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306B1 -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 Google Patents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306B1
KR101117306B1 KR1020110091777A KR20110091777A KR101117306B1 KR 101117306 B1 KR101117306 B1 KR 101117306B1 KR 1020110091777 A KR1020110091777 A KR 1020110091777A KR 20110091777 A KR20110091777 A KR 20110091777A KR 101117306 B1 KR101117306 B1 KR 10111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power
storage battery
switch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태
정장한
Original Assignee
지메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메트 (주) filed Critical 지메트 (주)
Priority to KR102011009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63H2021/171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making use of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e.g. using solar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관리 제어반이 추진 전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축전지의 충전과 방전 및 배전을 제어함으로써, 축전지, 발전기 및 태양전지 모듈과 같은 전기 에너지원을 통해 추진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단일화된 장비에서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모든 운용설비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제어방식으로 인해 최적의 효율로 추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충전 없이 추진 전동기의 구동만 할 경우, 추진 전동기의 구동과 함께 충전을 수행할 경우, 해상에서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항구에 정박한 경우, 비상 추진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조건별로 충전과 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연료전지, 직류 발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원; 상기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공급원이 제공한 직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상기 전력 공급원 및 상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공급원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에너지를 상기 축전지에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을 조정하는 충전 제어반;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전동기; 및 상기 전력 공급원, 상기 축전지, 상기 충전 제어반, 상기 추진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진 전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축전지의 충전, 방전, 배전을 제어하는 전력관리 제어반(Power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Electric propulsion ship including pow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관리 제어반이 추진 전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축전지의 충전과 방전 및 배전을 제어함으로써, 축전지, 발전기 및 태양전지 모듈과 같은 전기 에너지원을 통해 추진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단일화된 장비에서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최적의 효율로 추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충전 없이 추진 전동기의 구동만 할 경우, 추진 전동기의 구동과 함께 충전을 수행할 경우, 해상에서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항구에 정박한 경우, 비상 추진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조건별로 충전과 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박은 후미에 장착된 프로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추진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동력추진장치로는 여러 종류의 것들이 있으나, 대표적으로는 스팀터빈 시스템(Steam Turbine System)과 전기추진 시스템(Electric Propulsion System)이 있다.
스팀터빈 시스템은 회전식 증기력 원동기로, 보일러에서 발생한 고압의 증기를 노즐로부터 분출시켜 고속의 증기분류를 만들고, 이를 회전하는 날개차에 분사함으로써 동력을 얻는 외연기관의 일종이다.
이러한 스팀터빈 시스템은 진동이 적고 능률이 좋을 뿐만 아니라, 고속 및 대(大)마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화력발전은 물론 선박의 추진기관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팀터빈 시스템은 소음이 심하고 규모가 지나치게 커서 선박의 무게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스팀터빈 시스템에 비해 소음이 적고 오염정도가 적으며 추진력이 강한 전기모터를 이용한 전기추진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선박의 전기추진 시스템은 말단에 프로펠러가 연결된 추진축을 추진용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시켜 선박을 추진하는 것으로서, LNG 운반선, 유람선, 시추선 등 다양한 종류의 선박에서 전기추진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발전기 기반 전기추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발전기 기반의 전기추진 시스템은 디젤발전기에서 직접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커서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도 1과 같은 발전기 기반의 전기추진 시스템이 갖는 에너지 효율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축전지 기반의 전기추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축전지 기반의 전기추진 시스템은 단순히 추진 전동기와 축전지를 연결한 형태에 불과하여 실제로 실용화되기까지는 전력관리 제어반을 비롯하여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 많다. 또한, 연납축전지와 같은 저용량의 축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선박의 기동저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고효율 및 고용량의 전기추진선박을 구현하기 위해 비용과 환경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따라서, 고효율 및 고용량의 축전지와 고효율 추진전동기를 이용하고, 전기에너지원에서 추진 전동기를 구동하도록 단일화된 장비에서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최적의 효율로 추진할 수 있는 고효율 고용량 전기추진선박의 전력관리제어시스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축전지, 발전기 및 태양전지 모듈과 같은 전기 에너지원을 통해 추진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단일화된 장비에서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최적의 효율로 추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별로 충전과 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은 태양전지 모듈, 연료전지, 직류 발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원; 상기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공급원이 제공한 직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상기 전력 공급원 및 상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공급원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에너지를 상기 축전지에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을 조정하는 충전 제어반;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전동기; 및 상기 전력 공급원, 상기 축전지, 상기 충전 제어반, 상기 추진 전동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진 전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상기 축전지의 충전, 방전, 배전을 제어하는 전력관리 제어반(Power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 제어반은 상기 추진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전기추진 모드(Electric Propulsion Mode)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원과 상기 축전지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 제어반은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 모드(Charging Mode)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원과 상기 축전지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 제어반은 비상 추진 모드(Generating Propulsion Mode for Emergency)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원과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추진선박은 선내 일반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축전지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직류 발전기에 구비된 디젤 엔진의 시동 및 선내 일반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압으로 조정하는 컨버터; 상기 추진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상기 추진 전동기의 구동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추진용 컨버터; 및 육상 전기설비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육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관리 제어반이 추진 전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축전지의 충전과 방전 및 배전을 제어함으로써, 축전지, 발전기 및 태양전지 모듈과 같은 전기 에너지원을 통해 추진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단일화된 장비에서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최적의 효율로 추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 없이 추진 전동기의 구동만 할 경우, 추진 전동기의 구동과 함께 충전을 수행할 경우, 해상에서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항구에 정박한 경우, 비상 추진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조건별로 충전과 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발전기 기반 전기추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의 전력관리 제어반 구성도,
도 4는 전기 추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
도 5는 전기 추진 및 충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
도 6은 충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
도 7은 육상 충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
도 8은 비상 추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은,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원(10), 충전 제어반(20), 고용량 축전지(30), 추진 전동기(40), 인버터(50), 컨버터(60), 추진용 컨버터(70), 및 전력관리 제어반(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력 공급원(10)은 고용량 축전지(30)의 충전을 위한 에너지 공급원이다. 전력 공급원(10)은 태양전지 모듈(12), 연료전지(14), 직류 발전기(16), 육전 연결부(18)와 연결되는 충전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은 태양전지 모듈(12), 연료전지(14), 직류 발전기(16) 등의 전력 공급원(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즉시 축전지(30)에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화석연료로 발전하여 잉여 전기에너지를 낭비하는 선박과 달리, 청정 에너지인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영향과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한다.
직류 발전기(16)는 디젤엔진을 비롯한 원동기를 포함하며, 함내 난방시, 비상시 또는 운항거리에 대한 함의 요구성능을 충족하도록 축전지(30)의 충전을 위해 운용된다.
육전 연결부(18)는 선박의 항구 정박시 육상의 충전설비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축전지(30)를 급속 충전하기 위한 장치이다. 육전 연결부(18)는 육상의 선착장 부근에 설치되고 옥외형으로 제작되며, 충전설비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축전지(30)를 충전한다.
육전 연결부(18)는 IGBT 고주파변환 방식을 적용하고 출력전압의 안정도는 0.5% 이내에서 안정화되고, 정전압 모드 운전이 가능하며, 각종 보호기능과 경보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원격운전 제어 및 감시가 가능한 통신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충전 제어반(20)은 전력 공급원(10) 및 축전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원(10)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에너지를 축전지(30)에 적접 충전할 수 있도록 정전압(Constant Voltage), 정전류(Constant Current) 모드로 충전하며, 각종 보호기능과 경보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즉, 충전 제어반(20)은 태양전지 모듈(12), 연료전지(14), 직류 발전기(16) 등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가능한 전압으로 조정한 후 축전지(30)에 충전되도록 한다. 충전 제어반(20)은 운항중에 축전지(30)의 방전이 진행되면서 전압이 서서히 강하되고 종지전압 이전에 보 충전을 시키는 보조용 충전장치로써, IGBT 고주파변환 방식을 적용하고 출력전압의 안정도는 0.5% 이내에서 안정화된다.
충전 제어반(20)을 통한 축전지(30)의 충전시 축전지(30)에서 역전류를 통해 충전 제어반(20)이 손상되지 않도록 각종 보호기능과 경보 기능이 내장되어 있고, 원격운전 제어 및 감시가 가능한 통신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축전지(30)는 충전 제어반(20)을 통해서만 충전되며, 축전지(30)에 저장된 에너지는 상시 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축전지(30)는 전력 공급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원(10)에 제공한 직류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축전지(30)는 고효율/고용량 축전지를 사용하며, 추진 전동기(40)의 운용 전압을 고려하여 축전지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축전지(30)를 구성함으로써 축전지의 단위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에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추진 전동기(40)는 축전지(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한다. 추진 전동기(40)는 전력관리 제어반(100) 내에 포함된 회전수 제어용 드라이브를 통해 정회전과 역회전 및 회전수(RPM)가 제어된다. 추진 전동기(40)는 원하는 추진력을 얻고 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버터(50)는 선내 일반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축전지(30)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DC/AC Inverters이다. 일례로 인버터(50)는 축전지(30)의 직류전원을 AC 220V로 변환하여 선내의 각종 주방기구나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인버터(50)는 IGBT 고주파변환 방식을 적용하고 출력전압의 안정도는 0.5% 이내에서 안정화되고, 정전압 모드 운전이 가능하며 각종 보호기능과 경보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원격운전 제어 및 감시가 가능한 통신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컨버터(60)는 축전지의 전압을 직류 발전기(16)에 구비된 디젤 엔진의 시동 및 선내 일반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압으로 조정하는 DC/DC Converters이다. 즉, 컨버터(60)는 축전지 전력을 DC 12V로 변환하여 디젤엔진의 시동을 위해 직류 발전기(16)에 공급하거나 일반부하의 용량을 기준으로 DC 12V 전원을 공급한다. 컨버터(60)는 IGBT 고주파변환 방식을 적용하고 출력전압의 안정도는 0.5% 이내에서 안정화되고, 정전압 모드 운전이 가능하며 각종 보호기능과 경보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원격운전 제어 및 감시가 가능한 통신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추진용 컨버터(70)는 축전지(30)의 전압을 추진 전동기(40)의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직류전압을 강압하기 위한 변환장치이다. 추진용 컨버터(70)는 IGBT 고주파변환 방식을 적용하고 출력전압의 안정도는 0.5% 이내에서 안정화되고, 정전압 모드 운전이 가능하며 각종 보호기능과 경보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원격운전 제어 및 감시가 가능한 통신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전력 공급원(10), 충전 제어반(20), 축전지(30), 추진 전동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추진 전동기(40)의 회전수를 제어하고 축전지(30)의 충전과 방전 및 배전을 제어한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전기추진선박에서 가장 중요한 축전지, 발전기 및 태양전지 모듈과 같은 전기 에너지원을 통해 추진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단일화된 장비에서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며, 최적의 효율로 추진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일반적인 전기추진선박에 적용되는 배전반 기능뿐만 아니라 추진 전동기(40)의 추력을 제어하는 드라이브 기능을 포함한다. 즉,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추진 전동기(40)의 rpm을 제어하고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한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배전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회로차단기의 용량에 따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회로차단기는 고장전류 발생시 회로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선내의 모든 운용 설비를 통합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로, 선내에 설치된 각종 전원설비, 변환설비, 축전지(30) 및 기타 제어장치를 LCD 모니터를 통하여 일괄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게 된다. 각종 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화면에 수치나 그림으로 표현하고, 설정을 원하는 모듈을 선택하여 각종 정보의 변경이나 설정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제어장치이며, 통신방식은 CAN 방식을 적용한다. 또한, 수집된 모든 정보는 데이터로 저장되고 고장정보 및 운행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개선에 반영할 수 있다.
태양광을 통한 축전지의 충전시,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충전가능한 전력이 생산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축전지(30)를 충전하도록 관련 스위치를 온(ON) 시킨다. 만일, 축전지의 충전이 불가능한 수준의 전력을 선내 일반부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잦은 회로차단으로 불편이 예상되므로, 선내의 일반부하는 축전지에서 공급하는 전기에너지를 직접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상에서 추진시 또는 정박시,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DC 디젤 발전기를 구동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축전지(30)를 충전하기 위해 관련 스위치를 온(ON) 시킨다. 이때, 디젤 발전기를 통한 축전지의 충전은 육전을 이용한 충전을 제외하고 선반의 현재 운용상태와 무관하게 충전할 수 있다.
항구 정박시 육전 연결이 이루어지면,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축전지 충전을 위해 관련 스위치를 온(ON) 시킨다. 육전을 통한 충전시에는 추진 및 비용절감을 위해 DC 발전기를 이용한 충전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내 일반 부하용 전원은 컨버터 및 인버터를 통해 상시 공급이 가능하도록 전력관리 제어반(100)이 관련 스위치를 온(ON) 시키며, 일반 부하용 컨버터 및 인버터는 전류 용량에 따라 회로 차단기를 적용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탄소배출 제한, 화석에너지 비용증가, 그리고 해양 생태계 보호로 인해 전기추진선박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은 환경보전 구역에서는 완전한 전기추진으로 운용하고, 해양에서는 원동기를 포함하는 DC 발전기와 연동하여 운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운용비용을 최소화하여 효율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의 전력관리 제어반 운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의 전력관리 제어반 구성도이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전력 공급원(10), 육전 연결부(18), 축전지(30), 추진 전동기(40), 인버터(50), 컨버터(60), 추진용 컨버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한다.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추진 전동기(40)의 제어를 위한 제1 스위치(SW1), 축전지(30)의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SW2), 전력 공급원(10)의 제어를 위한 제3 스위치(SW3), 육전 연결부(18)의 제어를 위한 제4 스위치(SW4)를 구비한다.
도 4는 전기 추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의 계통도는 도 3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도면 부호가 그대로 적용되며, 도 4 내지 도 8에서 도면 부호의 기재는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전기 추진 모드(Electric Propulsion Mode)는 축전지(3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진 전동기(40)를 구동시킴으로써 전기에 의해 선박의 추진력을 얻는 모드이다. 이때, 전류는 축전지(30)에서 추진 전동기(40)로 흐르게 된다.
전기 추진 모드에서 추진 전동기(40)의 제1 스위치(SW1)와 축전지(30)의 제2 스위치(SW2)를 온(ON) 시킴으로써, 축전지(3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진 전동기(40)를 구동시킨다. 반면, 전력 공급원(10)의 제3 스위치(SW3)와 육전 연결부(18)의 제4 스위치(SW4)는 오프(OFF) 시킴으로써 전기 추진만 수행되고 충전은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축전지(30)와 추진 전동기(40)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키고, 전력 공급원(10)과 축전지(30) 간의 스위치는 오프(OFF) 시킨다.
도 5는 전기 추진 및 충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전기 추진 및 충전 모드(Electric Propulsion & Charging Mode)는 축전지(3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로 추진 전동기(4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전력 공급원(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지(30)에 충전하는 모드이다. 이때, 전류는 축전지(30)에서 추진 전동기(40)로, 그리고 전력 공급원(10)에서 축전지(30)로 흐른다.
전기 추진 및 충전 모드에서 추진 전동기(40)의 제1 스위치(SW1)와 축전지(30)의 제2 스위치(SW2)를 온(ON) 시킴으로써, 축전지(3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추진 전동기(40)를 구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전력 공급원(10)의 제3 스위치(SW3)를 온(ON) 시켜 축전지(30)의 충전과 방전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육전 연결부(18)의 제4 스위치(SW4)는 오프(OFF)된다.
도 6은 충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충전 모드(Charging Mode)는 전력 공급원(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지(30)에 충전하는 모드이다. 이때, 전류는 전력 공급원(10)에서 축전지(30)로 흐른다.
충전 모드에서 전력 공급원(10)의 제3 스위치(SW3)와 축전지(30)의 제2 스위치(SW2)를 온(ON) 시킴으로써, 전력 공급원(10)에서 생산한 전력을 축전지(30)에 저장한다. 반면, 추진 전동기(40)의 제1 스위치(SW1)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전기 추진에 의한 축전지(30)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육전을 통한 충전은 수행되지 않으므로 육전 연결부(18)의 제4 스위치(SW4)는 오프(OFF)된다.
즉,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축전지(30)와 추진 전동기(40)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고, 전력 공급원(10)과 축전지(30) 간의 스위치는 온(ON) 시킨다.
도 7은 육상 충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육상 충전 모드(Charging Mode at harbor)는 육상의 충전설비와 육전 연결부(18)를 연결하여 축전지(30)에 충전하는 모드이다. 이때, 전류는 육전 연결부(18)에서 축전지(30)로 흐른다.
육상 충전 모드에서 육전 연결부(18)의 제4 스위치(SW4)와 축전지(30)의 제2 스위치(SW2)를 온(ON) 시킴으로써, 육상의 충전설비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축전지(30)에 저장한다. 반면, 추진 전동기(40)의 제1 스위치(SW1)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전기 추진에 의한 축전지(30)의 방전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전력관리 제어반(100)은 축전지(30)와 추진 전동기(40)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고, 육전 연결부(18)와 축전지(30) 간의 스위치는 온(ON) 시킨다.
도 8은 비상 추진 모드에서 전력관리 제어반의 스위치 제어 상황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비상 추진 모드(Generating Propulsion Mode for Emergency)는 축전지(3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전력 공급원(10)에서 생산된 전력을 추진 전동기(40)의 구동에 직접 사용하는 모드이다.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으로 추진 전동기의 구동이 어려울 경우에 운용되는 비상 상황의 모드이다. 이때, 전류는 전력 공급원(10)에서 추진 전동기(40)로 흐른다.
비상 추진 모드에서는 축전지(30)의 제2 스위치(SW2)와 육전 연결부(18)의 제4 스위치(SW4)는 오프(OFF)되고, 전력 공급원(10)의 제3 스위치(SW3)와 추진 전동기(40)의 제1 스위치(SW1)는 온(ON) 상태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전력관리 제어반은 충전 없이 추진 전동기의 구동만 할 경우, 추진 전동기의 구동과 함께 충전을 수행할 경우, 해상에서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항구에 정박한 경우, 비상 추진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조건별로 충전과 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력 공급원 20 - 충전 제어반
30 - 고용량 축전지 40 - 추진 전동기
50 - 인버터 60 - 컨버터
70 - 추진용 컨버터 100 - 전력관리 제어반

Claims (5)

  1. 태양전지 모듈, 연료전지, 직류 발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원(10);
    상기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공급원이 제공한 직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30);
    상기 전력 공급원 및 상기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 공급원에서 제공된 직류 전기에너지를 상기 축전지에 직접 충전할 수 있도록 직류 전압을 조정하는 충전 제어반(20);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전동기(40);
    선내 일반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축전지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50);
    상기 직류 발전기에 구비된 디젤 엔진의 시동 및 선내 일반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압으로 조정하는 컨버터(60);
    상기 추진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상기 추진 전동기의 구동용 전원으로 변환하는 추진용 컨버터(70);
    육상 전기설비를 통해 상기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육전 연결부(18); 및
    상기 전력 공급원(10), 상기 육전 연결부(18), 상기 충전 제어반(20), 상기 축전지(30), 상기 추진 전동기(40), 상기 인버터(50), 상기 컨버터(60), 상기 추진용 컨버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진 전동기(40)의 회전수 및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축전지(30)의 충전, 방전, 배전을 제어하며, 상기 추진 전동기(40)의 제어를 위한 제1 스위치(SW1), 상기 축전지(30)의 제어를 위한 제2 스위치(SW2), 상기 전력 공급원(10)의 제어를 위한 제3 스위치(SW3), 상기 육전 연결부(18)의 제어를 위한 제4 스위치(SW4)를 구비하는 전력관리 제어반(Power Management System)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 제어반은
    상기 추진 전동기를 구동시키는 전기추진 모드(Electric Propulsion Mode)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원과 상기 축전지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 제어반은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 모드(Charging Mode)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원과 상기 축전지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 제어반은
    비상 추진 모드(Generating Propulsion Mode for Emergency)에서 상기 축전지와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원과 상기 추진 전동기 간의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5. 삭제
KR1020110091777A 2011-09-09 2011-09-09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KR10111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777A KR101117306B1 (ko) 2011-09-09 2011-09-09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777A KR101117306B1 (ko) 2011-09-09 2011-09-09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306B1 true KR101117306B1 (ko) 2012-02-28

Family

ID=4584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777A KR101117306B1 (ko) 2011-09-09 2011-09-09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306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284A (zh) * 2013-06-27 2013-10-02 上海海事大学 一种混合动力船舶电力推进系统的能量管理与控制方法
KR101346273B1 (ko) * 2012-06-19 2014-01-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KR101509027B1 (ko) 2013-12-23 2015-04-07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선박용 전원시스템
CN104802975A (zh) * 2015-04-30 2015-07-2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用于小型游船单相供电的电力推进电路
CN104890848A (zh) * 2015-05-20 2015-09-09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全电力推进舰船用电力能源动力系统
CN105366023A (zh) * 2015-12-10 2016-03-02 广西师范大学 一种电动竹筏
KR20160041062A (ko) 2014-09-25 2016-04-1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전력 관리 방법
KR101680321B1 (ko) * 2015-03-20 2016-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Ess 제어 장치
CN106741794A (zh) * 2016-12-18 2017-05-31 湖州港口船业有限公司 船舶混合动力系统
KR101880986B1 (ko) * 2017-08-29 2018-07-23 주식회사 럭스코 전력관리모듈을 탑재한 선박용 직류배전반
KR20180090653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빙 기능을 갖는 추진장치
KR20200006958A (ko) * 2019-12-24 2020-01-21 동일조선주식회사 디젤-축전지 하이브리드 추진 선박의 원격 시동 및 예열 시스템
WO2020036853A1 (en) * 2018-08-14 2020-02-20 Corcoran John F Watercraft with compressed air propulsion system
CN111725829A (zh) * 2019-03-19 2020-09-29 上海交通大学 用于船舶的分级复合储能系统
KR102226877B1 (ko) * 2019-11-19 2021-03-11 에이치엠이 주식회사 선박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249662B1 (ko) 2020-02-28 2021-05-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통합전력제어관리시스템
KR20210092020A (ko) 2020-01-15 2021-07-23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추진선박의 전원제어장치
FR3112040A1 (fr) * 2020-06-30 2021-12-31 Naval Group Systeme de production et de distribution d'energie electrique pour un navire comprenant au moins une batterie
KR102418517B1 (ko) 2021-02-24 2022-07-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oc-soh기반 선박 배터리 제어 관리 시스템
KR20220145152A (ko) 2021-04-21 2022-10-2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30031011A (ko) * 2021-08-26 2023-03-07 (주)리벤씨 소형 선박용 lpg 수상 충전소
CN115765194A (zh) * 2022-11-25 2023-03-07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有限公司 基于双监控网络的船舶电力监控系统
KR20230086430A (ko) 2021-12-08 2023-06-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추진선박용 발전원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110A (ko) * 2003-09-15 2005-01-31 정경균 풍력, 수력 및 태양열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0832603B1 (ko) * 2007-03-21 2008-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110051372A (ko) * 2009-11-10 2011-05-18 윙쉽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태양광 충전 시스템을 갖춘 위그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110A (ko) * 2003-09-15 2005-01-31 정경균 풍력, 수력 및 태양열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0832603B1 (ko) * 2007-03-21 2008-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KR20110051372A (ko) * 2009-11-10 2011-05-18 윙쉽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태양광 충전 시스템을 갖춘 위그선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273B1 (ko) * 2012-06-19 2014-01-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이동식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오류 복구 정보 제공 방법
CN103332284A (zh) * 2013-06-27 2013-10-02 上海海事大学 一种混合动力船舶电力推进系统的能量管理与控制方法
KR101509027B1 (ko) 2013-12-23 2015-04-07 시엔에이전기 주식회사 선박용 전원시스템
KR20160041062A (ko) 2014-09-25 2016-04-1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전력 관리 방법
KR101680321B1 (ko) * 2015-03-20 2016-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Ess 제어 장치
CN104802975A (zh) * 2015-04-30 2015-07-2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用于小型游船单相供电的电力推进电路
CN104890848A (zh) * 2015-05-20 2015-09-09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全电力推进舰船用电力能源动力系统
CN104890848B (zh) * 2015-05-20 2017-03-15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全电力推进舰船用电力能源动力系统
CN105366023A (zh) * 2015-12-10 2016-03-02 广西师范大学 一种电动竹筏
CN106741794A (zh) * 2016-12-18 2017-05-31 湖州港口船业有限公司 船舶混合动力系统
KR20180090653A (ko) * 2017-02-03 2018-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빙 기능을 갖는 추진장치
KR101894418B1 (ko) * 2017-02-03 2018-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빙 기능을 갖는 추진장치
KR101880986B1 (ko) * 2017-08-29 2018-07-23 주식회사 럭스코 전력관리모듈을 탑재한 선박용 직류배전반
WO2020036853A1 (en) * 2018-08-14 2020-02-20 Corcoran John F Watercraft with compressed air propulsion system
CN111725829A (zh) * 2019-03-19 2020-09-29 上海交通大学 用于船舶的分级复合储能系统
KR102226877B1 (ko) * 2019-11-19 2021-03-11 에이치엠이 주식회사 선박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200006958A (ko) * 2019-12-24 2020-01-21 동일조선주식회사 디젤-축전지 하이브리드 추진 선박의 원격 시동 및 예열 시스템
KR102278067B1 (ko) * 2019-12-24 2021-07-16 동일조선주식회사 디젤-축전지 하이브리드 추진 선박의 원격 시동 및 예열 시스템
KR20210092020A (ko) 2020-01-15 2021-07-23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추진선박의 전원제어장치
KR102249662B1 (ko) 2020-02-28 2021-05-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통합전력제어관리시스템
FR3112040A1 (fr) * 2020-06-30 2021-12-31 Naval Group Systeme de production et de distribution d'energie electrique pour un navire comprenant au moins une batterie
KR102418517B1 (ko) 2021-02-24 2022-07-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oc-soh기반 선박 배터리 제어 관리 시스템
KR20220145152A (ko) 2021-04-21 2022-10-2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30031011A (ko) * 2021-08-26 2023-03-07 (주)리벤씨 소형 선박용 lpg 수상 충전소
KR102602683B1 (ko) * 2021-08-26 2023-11-15 (주)리벤씨 소형 선박용 lpg 수상 충전소
KR20230086430A (ko) 2021-12-08 2023-06-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추진선박용 발전원 제어 시스템
CN115765194A (zh) * 2022-11-25 2023-03-07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有限公司 基于双监控网络的船舶电力监控系统
CN115765194B (zh) * 2022-11-25 2023-11-28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有限公司 基于双监控网络的船舶电力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306B1 (ko) 전력관리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전기추진선박
US83626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a ship-service bus of a marine vessel
EP2709229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ES2792077T3 (es) Sistema de gestión de energía eléctrica de un buque
KR100704963B1 (ko) 태양광-풍력 발전 시스템의 제어장치
JP2017136894A (ja) 船舶の電力システム
US20120056425A1 (en) Stand alone operation system for use with utility grade synchronous wind turbine generators
CN107856829A (zh) 一种适用于库区待闸停泊船舶的新型复合能源供电船
US20190319525A1 (en) Power generation systems
KR20130044459A (ko) 태양광 충전을 이용한 전기추진선박
JP5312513B2 (ja) 船舶推進システム
US20120299425A1 (en) Closed energy combined cycl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0182348A (zh) 一种小型无人船的混合动力自主控制装置
CN204737018U (zh) 利用风能和太阳能的电动船
RU26928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го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CN216508978U (zh) 一种无人船直流组网电力推进系统
CN202266370U (zh) 风力发电机组的变桨系统以及风力发电机组
US11784594B2 (en) Durable diesel generator system
CN211127216U (zh) 一种能源装置、充电车、充电桩和增程式电动汽车
CN202670086U (zh) 新能源电动船
RU2560198C1 (ru)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судна
KR102226877B1 (ko) 선박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230089347A (ko) 소형 발전 시스템
CN218415912U (zh) 一种ups系统及风电机组
Syafaruddin et al. Design of boat powered photovoltai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