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677B1 - 다목적 복층교량 - Google Patents

다목적 복층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677B1
KR101347677B1 KR1020120112715A KR20120112715A KR101347677B1 KR 101347677 B1 KR101347677 B1 KR 101347677B1 KR 1020120112715 A KR1020120112715 A KR 1020120112715A KR 20120112715 A KR20120112715 A KR 20120112715A KR 101347677 B1 KR101347677 B1 KR 10134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hord
pair
floor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준
김정원
Original Assignee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김정원
황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김정원, 황승준 filed Critical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1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non-parallel upper and lower edges, e.g. roof tr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은, 하부통로부와, 상기 하부통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통로부와, 상기 하부통로부를 지지하는 트러스부와, 상기 상부통로부를 지지하면서 트러스부와 연결되는 상부통로부 지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통로부는, 하부바닥과, 상기 하부바닥의 하부에 교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로부는, 중앙부를 향해 상향의 완만한 곡면으로 된 상부바닥과, 상기 상부바닥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로보강재와 세로보강재로 구성되는 상부바닥 보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하부바닥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치형의 단일 하현재와,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로부 지지재는,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한 세로보강재와 하현재를 연결해주는 단부지지재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세로보강재와 한 쌍의 상현재를 각각 연결해주는 한 쌍의 중앙지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복층교량{Double layered bridge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교량의 이용행태에 따라 공간을 분리시켜줌으로써 이용자들이 각자의 목적에 맞추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조로 된 교량에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바닥층을 두어, 각 층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미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게 한 다목적 복층교량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활동이 다양한 만큼 야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인간의 활동도 다양하고, 특히 현대에 들어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과거 이동목적의 보행 위주였던 야외에서의 활동이 조깅, 자전거 타기 등의 레져적 목적으로 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활동이 야외에서 이루어지면서, 각 활동들 간의 상이한 특징으로 인한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그 한 예가 각 활동의 속도 차이로 인한 안전문제이다.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등을 타는 경우, 그 속도가 상당해 보행자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나, 자동차 도로를 인도와 분리시키는 방법과는 다르게, 자전거 도로 등은 보행자 도로 옆에 선을 그어 분리시키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심의 하천을 복원하여 여가선용의 장소로 이용하면서, 하천 사이를 잇는 보행자용 다리를 많이 건설하는데, 이 경우에도 자전거 도로 등은 보행자 도로와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있다.
한편 현대에는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져, 경제성만을 따져 개발을 해왔던 과거와는 다르게 각종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할 때 생태계에 대한 영향도 고려하게 되었다. 그 한 예가 생태통로(eco-corridor)인데, 생태통로는 도로·댐·수중보·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 동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는 인공구조물·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으로, 산 중간을 깎아 도로를 내는 경우에는 도로 위를 가로지르는 선형의 교량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교량이, 사람이 지나다니는 등산로 등과 겹쳐져 사람이 야생동물의 영역을 침범하게 되는 경우에는 야생동물이 생태통로를 이용하지 않게 되어 무용지물이 되어버린다. 이렇게 되면, 야생동물이 도로를 횡단할 수 없어 생태계가 단절되거나, 도로 위를 횡단하다가 자동차와 부딪히는 수가 있어 야생동물과 사람 모두가 위험해 질 수 있다.
KR 10-1083255 B1 KR 10-0510258 B1
본 발명은 교량을 설치할 때, 보행, 조깅, 자전거 타기 등 다양한 활동이 교량 내에서 함께 이루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생태교량을 설치할 때, 사람이 야생동물의 영역을 침범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구조로 된 교량에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바닥층을 두어, 이용자(야생동물 포함)의 이용행태에 따라 이동통로를 분리시킬 수 있고, 구조적으로 우수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다목적 복층교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통로부와, 상기 하부통로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통로부와, 상기 하부통로부를 지지하는 트러스부와, 상기 상부통로부를 지지하면서 트러스부와 연결되는 상부통로부 지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통로부는, 하부바닥과, 상기 하부바닥의 하부에 교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로부는, 중앙부를 향해 상향의 완만한 곡면으로 된 상부바닥과, 상기 상부바닥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로보강재와 세로보강재로 구성되는 상부바닥 보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하부바닥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현재와, 상기 상현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치형의 단일 하현재와,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로부 지지재는,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한 세로보강재와 하현재를 연결해주는 단부지지재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세로보강재와 한 쌍의 상현재를 각각 연결해주는 한 쌍의 중앙지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바닥은,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로와, 상기 한 쌍의 외측로 사이의 내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부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내측로와,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이루어지고;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상부바닥의 폭은 공간부의 폭 이하로 형성되고, 상부바닥의 진입로와 외측로의 진입로는 동일한 높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현재는 교량의 중앙부에서 상현재와 높이가 같아져 한 쌍의 상현재 사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재는 하현재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재가 상현재와 연결되는 지점은 상현재와 가로보가 결합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바닥과 한 쌍의 상현재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로보와 상현재는 같은 평면상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현재는 가로보의 하부에 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로보강재와 가로보강재는 교량의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h)가 점점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상현재는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바닥은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고, 상기 가로보는 하부바닥의 폭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조로 된 교량에 평면 및 단면상에서 분리된 두 개의 바닥층을 두어,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따라 이동 통로를 분리해 줌으로써, 이용자들이 서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교량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행로에 변화를 주어 보행자로 하여금 흥미를 느끼게 하여 교량의 이용률을 높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트러스구조와 아치구조를 결합시켜, 개방적이고 미려한 형상을 가질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우수해 교량에 실리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장스팬화가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b, 1c, 1d, 1e,는 각각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하부통로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하부바닥의 개념적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상부통로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트러스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상부통로부 지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조로 된 교량에 평면 및 단면상에서 분리된 두 개의 층을 두는 방법으로 이용자들(야생동물 포함)의 교량 이용행태에 따라 동선을 분리시켜주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은, 보행, 자전거 타기, 조깅 등 사람의 이용행태에 따라 그 동선을 분리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사람만이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겠으나, 사람의 동선과 야생동물의 동선의 분리시켜 야생동물도 이용할 수 있는 생태통로의 역할까지 하게 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교량이 생태통로의 역할까지 하는 제1적용예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고, 사람만이 사용가능하게 한 제2적용예에 대해서는 제1적용예와 비교하여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는 경우에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 도 1c, 도 1d, 도 1e는 각각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에 대한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은 하부통로부(100)와, 상기 하부통로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통로부(200)와, 상기 하부통로부(100)를 지지하는 트러스부(300)와, 상기 상부통로부(200)를 지지하면서 트러스부(300)와 연결되는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통로부(100)는 사람을 위한 동선을 형성하고, 상부통로부(200)는 야생동물을 위한 동선을 형성하여, 하나의 구조로 된 교량을 사람과 야생동물이 각자 영역에서 서로의 간섭 없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부(300)는 직접적으로 하부통로부(100)를 지지해줄 뿐만 아니라,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를 통해 상부통로부(200)에서 전달된 하중을 함께 지지해줌으로써,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중심적 구조체가 된다.
상기 하부통로부(100)와 상부통로부(200)의 기능을 서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지만, 야생동물을 위한 동선이 만들어지는 곳은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해 자연적인 환경과 비슷한 환경으로 만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인공구조물이 눈에 띄지 않고, 식재를 위한 높이가 확보되는 상부통로부(200)에 야생동물을 위한 동선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부통로부(200)에 야생동물을 위한 동선을 두는 경우에는, 식재해둔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충분한 일조시간과 우수량이 확보될 수 있어, 조성해둔 환경을 유지하는 것도 용이하다.
제2적용예의 경우, 자전거 이용자 등 빠른 속도를 갖는 이용자에게는 하부통로부(100)의 구조체가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자전거 이용자 등을 위한 동선은 상부통로부(200)에, 보행자를 위한 동선은 하부통로부(10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을 큰 구성부별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 하부통로부(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통로부(100)는, 하부바닥(110)과, 상기 하부바닥(110)의 하부에 교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통로부(100)의 하부바닥(110)은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판형으로 되어있고, 그 하부에는 교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보(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로보(120)는 장선(joist)과 같이 다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판형의 하부바닥(11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가로보(120)가 원형강관의 형태로 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강관, 두꺼운 판재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바닥(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로(111)와, 상기 한 쌍의 외측로(111) 사이의 내측부(1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부(112)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내측로(112')와,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통로부(100)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상부통로부(200)는,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는 상부통로부(200)의 폭이 하부통로부(100)의 공간부(112'')폭 이하로 형성되고,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는 상부통로부(200)가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하부통로부(100)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공간이 서로 분리된다. 즉, 상부통로부(200)는 위에서 바라보면 하부통로부(100)의 내측부(112)와 중복되지만, 외측로(111) 그리고, 내측로(112') 상부에 확보된 공간으로 인해 하부통로부(100)를 통한 보행자들의 통행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량의 양단부에서는 한 쌍의 외측로(111)와 그 사이의 공간부(112'')에 의해 상기 하부바닥(110)은 좌우로 갈라지는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보행로를 좌우로 나누어줌으로써 반대 방향으로 통행하는 사람들이 서로 부딪히는 일 없이 쾌적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닥(110)은 사람의 보행에 지장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경사를 주어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바닥(110)과 상부바닥(210)의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교량에 심미감을 더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바닥(110)은 그 폭을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로보(120)의 길이를 하부바닥(110)의 폭에 따라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짧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자재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본 발명 다목적 복층교량 구조체의 자중을 감소시켜 구조적 부담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로에 변화감을 주어 보행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상부통로부(2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통로부(200)는, 중앙부를 향해 상향의 완만한 곡면으로 된 상부바닥(210)과, 상기 상부바닥(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로보강재(220)와 세로보강재(230)로 구성되는 상부바닥 보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바닥(210)은 하부바닥(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향으로 볼록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교량의 중앙부에서 그 높이차에 의해 하부바닥(110)과 분리된다. 상부바닥(210)의 곡률은 교량의 중앙부에서 하부바닥(110)과의 거리가 확보되어 사람이 보행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정한다. 상부바닥(210)의 이러한 형상은 상부바닥(210)과 하부바닥(110)을 분리시켜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기 상부바닥(210)의 상부는 야생동물들이 거부감 없이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흙을 깔고 식재를 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연환경과 비슷하게 조성해주어야 하는데, 상기 상부바닥(210)의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는 아치구조와 같이 압축력에 저항하는데 유리하므로 흙, 나무 등에 의한 하중을 무리 없이 받아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부바닥(210)은 교량이 시작되는 최단부에서는 하부바닥(110)과 같은 높이에서 형성되는데, 교량의 양단부에서 그 폭을 상기 공간부(112'')의 폭 이하로 형성시킴으로써 외측로(111)에 대한 통행이 가능하므로, 상부바닥(210) 및 하부바닥(110) 모두를 통해 교량 내로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부바닥(210)의 하부에는 상부바닥 보강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바닥 보강부는 판형의 상부바닥(210)을 보강해준다. 상기 상부바닥 보강부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설치되는 세로보강재(230)와, 교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보강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보강재(220)는 상부바닥(210)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긴 길이를 갖는 세로보강재(230)가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티프너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세로보강재(230)와 가로보강재(220)는 긴 판형의 부재로 교량의 중앙에서는 낮은 높이(h)를 갖고 교량의 양단부로 갈수록 높은 높이(h)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량의 양단부로 갈수록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 등에 대응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유리하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량의 중앙부에서 세로보강재(230)와 가로보강재(220)의 높이가 낮으므로 상기 하부바닥(110)과의 간격을 확보하는 데에 용이하다.
상기 세로보강재(230)와 가로보강재(220)의 높이(h)가 교량의 양단부로 갈수록 점점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로보(120)와 간섭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세로보강재(230)는 가로보(120)에 의해 관통되도록 하고, 가로보강재(220)는 가로보(120)를 기준으로 상하로 나뉘어 형성되도록 하거나 가로보(120)의 상부에만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트러스부(3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트러스부(300)는, 상기 하부바닥(110)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현재(310)와, 상기 상현재(3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치형의 단일 하현재(320)와, 상기 상현재(310)와 하현재(320)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330)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상현재(310)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심 및 교량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상현재(310)는 상기 가로보(120)와 같은 평면상에서 형성되거나, 가로보(120)의 하부에 접하여 형성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하부바닥(110)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상현재(310)에 의해 가로보(120)가 단절되지 않으므로 가로보(12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바닥(110)은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현재(310)가 하부바닥(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현재(310) 역시 하향으로 오목한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바닥(110)은 그 폭이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좁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현재(310)가 하부바닥(11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한 쌍의 상현재(310)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현재(320)는 상향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을 갖는데, 교량의 중앙부에서는 상현재(310)와 높이가 같아져 상기 한 쌍의 상현재(310) 사이에 놓이게 된다. 하현재(320)는 교량의 하중을 최종적으로 받게 되므로, 큰 강도가 필요한 부재인데 아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중을 받는데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아치형상은 자칫 삭막해 보일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에 심미감을 더해준다.
상기 사재(330)는 상현재(310)에 가해지는 하중을 하현재(320)로 전달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상현재(310)는 2개이고 하현재(320)는 1개이므로, 하중을 안정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하현재(32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하부바닥(110), 가로보(120), 상현재(310)를 거쳐 전달되는 하중이 사재(330)로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사재(330)와 상현재(310)가 연결되는 지점은 상현재(310)와 가로보(120)가 결합되는 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목적 복층교량의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는,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210)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한 세로보강재(230)와 하현재(320)를 연결해주는 단부지지재(410)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210)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세로보강재(230)와 한 쌍의 상현재(310)를 각각 연결해주는 한 쌍의 중앙지지재(420)로 이루어진다.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는 상부통로부(200)의 하중을 상기 트러스부(30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단부지지재(410)는 선형의 수직재로 교량 길이의 양단부에서 상부바닥(210)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한 세로보강재(230)와 하현재(320)를 연결해주고, 중앙지지재(420)는 교량 길이의 중앙부에서 상부바닥(210)의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세로보강재(230)와 상현재(310)를 연결해준다. 상기 사재(330)와 마찬가지로 상부통로부 지지재는 하중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세로보강재(230)와 가로보강재(220)가 결합하는 지점에서 세로보강재(230)와 연결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부통로부 110 : 하부바닥
111 : 외측로 112 : 내측부
112' : 내측로 112'' : 공간부
120 : 가로보 200 : 상부통로부
210 : 상부바닥 220 : 가로보강재
230 : 세로보강재 300 : 트러스부
310 : 상현재 320 : 하현재
330 : 사재 400 : 상부통로부 지지재
410 : 단부지지재 420 : 중앙지지재

Claims (10)

  1. 하부통로부(100)와, 상기 하부통로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통로부(200)와, 상기 하부통로부(100)를 지지하는 트러스부(300)와, 상기 상부통로부(200)를 지지하면서 트러스부(300)와 연결되는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통로부(100)는, 하부바닥(110)과, 상기 하부바닥(110)의 하부에 교량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보(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로부(200)는, 중앙부를 향해 상향의 완만한 곡면으로 된 상부바닥(210)과, 상기 상부바닥(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가로보강재(220)와 세로보강재(230)로 구성되는 상부바닥 보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러스부(300)는, 상기 하부바닥(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현재(310)와, 상기 상현재(3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치형의 단일 하현재(320)와, 상기 상현재(310)와 하현재(320)를 연결해주는 다수의 사재(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통로부 지지재(400)는,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210)의 폭 방향 중심에 위치한 세로보강재(230)와 하현재(320)를 연결해주는 단부지지재(410)와,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부바닥(210)의 폭 방향 양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세로보강재(230)와 한 쌍의 상현재(310)를 각각 연결해주는 한 쌍의 중앙지지재(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닥(110)은,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로(111)와, 상기 한 쌍의 외측로(111) 사이의 내측부(1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부(112)는, 교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내측로(112')와,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공간부(112'')로 이루어지고;
    교량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상부바닥(210)의 폭은 공간부(112'')의 폭 이하로 형성되고, 상부바닥(210)의 진입로와 외측로(111)의 진입로는 동일한 높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현재(320)는 교량의 중앙부에서 상현재(310)와 높이가 같아져 한 쌍의 상현재(310) 사이에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재(330)는 하현재(32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재(330)가 상현재(310)와 연결되는 지점은 상현재(310)와 가로보(120)가 결합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닥(110)과 한 쌍의 상현재(310)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120)와 상현재(310)는 같은 평면상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현재(310)는 가로보(120)의 하부에 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보강재(230)와 가로보강재(220)는 교량의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h)가 점점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현재(310)는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닥(110)은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고, 상기 가로보(120)는 하부바닥(110)의 폭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 교량의 중앙부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층교량
KR1020120112715A 2012-10-11 2012-10-11 다목적 복층교량 KR10134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15A KR101347677B1 (ko) 2012-10-11 2012-10-11 다목적 복층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15A KR101347677B1 (ko) 2012-10-11 2012-10-11 다목적 복층교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677B1 true KR101347677B1 (ko) 2014-01-03

Family

ID=5014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715A KR101347677B1 (ko) 2012-10-11 2012-10-11 다목적 복층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41B1 (ko) 2014-05-09 2014-08-20 박정환 강관거더의 입체트러스형 복층교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629A (en) 1988-03-25 1991-01-29 Muller Jean M Deck for wide-span bridge
KR101029165B1 (ko) 2010-12-30 2011-04-12 한우물중공업(주) 교량용 하이브리드 거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629A (en) 1988-03-25 1991-01-29 Muller Jean M Deck for wide-span bridge
KR101029165B1 (ko) 2010-12-30 2011-04-12 한우물중공업(주) 교량용 하이브리드 거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1029165 B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41B1 (ko) 2014-05-09 2014-08-20 박정환 강관거더의 입체트러스형 복층교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2434B (zh) 波形钢板组合结构桥面系
US8572787B2 (en) Aligned support bridge
KR20110016365A (ko) 케이블로 지지되는 장대 교량의 주탑과 건물의 복합 구조물
KR101347677B1 (ko) 다목적 복층교량
KR101234294B1 (ko) 다목적 복층교량
CN106968340A (zh) 一种大空间外伸环形单双层网壳结构体系
CN105755946A (zh) 拱形塔渐开曲面斜拉索主-匝道立交桥
RU173490U1 (ru) Ортотропная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KR101431641B1 (ko) 강관거더의 입체트러스형 복층교량
KR101376116B1 (ko) 생물이동통로를 겸한 수변 생태습지
KR101794745B1 (ko)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KR101029165B1 (ko) 교량용 하이브리드 거더
CN105064728B (zh) 滑雪场拼装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696354B (zh) 融合廊道、观景平台的组合桥梁结构
KR102230445B1 (ko) 복수 개의 지지와이어 및 상하 가동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의 출렁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998954B1 (ko) 모듈화된 플로어구조
CN104343184A (zh) 一种大跨度双向张弦梁与多支点管桁架混合连接结构
US2366151A (en) Long span, continuous bar, moment resisting, reticulated grating panel
RU2215086C1 (ru) Пролетное строение моста
PT103995A (pt) Ponte de serviço múltiplo com ferrovias sobrepostas
RU2396396C1 (ru) Арочно-вантовое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крытие
CN108842589A (zh) 一种轻型木结构景观桥梁
KR101769142B1 (ko) 절곡형 보강구조를 갖는 생태이동다리
Burgio et al.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Data for the Ancient Road Network in Western Sicily from the Roman Period to the Norman Age
CN104937172B (zh) 大跨度波-桁组合结构桥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