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703B1 -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703B1
KR101347703B1 KR1020120024059A KR20120024059A KR101347703B1 KR 101347703 B1 KR101347703 B1 KR 101347703B1 KR 1020120024059 A KR1020120024059 A KR 1020120024059A KR 20120024059 A KR20120024059 A KR 20120024059A KR 101347703 B1 KR101347703 B1 KR 101347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plate
bone plate
fractur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887A (ko
Inventor
장승환
김현준
손대성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70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Abstract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는,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저면에 각각 점착층이 적층되며, 상기 상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나사 고정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뼈 플레이트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점착층은 생분해 재료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Bone plate for treatment of fractur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 시기의 경과에 따른 골절뼈의 강성 증가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강성이 저감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및 생분해 재료를 사용한 플레이트로 체결하여 골절뼈의 전체적인 강성을 골절 치료 세포 분화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을 치료하기 위해, 골절 부위에 뼈 플레이트(plate)를 뼈의 표면에 배치하고, 플레이트에 설치된 구멍에 스크류를 끼워 골절뼈에 체결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뼈 플레이트는 티타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 계열의 금속으로 만들어져 골절이 일어난 부분에 직접적으로 삽입하여 스크류로 단단히 체결하고 있다. 그러나 골절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금속계 플레이트는 골절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함으로써 골절부와 플레이트 사이에 응력 방패현상을 유발한다. 골절부에 높은 응력 불균형이 발생하면 손상된 뼈에 바람직하지 않은 하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레이트는 체내에 장시간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재료 내 수분흡수에 따른 플레이트 강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골절부에서 치료 세포를 활발히 분화시키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 플레이트의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는 체내 환경에서 수분 흡수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치료 세포 분화에 필요한 자극을 유도하기 위한 적절한 강성 저하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높은 응력 집중과 반복된 피로 하중으로 인하여 체결부의 스크류 및 플레이트에 피로파손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금속으로 제작된 기존 금속 뼈 플레이트의 경우 플레이트의 강성이 골절뼈의 강성보다 지나치게 높아 응력 방패(Stress shielding) 효과를 유발하여 플레이트와 골절뼈 사이에 응력 불균형이 발생한다. 이는 보행 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뼈가 아닌 플레이트가 받게 함으로써 골절뼈 부위에 치료 세포가 원활히 분화하기 위한 적절한 수준의 자극 전달이 억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체내 환경에서 수분 흡수율이 현저히 낮아 장시간 체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분 흡수에 따른 플레이트의 물성 저하가 나타나지 않아 골절뼈의 치유에 따른 강성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플레이트의 유연성 확보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금속 플레이트의 과도한 강성에 기인하는 응력 집중 현상을 비교적 유연한 강성을 가지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 플레이트로 대체하여 해결하고, 생체 내 수분 흡수에 따른 플레이트의 강성 저하와 치료시간이 지날수록 물성이 회복되는 골절뼈의 강성을 고려하여 뼈 플레이트의 굽힘 강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치료세포 분화에 필요한 자극을 유도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 상태나 골절뼈의 위치에 따라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각도를 달리하여 플레이트를 제작하며, 섬유 강화 복합재료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생분해 물질을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수분 흡수 및 생분해에 따른 물성 저하 및 단면 형상 변화를 통해 굽힘 강성을 조절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는,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저면에 각각 점착층이 적층되며, 상기 상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나사 고정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뼈 플레이트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점착층은 생분해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를 준비하고,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및 저면에 생분해 재료로 구성되는 점착층을 각각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이용한 플레이트의 경우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시 적층 각도를 조절하여 플레이트의 각 방향으로 원하는 강성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어 골절 형태나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강성을 지닌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골절 치료세포가 활발히 분화되기 위해서 치료 기간 경과에 따라 골절부에 전달되는 자극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치료 시간(healing time)에 따른 뼈 플레이트의 굽힘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치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치료 시간에 따른 물성 저하를 조절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e.g., PLA)를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물성 저하 및 단면 형상 변화를 통해 치료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굽힘 강성을 조절하여 뼈 플레이트의 구조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치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사용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각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사용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각도에 따른 영률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치료 시간 경과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점착층의 두께 감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뼈(Bone) 및 뼈 플레이트(Bone plate)의 치료 시간 경과에 따른 굽힘 강성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는, 플레이트(10), 점착층(20) 및 관통홀(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10)의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저면에 각각 점착층(20)이 적층되고, 상기 상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나사 고정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15)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뼈 플레이트(10)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고, 점착층(20)은 생분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강화 복합재료(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는 강화재로써 섬유를 이용한 복합재료를 말한다. 기제(基劑)의 종류에 따라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섬유 강화 금속(FRM), 섬유 강화 세라믹(FRC), 섬유 강화 콘크리트(FRC) 등이 있다. 섬유 재질은 금속, 글래스, 탄소, 세라믹, 유기물(인공 및 천연) 등이 있다. 또한, 섬유에 무전해도금 등의 표면처리를 하여 사용한 것도 있다.
생분해 재료는 박테리아(bacteria), 진균류(fungi), 조류(algae)와 같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미세 유기체의 작용에 의해 분해가 일어나는 분해성 재료를 말한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연소에 따른 열량이 적어서 자연 환경에서의 분해 재합성의 사이클이 유지되는 등, 생태계를 포함한 환경에 적은 영향을 미친다. 무독성 천연물질인 전분 등을 범용 플라스틱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혼합하여 제조하는 전분계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젖산 또는 락타이드로부터 화학적 촉매 효소에 의한 고리 열림 반응을 통해 합성된 폴리렉타이드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나뉜다.
관통홀(15)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관통홀(15)은 플레이트(10)의 상면 및 저면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울어진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뼈 플레이트(10) 및 점착층(20)의 부분 단면도(A-A 방향)가 도시되어 있으며, 관통홀(15)에 스크류가 삽입되기 쉽도록 뼈 플레이트(10)의 상면 측의 관통홀(15)의 크기가 약간 크게 형성된다.
플레이트(10)는 뼈의 모양에 맞게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뼈의 반대측인 플레이트(10)의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뼈와 맞닿는 플레이트(10)의 저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이루어진다. 섬유 강화 복합재료에 의해 치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체 내에서 물성 저하율을 알고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골절부에서의 골절 치료 세포 분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자극을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시트가 적층되어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사용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각도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4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사용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각도에 따른 영률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시트가 0도, 30도, 45도의 각도로 각각 적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섬유 방향을 달리하여 치료 효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10)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적층 각도(Stacking angle)가 45도일 때 영률(Young's modulus)이 최소가 되고, 적층 각도가 0도 또는 90도일 때 영률이 최대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시트가 30도 내지 60도 사이의 각도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도의 각도로 적층하여 플레이트(10)의 응력 방패 현상을 완화시켜 치료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생분해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0) 설계 시 적층 순서를 조절하여 플레이트(10)의 임의의 기계적 강성 유도을 유도하여 뼈의 골절 형태나 부위에 따라 요구되는 강성을 지닌 플레이트(1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의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저면에 각각 점착층(20)이 적층되는데, 이를 통해 치료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절부에 치료 세포의 물성이 회복되어 뼈의 굽힘 강성은 점차 증가하기 때문에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감소시킴으로서 전체 구조물의 굽힘 강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치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분해 물질로 이루어진 점착층(20)이 녹아 체내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점착층(20)을 이루는 생분해 재료로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PLA(Poly Lactic Aci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뼈 플레이트(10)의 상면 및 저면에 PLA가 같은 두께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위, 아래 표면에 생분해 물질인 PLA를 적층하여 골절부 치료 시기의 경과에 따라 뼈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PLA(Poly Lactic Acid)는 유산의 중축합 혹은 락티드의 개환 중합으로 합성되는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이다. PLA는 전통적인 석유화학계 고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생분해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터이다. PLA는 바이오 고분자가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환경 친화성, 생체 적합성 및 자원 절약성에 더해 폴리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바이오 고분자에 비해 우수한 열적 가공 특성을 가진다.
뼈 플레이트(10)에 적층된 PLA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체 내에 젖산으로 분해되어 신진대사를 통해 전혀 무해하게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PLA는 강도 유지기간이 6개월 이상이고 1년이 지나야 완전분해가 된다.
일반적으로, 골절부의 세포 분화 촉진을 위한 적절한 자극전달을 위해 뼈 플레이트(10) 구조의 굽힘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뼈 플레이트(10)의 굽힘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골절부 치료가 진행되어 뼈의 굽힘 강성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생체 환경에 노출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 자체의 물성 저하량은 필요한 수준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생적합적이고 생분해성이 우수한 PLA를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0)의 상면 및 저면에 일정한 두께로 적층하여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골절부의 굽힘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골절부의 치료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치료 시간 경과에 따른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의 점착층의 두께 감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뼈(Bone) 및 뼈 플레이트(Bone plate)의 치료 시간 경과에 따른 굽힘 강성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층(20)은 생분해 재료로 이루어져 있어, 치료 시간(Healing time)이 경과함에 따라 녹아 점차 체내에 흡수되어 그 두께가 얇아진다. 그리고, 치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절뼈가 접합되게 되어 뼈의 강성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치료 시간 경과에 따른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을 골절 전 뼈의 굽힘 강성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PLA는 수분 흡수율에 따라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분해도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PLA가 분해됨에 따라 두께가 얇아져 플레이트(10)의 단면에 대한 2차 관성 모멘트의 값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생체 환경에서의 분해속 도를 알고 있는 PLA와, 섬유의 방향에 따라 영률이 결정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이용하면,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PLA의 두께를 조절하여 치료 기간에 따른 굽힘 강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뼈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치료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PLA로 이루어진 뼈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도출된다.
Figure 112012019012189-pat00001
여기에서, EI는 PLA가 적층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뼈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
Figure 112012019012189-pat00002
Figure 112012019012189-pat00003
는 각각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PLA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 b는 플레이트(10)의 길이, t1과 t2는 각각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PLA의 두께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PLA는 생분해 재료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내에 흡수되어 두께 t2가 점차 얇아진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료 시간(Healing time)이 경과함에 따라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는 감소한다. 그러나, 치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절뼈의 접합에 따라 뼈(Bone)의 굽힘 강성은 증가하게 된다. 결국, 치료 시간에 따른 물성 저하를 조절하기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인 PLA를 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적층하여 물성 저하 및 단면 형상 변화를 통해 치료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굽힘 강성을 조절하여 뼈와 뼈 플레이트(10)의 굽힘 강성을 합한 값이 치료 시간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하여, 치료 기간 경과에 따라 골절부에 전달되는 자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골절 치료세포가 활발히 분화된다.
이는 다음의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112012019012189-pat00004
즉, 시간의 경과에 따라, 뼈(Bone)의 굽힘 강성(E1I1)은 증가하고, 뼈 플레이트(Bone plate)의 굽힘 강성(E2I2)은 감소하여 항상 전체 굽힘 강성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PLA는 기존 금속 고정판에 비해 비교적 수분 흡수율이 높아 생체 환경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굽힘강성 값(EI)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복합재료와 PLA의 굽힘강성 값(EI) 저하율을 미리 파악하고, PLA가 시간에 따라 체내에서 얼마나 빠르게 분해되는지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재료의 특징을 알고 있으면, 골절부의 위치나 특성에 따라 뼈 플레이트(10) 구조의 굽힘 강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섬유 강화 복합재료와 PLA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뼈 플레이트(10)는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플레이트(10)를 준비하고,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5)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및 저면에 생분해 재료로 구성되는 점착층(20)을 각각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는 플레이트(10)를 준비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 및 저면에 생분해 재료로 구성되는 점착층(20)을 각각 도포하고,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과 함께 상기 상면 및 저면에 도포된 점착층(20)을 관통하는 관통홀(15)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기존 뼈 플레이트의 재료를 유연한 성질의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대체하여 응력방패현상을 줄이고, 체내 환경(수분 환경)에서 생분해성 재료를 적용하여 뼈 플레이트(10)의 높은 생분해성 및 수분 흡수율에 따른 뼈 플레이트(10)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골절치료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들어진 기존 뼈 플레이트를 시술할 경우 발생하는 응력 방패 현상의 완화 및 반복적인 하중에 의한 체결부(스크류 등)의 피로 파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기존 금속 플레이트보다 골절 치료에 더 유리할 것이다. 또한, 신체 내에서 장골로 분류되는 경골 혹은 대퇴골에 골절이 발생하였을 때 점착층(20)이 도포된 뼈 플레이트(10)를 통해 유연 고정술(Flexible fixation)을 시행하는 정형외과적 의료분야, 상지골의 최소침습고정법(MIPPO)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레이트 15: 관통홀
20: 점착층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뼈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면 및 뼈에 접촉하는 저면에 각각 점착층이 적층되며, 상기 상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나사 고정을 위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뼈 플레이트는,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되되,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구성된 시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점착층은 생분해 재료로 구성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30도 내지 60도 사이에서 적층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뼈 플레이트는, 상기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생분해 재료가 PLA(Poly Lactic Acid)로 구성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뼈 플레이트는, 상기 PLA가 상기 상면 및 저면에 같은 두께로 적층되는,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9. 삭제
KR1020120024059A 2012-03-08 2012-03-08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7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59A KR101347703B1 (ko) 2012-03-08 2012-03-08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059A KR101347703B1 (ko) 2012-03-08 2012-03-08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87A KR20130102887A (ko) 2013-09-23
KR101347703B1 true KR101347703B1 (ko) 2014-01-08

Family

ID=4945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059A KR101347703B1 (ko) 2012-03-08 2012-03-08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922B1 (ko) 2021-07-06 2023-06-12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사 삽입각도 조절을 통해 골절 접합강도가 개선된 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58913A (ko) * 2022-05-12 2023-11-21 이은호 골 절합용 플레이트 구조체 및 골 절합용 플레이트 구조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090A (ja) * 2000-10-25 2004-04-22 エスディージーアイ・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金属製インプラント装置と、術中に組み立ておよび固定する方法
KR20060063950A (ko) * 2003-08-26 2006-06-12 신세스 게엠바하 뼈플레이트
US20100185199A1 (en) * 2001-12-20 2010-07-22 Depuy Mitek, Inc. Bioabsorbable coatings of surgical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090A (ja) * 2000-10-25 2004-04-22 エスディージーアイ・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金属製インプラント装置と、術中に組み立ておよび固定する方法
US20100185199A1 (en) * 2001-12-20 2010-07-22 Depuy Mitek, Inc. Bioabsorbable coatings of surgical devices
KR20060063950A (ko) * 2003-08-26 2006-06-12 신세스 게엠바하 뼈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887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497B1 (ko) 이방성 생체복합재료 물질, 이를 포함하는 의학적 이식물 및 이의 치료방법
AU2018327272B2 (en) Fiber reinforced biocomposite threaded implants
JP7307960B2 (ja) 繊維束補強生体複合医療用インプラント
US10926004B2 (en) Continuous-fiber reinforced biocomposite medical implants
CA1229274A (en) Surgical devices
JP2014237026A (ja) 生体再吸収性材料層を有する整形外科固定デバイス
Rosa et al. Recent developments on intramedullary nailing: a biomechanical perspective
KR101347703B1 (ko) 골절 치료용 뼈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EP4244279A1 (en) Elongated composite for an implant
Naseem et al. Strategies for enhancing polyester-based materials for bone fixation applications
Doht et al. Higher stability with locking plates in hand surgery? Biomechanical investigation of the TriLock system in a fracture model
WO2022246122A1 (en) Degradable composit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160331423A1 (en) Bioabsorbable osteosynthesis implant
WO2022104114A1 (en) Elongated composite for an implant
KR101583528B1 (ko) 적층형 골절치료용 보철구
KR101898219B1 (ko) 상온에서 성형 가능한 뼈 고정용 생분해성 플레이트
Pietrzak et al. Fatigue testing of bioabsorbable screws in a synthetic bone substrate
EP4337720A2 (en) Degradable composite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130006348U (ko) 골 시술용 서포트 기구
Kharazi et al. Optimiz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echanical Evaluation of a Functionally Graded Biodegradable Composite Screw for Orthopedic Applications
WO2023225649A1 (en) Degradable composite and method of fabrication
EP4341329A1 (en) Degradable composite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23220730A1 (en) Degradable composite and method of fabrication
AU2022316483A1 (en) Fiber-reinforced biocomposite medical implants with deformable protrus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McIff et al. Increased Stiffness of Bioresorbable Plates Following Heating and Three-Dimensional Conto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