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273B1 -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273B1
KR101346273B1 KR1020120065379A KR20120065379A KR101346273B1 KR 101346273 B1 KR101346273 B1 KR 101346273B1 KR 1020120065379 A KR1020120065379 A KR 1020120065379A KR 20120065379 A KR20120065379 A KR 20120065379A KR 101346273 B1 KR101346273 B1 KR 101346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supply
ship
emergenc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288A (ko
Inventor
강경호
오민택
홍승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2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021/003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ower plant using fuel cells for energy supply or accumulation, e.g. for buffering photovoltaic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Abstract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배터리부; 선박의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다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와의 병렬 운전을 위해 케이블 연결하기 위한 병렬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Movable emergency power supplying device in ship and method for providing error recovery informa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선박은 여행, 화물 운송, 국가 방위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원거리를 장기간 독립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운용환경으로 인해 선박은 선박 자체에 탑재되어 가동되는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구조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발전기 등으로 구성된 발전 시스템과, 생산된 전력을 선박의 각종 부하로 전달하는 배전반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선박의 전력 시스템에서 사고가 발생되면, 육상의 전력시스템처럼 별도의 추가적인 전력 공급이나 대용량 장비의 교체 및 대규모 복구 인력 투입이 어렵기 때문에 즉각적인 전력의 복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시스템의 사고가 장기화되는 경우 선박의 이동, 제어, 조명, 안전, 각종 처리 시설 등 선박 전체의 장비의 불능 사태로 이어져 선박의 운항, 승무원의 안전, 화물의 처리/보관 등에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박에 있어서 전력 시스템 계통의 자체 안정성 확보 및 사고 발생시 신속한 복구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선박은 전력 시스템 계통의 자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력 이중화 시스템을 구비한다. 즉, 어느 하나의 시스템이 불능 상태로 되더라도 다른 시스템이 자동으로 절체되도록 구성되며, 선박 전체의 정전(Black out) 상태에서는 즉각 비상 발전 시스템이 가동되어 선박 운항에 필수적인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고 자동 절체 및 비상 발전 시스템가동, 사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해 전력 시스템에 각종 센서, 차단기, 계전기, 제어기 등이 연계되어 운영된다.
이러한 장비들은 사고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비상시에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게 되고,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역시 이중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안정성 있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을 확보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의 이중화 구조, 비상 발전 시스템의 구비,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연동 구조 등을 적용할지라도 선박 전체의 정전, 비상 발전 시스템의 불능,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불능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선박의 전력 시스템을 보다 안정화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이중화 이상의 다중화 구조로 구성하는 방안은 공간적 및 비용적 제약 사항으로 인해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비상 전원 공급 및 상태 점검 수단을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선박 내 정전(Black out) 발생시 각종 전력 소요 장치(예를 들어 감시 및/또는 보호 등에 필요한 설비일 수 있으며, 각종 센서, 차단기, 제어기 등)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고, 각 장비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안정적 운항을 지속시킬 수 있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 분해, 케이블 분리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각종 전력 소요 장치에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전력 소요 장치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보조적인 수단을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력 시스템의 장애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 내 정전 감지, 각종 전력 소요 장치의 상태 감지 및 고장 유무를 진단하고 신속한 복구 방법을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 선박의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다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와의 병렬 운전을 위해 케이블 연결하기 위한 병렬 접속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병렬 접속부의 케이블 연결에 의해,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다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부는 상호간에 병렬 연결 관계를 가지도록 결선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하부에, 이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장치를 가지는 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전동 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이동 수단에 락(Lock)이 걸리도록 하는 바퀴 제동용 락 및 전자석 구동형 락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력을 하나 이상의 전력 소요 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적절한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전력 소요 장치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오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오류 상태에 부합하여 미리 저장된 조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상시 전원에 대한 비정상 전원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상시 전원을 이용한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경로가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서 수행되는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해 공급받는 상시 전원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시 전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내부 구성 요소를 동작시키는 단계; 통신 소켓을 통해 통신 연결되고, 전원 소켓을 통해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전력 소요 장치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오류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오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오류 상태에 부합하는 조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 등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조치 정보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전력 감시부로부터 실시간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소요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는 구비된 병렬 접속부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전원 공급 및 상태 점검 수단을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선박 내 정전(Black out) 발생시 각종 전력 소요 장치(예를 들어 감시 및/또는 보호에 필요한 설비)에 비상 전력을 공급하고, 각 장비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의 안정적 운항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 분해, 케이블 분리 등의 번거로운 작업 없이 각종 전력 소요 장치에 비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각종 전력 소요 장치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보조적인 수단을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전력 시스템의 장애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선박 내 정전 감지, 각종 전력 소요 장치의 상태 감지 및 고장 유무를 진단하고 신속한 복구 방법을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외형을 예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배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사용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외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배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사용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100)(이하, 전원 공급 장치(100)라 칭함)는 전원 관리 유닛(110), 병렬 접속부(120), 통신부(130), 이동부(140), 제어부(150), 디스플레이부(160), 스피커부(170) 및 비상 조명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 유닛(110)은 선박의 전력 시스템에서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부(240)에 전력을 충전하고, 전력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전력을 전력 소요 장치(510)로 공급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전력 소요 장치(510)는 정전 등의 비정상 상태 발생시 비정상 상태 해소를 위해 점검되고 오류가 해소되어야 하는 예를 들어 각종 센서, 차단기, 제어기 등 중 하나 이상인 감시/보호 장치, 비정상 상태에서도 안전 확보 등의 목적으로 정상 동작되어야 하는 예를 들어 피난 유도등 등의 안전 장치, 및 전력 시스템의 정상적 시스템 운용의 목적에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예를 들어 배전반 등의 전력 시스템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광의의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원 관리 유닛(11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 유닛(110)은 충전부(210), 전력 변환부(220), 전원 분배부(230) 및 배터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 관리 유닛(110)에 전원 입출력 과정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어 차단기, 퓨즈 등의 보호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충전부(210)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황에서, 전력 변환부(220)와 연계하여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후술되는 배터리부(240)가 충전되도록 한다.
충전부(210)는 상시 전원의 입력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상시 전원의 현재 입력 상태가 비정상인 상태(예를 들어, 정전 상태 등)라면 비정상 전원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50)로 입력한다.
전력 변환부(220)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황에서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배터리부(240)를 충전하기 위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전력 변환부(220)는 상시 전원의 입력 상태가 정전 등의 이유로 비정상인 상태에서는 전력 소요 장치(5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원 분배부(230)는 상시 전원의 입력 상태가 비정상인 상태에서 전력 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되어 출력되는 교류 전원 및/또는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전력 소요 장치(510)에 공급할 수 있는 전압값을 가지도록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원 분배부(230)에 의해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압값은 예를 들어 AC 220V, DC 110V, DC 24V, DC 12V, DC 5V 등일 수 있으며, 전원 공급 장치(1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전력 소요 장치(510)의 요구 전압값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전원 분배부(230)가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값은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전원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조작 패널(320, 도 3 참조)을 이용하여 입력한 값에 해당하는 전압값일 수도 있으나, 전원 분배부(230)가 미리 지정된 모든 전압값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되 작업자가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전력 소요 장치(510)에 적합한 전압값의 출력 단자를 연결하여 전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원 분배부(230)는 각종 전력 소요 장치(5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뿐 아니라, 각종 포터블 장치 및/또는 손전등 등의 유지 보수 활동을 위한 휴대형 장치들의 충전을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 분배부(230)가 휴대형 장치의 충전을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시 전원의 입력 상태가 정상인 상태에서 휴대형 장치의 충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전력 시스템이 정상인 상태에서도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직류 전원을 소정의 전압값을 가지도록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배터리부(240)는 상시 전원의 입력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는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시 전원이 전력 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한다.
그러나 상시 전원의 입력 상태가 비정상인 상태에서는 충전된 전력이 전원 공급 장치(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내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 스피커부(170), 비상 조명부(180), 이동부(140) 등 중 하나 이상)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부(240)로부터 내부 구성 요소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전원 공급 경로가 미리 구성될 수 있고, 내부 구성 요소가 상시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 경우라면 제어부(150)가 배터리 전원에 의해 내부 구성 요소가 동작하도록 전원 공급 경로의 스위칭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부(240)는 충전된 전력이 전원 분배부(230)의 전압 변환 처리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전력 소요 장치(510)로 공급되도록 기능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구비된 병렬 접속부(120)간의 케이블 연결을 통해 복수의 전원 공급 장치(100)가 연동되어 기능하는 구조를 가지며, 병렬 접속부(120)를 통해 복수의 전원 공급 장치(100)가 연결되면 각 병렬 접속부(120)에 구비된 배터리부(240)가 상호간에 병렬 연결되어 전력 소요 장치(510)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용량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정상 상태인 경우 전원 공급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전력 감시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고, 선박의 전력 시스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력 감시부로부터 수신한다. 전력 감시부는 하나 이상의 감시 보호 설비(예를 들어, 보호 계전기, 차단기 등 중 하나 이상)로부터 선박의 전력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전력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여부 및 발생된 문제가 무엇인지 등에 상응하는 정보를 전원 공급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감시 보호 장치(예를 들어, 각종 센서, 차단기 등)로부터 선박의 전력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유선 또는/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전력 소요 장치 및/또는 전력 감시부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현재 전력 시스템 상태 및/또는 전력 소요 장치(510)의 오류 발생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동부(140)는 작업자가 전원 공급 장치(100)를 적절한 장소로 이동시켜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바퀴 등의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부(140)의 이동식 구조는 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구동 조작되는 전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100)의 용이한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이동부(140)의 이동식 구조는, 전원 공급 장치(100)의 이동이 중지 또는 완료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이동 수단에 락(Lock)이 걸려 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예를 들어 바퀴 제동용 락(Lock) 또는/및 전자석 구동형 락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전력 감시부 및/또는 감시 보호 설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의 전력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인식할 수 있고, 충전부(210)로부터 수신되는 비정상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전 상황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상황 등의 비정상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통신부(130)를 제어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전력 소요 장치(510) 등과 통신함으로써 오류 발생 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오류가 발생된 경우 해당 전력 소요 장치(510)에 대한 조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스피커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치 정보는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오류 코드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력 감시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오류 코드는 예를 들어 전력 소요 장치(510)로부터 임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값이 미리 지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등의 미리 지정된 기준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오류 코드에 해당하는 조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스피커부(170)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작업자는 오류가 발생된 전력 소요 장치(510)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정전 상황 등의 비정상 상태에서 조치 정보 등의 출력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 스피커부(170), 비상 조명부(180) 등으로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의 비정상 상태에서 오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전력 소요 장치(510)와의 통신부(130)를 통한 통신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전력 소요 장치(51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전력 소요 장치(510)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저장부에서 독출되거나 전력 감시부로부터 수신한 조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부(170)는 전원 공급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서 오류가 발생했거나,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 상태로 전환된 경우 작업자에게 부저음 또는/및 음성으로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170)는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전력 소요 장치(51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 절차, 주의사항 등인 조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부(170)의 음성 출력을 위한 음원 데이터 등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거나 전력 감시부로부터 실시간 수신될 수 있다.
비상 조명부(180)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작업자의 접근 및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된다.
도 3에는 전원 공급 장치(100)의 외형이 예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이동부(140), 디스플레이부(160), 스피커부(170), 비상 조명부(180), LED부(310), 조작 패널부(320), 전원 소켓(330), 통신 소켓(340) 및 병렬 운전용 소켓(350)을 포함할 수 있다.
LED부(310)는 통신부(130) 전원 관리 유닛(110) 및/또는 제어부(150)와 연동하여 배터리부(240)의 충전 상태, 전원 공급 장치(100)의 동작 상태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 패널부(230)는 작업자가 조작 명령(예를 들어, 조치 정보 표시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터치 감응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소켓(330)은 전력 소요 장치(51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여 전력 소요 장치(51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고, 통신 소켓(340)은 케이블 연결 등의 방식으로 전력 소요 장치(5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병렬 운전용 소켓(350)은 다른 전원 공급 장치(100)와 연결하여 각 전원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부(240)가 각각 병렬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요 장치(510)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의 총 용량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배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사용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선박 내의 배전반(410a, 410b, 이하 410으로 통칭함)과 함께 연결 및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장치(100)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정상 상태인 동안에는 배전반(410)으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부(240)를 충전시킨다.
그러나,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시 전원 공급 라인을 절체하고, 전원 소켓(330)을 통해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전원을 배전반(410) 또는/및 기타 전력 소요 장치(510)로 공급하며, 통신 소켓(340)을 통해 연결된 배전반(410) 또는/및 전력 소요 장치(510)와의 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를 주고 받아 작업자의 유지 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정상 상태인 동안 배전반(410)으로부터 상시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부(240)를 충전할지라도 필요시에는 배전반(410)과 분리하고 이동부(140)를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로 이동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선체 벽면에 취부되어 상시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 감시부 및/또는 전력 소요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선체 벽면에서 분리되어 적절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복수의 전원 공급 장치(100)가 병렬 운전용 소켓(350)을 통해 병렬 연결되어 공급 전력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전원 소켓(330)을 통해 연결된 전력 소요 장치(510)로 전력을 공급하는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하나의 전력 소요 장치(510)만이 전원 공급 장치(10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형태가 도시되었으나, 전원 공급 장치(100)에 복수의 전력 소요 장치(510)가 동시에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단계 610에서 전력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전력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전력 감시부로부터 수신되는 선박의 전력 시스템 상황에 대한 정보, 전력 소요 장치(51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충전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상시 전원에 대한 상태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수신된 전력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정상 상태라면 단계 61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선박의 전력 시스템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었다면 단계 630으로 진행한다.
단계 630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부(240)에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관리 유닛(110)의 처리를 중지하고, 배터리부(24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한 비상 전원 공급 처리를 수행한다.
비상 전원 공급 처리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 등과 같은 내부 구성 요소에 대한 전원 공급, 전원 소켓(330)을 통해 연결된 전력 소요 장치(510)로의 전원 공급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40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유선 또는/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전력 소요 장치(51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임의의 전력 소요 장치(510)가 오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오류 상태인 전력 소요 장치(510)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계 64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오류 상태인 전력 소요 장치(510)가 존재한다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단계 650에서 해당 전력 소요 장치(510)의 오류 상태에 해당하는 오류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오류 코드에 해당하는 오류 복구용 조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스피커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오류 복구용 조치 정보는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오류 코드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력 감시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오류 코드는 예를 들어 전력 소요 장치(510)로부터 임의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값이 미리 지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등의 미리 지정된 기준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오류 코드에 해당하는 조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60) 및/또는 스피커부(170)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작업자는 오류가 발생된 전력 소요 장치(510)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110 : 전원 관리 유닛
120 : 병렬 접속부 130 : 통신부
140 : 이동부 150 : 제어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스피커부
180 : 비상 조명부 210 : 충전부
220 : 전력 변환부 230 : 전원 분배부
240 : 배터리부 310 : LED부
320 : 조작 패널부 330 : 전원 소켓
340 : 통신 소켓 350 : 병렬 운전용 소켓
410, 410a, 410b : 배전반 510 : 전력 소요 장치

Claims (10)

  1.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
    선박의 전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다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와의 병렬 운전을 위해 케이블 연결하기 위한 병렬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의 하부에, 이동 수단 및 상기 이동 수단의 회전 조작을 위해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장치를 가지는 이동부가 구비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접속부의 케이블 연결에 의해,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다른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부는 상호간에 병렬 연결 관계를 가지도록 결선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전동 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이동 수단에 락(Lock)이 걸리도록 하는 바퀴 제동용 락 및 전자석 구동형 락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된 전력을 하나 이상의 전력 소요 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전압값 변환 및 출력을 수행하는 전원 분배부;
    상기 전력 소요 장치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동작 상태 정보가 미리 지정된 오류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오류 상태에 부합하여 미리 저장된 조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상시 전원에 대한 비정상 전원 상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상시 전원을 이용한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경로가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65379A 2012-06-19 2012-06-19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KR101346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79A KR101346273B1 (ko) 2012-06-19 2012-06-19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79A KR101346273B1 (ko) 2012-06-19 2012-06-19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88A KR20130142288A (ko) 2013-12-30
KR101346273B1 true KR101346273B1 (ko) 2014-01-03

Family

ID=4998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379A KR101346273B1 (ko) 2012-06-19 2012-06-19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391B1 (ko) * 2021-04-30 2023-01-1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부유물용 충전설비
KR102466404B1 (ko) * 2021-04-30 2022-11-1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부유물용 충전설비와 연결되는 dcp 및 이를 포함한 선내 배터리 충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041A (ja) * 1998-10-30 2000-05-16 Nec Corp 船舶用電源装置
KR101117306B1 (ko) * 2011-09-09 2012-02-28 지메트 (주)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041A (ja) * 1998-10-30 2000-05-16 Nec Corp 船舶用電源装置
KR101117306B1 (ko) * 2011-09-09 2012-02-28 지메트 (주)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88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5979B1 (en) Aircraf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or hybrid aircrafts
CN112203892A (zh) 用于电动或混合动力飞行器的飞行器监测系统和方法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41249A1 (ja) 蓄電システム及び蓄電システムの保全方法
US7071580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US10855106B2 (en) Enclosure monitoring devices having battery backup
KR101346273B1 (ko)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CN106160187A (zh) 中压输配电自动投切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0986627B1 (ko)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KR101050202B1 (ko) 비상조명등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CN107086613A (zh) 一种分布式多子系统组成的n+m冗余ups系统
JP2008278666A (ja) 無停電電源装置
CN106972623A (zh) 一种交流电供电装置
US8819470B2 (en) Switching device, a switch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a switching device control program
KR102545246B1 (ko) 철도 신호용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162246B1 (ko)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정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209913570U (zh) 用于火焰检测装置的供电回路
CN110450934B (zh) 一种核动力船舶主控室的配置系统
US20150339915A1 (en) Advanced interconnected smoke alarm system with centrally located battery and dc power supply
RU2538193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требителей
KR100807263B1 (ko) 이상발생 감지 정류시스템
KR20160113784A (ko)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KR20140122484A (ko) 배전 감시진단보호 시스템
CN205365265U (zh) 一种ups电源车用显示仪
CN103063958A (zh) 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高压变频综合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