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313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313B1
KR101346313B1 KR20110087441A KR20110087441A KR101346313B1 KR 101346313 B1 KR101346313 B1 KR 101346313B1 KR 20110087441 A KR20110087441 A KR 20110087441A KR 20110087441 A KR20110087441 A KR 20110087441A KR 101346313 B1 KR101346313 B1 KR 10134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treatment tank
leachate
collection chamber
ex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173A (ko
Inventor
김연천
Original Assignee
김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천 filed Critical 김연천
Priority to KR2011008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3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각각의 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투입되는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소멸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는 별도로 저장하여 정화시킨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되는 과정에서 부형제가 건조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화된 침출수를 공급하여 소멸제를 활성화 시키고, 소멸과정을 마친 부형제에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했을 때 소멸작용이 원활하도록 해주며,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및 악취발생을 방지하면서 소멸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기간에 소멸시키고 침출수를 재사용하여 침출수 문제를 해결하며, 동일 시스템 내에서 연속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서, 처리 시간 단축, 잔재물 처리를 위한 후속 공정제거, 침출수 해양 투기 사전 차단, 기존 방법의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사전적으로 차단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내부에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수집되는 수집실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에 설치되어 상기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회 반복하여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에 간격을 두고 관통설치되는 공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수집실의 내부공간에 수집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바닥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된 침출수 배출홀을 통해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수집되는 침출수 처리탱크와;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정화시키는 폭기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와 침출수 처리탱크에 관통설치되어 침출수 처리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소멸이 완료되어 건조된 부형제에 공급하는 정화수 공급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되어지되,
상기 교반기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apparatus for food garbage using and method for vanishing}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각각의 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투입되는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소멸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란, 음식점, 가정, 집단급식소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식품의 생산.유통.가공.조리 등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수.축산물류 쓰레기 등을 말하고, 이 음식물 쓰레기 성분의 대부분은 침출수, 수분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심한 악취를 동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 일예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한 후 파쇄하거나 분쇄 또는 압축하여 매립 또는 소각하는 방식이 채택된 바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대량으로 연속 처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 또는 소각시 수질오염, 토양오염 또는 공해 등의 2차적인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량을 줄일 수 있지만,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단순 압축의 기능만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지에 매립시켜 처리하고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에는 대부분 침출수등이 포함되어 있어 매립된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매립토양으로 흡수되어 심한 악취를 동반하며 토양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면에 차수막을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의 침출수가 일정한 저장소로 흐르게 한 위생매립지가 건설되었지만, 침출수가 차수막 둘레의 제방을 뚫고 흘러나와 인근 하천등으로 유입됨으로서, 악취를 동반하며 하천을 오염시키는 폐해가 발생되었고, 또한 매립지가 아닌 하천이나 산야에 음식물 쓰레기가 그대로 버려지게 되는 경우에는 환경 오염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현재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즉, 퇴비화, 사료화, 연료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실시중에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퇴비화를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 용기에 넣어 발효시켜 식물용 퇴비로 사용한 경우에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에는 그대로 염분 및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어 오히려 식물에 해를 입히게 된다.
상기 사료화를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화시키는 공장을 설립하였지만 오히려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 공정에 따른 폐수가 발생하였고, 이 폐수의 BOD와 COD의 측정치는 허용기준치인 120ppm을 최고 17배나 초과하는 2000ppm과 1000ppm이 각각 검출되어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결과가 초래되었고, 사료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축에게 먹이기에는 염분등이 함유되어 있어 적절치 못하다.
상기 연료화를 위해서는 일단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된 생활 쓰레기를 소각로에 투입하여 소각시키게 되는데,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소각 온도를 떨어뜨리게 되고, 소각시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각각의 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투입되는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소멸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는 별도로 저장하여 정화시킨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되는 과정에서 부형제가 건조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화된 침출수를 공급하여 소멸제를 활성화 시키고, 소멸과정을 마친 부형제에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했을 때 소멸작용이 원활하도록 해주며,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및 악취발생을 방지하면서 소멸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기간에 소멸시키고 침출수를 재사용하여 침출수 문제를 해결하며, 동일 시스템 내에서 연속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함으로서, 처리 시간 단축, 잔재물 처리를 위한 후속 공정제거, 침출수 해양 투기 사전 차단, 기존 방법의 퇴비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사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내부에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수집되는 수집실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에 설치되어 상기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회 반복하여 교반하는 교반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에 간격을 두고 관통설치되는 공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수집실의 내부공간에 수집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바닥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된 침출수 배출홀을 통해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수집되는 침출수 처리탱크와;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정화시키는 폭기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와 침출수 처리탱크에 관통설치되어 침출수 처리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소멸이 완료되어 건조된 부형제에 공급하는 정화수 공급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되어지되,
상기 교반기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의 수집실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각각의 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투입되는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소멸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는 별도로 저장하여 정화시킨 다음 소멸과정을 마친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급하여 소멸제를 활성화 시키므로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및 악취발생을 방지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거의 소멸되어, 기존 방법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후 남는 잔존물 처리 문제가 해소되고, 침출수를 재사용함으로서 침출수를 해양투기하지 않아도 되며, 악취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 기간 안에 소멸하고 침출수를 재사용하여 이 공정이 연속적으로 계속 가동됨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 후에 남는 잔재물을 재처리해야 하는 문제, 악취문제, 침출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 시설 투자비용 저감으로 투자 대비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의 극대화와 운영비를 절감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소멸로 인해 후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퇴비화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소멸 공정을 거침으로서 악취발생이 극히 저조하고, 퇴비화 방법보다 처리기간이 단축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간이 짧아 반복적 소멸처리가 빨라 음식물 쓰레기를 대량처리 할 수 있으며, 소각시설에서 처리하는 비용에 비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저탄소 배출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방법은 소형 이동식 장치에도 응용할 수 있고, 넓은 지면 공간에 설비를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시스템과 소멸제가 상호 작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되는 새로운 공법으로서, 시설투자비 절감 효과, 운영비 절감 효과, 탄소배출 저감 효과, 침출수 재처리 비용 절감 효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후 남는 잔재물 재처리 비용 절감 효과, 악취 발생 차단으로 대기 오염 방지 효과, 대량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짧은 기간에 처리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하여 계속 쌓이는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에 정화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에 정화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소멸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와, 교반기(20)와, 송풍기(30)와, 침출수 처리탱크(40)와, 폭기부(50)와, 정화수 공급부재(6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는 내부에 부형제와, 소절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수집되는 수집실(1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는 상부에 투입구(미도시)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수집실(11)의 내부에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2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에 설치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회 반복하여 교반한다.
상기 교반기(20)는 공지의 로타리식, 에스컬레이터식, 회전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3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공간에 수집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기를 공급하여 소멸화 작용이 잘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바닥에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공기 유입홀(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30)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공기 유입홀(12)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관(31)을 설치하여 상기 송풍기(30)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공기 유입홀(12)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공간에 수집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급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향상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에 소멸화 할 수 있다.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바닥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된 침출수 배출홀(13)을 통해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수집된다.
또한,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의 내부공간에는 구획벽(41)이 간격을 두고 더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침출수 배출홀(13)들을 통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구획된 공간별로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4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예컨대,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의 내부공간은 구획벽(41)에 의해 총 4개 구획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구획벽(41)의 숫자를 조절하여 구획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침출수 배출홀(13)들은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침출수 처리탱크(4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1번 ~ 3번째 공간까지만 수집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41)은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각각의 공간에 수집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일정량이상 채워질 경우 그 공간에 해당되는 구획벽(41)을 넘어 다음 공간으로 흘러간다.
이어서, 상기 폭기부(50)는 침출수 처리탱크(4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침출수가 정화되는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예컨대, 상기 폭기부(50)는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구획된 공간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를 정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각각의 구획공간에서 다음 구획 공간으로 흘러간 침출수는 그 구획 공간에 설치된 폭기부(50)를 통해 반복 정화되어 정화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30)는 연결관(90)을 통해 폭기부(50)와 연결설치하여 상기 송풍기(30)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 및 폭기부(50)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송풍기(30)의 활용성을 증대시키면서, 본원 발명의 순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화수 공급부재(6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와 침출수 처리탱크(40)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에 저장된 정화수를 건조된 부형제에 공급한다.
예컨대, 상기 정화수 공급부재(60)는 펌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에 흡입관(61) 및 공급관(62)을 형성하여 펌핑작용을 통해 흡입관(61)으로 침출수 처리탱크(40)의 저장수를 흡입하고, 공급관(62)을 통해 흡입된 저장수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에 수집된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형제에 정화수가 공급되면, 상기 소멸제는 수분이 45 ~ 60%로 유지되면서 활성화되어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과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침출수를 정화하여 공급할 경우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및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소멸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2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각각의 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에 새롭게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한다.
예컨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관리자에 의해 10 ~ 15등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이 도 3에 도시된 형상일 경우 수집실(11)의 구획된 내부를 순환하면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도 4에 도시된 형상일 경우 좌,우로 완복하면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20)의 이동방식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 양측 가장자리에 레일(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교반기(20)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미도시)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바퀴에는 모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바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집실(11)이 도 4에 도시된 형상일 경우 상기 교반기(20)에 접촉감지센서를 더 설치하여 상기 교반기(20)가 15구간의 벽면에 닿게 되면 상기 접촉감지센서가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를 통해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교반기(20)가 1구간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기(20)가 1구간의 벽면에 닿게 되면 상기 접촉감지센서가 이를 센싱하여 제어부를 통해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교반기(20)가 10구간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20)의 이동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날 1구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상기 교반기(20)는 1구간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둘째날 2구간에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상기 교반기(20)는 1구간에서 2구간으로 이동하여 새롭게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10 ~ 15구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에서 교반기(20)에 의해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는 수집실(11)의 내부에서 10 ~ 15일 동안 방치되어 부형제에 의해 발효 및 숙성되고, 다시 1구간 ~ 10구간 또는 1구간 ~ 15구간에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되는 과정 중 기 혼합된 소멸제만으로 악취가 완전히 탈취될 수 없을 수도 있으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에는 탈취제 공급부재(70)를 더 설치하여 상기 탈취제 공급부재(70)를 통해 상기 소멸되가는 음식물 쓰레기에 소멸제를 분사하므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탈취제 공급부재(70)는 펌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에 흡입관(71) 및 공급관(72)을 형성하여 펌핑작용을 통해 흡입관(71)으로 소멸제를 흡입하고, 공급관(72)을 통해 흡입된 소멸제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상면에 설치된 배출관(80)에 공급하여 노즐(81)을 통해 수집실(11) 내부에 소멸되어가는 음식물 쓰레기에 분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순환형 음식물 쓰레기 소멸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 중 1구간에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다음 교반기(20)로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부형제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숙성시켜 퇴비화시키는 것으로 톱밥, 우드칩 등과 같은 기능을 하는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소멸제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 및 숙성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감소 및 탈취하는 것으로 생물학적 기능을 하는 Microorganism을 사용한다. 이는 복합 기능을 하는 Microorganism로서 분해, 탈취 등을 주기능으로 한다.
상기 소멸제의 주요성분으로는 자연계에 속하는 고초균, 유산균, 바실러스균 등 기타 다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는 1일 1 ~ 3회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교반하여 혼합물의 교반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반횟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의해 당업자가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후, 상기 혼합물에 송풍기(30)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건조시킨 다음 일정기간 수집실(11)의 내부에 방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부형제에 의해 발효 및 숙성되도록 하므로서 퇴비화 되도록 한다.
상기 혼합물을 수집실(11)에 일정기간 방치하는 동안 상기 혼합물은 자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분이 계속 증발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수분이 제거된다.
예컨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상부에는 배관(100) 또는 벤츄레이터를 더 설치하여 증발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혼합된 수분의 증발력을 증대시키면서 소멸제를 활성하시키기 위해 상기 혼합물에 정화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과정 중 발생되는 침출수를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구획된 공간별로 수집하여 각각의 폭기부(50)로 정화시키며,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의 침출수에는 정화제를 더 투입하여 정화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이후, 폭기부(50)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를 정화수 공급부재(60)를 통해 건조된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급하여 소멸제가 활성화되도록 하므로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감소시키고, 탈취율을 향상시키다.
계속해서, 수집실(11)의 새로운 구획공간 즉, 2구간에 새로운 부형제,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교반하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정화된 침출수를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시키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구간에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시켜 퇴비화한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에서 교반기(20)에 의해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는 수집실(11)의 내부에서 10 ~ 15일 동안 방치되어 소멸제에 의해 소멸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다음에는 탈취제 공급부재(7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소멸제를 추가로 분사하므로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대해 감소율 및 탈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1사이클이 끝나면 다시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실(11)의 1구간 ~ 10구간 또는 1구간 ~ 15구간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쓰레기 소멸작업을 반복한다.
10 :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 11 : 수집실
12 : 공기 유입홀 13 : 침출수 배출홀
20 : 교반기 30 : 송풍기
31 : 공기 공급관 40 : 침출수 처리탱크
41 : 구획벽 50 : 폭기부
60 : 정화수 공급부재 61,71 : 흡입관
62,72 : 공급관 70 : 탈취제 공급부재
80 : 배출관 81 : 노즐
90 : 연결관 100: 배관

Claims (7)

  1. 내부에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수집되는 수집실(11)이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실(11)을 다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하여 일정주기별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를 복수회 반복하여 교반하는 교반기(20)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에 간격을 두고 관통설치되는 공기 유입홀(12)을 통해 상기 수집실(11)의 내부공간에 수집된 부형제와, 소멸제 및 음식물 쓰레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0)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바닥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된 침출수 배출홀(13)을 통해 낙하된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수집되는 침출수 처리탱크(40)와;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정화시키는 폭기부(50)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와 침출수 처리탱크(40)에 관통설치되어 침출수 처리탱크(40)에 저장된 정화수를 소멸이 완료되어 건조된 부형제에 공급하는 정화수 공급부재(60);를 포함하며,
    상기 침출수 처리탱크(4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침출수 배출홀(13)을 통해 낙하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구획된 공간별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획벽(41)이 간격을 두고 더 형성되어지되, 상기 구획벽(41)은 침출수 처리탱크(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침출수가 각각의 구획공간에서 폭기부(50)를 통해 정화되고,
    상기 송풍기(30)는 연결관(90)을 통해 폭기부(50)와 연결설치하여 상기 송풍기(30)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 및 폭기부(50)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탱크(10)의 수집실(11) 내부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감소 및 탈취하는 소멸제를 분사하기 위한 탈취제 공급부재(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10087441A 2011-08-30 2011-08-3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4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7441A KR101346313B1 (ko) 2011-08-30 2011-08-3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7441A KR101346313B1 (ko) 2011-08-30 2011-08-3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173A KR20130024173A (ko) 2013-03-08
KR101346313B1 true KR101346313B1 (ko) 2013-12-31

Family

ID=4817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7441A KR101346313B1 (ko) 2011-08-30 2011-08-3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8911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에코티앤티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CN109290332A (zh) * 2018-09-29 2019-02-01 湖南新九方科技有限公司 一种农村垃圾无污染填埋处理方法
CN115591907A (zh) * 2022-10-27 2023-01-13 宋文侠(Cn) 一种生物降解微塑料用辅助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575A (ja) * 1993-06-10 1994-12-20 Masaru Hasak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堆肥化施設と有機性廃棄物の再生方法
JP2004352557A (ja) * 2003-05-29 2004-12-16 Toko Tekko Kk 有機肥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575A (ja) * 1993-06-10 1994-12-20 Masaru Hasak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堆肥化施設と有機性廃棄物の再生方法
JP2004352557A (ja) * 2003-05-29 2004-12-16 Toko Tekko Kk 有機肥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173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1402281B1 (ko) 악취의 효과적 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축사
KR10079145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106982B2 (ja) 悪臭処理方法、悪臭処理システムおよび飼育システム
KR101766277B1 (ko) 살처분 매몰지의 환원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비료 제조방법
KR100793115B1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20210060847A (ko) 유무기질 폐수슬러지 감량 및 사료화 장치
KR1013463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227993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9728B1 (ko) 톱밥 탈취기 및 이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CN207153444U (zh) 一种可旋转喷淋的垃圾除臭装置
JP3657841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装置
CN211035734U (zh) 一种双层棚膜结构槽式堆肥系统
KR20210061567A (ko) 악취정화수단이 구비된 에스컬레이터 타입 퇴비 교반장치
KR20080097893A (ko)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장치
KR100707231B1 (ko) 순환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설비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512990B1 (ko) 일체형 악취 제거 시스템
JP2005320182A (ja) 有機性廃棄物堆肥化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機性廃棄物堆肥化処理方法
KR101046211B1 (ko) 침출수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2005211890A (ja) 生ゴミ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315933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설비용 악취 제거장치
JP2003010632A (ja) 生ゴミ処理機における脱臭装置
KR980009206A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