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351B1 -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351B1
KR101347351B1 KR1020130103485A KR20130103485A KR101347351B1 KR 101347351 B1 KR101347351 B1 KR 101347351B1 KR 1020130103485 A KR1020130103485 A KR 1020130103485A KR 20130103485 A KR20130103485 A KR 20130103485A KR 101347351 B1 KR101347351 B1 KR 10134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bellows
pumping
inlet pipe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권
Original Assignee
(주)한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0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2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오수받이에 유입관 등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별도의 장비를 휴대하 불편함 없이 오수처리계통의 막힘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유입관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통 구조이며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받이 본체(10)와;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수받이 본체를 개폐하는 결합되는 겉뚜껑(20)과;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연결되는 유입관의 막힘을 해소하는 펌핑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관이음되는 유출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측을 밀폐하는 밀폐 볼(31), 하단부가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내주면에 밀폐 고정되는 상하 개방형의 자바라(32), 상기 자바라의 상부에 상기 자바라 내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속뚜껑(33)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이에 의하여 상기 밀폐볼에 의해 상기 유출관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자바라의 신축에 의해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연결되는 유입관의 막힘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DRAIN SEWAGE FOR CLEAR A LOGJAM BY PUMPING}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받이에 유입관 등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별도의 장비를 휴대 및 사용하는 불편함없이 오수처리계통의 막힘을 해결할 수 있는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지중에 매설되어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외부의 집수조로 보내기 전에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찌꺼기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유출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거나 또는 찌꺼기를 거르지 않은 상태에서 오수를 그대로 유출관을 통해 메인관으로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으며, 원형이나 사각함체로 형성되어 오수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과 오수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관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가정에서 버려지는 오수를 처리하는 계통은 각종 생활쓰레기 등에 의해 막힘이 발생된다.
오수처리계통이 막히게 되면 오수가 가정으로 역류하기 때문에 오수처리계통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하는데, 종래에는 길이가 긴 공구를 오수처리계통에 삽입하여 뚫는 방법, 화학약품을 주입하여 이물질을 녹여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자의 경우 공구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 분실 우려 등이 있고, 후자의 경우 화학약품에 의한 수질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076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수받이에 유입관 등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별도의 장비를 휴대 및 사용하는 불편함없이 오수처리계통의 막힘을 해결할 수 있는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유입관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통 구조이며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받이 본체와;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수받이 본체를 개폐하는 결합되는 겉뚜껑과;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연결되는 유입관의 막힘을 해소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관이음되는 유출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측을 밀폐하는 밀폐 볼, 하단부가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내주면에 밀폐 고정되는 상하 개방형의 자바라, 상기 자바라의 상부에 상기 자바라 내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속뚜껑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이에 의하여 상기 밀폐볼에 의해 상기 유출관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자바라의 신축에 의해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연결되는 유입관의 막힘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에 의하면, 오수받이에 펌핑수단을 부가하여 펌핑 등을 통해 오수처리계통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수처리계통의 통수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오수의 역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며, 펌핑수단이 오수받이 본체에 구성되어 별도의 휴대와 보관에 따른 불편함과 분실 우려가 없고, 펌핑수단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누구나 손쉽게 오수처리계통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에 적용된 고정링과 지지링의 확대 사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는, 지중에 매설되며 하나 이상의 유입관(1)(도면에는 3개로 도시됨)과 유출관(2)이 각각 관이음되는 오수받이 본체(10)와; 오수받이 본체(10)의 상측 개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오수받이 본체(10) 내부를 개폐하는 겉뚜껑(20)과; 오수받이 본체(10) 내부를 펌핑하여 오수받이 본체(10)에 연결된 유입관(1)의 막힘을 해소하는 펌핑수단(30)으로 구성된다.
오수받이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유입관(1)과 유출관(2)이 연결되는 통 구조의 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겉뚜껑(20)은 오수받이 본체(10)와 유입관(1) 및 유출관(2)의 유지보수 등을 위한 작업자의 출입 등을 위하여 오수받이 본체(10) 내부를 개폐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원형의 판재로 구성되고 지표면측에 설치되는 틀(21)에 안착되어 오수받이 본체(10)를 폐쇄하고 틀(21)에서 분리되어 오수받이 본체(10)를 개방한다.
틀(21)은 겉뚜껑(20)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지지턱이 구비되며 저부의 외향 플랜지는 링 형상의 받침블록(22)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된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펌핑수단(30)은 유출관(2) 내부를 밀폐하여 오수받이 본체(10)와 유입관(1)만 연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오수받이 본체(10) 내부를 펌핑하여 유입관(1)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막힘을 해소하는 것이며, 물론, 유출관(2)이 막힌 경우 반대의 작업을 통해 유출관(2)의 막힘을 해소한다.
이러한 기능에 맞춰 펌핑수단(30)은 유출관(2)[또는 유입관(1)]을 밀폐하는 밀폐 볼(31) 및 오수받이 본체(10) 내부를 펌핑하는 펌핑기로 구성된다.
밀폐 볼(31)은 정확한 기밀과 수밀을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 볼, 내부에 에어 등이 충진된 에어 볼(튜브) 등이 가능하다.
밀폐 볼(31)은 펌핑에 의한 막힘의 해소시에만 사용되고 따라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관되어야 하는데, 관리자가 일일이 휴대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수납과 사용이 편리하도록 후술하는 속뚜껑(33)에 수납된다. 예를 들어 밀폐 볼(31)에 걸이링을 부가하고 속뚜껑(33)의 안쪽면에 상기 걸이링을 걸어 밀폐 볼(31)을 매달아 수납하는 연결구가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밀폐 볼(31)은 신축성이 있는 코일형태의 연결와이어 등을 통해 속뚜껑(33)에 연결되어 수납 및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유입관(1)이 연결되는 경우 어느 한 곳의 유입관(1)만 막혀 있다면 막히지 않은 유입관(1)을 밀폐 볼(31)로 밀폐하여야 하므로 밀폐 볼(31)은 다수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펌핑구는, 자라바(32)와 속뚜껑(33)으로 구성된다. 자라바(32)와 속뚜껑(33)에 의한 펌핑구는 가정의 거주자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므로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료와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자바라(32)는 압축과 수축에 의해 막힌 것을 없앨 수 있도록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구조와 재질이며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하부는 오수받이 본체(10)에 고정되고 상부는 속뚜껑(33)이 결합된다. 왜냐하면 밀폐 볼(31)을 유출관(2)에 끼우고 빼기 위한 작업 공간을 자바라(32)에서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자바라(32)의 하부는 오수받이 본체(10)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유지보수를 위하여 오수받이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오수받이 본체(10)에 스틸 등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링(34)을, 자바라(32)의 저부에 스틸 등을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링(35)을 구성하고, 고정링(35)의 결합과 분리를 위하여 지지링(34)에는 키(34a)를, 고정링(35)에는 키홈(35a)을 형성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오수받이 본체(10)의 내주면에는 지지링(34)이 고정(앵커 등)되고 지지링(34)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고정링(35)이 끼워지는 크기이 공간]을 두고 키(34a)가 고정(앵커 등)된다. 자바라(32)의 저부에는 고정링(35)이 고정되고 고정링(35)의 둘레부에는 키(34a)가 끼워지는 키홈(35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자바라(32)의 삽입시 고정링(35)의 키홈(35a)을 고정링(34)의 키(34a)에 맞춰 끼움으로써 고정링(35)을 지지링(34)에 안착하고 자바라(32)를 일측으로 돌려 키홈(35a)과 키(34a)를 이격시키면 키(34a)의 밑에 고정링(35)이 있기 때문에 자바라(32)를 고정할 수 있다.
키홈(35a)의 저부는 고정링(34)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링(34)은 링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키홈(35a)을 밀폐할 수 있는 크기이면 가능하다.
속뚜껑(33)은 자바라(32)의 상부에 고정되어 자바라(32) 안쪽을 밀폐하며 단 밀폐 볼(31)의 설치와 분리, 이물질의 제거 등을 위하여 자바라(32) 내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힌지를 통해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반대쪽의 잠금장치를 통해 자바라(32)에 고정된다.
속뚜껑(33)은 상부에 펌핑 작업을 위한 손잡이(33a)이가 구성된다.
펌핑수단(30)은 기밀성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속뚜껑(33)과 자바라(32)가 연결되는 부분, 고정링(34)과 지지링(35)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 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 및 평상시 상태이며, 유입관(1)에 유입되는 오수는 오수받이 본체(10) 내부에 집수된 후 유출관(2)을 통해 유출되는 경로로 처리된다.
한편, 유입관(1)[또는 유출관(2)]이 막힌 경우 펌핑수단(30)을 사용하여 막힘을 해소할 수 있고, 속뚜껑(33)을 열어 밀폐 볼(31)을 꺼내고 이 밀폐 볼(31)을 막히지 않은 곳인 유출관(2)의 입구에 끼워 넣는다. 이렇게 되면 오수받이 본체(10)와 유입관(1)이 연통되며, 속뚜껑(33)을 닫아 자바라(32) 내부를 밀봉한다.
이와 같이 펌핑을 준비한 후 손잡이(33a)를 잡고 들어 올리는 작업과 내리는 작업을 1회 이상 하게 되면 오수받이 본체(10)와 유입관(1) 내부에는 흡입력이 발생되어 유입관(1)을 막고 있는 이물질(3)이 유입관(1) 내부에서 분산되면서 유입관(1)에서 빠지게 되므로 유입관(1)을 뚫게 된다.
유입관(1) 내부가 뚫리는 순간 오수받이 본체(10)와 유입관(1) 내부의 압력 변화가 생기게 되어 펌핑 동작을 멈출 수 있고 속뚜껑(33)을 개방 동작하여 오수받이 본체(10)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밖으로 꺼내어 제거한다[펌핑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시 이물질은 유입관(1)을 따라 흐르다가 유출관(2)이 밀폐 볼(31)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오수받이 본체(10) 내부에 모이게 된다.].
이어서 밀폐 볼(31)을 유출관(2)에서 분리하여 속뚜껑(33)에 수납하며 속뚜껑(33)과 겉뚜껑(20)을 닫아 평상시 상태를 유지한다.
1 : 유입관, 2 : 유출관
10 : 오수받이 본체, 20 : 겉뚜껑
30 : 펌핑수단, 31 : 밀폐 볼
32 : 자바라, 33 : 속뚜껑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면서 유입관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통 구조이며 지중에 매설되는 오수받이 본체(10)와;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수받이 본체를 개폐하는 결합되는 겉뚜껑(20)과;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연결되는 유입관의 막힘을 해소하는 펌핑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관이음되는 유출관에 분리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상기 유출관측을 밀폐하는 밀폐 볼(31),
    하단부가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내주면에 밀폐 고정되는 상하 개방형의 자바라(32),
    상기 자바라의 상부에 상기 자바라 내부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며 손잡이가 구비된 속뚜껑(33)을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이에 의하여 상기 밀폐볼에 의해 상기 유출관 또는 유입관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자바라의 신축에 의해 상기 오수받이 본체에 연결되는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막힘을 해소하고,
    상기 밀폐 볼은 연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속뚜껑의 안쪽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받이 본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지지링(34), 상기 지지링(34)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키(34a), 상기 자바라의 저부에 고정되며 둘레부에 상기 키가 삽입되는 키홈(34a)이 구비된 고정링(35)을 포함하며, 상기 자바라는 상기 키홈과 키의 일치를 통해 상기 지지링에 안착 및 상기 키홈과 키의 이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KR1020130103485A 2013-08-29 2013-08-29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KR10134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485A KR101347351B1 (ko) 2013-08-29 2013-08-29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485A KR101347351B1 (ko) 2013-08-29 2013-08-29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351B1 true KR101347351B1 (ko) 2014-01-03

Family

ID=5014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485A KR101347351B1 (ko) 2013-08-29 2013-08-29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0636A (zh) * 2015-10-28 2016-02-24 河海大学常州校区 声光报警地漏
KR101869955B1 (ko) 2017-12-05 2018-06-21 김진희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539A (ko) * 2002-11-01 2004-05-08 (주)일산금속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722418B1 (ko) * 2005-04-28 2007-06-04 임종순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KR20080032652A (ko) * 2005-08-09 2008-04-15 엔사르 코르코반 물로 가압되는 수동형 화장실 막힘 제거 펌프
KR20090011082U (ko)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맨홀용 방수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539A (ko) * 2002-11-01 2004-05-08 (주)일산금속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722418B1 (ko) * 2005-04-28 2007-06-04 임종순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KR20080032652A (ko) * 2005-08-09 2008-04-15 엔사르 코르코반 물로 가압되는 수동형 화장실 막힘 제거 펌프
KR20090011082U (ko) * 2008-04-25 2009-10-29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맨홀용 방수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0636A (zh) * 2015-10-28 2016-02-24 河海大学常州校区 声光报警地漏
KR101869955B1 (ko) 2017-12-05 2018-06-21 김진희 슬러지의 퇴적 방지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852B1 (en) In-drain device for the collection, extraction and diversion of gray water for reuse
KR102142369B1 (ko)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KR101347351B1 (ko) 펌핑에 의한 막힘 해소가 가능한 오수받이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CN203782839U (zh) 一种将生活废水收集用于冲厕的装置
JP2014000293A (ja) 仮設トイレシステム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CN103924646B (zh) 一种将生活废水收集用于冲厕的装置
KR101828079B1 (ko) 초기우수 배제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재활용 시설
CN207791464U (zh) 一种自清洗易排水的桶
US20130025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Household Greywater to Landscape Irrigation
KR100939971B1 (ko) 양수장치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관정용 방오방수장치
EP2456926B1 (en) A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unclogging and repairing a clogged drain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CN105544708A (zh) 一种淋浴房地漏装置
KR101734203B1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2256343B1 (ko) 입상관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오수받이
KR20150017876A (ko) 씽크대용 악취차단장치
CN205742508U (zh) 一种清异物环保下水道
CN209493574U (zh) 一种户用沼气系统的凝水泄压装置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CN207032450U (zh) 一种新型水利施工用地漏
CN206635913U (zh) 地漏防臭芯套件
KR101767657B1 (ko) 일체형 스핀들 내장 제수변 보호통
KR100924755B1 (ko)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