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324B1 -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324B1
KR101347324B1 KR1020110118461A KR20110118461A KR101347324B1 KR 101347324 B1 KR101347324 B1 KR 101347324B1 KR 1020110118461 A KR1020110118461 A KR 1020110118461A KR 20110118461 A KR20110118461 A KR 20110118461A KR 101347324 B1 KR101347324 B1 KR 10134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gall bladder
gall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016A (ko
Inventor
정원철
이선희
김지은
함경식
조정용
Original Assignee
(주) 메디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메디플랜 filed Critical (주) 메디플랜
Priority to KR102011011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에 관한 것으로,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높고, 철 환원력, 항 염증능,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고,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며 T 림프구(T lymphocyte)의 증식 효과 또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Rhus chinensis Mill. Salt for skin aging prevention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노화(in- trinsic aging 또는 자연노화)와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에 의환 광노화(photoaging)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두 가지 노화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는 기전이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피부에서는 표피 세포의 증식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며, 표피-진피 사이의 결합이 약해 조그만 자극에도 손상을 입기 쉽고, 콜라겐 합성 감소와 과다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 oproteinases)의 발현 증가 등의 생리적 변화들이 나타나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피, 진피 층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성을 잃고 늘어져 보이며 점차적으로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노화 현상 중 주름의 형성 기전은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한 주름 형성과정에는 차이가 있다. 자연노화 현상에 의한 주름 생성은 진피 조직 내의 섬유아세포의 기능 저하로 인해 일어난다. 피부조직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은 합성이 저하되고,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겐나아제에 의해 분해된다. 이로 인해 조직 내 콜라겐은 감소되고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탄력이 떨어지고 잔주름이 생기게 된다. 광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형성은 자외선에 의해 콜라겐의 합성은 촉진되나, 동시에 콜라겐나아제의 급격한 활성증가로 불규칙적인 콜라겐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피부 표면이 거칠고 비대해 지며 깊은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 노화 현상에서 자연노화 현상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환경적이 요인인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피부노화를 지연하고 억제하는 방법이다.
UBV량에 비례하여 표피각질 세포의 직접 손상이 유발되어 면역 및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활성물질(cytokine)의 분비장해가 발생한다(Bissett et al., 1987). UVB는 조직 내 활성산소를 형성하고, 피부에 정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항산화 물질을 감소시켜(Darr and Fridovich, 1994)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 기구의 불균형을 가져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킨다. 이로 인해 세포구성성분들에 대한손상을 야기하며, DNA에도 직접적인 손상을 유발하여 만성피부질환과 피부노화 현상에 관여한다(Debacq-Chainiaux et al., 2005). 진피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기질금속 단배분해효소(matrix matalloprotinase, MMPs) 활성이 증가하고, 교원질(collagen)과 탄력섬유(elastin)의 합성이 감소하여 주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No et al., 2004)되었다.
광노화로 인한 피부 주름 형성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진피의 탄력 콜라겐과 다른 결합조직성분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하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 활성은 자외선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in vivoin vitro 실험에서 활성이 증가하고, 광 손상 시, 콜라겐이 감소하는 이유는 MMP-1의 활성 증가로 콜라겐의 일부분이 잘려져 조각이 나고 이 조각난 콜라겐에 의해 콜라겐의 합성이 저해되어, 피부조직 내의 콜라겐 함량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 유래로서 주로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플라보노이드 화합물(flavonoids)은 지질의 산화, 활성산소의 소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는 역할을 함으로써 노화방지, 암 및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효과가 있다.
피부 탄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중 하나인 엘라스틴은 피부 속 콜라겐을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함으로 피부 탄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연구에서 섬유모세포에서 유래한 엘라스타아제(elastase)가 피부탄성섬유의 3차원적 뒤틀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주름개선 물질을 사용한 연구에서도 주름의 회복과 엘라스틴 섬유의 뒤틀림의 개선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한 노화나 스트레스 등은 피부 내 엘라스타아제(elastase) 분비를 촉진시켜 피부 조직을 파괴하며 결국 피부의 탄력 상실 및 주름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엘라스틴은 주름살의 생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활성조절이 주름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피부세포의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성분들 가운데 콜라겐은 피부건조중량의 약 90%에 달하는 주요구성 단백질이다. 따라서 콜라겐의 분해는 곧 결합조직의 탄력저하와 피부의 주름 및 처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체내에서 생성되는 수십 종의 MMPs 가운데 MMP-1은 콜라겐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단백질분해효소로서 MMP-1의 활성 및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조직의 탄력을 유지하고 주름의 생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 유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인 Clone-M3 세포는 멜라닌(melanin)을 생성한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생합성되며 이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염증반응은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proinflammatory mediators)이 만들어지는데, 염증인자에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nitric oxide(NO)와 cyclooxygenase-2(COX-2)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randin) E2(PGE2)등이 있다. 이러한 염증인자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핵인자-(nuclear factor)-κB(NF-κ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과량의 NO와 PGE2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포유동물 세포의 산화질소 생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NOS)의 경우, 3종의 동위효소가 존재하는데 neuronal NOS(nNOS), endothelial NOS(eNOS), 그리고 inducible NOS(iNOS)이다. 이중에서 iNOS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데, iNOS의 경우 인터페론-(Interferon-)γ.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LPS), 그리고 여러 가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 있을 때 발현된다. PGE2는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cyclooxygenase)(COX)에 의해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산된다. COX-2의 경우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손상 혹은 여러 요인의 스트레스에 반응한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발현된다.
육안 관찰에 의한 피부의 아름다움은 표면에 보이는 각질층에 달려 있다. 각질층은 외부의 습도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기도 하고 방출하기도 하는 등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건조한 환경에 있으면 수분을 잃어버려 거조한 피부로 된다. 건조한 피부는 피부 표면에 유분이 부족해진 상황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각질층에 수분이 부족하게 된 상태이다.
한편 경표피수분손실량은 피부장벽의 손상 및 회복과정에서 중요한 생리학적 지표가 된다.
본 발명은 각종 원인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한방 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과 소금이 결합된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배자 추출물과 소금이 결합된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 방지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배자 추출물과 소금이 결합된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배자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시료를 제조하는 단계; 천일염을 70 내지 90℃에서 굽는 단계; 및 상기 시료 및 상기 구운 천일염을 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배자 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료 제조 단계는 오배자에 60 내지 80 % 에탄올을 10배(w/v)로 가하여 침지시키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굽는 단계에서 상기 천일염은 적어도 2년 숙성된 천일염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융합 단계는 상기 구운 천일염 및 상기 오배자를 10:1(w:w)의 비율로 혼합하고 45 내지 50℃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배자 추출물과 소금이 결합된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배자 추출물과 소금이 결합된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 방지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배자 추출물과 소금이 결합된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한방 염이란 한방 시료와 소금이 결합된 형태의 소금을 의미하며, 한방 시료는 석창포, 우방자, 빈랑, 애엽, 백급, 홍화, 목과, 계피, 진피, 사상자, 향부자, 백선피, 산약, 누로, 조각자, 감초, 해동피, 지부자, 안동, 구기자, 상엽, 자소엽, 차전초, 편축, 석류피, 지각, 칡꽃, 지황, 대황, 오배자, 복분자, 형개, 백질료, 소백피, 토산자고, 유근피 및 창이자로 부터 추출한 물질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수단을 통하여,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높고, 철 환원력, 항 염증능,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및 보습 효과가 뛰어나고,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며 T 림프구(T lymphocyte)의 증식 효과 또한 우수한 오배자 염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의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의 철 환원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의 COX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 2mg/ml을 NIH3T3 세포 배양 시 처리한 경우의 콜라겐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 5mg/ml 처리한 경우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방 염 2mg/ml 처리한 경우 세포의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방 염의 제조
1.1 한약 시료의 제조
1.1.1 한약 원료의 선별
피부 노화 억제 효과 및 피부 건강에 관련될 것으로 판단되는 한방 소재로, 석창포, 우방자, 빈랑, 애엽, 백급, 홍화, 목과, 계피, 진피, 사상자, 향부자, 백선피, 산약, 누로, 조각자, 감초, 해동피, 지부자, 안동, 구기자, 상엽, 자소엽, 차전초, 편축, 석류피, 지각, 칡꽃, 지황, 대황, 오배자, 복분자, 형개, 백질료, 소백피, 토산자고, 유근피 및 창이자 총 37가지를 선별하였으며, 그 중 항산화 활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총 12가지의 한약 재료를 선별하였고, 그 목록은 하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No  Sample name  
S1 Salt of Polygonum    aviculare L. 편축소금
S2 Salt of Gleditsia    sinensis Lam . 조각자소금
S3 Salt of Areca Catechu L. 빈랑소금
S4 Salt of Artemisia argyi Lev . Et Vant . 애엽소금
S5 Salt of Kochia scoparia    Schrader 지부자소금
S6 Salt of Cnidium    japonicum Miquel . 사상자소금
S7 Salt of Rhus chinensis    Mill . 오배자소금
S8 Salt of Ulmus davidiana    Var , japonica Nakai 유근피소금
S9 Salt of Perilla Folium 자소엽소금
S10 Salt of Ponciri Fructus    Pericarpium 지각소금
S11 Salt of Pomegranate   Peel 석류피소금
S12 Salt of Plantaginis Herba 차전초소금
1.1.2 한약 원료로부터 시료의 추출
상기 S1 내지 S12의 약재에 70% 에탄올을 10배(w/v)로 가하여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상등액을 분리함으로써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으며, 동일한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0.5㎛ 종이 여과지(Advantec, No.2)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Eyela, 일본)를 이용하여 5배 농축하였다.
1.2 소금(천일염)
소금은 불순물이 제거된 2년 숙성된 천일염을 사용하였다. 천일염은 사용 직전 80℃에서 20 내지 24시간 구웠다.
1.3 한방 염의 제조
상기의 구운 천일염과 상기의 한방 시료를 융합하는 과정으로, 한방 시료와 천일염을 1:10의 비율(w:w)로 혼합하여 한방 시료 및 소금이 결합할 수 있도록 고루 비벼주었다. 한방 시료와 결합한 천일염을 45~50℃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 건조된 한방시료와 결합한 천일염에 1/10(w/w)의 비율로 한방시료를 다시 첨가하여 혼합시키고 45~50℃에서 24시간 건조시킴으로써 한방 염을 제조하였다. 이하에서는 표 1에 기재된 12가지의 상기 한방 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2: 한방 염의 화학적 특성 측정
2.1 페놀 화합물의 함량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Gutfinger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1mL에 2%(W/V) Na2CO3용액 1mL를 가하여 3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50% Folin-Ciocaltea 시약 0.2mL를 첨가하여 3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이 혼합물을 10분간 13,400×g에서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 1mL를 취하여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표준곡선은 EGCG(epogallocatechin gallate)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방 염의 페놀 화합은 오배자 염이 가장 많은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2.2 철 환원력
Benzie등(1996)의 방법을 이용해 시료의 용액 중 3가 철 이온 (Fe3 +)상태를 2가 철 이온 상태(Fe2 +)로 전환시키는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Fe3 +-TPTZ complex의 상태에서 항산화제(antioxidant) 또는 환원제(reductant)에 의해 전자를 공여받아 Fe2+-TPTZ comples로 환원되어 청색을 띄게 되는데 시료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색의 변화를 593nm에서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10 mM 2,4,6-트리피리딜 트리아진(2,4,6-tripyridyl triazine(TPTZ))과 0.25 M 아세트산 버퍼(acetate buffer)(pH 3.6), 20 mM 염화철(ferric chloride)을 각각 1:10:1의 비율로 섞어 FRAP(ferrous reducing antioxidative power)시약을 만들었다. 30 ul시료와 FRAP시약 100ul, 그리고 증류수 90ul을 넣고 4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은 시료대신 증류수를 넣고 반응시켰다. 결과값은 1 mM 황화철(ferrous sulphate)을 환원시킬 수 있는 시료의 농도(mM)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배자 염의 철환원력이 각 모든 농도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3 항 염증능
한방 염에 대한 항염증능은 COX(Cyclooxygenase) 억제효능을 통하여 측정하며, 이는 Reddy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한 웰(well) 당 60units/mL의 COX-1 또는 30 units/mL의 COX-2를 40uL씩 넣었다. 100mM 트리스 완충 용액(Tris-HCl buffer)(pH 8.0) 90uL, 30uM EDTA 20uL, 150uM 헤마틴(hematin) 20uL 및 시료 20uL를 혼합하여 2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엘라이자 자동 감지 장치(ELISA autoreader)를 사용하여 5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X 억제율(%)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EGCG를 사용하였다.
COX 억제율(%)=[(대조군의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항 염증능의 측정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배자 염 및 석류피 염이 차례로 항염증능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4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저해 활성
0.2M Tris-HCl buffer(pH 8.0)에 1unit 엘라스타아제와 0.8mM N-suc-(ala)3-p-nitroanilide를 첨가하여 25℃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파라-니트로아닐라이드(p-nitroanilide)의 양을 정량하였다. 비교구로는 우르솔릭산(ursol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저해활성의 측정 결과는 도 4에 도시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효과(%)=(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X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일염 및 정제염에 비하여 한방 염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오배자 염은 저해활성이 1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2.5 콜라겐 합성량의 변화
T 75 flask에 80%의 밀도가 되게 NIH3T3 마우스 배아섬유아세포(NIH3T3 mouse embryonic fibroblasts)를 증식 시킨다. 배지의 조성은 DMEM  + 25mM HEPES + 25mM NaHCO3, 90%: + 10%  heat inactivated BCS, 10% 이었다. PBS (pH 7.5) 완충 용액으로 2번 수세하고 Trypsin + EDTA (0.25%)을 첨가 한 후, 섭씨 37도에서 2분간 배양 하고, 배지 2ml을 첨가하여 트립신화(trypsinization)를 정지 시키고 부착된 세포들을 피펫팅을 하여 분리시켰다.
NIH3T3 마우스 배아섬유아세포를 6-well plate에 4x104 cells/well 로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하고 배지를 제거한 후, 각 well에 시료가 함유된 배지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5%PBS가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배양하고, 배양상등액을 수집한 후 콜라겐 추출 수용액(collagen extract solution)(acetic acid 0.5M + 0.1mg/ml of pepsin)을 첨가하였다. 그 후 콜라겐 어세이 키트(Collagen assay kit)(Biocolor, UK)에 따라 각 100ul의 반응액 블랭크(Reagent blank), 콜라겐 표준(Collagen standard) 및 샘플을 첨가한 튜브에 각각 Sircol Dye 1ml/ sample로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한 후 12,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를 통해 얻어진 펠렛(pellet)을 10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알칼리 반응액(alkali reagent)을 1ml/sample로 첨가하여 펠렛을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시료마다 콜라겐 함유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배자 염의 콜라겐 생성량은 천일염이나 정제염에 비하여 2배 이상으로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6 보습 효과
오배자 염의 보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정상피부의 백서를 제모하였다. 제모된 백서의 등 부위에 1%의 농도로 제조된 각 컬러소금용액을 매일 하루 두 번씩 같은 시간 처리하였으며, 1주 간격으로 경표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함으로써 컬러소금의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표 2).
  0 주 1 주 2 주 3 주
증류수 5.6 5.3 4.8 4.8
천일염 4.3 5.3 5.7 5.8
정제염 4.8 5.6 6.1 5.9
오배자염 7.4 5.8 5 4.4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매일 1%의 한방 염 용액을 처리하여 3주 후 TEWL 측정 결과, 천일염 및 정제염을 처리한 쥐의 경우 수분 손실량이 증가하였으나, 오배자 염의 경우 수분 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 T 림프구(T lymphocyte )의 증식 효과
4.0 × 105 T cell을 96-well 마이크로 적정 플레이트(microtiter plate)에 분주한다. 다양한 한방 염을 5mg/ml와 2mg/ml의 농도가 되게 채우고, 최종 분주량은 200 μL로 맞춘 후 플레이트의 뚜껑을 덮고 5% CO2에서 37°C 습도 95%로 48시간 배양하였다. 20 ul의 MTT 용액을 첨가 한 후 4시간을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여 염료를 활성화 시켰다. 그 후, 500 × g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하고, 상등액을 버린 후 100ul 의 DMSO를 첨가하여 진동 시켜주고 엘라이자 리더(ELISA reader)로 57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5mg/ml농도에서는 오배자 염의 경우가 T 림프구의 증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도 7), 2mg/ml의 농도에서 또한 오배자에서의 T 림프구의 증식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
Ss: Solar salt
Rs: Reagent salt
Ac: Areca Catechu L.
Gr: Glycyrrhizae Radix
Pp: Pomegranate Peel
Rc: Rhus chinensis Mill .
Ud: Ulmus davidiana
Bs: Bamboo salt
PBs: Purple Bamboo salt

Claims (13)

  1. 오배자 추출물과 70℃ 내지 90℃에서 구운 천일염을 포함하는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약학 조성물.
  3. 오배자 추출물과 70℃ 내지 90℃에서 구운 천일염을 포함하는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 방지용 약학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방지용 약학 조성물.
  5. 오배자 추출물과 70℃ 내지 90℃에서 구운 천일염을 포함하는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용 약학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강화용 약학 조성물.
  7. 오배자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시료를 제조하는 단계;
    천일염을 70 내지 90℃에서 굽는 단계; 및
    상기 시료 및 상기 구운 천일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배자 염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제조 단계는 오배자에 60 내지 80 부피 % 에탄올을 10배(w/v)로 가하여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자 염의 제조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굽는 단계에서 상기 천일염은 2년 숙성된 천일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자 염의 제조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는 상기 구운 천일염 및 상기 오배자를 10:1(w:w)의 비율로 혼합하고 45 내지 50℃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배자 염의 제조 방법.
  11. 오배자 추출물과 70℃ 내지 90℃에서 구운 천일염을 포함하는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식품 조성물.
  12. 오배자 추출물과 70℃ 내지 90℃에서 구운 천일염을 포함하는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 방지용 식품 조성물.
  13. 오배자 추출물과 70℃ 내지 90℃에서 구운 천일염을 포함하는 오배자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용 식품 조성물.
KR1020110118461A 2011-11-14 2011-11-14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461A KR101347324B1 (ko) 2011-11-14 2011-11-14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461A KR101347324B1 (ko) 2011-11-14 2011-11-14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16A KR20130053016A (ko) 2013-05-23
KR101347324B1 true KR101347324B1 (ko) 2014-01-06

Family

ID=4866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461A KR101347324B1 (ko) 2011-11-14 2011-11-14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241A1 (ko) * 2013-08-06 2015-02-12 Kim Hyun Kee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개선 및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921A (ko) * 2003-05-30 2004-12-08 배조정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060011239A (ko) * 2004-07-29 2006-02-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한 어류용 사료혼합물
KR20100003074A (ko) * 2008-06-30 2010-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1257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자외선 차단, 항염증, 항산화 및 항노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921A (ko) * 2003-05-30 2004-12-08 배조정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060011239A (ko) * 2004-07-29 2006-02-03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한 어류용 사료혼합물
KR20100003074A (ko) * 2008-06-30 2010-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101257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자외선 차단, 항염증, 항산화 및 항노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016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680B1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5952B1 (ko)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용 및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617152B1 (ko) 붉나무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006959A (zh) 一种含蒲公英和茶叶提取物的抗氧化美白膏霜及其制备方法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5342916B (zh) 一种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068319A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347324B1 (ko)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오배자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33476A (ko)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13116798A (zh) 一种含抗初老组合物的面霜及其制备方法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64700B (zh) 组合物及其在制备防治痤疮的产品中的应用
CN106265175A (zh) 金荞麦提取物、制备方法、应用以及含其的皮肤外用剂
KR20100010315A (ko)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생약 화장료 조성물
CN103340807B (zh) 一种三七药物晚霜
KR20120081289A (ko) 아이소리퀴리티게닌 함량이 증가된 감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10150831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에 효과적인 알로에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Kim et al.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Dolnamul (Sedum sarmentosum) and the production of the oil in water cream
KR101810825B1 (ko) 굴거리나무 잎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A3083769A1 (en)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WO2022227286A1 (zh) 火棘果提取物的制备方法和用途
KR102370415B1 (ko)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