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26B1 -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826B1
KR101347826B1 KR1020120012076A KR20120012076A KR101347826B1 KR 101347826 B1 KR101347826 B1 KR 101347826B1 KR 1020120012076 A KR1020120012076 A KR 1020120012076A KR 20120012076 A KR20120012076 A KR 20120012076A KR 101347826 B1 KR101347826 B1 KR 10134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extract
isrk
jujube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941A (ko
Inventor
이해균
송규용
김동희
최학주
Original Assignee
이해균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균,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해균
Priority to KR102012001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8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은 혈중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 및 조절하고 혈중 인슐린 분비를 증진시키며, 혈당,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켜 혈당증(fasting hyperglycemia)을 완화시키는 혈당강하 효능과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킴으로서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ed extract of ISRK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and diabetic complication}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903-910, 1982.
[문헌 2] Mooradian, A.D., Thurman, J.E. et al., Drugs, 57, pp19-29, 1999.
[문헌 3] Baron, A.D. et al.,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40, ppS54-S55, 1998.
[문헌 4] Hanefeld, M. et al.,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2, pp228-237, 1998.
[문헌 5] Am. J. Endocrinol. Metab. 288: E510-E518 (2005)
[문헌 6] Diabetologia 49: 1647-1655 (2006)
[문헌 7] J. Ethnopharmacol. 103: 491-495 (2006)
[문헌 8] J. Med. Chem. 43: 3487-3494 (2003)
[문헌 9] Metabolism 50: 1049-1053 (2001)
[문헌 10] Metabolism 53: 488-499 (2004)
[문헌 11]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1998.
[문헌 12] Kwon MJ et al., The effects of Glyburide on Apoptosi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INS-1 Cells in a Glucolipotoxic Condition. Diabetes Metab J. 35(5), pp480-8, 2011.
[문헌 13] Kaku K et al., Effect of mitiglinide on glycemic control over 52 weeks in Japanese type 2 diabetic patients insufficiently controlled with pioglitazone monotherapy. Endocr J. 56(6), pp739-46, 2009.
[문헌 14] Gallagher EJ et al., Diabetes, cancer, and metformin: connections of metabolism and cell proliferation. Ann N Y Acad Sci. 1243(1), pp54-68, 2011
[문헌 15] Cushman TT et al., Estradiol ameliorates diabetes-induced changes in vaginal structure of db/db mouse model., J Sex Med. 6(9), pp2467-79, 2009.
[문헌 16] Cushman T et al., Estradiol restores diabetes-induced reductions in sex steroid receptor expression and distribution in the vagina of db/db mouse model. J Steroid Biochem Mol Biol. 114(3-5), pp186-94, 2009.
[문헌 17] Bailey, C. J. Diabetes Care 15, 755,1992.
[문헌 18]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문헌 19]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ISRK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췌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작용 부족에 의해 유발된 대사장애로 정의되며 포도당의 과잉생산, 체지방의 분해 및 단백질의 낭비를 수반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항진시켜 대사상의 혼란을 야기시킨다(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903-910, 1982).
진성 당뇨병 (Diabetes mellitus)은 두 가지 유형으로 특징 지워지는데, 제 1 형 당뇨병 (Type 1 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의 글루코스 (Glucose)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 (Insulin)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 2 형 당뇨병 (Type 2 diabetes mellitus)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 1 형과는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2 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 (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인데, 공복혈당과 함께 식후 혈당 조절이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며, 치료 방법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이 있다.
현재 제 1 형 및 제 2 형 당뇨병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혈당강하제로 알파-글리코시다제 (Alpha-glucosidase) 억제제, 설포닐우레아 (Sulfonylurea) 제제 및 비구아니드 (Biguanide) 제제가 있으며,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섭취한 식이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및 혈중 인슐린의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고인슐린혈증이나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글루카곤-유사-펩티드-1 (Glucagon-like peptide-1)의 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Mooradian, A.D., Thurman, J.E. et al., Drugs, 57, pp19-29, 1999; Baron, A.D. et al.,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40, ppS54-S55, 1998).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는 아카보스 (Acarbose), 보글리보스 (Voglibose) 및 미글리톨(Miglitol) 등이 있으나, 알파-글리코시다제 저해제를 장기 복용한 경우 일부 환자에 있어서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Hanefeld, M. et al.,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2, pp228-237, 1998).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병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으로 주로 30세 이전에 발병하고 보통 저체중으로 몸이 마른 편인 사람이 많고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생기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이다. 이 당뇨병은 11~12세의 어린이에게 가장 많이 생기지만 동양인에게는 구미인보다 드문 편이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생기기 때문에 당뇨병의 치료에 인슐린 주사가 꼭 필요하다. 제2형 당뇨병은 모든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환자의 95%이상을 차지하며 연령 및 비만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률이 높아지며 절반가량의 환자가 정상체중 이상으로 비만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제2형 당뇨병증 경우의 치료는 인슐린이 모자라기는 하나 췌장의 인슐린 분비 능력이 남아 있으므로 식사요법과 운동요법만으로도 혈당조절이 가능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혈당 조절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약물(경구혈당강하제) 을 사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이용하여 혈당을 조절하게 된다.
미국, 유럽 및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 당뇨병의 심각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특히, 전체 당뇨병 환자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해마다 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및 고혈압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사망으로 이르게 하는 질병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병인 규명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하여 오고 있다.
당뇨병증 치료제 개발을 위해 GSK사 Rosiglitazone, Merformin, Bayer사 Miglito), Takeda사 pioglitazone, voglibose등이 insulin, PPAR-γ, GLP-1 등의 작용제(agonist)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먹는 혈당강하제는 크게 인슐린 분비 촉진제와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로 나뉘는데, 인슐린 분비 촉진제는 설폰요소제(sulfonylurea)와 메글리티나이드(meglitinide)계가 있고, 설폰요소제는 흔히 처방되는 약으로, 저혈당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큰 부작용이 없는 편이며, 아마릴(성분: 글리메프라이드 glimepiride), 디아미크롱(성분명: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다오닐(성분명: 글리벤클라마이드 glibenclamide) 등이 이에 속하였다(Kwon MJ et al., The effects of Glyburide on Apoptosi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n INS-1 Cells in a Glucolipotoxic Condition. Diabetes Metab J. 35(5), pp480-8, 2011).
인슐린 분비 촉진제의 일종인 메글리티나이드계는 약효가 매우 빠른 제제로 식전에 복용하며, 노보넘(성분명: 레파글리나이드 repaglinide), 파스틱(성분명: 나테글리나이드 nateglinide), 글루패스트(성분명: 미티글리나이드 mitiglinide) 등이 있다. (Kaku K et al., Effect of mitiglinide on glycemic control over 52 weeks in Japanese type 2 diabetic patients insufficiently controlled with pioglitazone monotherapy. Endocr J. 56(6), pp739-46, 2009)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는 단독으로 복용 시 저혈당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며,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계열 약물인 메트포르민(metformin)과, 치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 계열의 아반디아(성분명: 로지글리타존 rosiglitazone), 액토스(성분명: 피오글리타존 pioglitazone)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소장에서 탄수화물 흡수를 지연시키는 글루코바이(성분명: 아카보즈 acarbose), 베이슨(성분명: 보글리보스voglibose) 등이 있다. (Gallagher EJ et al., Diabetes, cancer, and metformin: connections of metabolism and cell proliferation. Ann N Y Acad Sci. 1243(1), pp54-68, 2011.)
최근 신약으로는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GLP-1(glucagon-like peptide-1;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의 작용을 이용하여 개발된 GLP-1 작용제 (agonist)가 있으며, 익스에나티드(exenatide)와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가 여기에 해당된다.
또한 GLP-1을 신속하게 불활성화시키는 효소인 DPP-4(dipeptidyl peptidase-4; 디펩티딜 펩티데이즈-4)의 작용을 억제하는 DPP-4 억제제(inhibitor)도 최근 개발된 신약이며, 자누비아(성분명: 시타글립틴 sitagliptin), 가브스(성분명: 빌다글립틴 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등이 있다. 당뇨병의 적합한 동물모델로써 B6-Lep ob / ob (ob/ob)와 BKS-Lepr db / db (db/db)마우스 모델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선천적으로 leptin 또는 leptin receptor 유전자변이로 인하여 식욕조절을 하지 못하여 음식물을 초과 섭취하게 되고 체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며 결국은 비만 및 당뇨에 이르는 전형적인 제2형 당뇨병의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에 당뇨병의 병인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모델로써 널리 활용되고 있다(Cushman TT et al., Estradiol ameliorates diabetes-induced changes in vaginal structure of db/db mouse model., J Sex Med. 6(9), pp2467-79, 2009).
상기한 두 종류의 마우스 계통이 비만 및 당뇨병 모델동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ob/ob 마우스는 혈당이 200-300 ㎎/㎗ 정도이고, db / db마우스는 300-600 ㎎/㎗ 정도를 보이기 때문에 ob / ob 마우스는 당뇨병 증상이 다소 약한 비만형 모델동물로써 db / db 마우스는 당뇨병 증상이 좀 더 심한한 모델로써 구분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경우에는 db / db 마우스를 보다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Cushman T et al., Estradiol restores diabetes-induced reductions in sex steroid receptor expression and distribution in the vagina of db/db mouse model. J Steroid Biochem Mol Biol. 114(3-5), pp186-94, 2009).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2025년까지 3억명 이상이 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으며 성인병으로 알려진 당뇨병이 요즈음엔 청소년들에서도 발병하고 있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혈당강하제가 처방되는데 현재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다섯 종류이다. Biguanide의 일종인 metformin, PPARγ를 활성화시키는 thiazo -lidinedione 계열의 pioglitazone과 rosiglitazone, 소장에서 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는 α-glucosidase 억제제들 그리고 췌장의 β-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sulfonylureas와 non-sulfonylureas이다. 처음에는 보통 단일 약제를 투여하나 많은 경우에 시일이지남에 따라 병이 악화되어 인슐린을 함께 투여하게 된다. 그중 Biguanides에 속하는 phenformin과 metformin은 1957년부터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phenformin은 젖산 과다증의 부작용을 나타내어 많은 나라에서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metformin은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Metformin은 혈당치를 낮추지만 저혈당증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지도 않는다. 게다가 metformin은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약간의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혈장의 지질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Bailey, C. J. Diabetes Care 15, 755,1992).
본 발명의 돼지감자(국우jerusalem artichoke, girasol)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다년생초본으로서, 땅속줄기의 끝이 굵어져서 덩이줄기가 발달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1.5∼3m이고 센털이 있다. 잎은 줄기 밑 부분에서는 마주나고 윗부분에서는 어긋나며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 부분이 좁아져 잎자루로 흘러 날개가 된다. 꽃은 8∼10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지름 8cm의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이루며 달린다. 두상화 가장자리에 있는 설상화는 노란 색이고 11∼12개이며, 두상화 가운데 있는 관상화는 노란 색·갈색·자주색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총포 조각은 바소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수과이다. 덩이줄기는 길쭉한 것에서 울퉁불퉁한 것까지 모양이 매우 다양하고 크기와 무게도 다양하다. 덩이줄기 껍질 색깔도 연한 노란 색·갈색·붉은 색·자주색으로 다양한데, 껍질이 매우 얇아 건조한 공기에 노출하면 금방 주름이 지고 속살이 파삭해진다. 덩이줄기를 식용으로 재배하였으나 지금은 인가 근처에서 야생으로 자라며 일부에서는 가축의 사료로 쓰기 위해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국우(菊芋)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열 작용이 있고 대량 출혈을 그치게 한다. 유럽에서는 요리에 넣는 야채로 덩이줄기를 많이 이용하고, 프랑스에서는 가축의 사료로 쓰기 위해 오랫동안 심어왔으며 땅속줄기의 끝이 굵어져 감자모양의 덩이줄기가 되며, 줄기에는 잔털이 있으며 초가을에 노란꽃이 피고 덩이줄기는 식용 및 가축의 사료나 알코올의 원료로 쓰며, 일면 뚱딴지, 뚝감자, 돼지감자라고도 한다(네이버 백과사전; 농촌진흥청)
대계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엉겅퀴(Circium japonicum) 및 동속식물의 전초로서, 전초에는 알칼리로이트, 정유성분이, 뿌리에는 타락사스테릴 아세테이트 (taraxasteryl acetate),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아미린(amy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혈압강하작용 및 항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1041-1043, 1998).
맥아는 벼과(Poaceae)에 속하는 월년성초본인 보리(Hordeum vulgare) 및 동속식물의 종자로서, 그 성분으로는 전분, 펜토산(pentosan), 셀룰로오스(cellulose), 리그난(ligana), 포스파티딜 세린(phosphatidyl serin) 등을 함유하고, 소화촉진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17-219, 1998).
자초는 지치과(Bor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및 동속식물의 뿌리로서, 그 성분으로는 아세틸시코닌(acetylshikonin), 시코닌(shikonin), 알카난(alkanan), 이소부티릴 시코닌(isobutyryl shikonin), 등을 함유하고, 말초순환계 촉진작용, 항균 및 항염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891-892, 1998).
죽엽은 대나무과(Bambus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목본인 솜대(Phyllostachys nigra) 및 동속식물의 잎으로서, 이뇨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06-207, 1998).
상백피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뽕나무(Morus alba L.) 및 동속식물의 수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스코폴레틴(scopoletin), 모루신(morusin), 멀베린(mulberrin), 등을 함유하고,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545-548, 1998).
저령은 구멍쟁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하는 저령(Polyporus umbellatus) 및 동속식물의 마른 균핵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에르고세롤(Ergosterol), 비오틴(biotin) 등을 함유하고, 이뇨작용, 항종양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38-40, 1998).
복령은 구멍쟁이버섯과(Polyporaceae)에 속하는 복령(Polyporus cocos) 및 동속식물의 마른 균핵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파키만(pachyman), 파키믹산(pachymic acid), 튜뮬로식산(tumulosic acid), 키틴질 등을 함유하고, 이뇨작용, 항균작용, 항궤양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41-43, 1998).
옥미수는 벼과(Poaceae)에 속하는 옥수수(Zea mays L.) 및 동속식물의 옥수수 수염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지방유, 정유, 수지, 고미배당체, 사포닌(saponn), 알칼로이드, 크로비토산틴(cryptoxanthin), 등을 함유하고,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이담 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33-235, 1998).
진피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귤나무(Citrus unshiu M.) 및 동속식물의 성숙과의 과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정유,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심장근 및 평활근 억제작용, 항염증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783-785, 1998).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헛개나무(Hovenia dulcis) 및 동속식물의 수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플란굴라닌(frangulanine), 호베닌(hovenine), 호베노시드(hovenoside) 등을 함유하고, 소화불량, 관절염 치료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91-293, 1998).
지구자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헛개나무(Hovenia dulcis) 및 동속식물의 과실로서, 류마티즘에 의한 마비증 치료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91-293, 1998).
지골피는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is) 및 동속식물의 근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페놀류, 베타인(betaine), 시토스테롤(sitosterol), 레놀렌산(linolenic acid), 리놀산(linoeic acid), 등을 함유하고,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해열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826-828, 1998).
왕느릅나무는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및 동속식물의 근피로서, 구충작용, 살충 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826-828, 1998).
산조인(멧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멧대추나무(Zizyphus vulgaris var spinosus Mil) 및 동속식물의 종인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베툴린(betulin), 쥬쥬보시드(jujuboside), 쥬쥬보게닌(jujubogenin), 산조이닌(sanjoinine) 등을 함유하고, 진정, 최면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94-297, 1998).
용안육은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에 속하는 용안(Euphoria longan) 및 동속식물의 종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포도당, 서당, 단백질 등을 함유하고, 심장보호, 식욕촉진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371-373, 1998).
대조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에 속하는 대추나무(Zizyphus jujuba) 및 동속식물의 과실로서, 그 성분으로는 단백질, 당류, 유기산,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간장보호, 습진 치료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96-297, 1998).
황기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및 동속식물의 뿌리로서, 그 성분으로는 서당,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콜린(choline), 베타인(betaine), 쿠마타게닌(kumatakenin), 등을 함유하고, 강심작용, 항균작용, 항당뇨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662-664, 1998).
나복자는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하는 무(Raphanus sativus L.) 및 동속식물의 종자로서, 그 성분으로는 메틸티올(methyl thiol), 에루식 산(erucic acid), 리놀렌산(linoleic acid), 라파닌(raphanin) 등을 함유하고,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852-584, 1998).
삽주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 및 동속식물의 근경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유데스몰(eusedmol), 비사볼롤(bisabolol), 이소베티벤(isovetivene), 셀리넨(selinene), 등을 함유하고, 혈당강하작용, 진정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1024-1026, 1998).
산수유는 층층나무과(Cornaceae)에 속하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 및 동속식물의 과실로서, 그 성분으로는 코르닌(cornin), 탄닌(tannin), 사과산 등을 함유하고, 항균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448-449, 1998).
감초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동속식물의 근경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이소리퀴리티게닌(isoliquiritigenin), 네오이소리퀴리티게닌(neoisoliquiritigenein) 등을 함유하고, 해독작용, 진해거담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위액분비억제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684-687, 1998).
당귀(Angelica Radix)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왜당귀(Angelica acutiloba) 또는 당귀(Angelica sinensis)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ligustilide, butylidne, phthal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자궁수축억제작용, 월경곤란증 치료, 항균 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정보섭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p407-408, 1998년).
작약은 작약과(Paeoniaceae)에 속하는 백작약(Paeonia japonica) 및 동속식물의 근경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파에오니플루린(paeoniflorin), 수지, 탄닌 등을 함유하고, 진경작용, 혀류개선작용, 진통, 진정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524-525, 1998).
숙지황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지황(Rehmania glutinosa) 및 동속식물의 근경을 가공하여 쪄서 말린 것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시토스테롤(sitosterol), 만니톨(mannit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레마닌(rehmanin) 등을 함유하고, 강심작용, 간보호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906-909, 1998).
천궁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천궁(Cnidium officinale) 및 동속식물의 근경으로서, 그 성분으로는 크니딜리드(Cnidilide), 리구스틸리리드(ligustilide), 네오크니딜리드(neocnidilide), 부틸프탈리드(butylphthalide), 세다노닉산(sedanon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자궁수축작용, 진경작용, 항균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418-419, 1998).
두충은 두충과(Eucommiaceae)에 속하는 두충(eucommia ulmoides) 및 동속식물의 수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알칼로이드(alkaloid), 펙틴(pect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등을 함유하고,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605-606, 1998).
오가피는 오갈피과(Araliaceae)에 속하는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 및 동속식물의 근피로서, 그 성분으로는 정유, 탄닌, 팔미틴산(palmit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기슬루코시드(diglucoside),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다우코스테롤(daucosterol), 시린가레시놀(syringaresinol) 등을 함유하고, 항염증작용, 진통 및 해열작용, 인삼과 같은 적용원적작용(adaptogenic activity)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432-435, 1998).
그러나, 상기문헌의 어디에도 ISRK 복합생약의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의학적 효과가 어떠한 개시 또는 교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식후혈당 억제작용이 우수한 물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db/db생쥐모델을 이용한 혈중 포도당 측정실험 및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 실험 등의 동물 실험을 수행한 결과,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의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ISRK 복합생약의 조합은 중량배합비가 1∼100 : 1∼50 : 1∼50 : 1∼50 : 1∼50 : 1∼50 : 1∼30 : 1∼30 : 1∼30 : 1∼30 : 1∼30 : 1∼30 : 1∼3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 바람직하게는 1∼50 : 1∼30 : 1∼30 : 1∼30 : 1∼30 : 1∼3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1∼20 : 1∼20 : 1∼20 : 1∼20 : 1∼2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10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5 : 1로 조합된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당뇨병은 I형 당뇨병 및 2형 당뇨병, 바람직하게는 2형 당뇨병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당뇨 합병증은 당뇨로 기인한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바람직하게는 고지혈증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ISRK 복합생약을 적절한 배합비로 배합하고, 각각 세척, 건조 및 세절하고, 상기 시료 총 중량의 약 1배 내지 200배(w/w),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w/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2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법 또는 열수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건조시키는 제 2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개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ISRK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본 발명의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db/db생쥐모델을 이용한 혈중 포도당 측정실험 및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 실험 등의 동물 실험을 수행한 결과,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 및 제 2형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유의적으로 혈당,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켜 혈당증 (fasting hyperglycemia)을 완화시키는 혈당강하 효능과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효능 등 혈행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ISRK 복합생약은 오랫동안 식용되거나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 본 발명의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료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
또한, 본 발명은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혈당 개선, 지질대사의 개선 및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혈당 개선, 지질대사 개선 및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시료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시료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db/db생쥐모델을 이용한 혈중 포도당 측정실험 및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 실험 등의 동물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혈당강하 효과 및 제 2형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ISRK의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2은 ISRK의 혈청중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ISRK의 혈청중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4은 혈청중 ISRK에 의한 insulin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서울)에서 구입한 건조한 돼지감자(국우) 20.22%, 대계(엉컹퀴 전초) 6.03%, 맥아 6.03%, 자초 6.03%, 죽엽 6.03%, 상백피 6.03%, 저령 4.21%, 복령 4.21%, 옥수수 수염 4.21%, 진피(귤) 4.21%, 헛개나무 4.21%, 헛개열매 4.21%, 지골피(구기자) 4.21%. 왕느릅나무 1.68%, 묏대추 1.68%, 용안 1.68%, 대추 1.68%, 황기 1.68%, 나복자(무) 1.68%, 삽주 1.68%, 산수유 1,68%, 감초 1.68%, 당귀 0.84%, 작약 0.84%, 숙지황 0.84%, 천궁 0.84%, 두충 0.84%, 오가피 0.84%의 중량 배합비(w/w)로 배합하여 95℃에서 12시간동안 물로 열탕추출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여과 및 건조시켜 ISRK 추출물(이하, “ISR"라 함)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제2형 당뇨 동물 모델을 이용한 항당뇨 효과
본 연구는 ISRK을 기존의 약물인 메트포르민과의 비교 검증을 위하여 제2형 당뇨의 대표적인 동물모델인 BKS.Cg-m+/+Leprdb / Jhomozygousdiabetic(db / db ) 생쥐(20g, 중앙실험동물)에서 항당뇨 및 항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Am. J. Endocrinol. Metab. 288: E510-E518(2005); Diabetologia 49: 1647-1655(2006); J. Ethnopharmacol. 103: 491-495 (2006); J. Med. Chem. 43: 3487-3494(2003); Metabolism 50: 1049-1053(2001); Metabolism 53: 488-499(2004)].
1-1. 시험물질
(1) 시험물질
① 명칭: ISRK
② 공급자 : ㈜ 동진제약
(2) 시험군 분류
① 대조군 (db/db 마우스) (n=6)
② 양성대조군 (Metformin, 150mg/kg, o.p)(n=6)
③ ISRK 0.2ml(n=6)
상기한 시료들을 제 2형 당뇨모델인 4주령의 db / db 생쥐에양성대조군메트포르민(150mg/kg/day), ISRK 제품 (0.2ml) 을 오전과 오후에 일일 2회 6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리고 주 1회 휴대용 혈당측정기로 6시간 공복 후 생쥐의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각각의 항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제 효능 평가를 위한 적정한 투여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 동물실험에 관한 근거는 이미 보고된 문헌들 [Am. J. Endocrinol. Metab. 288: E510-E518(2005); Diabetologia 49: 1647-1655(2006); J. Ethnopharmacol. 103: 491-495 (2006); J. Med. Chem. 43: 3487-3494(2003); Metabolism 50: 1049-1053(2001); Metabolism 53: 488-499(2004)]을 근거로 사용하였다.
1-2. 동물
: 수컷 db / db 마우스 3주령을 분양받아 1주간 동물 사육실에서 적응을 시킨 후 각 실험군을 6마리씩 배정하고, 4주령에서 혈당측정을 1주일 간격으로 총 6주간 수행하였다. 그리고 약물 투여는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ml씩 경구투여하였다. 주 1회 혈당측정은 매주 수요일 오전 09시에 식이(diet)를 제거하여 절식시킨다. 공복 6시간 후인 15시에 마우스 꼬리 미정맥에서 휴대용 혈당계 (OneTOUCH@Ultra, Johnson & Johnson, USA)로 측정하였다. 또한 최종 생화학분석을 위한 혈청은 12시간 이상 공복시 혈액을 채취하여야 하므로 실험동물의 부검은 6주간 사육 종료 후 최종8주차 혈당을 측정하고, 2일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tube에 담고, 혈청분리용 tube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다.
1-3. 약물투여
ISRK은 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16시에 마우스존데를 이용하여 0.2ml씩 나누어 경구투여하였다.
1-4. 제2형 당뇨 db / db 마우스의 혈청중 지질생화학적 분석
약물추출물을 6주간 투여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생화학분석을 위한 혈청은 12시간 이상 공복시 혈액을 채취하여야 하므로 실험동물의 부검은 6주간 사육 종료 후 최종 8주차 혈당을 측정하고, 2일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tube에 담고, 혈청분리용 tube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다. 분리한 혈장(plasma)에서 간 기능의 지표인 ALT 및 AST를, 혈장 및 간의 지질함량의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 중성지방(triglyceride)의 함량을 생화학자동 분석기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5. 제2형 당뇨 db / db 마우스의 혈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
약물추출물을 6주간 투여 후 각 실험동물로부터 생화학분석을 위한 혈장과 혈청은 12시간 이상 공복시 혈액을 채취하여야 하므로 실험동물의 부검은 6주간 사육 종료 후 최종8주차 혈당을 측정하고, 2일이 경과된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동물 부검시 모든 동물은 12시간 절식 후 에테르로 마취하여 심장에서 혈액을 취해 혈청분리용 tube에 담고, 혈청분리용 tube의 혈액은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혈청을 얻어 생화학적 지표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다. 분리한 혈청중 포도당 인슐린 분석하였다.
(1) 8 주간의 약물 투여 기간 동안 각 실험군의 인슐린 및 인슐린 저항성 지수 (HOMAIR)의 변화를 아래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혈중 인슐린 농도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혈장을 시료로 하고 마우스 인슐린 ELISA 키트 (Shibayagi, Japan)를 이용하여 ELISA 리더 (Labsystems, Finland)로 측정하였다.
1-6. 통계처리
다양한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mean±standard error로 기록하였고,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하기와 같다.
1-7.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표 1및 도 1에서 보듯이, 대조군의 혈당은 4주령에서 146.80mg/dL에서 10주령에는 580.0mg/dL로 6주 동안 혈당이 3.9배 증가를 나타내었다. ISRK 투여군의 경우에 6주 후인 9월 29일 측정한 혈당은 375mg/dL 으로 대조군에 비해서 35%,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은 253mg/dL 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56% 혈당변화가 억제되어 나타났다.
ISRK의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
측정일 Control Metformin Insuruk
8월18일 146.8 ± 20.5 136.8 ± 7.5 130.3 ± 16.0
8월25일(1주) 160.5 ± 21.0 153.3 ± 47.7 122.5 ± 16.4
9월01일(2주) 215.0 ± 34.3 270.8 ± 61.6 183.8 ± 24.0
9월08일(3주) 353.8 ± 22.4 203.3 ± 70.4** 299.8 ± 80.1
9월15일(4주) 401.8 ± 35.0 262.3 ± 26.9*** 287.5 ± 82.7*
9월22일(5주) 516.5 ± 53.6 254.0 ± 34.6*** 299.5 ± 113.2*
9월29일(6주) 580.0 ± 27.4 253.5 ± 97.4*** 375.0 ± 45.6***
1-8. 혈청 변화에 미치는 영향
1-8-1. 혈청중 포도당( glucose )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포도당(glucose)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표 2, 그림 3). 그결과대조군의포도당(glucose) 수준은 642mg/dL이었고,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은 283mg/dL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55%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01). 또한 ISRK 투여군의 경우 포도당 수준은 416mg/dL으로 35%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5). 이러한 결과는 그림 2에서 꼬리정맥에서의 혈당 변화 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로 ISRK 투여에 따른 실시간 항당뇨 효과와 일치하였다. (표 2 및 도 2 참조)
ISRK의 혈청중 혈당에 미치는 영향
ALT
(U/L)
AST
(U/L)
Glu
(mg/dL)
T-chol
(mg/dL)
TG
(mg/dL)
LDL-C
(mg/dL)
HDL-C
(mg/dL)
Control 59.5±5.9 162.0±31.2 642.0±36.4 160.3±10.4 179.0±9.5 7.4±0.7 77.3±2.2
Metformin 52.5±5.0 160.3±1.1 283.5±11.4*** 130.0±6.4* 52.8±6.1
***
5.1±0.3* 74.5±1.5
Insuruk 52.9±7.5 158.4±25.5 416.3±53.5* 167.8±42.4 82.8±22.0* 6.4±0.9 70.9±5.9
1-8-2. 혈청중 중성지방 ( triglyceride , TG )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중성지방(TG)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
그 결과, 대조군의 중성지방(TG) 수준은 179.0mg/dL이었고,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ISRK 투여군은 각각 52.8mg/dL과 82.8mg/dL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70%와 53%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중성지방 (TG) 감소활성을 나타내었다 (p<0.001, p<0.05).
1-8-3.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 ( Low Density Lipoprotein - Cholesterol )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저밀도-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표 2). 그 결과 대조군의 저밀도-콜레스테롤양 수준은 7.4mg/dL이었고, ISRK 투여군은 6.4mg/dL으로 비투여군에 비하여 13%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의 저밀도-콜레스테롤양 수준은 5.1mg/dL으로 31%의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ISRK 투여가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와 같은 혈행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8-4. 혈청중 고밀도-콜레스테롤 ( High Density Lipoprotein - Cholesterol )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고밀도-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표 2). 그 결과 메트포르민 투여군, ISRK 투여군이 대조군 비투여군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1-8-5.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 total cholesterol )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총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그 결과 대조군의 총콜레스테롤 수준은 160.3mg/dL이었고, ISRK 투여군은 167.7mg/dL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1-8-6. 혈청중 ALT AST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자동측정기로 혈청중 ALT와 AST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표 2). 그 결과 ALT 수준은 대조군이 59.5 U/L이었고, 양성대조군 메트포르민 투여군이 52.5U/L, ISRK 투여군이 52.9U/L으로 간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AST 수준은 대조군이 162.0U/L이었고, 양성대조군 메트포르민 투여군이 160.3U/L, ISRK 투여군이 158.4U/L로 간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1-8-7. 혈청중 insulin 변화 측정
10주령에서 실험 종료 후 전날에 diet를 제거하여 공복상태 (약 16시간)에서 ethyl ether로 마취하고, 3ml syringe로 심장에서 혈액을 채혈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mouse insulin ELISA kit (SHIBAYAKI, Japan)로 측정하여 혈청중 insulin 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표 3 및 도 4). 그 결과 혈청중 insulin 수준은 비투여군인 대조군이 8.1pg/ml이었고, ISRK 투여군은 4.4pg/ml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45% 인슐린 감소를 나타내었다(P<0.01). 또한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61% 감소하였다(P<0.001). 본 연구에서 제 2형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은 인슐린의 분비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혈당의 인슐린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지니게 되고 이로 인해 혈중 인슐린의 양이 증가하여 각종 대사장애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결과, ISRK투여군에서 혈당의 억제효능과 더불어 제 2형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문제점인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 효능이 나타났다.
혈청중 ISRK에 의한 insulin 변화
Control Metformin Insuruk
Insulin (pg/ml) 8.1 ± 1.1 3.1 ± 0.7 *** 4.4 ± 1.0 **
요약하면, 약물 투여군인 ISRK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은 각각 6주 동안 대조군에 비하여 혈당변화가 억제되어 나타났다. 10주령에서 ISRK 투여군은 375 mg/dL으로 대조군 580mg/dL에 비하여 35% 이상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혈당 감소를 나타내었다 (p<0.001). 그래서 ISRK의 항당뇨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메트포르민 투여군에서 LDL-콜레스테롤 수치, 그리고 중성지방 수치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ISRK 투여군 역시 LDL-콜레스테롤 수치, 그리고 중성지방 (TG) 수치가 더욱더 현저하게 통계학적 유의성 있게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혈행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당뇨 모델인 db / db 생쥐에서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 투여군과 ISRK 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ISRK은 고혈당증 (fasting hyperglycemia)을 완화시키는 혈당강하 효능과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효능등 혈행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 (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1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 수행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1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ISR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ISR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ISR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ISR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ISR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ISR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ISR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의 조합은 중량배합비가 1~100 : 1~50 : 1~50 : 1~50 : 1~50 : 1~50 : 1~30 : 1~30 : 1~30 : 1~30 : 1~30 : 1~30 : 1~3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20 : 1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 중량백분율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형태는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7. 혈당 개선, 지질대사의 개선 및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돼지감자, 대계, 맥아, 자초, 죽엽, 상백피, 저령, 복령, 옥미수, 진피, 헛개나무, 지구자, 지골피, 왕느릅나무, 묏대추, 용안육, 대추, 황기, 나복자, 삽주, 산수유, 감초,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두충 및 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8. 삭제
KR1020120012076A 2012-02-07 2012-02-07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4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76A KR101347826B1 (ko) 2012-02-07 2012-02-07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76A KR101347826B1 (ko) 2012-02-07 2012-02-07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1A KR20130090941A (ko) 2013-08-16
KR101347826B1 true KR101347826B1 (ko) 2014-01-06

Family

ID=4921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76A KR101347826B1 (ko) 2012-02-07 2012-02-07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7105A (zh) * 2015-01-14 2015-04-29 任元华 一种降血糖的药剂
CN104857456A (zh) * 2015-06-16 2015-08-26 王会玲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5267747A (zh) * 2015-11-03 2016-01-27 重庆市洪欣食用菌有限公司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362961A (zh) * 2015-12-18 2016-03-02 夏修菲 一种用于治疗卵巢早衰的中药丸剂及制备方法
CN106110203A (zh) * 2016-08-02 2016-11-16 王昭霞 治疗糖尿病性心脏病的中药组合物
CN107582859A (zh) * 2017-10-25 2018-01-16 陆惠红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
KR102266256B1 (ko) * 2018-06-05 2021-06-17 대한민국 황기 추출물 및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약학적 조성물
CN112972331B (zh) * 2021-03-02 2022-09-30 福建师范大学 一种含山苍子油护肤软膏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139A (ko) * 2007-04-11 2008-10-15 박종민 산죽 엑기스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식품
KR20110124444A (ko) * 2010-05-11 2011-11-17 송시훈 냉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KR20120007275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면역과학연구소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2139A (ko) * 2007-04-11 2008-10-15 박종민 산죽 엑기스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식품
KR20110124444A (ko) * 2010-05-11 2011-11-17 송시훈 냉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KR20120007275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면역과학연구소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41A (ko)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826B1 (ko) Isrk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79320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079597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11002730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Thereof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KR20060025990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906720B1 (ko) 구기자, 감초, 회향, 대두 및 갈근의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질환 및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6689B1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2007011162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03171303A (ja) 特定植物含有組成物と該組成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品と保健用食品
KR20100133079A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CN105327115B (zh) 一种防治ⅱ型糖尿病桑黄通泻配方及制备工艺
KR100881369B1 (ko) 감초로부터 분리된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0011108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4796417B (zh) 一种降血糖中药组方及其制备方法
KR102070796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2371B1 (ko) 노회, 모과 및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