류(i1)이 제1 인덕터(L1)를 통하여 제1 커패시터(C1) 및 복수의 발광소자(LD1)로 공급되게 패스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류패스(ps2)는 제1 구동제어신호(sc1)의 오프 구간(②)에 의해 제1 스위치소자(Q1)이 스위칭 오프 동작하여, 제1 인덕터(L1)에 충전된 전류 및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원에 대응하는 전류가 합해진 제1 구동전류(i1)이 복수의 발광소자(LD1)로 공급되게 패스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전류(i1)는 제1 구동제어신호(sc1)의 온 구간(①) 및 오프 구간(②)에 따라 제1 구동전류(il)의 전류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제2 통신부(134)로 제2 구동신호(ss2)이 입력시, 제어부(160)가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로 제1, 2 구동부(142, 144)를 제어하여, 제2 발광부(12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소자(LD2)로 제2 구동전류(i2)가 공급되게 제1 전류패스(ps1)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4(a)는 제어부(150)가 출력하는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를 나타낸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제2 구동신호(ss2)에 포함된 제2 명령 및 제2 고유 ID를 기반으로, 제2 발광부(120) 만 온 모드로 동작되게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1, 2 구동제어신호(sc1, sc2)가 모두 출력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제2 발광부(120)에서만 광이 방출되므로 제2 구동제어신호(sc2)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류패스(ps1)는 제2 구동제어신호(sc2)의 온 구간(①)에 의해 제2 스위치소자(Q2)이 스위칭 온 동작하여, 정류부(146)에서 공급되는 dc 전원(vdc)에 해당되는 전류, 또는 제2 구동전류(i2)이 제2 인덕터(L2)를 통하여 제2 커패시터(C2) 및 복수의 발광소자(LD2)로 공급되게 패스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류패스(ps2)는 제2 구동제어신호(sc2)의 오프 구간(②)에 의해 제2 스위치소자(Q2)이 스위칭 오프 동작하여, 제2 인덕터(L2)에 충전된 전류 및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원에 대응하는 전류가 합해진 제2 구동전류(i2)이 복수의 발광소자(LD2)로 공급되게 패스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동전류(i2)는 제2 구동제어신호(sc2)의 온 구간(①) 및 오프 구간(②)에 따라 제2 구동전류(i2)의 전류레벨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동작신호 중 설정된 ID에 대응하는 고유 ID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작신호에 따라 복수의 발광부 중 고유 ID에 대응하는 발광부 만을 동작시킬 수 있음으로써,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 대한 디밍 제어, 온/오프 제어, 감성 모드에 따른 제어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 광을 방출하는 제1, 2 발광부;
상기 제1, 2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외부로부터 제1 명령 및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1 동작신호와, 제2 명령 및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제2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2 동작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구동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2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제1, 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광이 방출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부로 제1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발광부로 제2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구동전류의 전류레벨을 가변시키는 조명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구동부는,
벅 컨버터, 부스트 컨버터 및 플라이백 컨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전류의 전류레벨은,
상기 제2 구동전류의 전류레벨과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조명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고유 ID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고유 ID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고유 ID 각각은,
상기 제1, 2 통신부 각각에 설정된 ID와 매칭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제어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
상기 제1, 2 고유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며, 상기 제1, 2 발광부 각각에 설정된 제1, 2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선택부; 및
상기 제1, 2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구동제어모드로 구동되게, 상기 제1, 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선택부는,
상기 제1, 2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디밍 모드, 온/오프 모드 및 감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동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부로 제1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발광부로 제2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구동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제1, 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게 상기 제1, 2 구동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게 상기 제1, 2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조명 디바이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신호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인 조명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149A KR20160095773A (ko) | 2015-02-04 | 2015-02-04 | 조명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149A KR20160095773A (ko) | 2015-02-04 | 2015-02-04 | 조명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5773A true KR20160095773A (ko) | 2016-08-12 |
Family
ID=5671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7149A KR20160095773A (ko) | 2015-02-04 | 2015-02-04 | 조명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9577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27502A1 (ko) * | 2018-07-30 | 2020-02-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구동 장치 |
-
2015
- 2015-02-04 KR KR1020150017149A patent/KR201600957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27502A1 (ko) * | 2018-07-30 | 2020-02-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구동 장치 |
US11140760B2 (en) | 2018-07-30 | 2021-10-05 | Lg Innotekco., Ltd. | DC-DC converter and light source driving device compris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025230A1 (en) | Driver device for leds | |
CN104519642A (zh) | 照明装置 | |
JP5000327B2 (ja) | 可視光通信システム | |
JP2014022063A (ja) | 発光素子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 |
KR20130113168A (ko)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
JP2013191522A (ja) | 照明装置 | |
KR20140122045A (ko) | 스위칭 패턴을 이용해 조광 제어 가능한 led 조명 장치 | |
EP2624665A1 (en) | Device for lighting light-emitting diode,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method | |
CN203675388U (zh) | 一种led驱动控制装置 | |
JP2016213140A (ja) | 照明システム | |
KR20130130321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led 조명유닛의 제어장치 | |
JP2012150975A (ja) | 照明システム | |
KR20160095773A (ko) | 조명 디바이스 | |
KR20160041290A (ko) | 색온도 제어 기능을 가지는 조명 장치 | |
JP5834176B2 (ja) | 発光素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 |
KR101464083B1 (ko) | 플리커 저감 기능을 갖는 교류 다이렉트 방식의 led 구동회로 | |
CN103152934A (zh) | 一种可调光可调色温的led驱动电路 | |
JP6422609B1 (ja) | 負荷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 |
CN113301684B (zh) | Led控制电路 | |
US10652977B2 (en) | Random lighting device | |
CN108337762B (zh) | 控制电路和led照明装置 | |
JP2017130416A (ja) | 駆動装置及び照明装置 | |
KR20100010184U (ko) | 구동회로가 내장된 소켓부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 |
KR20230090813A (ko) | 두 개의 전원 배선을 이용한 조색조광 기능을 갖는 led 조명 장치 | |
CN103702491A (zh) | 一种led驱动控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