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496B1 -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496B1
KR101347496B1 KR20120021103A KR20120021103A KR101347496B1 KR 101347496 B1 KR101347496 B1 KR 101347496B1 KR 20120021103 A KR20120021103 A KR 20120021103A KR 20120021103 A KR20120021103 A KR 20120021103A KR 101347496 B1 KR101347496 B1 KR 101347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aggregate
concrete
waste
vinyl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2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526A (ko
Inventor
정진훈
박주영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02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4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18Wet materials, e.g.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2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 C04B2201/32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e.g. K-f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폐비닐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겔(Gel) 상태의 폐비닐재를 여러 형태의 다각 모양을 갖도록 인발하여 폐비닐 골재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폐비닐 골재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폐비닐 골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은, 천연골재 대신 농촌이나 산업현장에서 방치되는 폐비닐재를 이용하여 폐비닐 골재를 천연골재대신 사용하므로 천연골재의 사용을 저감시켜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이다. 게다가, 비닐 골재를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 모양으로 성형하여 콘크리트를 제작시 시멘트 페이스트와 맞물림을 높여 강도를 증진시키며, 폐자원을 재생하여 환경오염을 억제 할 뿐만 아니라, 부재단면이 줄어 강재와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기초공사 및 시공을 간소화 하고 공기단축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using waste vinyl aggregate}
본 발명은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비닐을 고온에서 용융하고 냉각을 통하여 제조된 폐비닐 골재를 주재료로 한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무게가 감소되고 강도와 단열이 우수하며 콘크리트 구조체의 자중 경감으로 인한 부재응력 감소와 단면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환경오염을 억제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물의 시공을 위해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멘트와 천연골재인 모래와 자갈 등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성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천연골재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는 자연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에 불과하여 자연 훼손 및 자원고갈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게다가 콘크리트 배합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자갈은 열전도율이 매우 높아 주변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콘크리트는 강도에 비하여 중량이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결함을 가지고 있어, 대형 제품의 제조시 공사 현장까지 운반하는데 문제가 있다.
한편, 산업현장 이나 특히, 농촌의 비닐하우스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재는 2009년 말 기준으로 31만톤이고, 재활용량은 23만톤이다. 또한, 농촌의 밭이나 산에서 수거되지 못하고 널려있는 폐비닐의 양이 엄청난 환경파괴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문헌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9136호'에는 폐비닐재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한 "구조물 기초의 동착력 감소를 위한 폐비닐 골재, 그의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물 기초의 동착력 감소를 위한 폐비닐 골재, 그의제조방법 및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 골재는 둥글고 매끄러운 형상으로 제조되어 콘크리트로 제작시 일반적인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낮기 때문에, 큰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에만 적용이 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합하기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폐비닐 골재를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 모양으로 인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로 제작 시, 시멘트와의 부착력을 높여 강도를 향상시키며, 일반 자갈보다 단열이 우수하고 무게는 감소되어 콘크리트 구조체의 자중 경감으로 인한 부재응력 감소와 단면을 최소화 하고, 기초 공사 및 관련 시공기술을 간소화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비닐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겔(Gel) 상태의 폐비닐재를 여러 형태의 다각 모양을 갖도록 인발하여 폐비닐 골재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폐비닐 골재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폐비닐 골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폐비닐재를 용융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폐비닐재는 150˚C 내지 250˚C로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폐비닐재를 용융시키는 단계에서, 흙, 폐플라스틱, 폐타이어가루 및 슬러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폐비닐재에 혼합하여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비닐 골재를 성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 골재는, 외측이 다수개의 각으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폐비닐 골재에는 시멘트 페이스트 및 세골재를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은, 산업현장 이나 농촌의 비닐하우스에서 방치되는 폐비닐재를 이용하여 폐비닐 골재를 제조하므로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환경오염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으며, 자갈이이나 모래 등의 천연 골재의 부족을 해결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폐비닐 골재의 외측이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을 갖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콘크리트를 제작시 페이스트와 골재의 맞물림을 증가하여 강도를 증진시켜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모든 구조물에 적용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일반 자갈보다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우수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면, 지중구조물, 도로 기층인 린콘크리트(Lean concrete) 등의 동상 방지 및 단열이 필요한 구조물에 효과적이다.
또한, 폐비닐 골재를 이용하여 일반 콘크리트 보다 가벼운 경량콘크리트를 제작함으로써, 부재단면을 경감하고 콘크리트의 사용량과 기초 단면도 크게 감소시켜 유효공간을 넓혀 줄뿐만 아니라 철근 등의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100)은, 폐비닐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S100)와, 상기 용융된 겔(Gel) 상태의 폐비닐재를 여러 형태의 다각 모양을 갖도록 인발하여 폐비닐 골재를 성형하는 단계(S200)와,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냉각시키는 단계(S300) 및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먼저, 폐비닐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S100)는, 산업현장 이나 농촌의 비닐하우스 등에서 방치된 폐비닐재를 수거하여 용해조(미도시) 등에 투입한 후, 통상 150˚C 내지 250˚C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겔(Gel) 상태로 용융 시킨다. 여기서, 상기 폐비닐재의 성분은 주로 HDPE(HighDensity Poly Ethylene)와, LDPE(Low Density Poly Ethylene)으로 구성된 PE, 즉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비닐재 뿐만 아니라 흙, 폐플라스틱, 폐타이어가루 및 슬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폐비닐재에 소정의 비율로 혼합 가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된 겔(Gel) 상태의 폐비닐재를 여러 형태의 다각 모양을 갖도록 인발하여 폐비닐 골재(110)를 성형하는 단계(S200)는, 상기 용해조 등에서 겔(Gel) 상태로 가열된 상기 폐비닐재를 압출기(미도시)에 투여하여 폐비닐 골재(110)로 인발시킨다. 이때, 인발되는 상기 폐비닐 골재(110)는, 외측이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 모양으로 인발되도록 성형한다. 왜냐하면, 상기 폐비닐 골재(110)의 외측을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 모양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이후 설명될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100) 제작 시 시멘트 페이스트(120)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냉각시키는 단계(S300)는, 냉각수가 담긴 수조(미도시) 등에 고온에서 용융되고 인발된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담아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냉각수는 물 일수 있으나,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냉각유의 액체가 가능하다. 게다가 액체상태 뿐만 아니라 기체상태의 냉각매체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폐비닐 골재(110)는, 통상 25mm이하의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콘크리트 제작시 그 제작의 목적에 맞춰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러한 형태로 제조된 상기 폐비닐 골재(110)의 열전도율은 대부분 0.092kcl/mh˚C 이하로 일반 자갈의 열전도율인 1.98kcl/mh˚C보다 약 1/10정도의 열전도율 정도로 낮게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이용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벽과 바닥면 또는 지중구조물 또는 도로 기층인 린콘크리트(Lean concret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폐비닐 골재(110)의 비중은 1.089 이하로 일반 자갈의 비중 2.5 내지 2.7보다 약 2배 이상 가벼운 비중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보다 가벼운 경량콘크리트의 제작이 가능하다.
끝으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S400)는,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천연골재 대신 치환하여 시멘트 페이스트(120) 및 세골재(130)와 혼합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120)는, 통상의 물과 시멘트를 혼합한 것으로서 대부분 천연자갈 등의 골재와 섞어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세골재(130)는, 콘크리트의 재료로 쓰이는 작은 모래나 자갈로서 보통 10mm체를 전부 통과하고, 5mm체에서 중량비 85%이상을 통과하는 잔골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폐비닐 골재(110)를 천연골재 대신 치환하여 시멘트 페이스트(120) 및 세골재(130)와 혼합 제조된 콘크리트는 산업현장 이나 농촌의 비닐하우스에서 방치되는 폐비닐재을 이용하여 폐비닐 골재(110)를 제조하므로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환경오염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게다가 자갈이이나 모래 등의 천연 골재의 부족을 해결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폐비닐 골재(110)를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 모양으로 성형하여 콘크리트를 제작시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120)와 맞물림을 높여 강도를 증진시켜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모든 구조물에 적용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일반 자갈보다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우수하여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면, 지중구조물, 도로 기층인 린콘크리트 등의 동상 방지 및 단열이 필요한 구조물에 효과적이다.
또한, 폐비닐 골재(110)를 이용하여 일반 콘크리트 보다 가벼운 경량콘크리트를 제작함으로써, 부재단면을 경감하고 콘크리트의 사용량과 기초 단면도 크게 감소시켜 유효공간을 넓혀 줄뿐만 아니라 철근 등의 재료 사용량을 감소시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110: 폐비닐 골재 120: 시멘트 페이스트
130: 세골재

Claims (5)

  1. 폐비닐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된 겔(Gel) 상태의 폐비닐재를 여러 형태의 다각 모양을 갖도록 인발하여, 열전도율이 0.092kcal/mh˚C 이하이고 비중이 1.089 이하인 폐비닐 골재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폐비닐 골재를 냉각시키는 단계; 및
    시멘트 페이스트 및 5㎜체에서 중량비 85%이상을 통과하는 세골재를 혼합하고, 상기 폐비닐 골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재를 용융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폐비닐재는 150˚C 내지 250˚C로 가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재를 용융시키는 단계에서,
    흙, 폐플라스틱, 폐타이어가루 및 슬러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폐비닐재에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 골재를 성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 골재는, 외측이 다수개의 각으로 이루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5. 삭제
KR20120021103A 2012-02-29 2012-02-29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134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1103A KR101347496B1 (ko) 2012-02-29 2012-02-29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1103A KR101347496B1 (ko) 2012-02-29 2012-02-29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26A KR20130099526A (ko) 2013-09-06
KR101347496B1 true KR101347496B1 (ko) 2014-01-10

Family

ID=4945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21103A KR101347496B1 (ko) 2012-02-29 2012-02-29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4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53B1 (ko) 2020-10-26 2021-03-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개질처리된 플라스틱 골재를 이용한 경량 시멘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463B1 (ko) 2020-10-26 2021-03-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개질처리된 플라스틱 골재
KR102373316B1 (ko) 2021-11-16 2022-03-10 이대희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재사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372108B1 (ko) 2021-12-29 2022-03-11 주식회사 한길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KR102372102B1 (ko) 2021-12-29 2022-03-11 주식회사 한길 플라스틱 폐기물 재생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68795C (en) * 2014-11-24 2023-10-17 Enviroplaz International Holdings Limited Extruded plastic aggregate for concrete
KR102272182B1 (ko) * 2019-11-29 2021-07-0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용 필름 포장재를 이용한 인공골재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735B1 (ko) * 1997-09-11 2000-03-15 하진규 폐합성수지재를 이용한 건설골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9136B1 (ko) 2005-12-13 2007-05-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기초의 동착력 감소를 위한 폐비닐골재, 그의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735B1 (ko) * 1997-09-11 2000-03-15 하진규 폐합성수지재를 이용한 건설골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9136B1 (ko) 2005-12-13 2007-05-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기초의 동착력 감소를 위한 폐비닐골재, 그의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53B1 (ko) 2020-10-26 2021-03-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개질처리된 플라스틱 골재를 이용한 경량 시멘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463B1 (ko) 2020-10-26 2021-03-1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마선 조사에 의해 개질처리된 플라스틱 골재
KR102373316B1 (ko) 2021-11-16 2022-03-10 이대희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 재사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372108B1 (ko) 2021-12-29 2022-03-11 주식회사 한길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KR102372102B1 (ko) 2021-12-29 2022-03-11 주식회사 한길 플라스틱 폐기물 재생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26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496B1 (ko) 폐비닐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howdhury et al.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te as building solution
Hunag et al. Properties of the mechanical in controlled low-strength rubber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LSRLC)
CN104358356B (zh) 内设局部约束的高强化再生混合钢管砼抗震柱及施工工艺
US8545748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CN101143774A (zh) 一种新型环保节能混凝土砖
CN105593189A (zh) 复合结构材料及其骨料
US20170253526A1 (en) Axial compression steel tubular column with internal local restraint and filled with high strengthen compound concrete containing normal-strength demolished concrete lumps and construction process of such column
Ciak et al. Sulphur concrete’s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the building industry
Maneeth et al. Utilization of waste plastic in manufacturing of plastic-soil bricks
KR101402856B1 (ko) 폐비닐과 폐목재를 결합한 인공경량골재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인공경량골재와 이를 이용한 보도 및 그 포장 방법
CN105541234A (zh) 特高拱坝用大体积水工混凝土的温控防裂方法
CN104763074A (zh) 基于粗糙面连接的装配式钢纤维再生砖混凝土墙体及其施工方法
CN104895238A (zh) 一种建筑用自保温砌块
Hulimka et al. Possibilities of the structural use of foamed concrete on the example of slab foundation
CN104004318B (zh) 一种塑料电缆井
CN110671547A (zh) 砼塑复合管
CN103450599B (zh) 一种塑钢中空交通模板及其制备方法
Mydin et al. Analysis of micro-morphology,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diffusivity and specific heat capacity of coconut fibre reinforced foamed concrete
CN211901889U (zh) 砼塑复合管
CN203905297U (zh) 一种钢管再生塑料混凝土柱
CN106760162A (zh) 一种利用废弃红砖结构保温装饰一体化墙板及其制作方法
CN101863081A (zh) 加强聚脂混凝土的方法及带有加强材料的聚脂混凝土构件
JP5976391B2 (ja) 平板状のブロック、及びそれを含む付加機能付きのブロック
Hay et al. Innovative double skin facade (DSF) with high performance green hybrid fiber-reinforced concrete (HP-G-HyFRC) for resilient and sustainable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