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011B1 -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011B1
KR101346011B1 KR1020120096426A KR20120096426A KR101346011B1 KR 101346011 B1 KR101346011 B1 KR 101346011B1 KR 1020120096426 A KR1020120096426 A KR 1020120096426A KR 20120096426 A KR20120096426 A KR 20120096426A KR 101346011 B1 KR101346011 B1 KR 10134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combustion material
dust
tank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크리닉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콘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크리닉,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콘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크리닉
Priority to KR102012009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B24C3/32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for internal surfaces, e.g. of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갱생작업에 있어서, 도장작업 이전에 관의 표면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에 있어서, 다수개의 노즐이 장착된 블라스팅 본체와 상기 노즐에 연소재를 공급함과 동시에 충진하는 블라스팅 탱크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장치;와 상기 노즐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장치;와 상기 격벽장치에 연결되어 투사된 연소재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로 보내주는 진공회수장치;와 상기 격벽장치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 및 각 장치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하는 대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Blasting Device and Blasting Method for Revival Water Pipe}
본 발명은 노후된 상수도관을 갱생하기 위한 갱생공정에 있어서, 도장공정 이전에 관의 표면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금속재관, 합성수지관, 콘크리트관 등이 이용되지만, 상기 관들 중 대형 상수도관은 주로 금속재의 주철관이나 강관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재의 상수도관은 매립되어진 후에 온도 및 압력의 변화를 겪으면서 내부 도막의 박리가 일어나게 되고,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박리가 촉진됨과 동시에 산화로 인한 부식이 일어나게 되며,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물때층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도막의 박리와 이로 인한 부식은 관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핀홀이 발생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물때층과 함께 수질의 악화로 귀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수도관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도 있어 왔지만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갱생하는 방법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084062호 '노후관 갱생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노후관 갱생 장비' 및 등록특허 제10-1031309호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팅 장비'가 공개되어 있다.
위 특허발명들 중 등록특허 제10-1031309호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팅 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내부를 주행 가능하게 이루어진 차체(31)와; 상기 차체(31)의 후방에 구비되고, 관의 내면에 접촉되면서 마찰력으로 관의 내면을 브러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파워 브러시(39) 및 관 내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쇼트 볼을 이용하여 관의 내면을 쇼트 블라스팅 처리하는 블라스팅 헤드(38)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장치(36)와; 상기 차체에서 상기 표면처리장치(36)의 앞쪽에 위치되고, 상기 블라스팅 헤드(38)에 제공된 쇼트 볼을 공급함과 아울러 쇼트 볼을 회수하여 블라스팅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라스터(33)와; 상기 차체(31)에 구비되고, 상기 블라스터(33)와 파워 브러시(39)에 연결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저장하는 집진장치(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블라스팅 장비(30)는 블라스팅 공정간에 다량의 분진과 소음이 발생하였고, 이는 관 내의 작업자의 작업효율 및 추후에 이어지는 도장공정의 정밀화에 악영향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분진과 소음이 관 외부로 까지 비산되어 많은 민원이 발생하여 왔으며, 환경의 문제와 지역주민의 건강에도 문제를 야기시켜 왔다.
또한, 노즐의 분사 및 회전방식도 180˚회전 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되, 방향전환 전에 일시정지되는 방식으로 공정이 진행되었으며, 하루 4 내지 5회 가량 기계를 정지시키고 연소재를 다시금 인력으로 충진시키는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시간이 길어졌고, 이로 인해 매끈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연소재로 쇼트 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과정에 비효율이 있었으며, 많은 분진이 발생하였고, 쇼트 볼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아 잦은 연소재의 교체가 요구되어왔다.
그리고, 도장막 제거 장비의 양 옆에 쇼트 블라스팅 장비를 배치하여 순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도막이 녹아 쇼트 볼과 혼합되어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못했으며, 쇼트 볼을 모두 폐기하거나 연결관이 막히는 경우도 잦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격벽장치를 제공하여, 분진 및 소음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서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노즐이 일시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토록하여, 작업기간을 단축시키고, 관 내의 표면처리도 끊어짐 없이 매끈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연소재로서 수명이 길고, 작업간에 분진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커트 와이어(cut-wire)나 그리트(grit)를 사용하여, 작업의 효율화를 꾀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B)에 있어서, 다수개의 노즐(111)이 장착된 블라스팅 본체(110)와 상기 노즐(111)에 연소재(G)를 공급함과 동시에 충진하는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장치(100);와 상기 노즐(111)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G)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장치(200);와 상기 격벽장치(200)에 연결되어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보내주는 진공회수장치(500);와 상기 격벽장치(200)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600); 및 각 장치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하는 대차장치(700);를 포함하되, 상기 격벽장치(200)는 상기 노즐(111)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차단하는 전면격벽부(210) 및 후면격벽부(21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전면격벽부(210) 및 후면격벽부(210')는 각각 격벽시트(211)(211')와 상기 격벽시트(211)(211')의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체(212)(212')로 형성되어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장치(100)의 블라스팅 본체(110)는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113)과 상기 공급관(113)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113)을 회전시키는 회전블라스터(114)와 상기 공급관(113)과 수직으로 배치되어지되, 단부에 상기 공급관(113)에서 갈라진 다수개의 노즐(111)이 결속되어진 회전체(112)로 구성되며,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는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로 구성되어지되, 급기관(125)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113)에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블라스터(114)는 연속적인 360˚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격벽시트(211)(211')의 일단에는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211a)과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공(211b)이 형성되어, 각각 진공회수장치(500)와 집진장치(600)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구동체(212)(212')는 공급관(113)이 관통하는 베어링 하우징(21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실린더(212b)와 상기 에어실린더(212b)의 내부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는 로드(212c)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에 클램프(212d)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클램프(212d)에 연결된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의 단부에는 롤러(212f)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는 진공을 발생시켜 연소재를 분리하고,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배출하는 사이클론(510)과 상기 사이클론(510)에 연결되어 분진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부(5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집진부(520)는 필터(521)와 집진탱크(522)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진부(520)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헤드(523)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헤드(523)에 연결된 에어노즐(526)을 통해 상기 필터(521)로 공기를 투사하여 상기 필터(521)의 분진을 집진탱크(522)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투사된 연소재(G)가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로 회수되기 이전에 진공사일로(300)가 배치되어 분리된 연소재(G)를 저장하고, 상기 진공사일로(300)에 연결된 오토덤프(400)에 상기 연소재(G)를 이송하되, 상기 진공사일로(300)는 상부사일로(310)와 하부사일로(32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오토덤프(400)는 상기 연소재(G)를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에 있어서, 노즐(111)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G)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설치 단계(S100);와 블라스팅 탱크(120)로부터 연소재(G)를 공급받아 블라스팅 본체(110)에 장착된 다수개의 노즐(111)을 통하여 상기 연소재(G)를 투사하는 표면처리 단계(S200);와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보내주는 진공회수 단계(S300); 및 격벽장치(200) 내부의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격벽설치 단계(S100)는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는 반경조절 단계(S110);와 상기 로드(212c)의 단부에 형성된 롤러(212f)를 통하여 상기 격벽장치(200)를 관의 내벽에 고정하는 격벽고정 단계(S120); 및 상기 격벽장치(200)를 진공회수장치(500) 및 집진장치(600)와 연결하는 연결관형성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표면처리 단계(S200)는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부터 블라스팅 본체(110)로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재공급 단계(S210); 및 상기 노즐(111)이 연속적인 회전을 하며, 상기 연소재(G)를 투사하는 연소재투사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회수 단계(S300)는 진공회수장치(500)를 통하여 연소재와 분진을 분리하는 1차분리 단계(S310);와 상기 1차분리 단계(S310)를 거친 연소재(G)와 이물질을 진공사일로(300)에서 분리하는 2차분리 단계(S320); 및 상기 2차분리 단계(S320)를 거친 연소재(G)를 오토덤프(400)에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하는 연소재이송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재(G)는 커트 와이어(cut-wire) 또는 그리트(gri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격벽장치(200)를 이용하므로 블라스팅 공정간에 다량의 분진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관 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증진시키고, 추후에 이어지는 도장공정을 정밀화할 수 있다. 또한, 분진과 소음이 관 외부로 까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역주민의 건강에도 무해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의 분사 및 회전방식도 360˚회전의 연속공정으로 진행되어 끊어짐 없이 매끈한 표면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블라스팅 탱크(120)가 dual chamber blast tank 형식으로 구성되어 자동화된 연소재(G)의 충진 및 투사가 가능하므로 연소재(G)를 다시금 인력으로 충진시키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끈한 표면처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기존에 연소재로 사용하던 쇼트 볼에서 벗어나, 훨씬 강도가 강한 커트와이어(cut-wire)나 그리트(grit)를 이용하여, 분진의 발생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연소재의 수명도 상대적으로 길어질 뿐만 아니라, 더욱 정밀한 표면처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차장치(700)에 수평추 방식의 구동장치(710)를 채택하여, 분진과 진동이 많은 작업환경에서 오작동이 잦은 근접센서를 제거하여, 작업의 효율을 꾀할 수 있으며, 전체 블라스팅 공정에 따른 대차장치(700)의 길이를 28m로 단축시켜 경제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수단을 통하여 전체 블라스팅 공정의 진행효율을 기존의 25m/day에서 25m/h로 단축시켜, 작업인력의 축소 및 획기적인 공정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상수도관 갱생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b는 종래 상수도관 갱생장치의 블라스팅 장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장비 및 도장 장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장치 중 블라스팅 헤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장치 중 블라스팅 탱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회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회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사일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덤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스팅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상수도관 갱생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통상적으로 상수도관 갱생공정은 도막제거 공정, 블라스팅 공정, 도장 공정 및 건조,검사 공정의 순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H)를 통하여 도막제거 장비(10)를 투입하고 이로써 도막제거 공정이 마무리되면, 도막제거 장비(10)를 상수도관내에서 철수하고, 작업공정의 역순으로 도장 장비(40), 종래의 블라스팅 장비(30) 및 이송 대차(20)를 상기 작업구(H)를 통하여 투입하여, 블라스팅 공정 및 도장 공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우선 종래에 실시되어 왔던 상기 도막제거 공정, 블라스팅 공정 및 도장 공정과 이에 수반되는 각종 공정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수도관 갱생공정을 위해서 가장 먼저 상수도관 내에 흐르는 물을 차단한다. 그 후 자연배수의 방법과 인공배수의 방법을 병행하여, 상수도관 내에 물을 제거하고 각종 어패류와 이물질 등을 간단하게 청소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 후 잔존하는 수분으로 인한 높은 습도의 상수도관 내에 드라이 덕트를 연결하여 급배기 장치를 설치하여, 상수도관 내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진행되는 상기 도막제거 공정은 도장제거 장비(10)를 상수도관에 투입하여 상수도관 표면에 형성된 물때와 도막을 제거하게 된다. 특히 금속재관은 통상의 경우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막 내에 콜탈로 코팅을 하게되므로 도막제거 공정에서 이 또한 함께 제거하게 된다.
상기 도막제거 공정 이후 상수도관의 표면에 연소재(G)를 투사하는 블라스팅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블라스팅 공정은 종래의 블라스팅 장비(30)를 이용하여 진행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도막제거 장비(10)는 작업간에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한 고장이 잦아 종래의 블라스팅 장비(30)와는 독자적으로 분리하여 진행하게 된다.
상기 블라스팅 공정 이후에는 도막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며, 상기 도막 공정은 프라이머 도장 이후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통상의 상수도관 갱생공정에 있어서, 종래의 블라스팅 장비(30) 및 블라스팅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서, 이하, 블라스팅 장비(B)로 기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수도관 갱생공정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B)에 있어서, 다수개의 노즐(111)이 장착된 블라스팅 본체(110)와 상기 노즐(111)에 연소재(G)를 공급함과 동시에 충진하는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장치(100);와 상기 노즐(111)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G)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장치(200);와 상기 격벽장치(200)에 연결되어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보내주는 진공회수장치(500);와 상기 격벽장치(200)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600); 및 각 장치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하는 대차장치(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장치(200)는 기존의 블라스팅 공정간에 발생해온 다량의 분진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관 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증진시키고, 추후에 이어지는 도장공정을 정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과 소음이 관 외부로 까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역주민의 건강에도 무해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 장비(P)가 블라스팅 장비(B)의 후면에서 별도의 청소나 정비과정 없이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공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장치(100)의 블라스팅 본체(110)는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113)과 상기 공급관(113)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113)을 회전시키는 회전블라스터(114)와 상기 공급관(113)과 수직으로 배치되어지되, 단부에 상기 공급관(113)에서 갈라진 다수개의 노즐(111)이 결속되어진 회전체(112)로 구성되며,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는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로 구성되어지되, 급기관(125)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113)에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라스터(114)는 공급관(113)을 회전시켜 상기 공급관(113)과 수직으로 배치되어진 회전체(112)가 일체로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112)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노즐(111)이 결속되어 있으므로, 연소재(G)와 압축공기가 회전하는 상기 노즐(111)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표면에 투사되게 된다.
이때, 회전블라스터(114)는 연소재주입관(124)으로부터 공급받은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관(113)에 공급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는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의 dual chamber blast tank 형식으로 구성되어 자동화된 연소재(G)의 충진 및 투사가 가능하므로 연소재(G)를 다시금 인력으로 충진시키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이 중단되지 않으므로 매끈한 표면처리가 가능해 진다.
상기 블라스팅 본체(110)의 노즐(111)은 45m²/h의 표면처리 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블라스팅 본체(110)에 3개의 노즐(111)이 구성될 경우에 135m²/h의 표면처리 속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노즐(111)에서 사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통상적으로 100~150Psi 범위에 있다.
상기 블라스팅 탱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로 구성되어지되, 추후에 서술할 오토덤프(400)로부터 상기 상부탱크(121)로 연소재(G)를 공급받는 연소재 유입구(123)가 상부탱크(121)에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에는 각각 센서(126)가 형성되어 연속적인 저장과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점검구(127)를 형성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탱크(122)의 하부에는 버터플라이 밸브(128)가 구성되어 연소재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관(125)과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128)가 만나는 부분에는 연소재 밸브(129)가 구성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블라스터(114)는 연속적인 360˚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노즐은(111)은 세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180˚회전 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되, 방향전환 전에 일시정지되는 회전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는바, 전체 블라스팅 공정의 진행효율을 기존의 25m/day에서 25m/h로 단축시켜, 작업인력의 축소 및 획기적인 공정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장치(200)는 상기 노즐(111)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차단하는 전면격벽부(210) 및 후면격벽부(21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전면격벽부(210) 및 후면격벽부(210')는 각각 격벽시트(211)(211')와 상기 격벽시트(211)(211')의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체(212)(212')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시트(211)(211')는 1차적으로 상기 격벽장치(200) 내부의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는 상수도관의 외부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체(212)(212')는 상수도관의 반경에 맞게 격벽장치(200)의 반경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격벽부(210')을 하나로 구성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격벽시트(211)(211')의 일단에는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211a)과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공(211b)이 형성되어, 각각 진공회수장치(500)와 집진장치(600)에 연결되어질 수 있다.
상기 회수공(211a)은 연소재(G)를 회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할 진공회수장치(500)의 사이클론(510)에 의하여 격벽장치(200) 내에 투사된 연소재(G)를 다시금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중이 높은 연소재를 회수하기 위하여 회수공(211a)은 격벽시트(211)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공(211b)은 비산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할 집집장치(600)에 연결되어 비산하는 분진을 포집하게 된다. 따라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바, 포집공(211b)는 격벽시트(211)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체(212)(212')는 공급관(113)이 관통하는 베어링 하우징(21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실린더(212b)와 상기 에어실린더(212b)의 내부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는 로드(212c)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에 클램프(212d)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클램프(212d)에 연결된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의 단부에는 롤러(212f)가 형성되질 수 있다.
상기 로드(212c)는 클램프(212d)에 의하여, 상기 서포터(212e)와 직접 연결되어질 수도 있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12g)를 매개로 클램프(212d)와 서포터(212e)를 연결하여 더욱 유연하게 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러(212f)는 격벽장치(200)를 상수도관 내벽에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갱생공정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대차장치(700)와 함께 격벽장치(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격벽시트(211)(211')는 상기 구동체(212)를 애워싸는 구동체시트(211c)와 격벽장치(2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시트(211d)와 제2시트(211e)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1시트(211d)와 제2시트(211e)는 double layer를 형성하여, 제2시트의 교체가 가능토록하고 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마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체시트(211c)와 제1시트(211d)는 가볍고 연소재(G)의 투사에 잘 견딜 수 있는 내마모성 합성섬유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시트(211e)는 직접적으로 연소재(G)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고탄력으로 내마모성 합성고무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시트(211)(211')에는 격벽장치(200)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도어(211f)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는 진공을 발생시켜 연소재(G)를 분리하고,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배출하는 사이클론(510)과 상기 사이클론(510)에 연결되어 분진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부(5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집진부(520)는 필터(521)와 집진탱크(522)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클론(510)을 통하여, 격벽장치(200) 내부에 비산하는 분진을 강한 압력으로 포집하게 되며, 진공회수거리는 최대 20m까지 가능하다. 상기 사이클론(510)은 분진의 90% 가량을 회수할 수 있으며, 40m³/min의 체적유량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사이클론(510)을 통하여 포집된 분진 및 각종 이물질은 집진부(520)로 이송되고, 상기 집진부(520)의 필터(521)를 거쳐 집진탱크(522)에 분진이 저장된다. 즉, 사이클론(5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연소재(G)와 굵은 입자의 이물질이 걸러져 후술할 진공사일로(300)로 이송되며, 2차적으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필터를 거쳐 걸러지고, 최종적으로 분진만이 필터링되어 집진탱크(522)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진부(520)는 필터(521)에 에어노즐(526)을 통해 공기를 투사하는 에어헤드(523)와 이를 조절하는 펄스밸브(524) 및 상기 필터(521)의 측면에 구성된 마노미터(525)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집진부(520)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헤드(523)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헤드(523)에 연결된 에어노즐(526)을 통해 상기 필터(521)로 공기를 투사하여 상기 필터(521)의 분진을 집진탱크(522)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520)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에어로켓 노즐(530)을 거쳐 공기배출구(53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진공회수장치(500)는 센서(55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는 개별적 구성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프레임(540)에 의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이클론(510)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소음장치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된 연소재(G)가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로 회수되기 이전에 진공사일로(300)가 배치되어 분리된 연소재(G)를 저장하고, 상기 진공사일로(300)에 연결된 오토덤프(400)에 상기 연소재(G)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회수장치(500)에서 90% 이상의 분진을 포집하지만, 더욱 정밀한 분리작업을 위하여 블라스팅 탱크(120)로 연소재(G)를 이송하기 전에 진공사일로(300)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진공사일로(300)는 상부사일로(310) 및 하부사일로(320)의 dual chamber 시스템으로 형성되어 회수 및 이송이 병행하여 이루어지므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상부사일로(310) 및 하부사일로(320) 사이에는 필러밸브(350)가 구성되어 정밀한 연소재(G)의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사일로(300)는 분진 및 연소재유입구(370)를 통하여, 분진이 다소 포함된 연소재(G)를 공급받으며, 걸러진 연소재(G)는 연소재배출구(390)를 거쳐 후술할 오토탱크(400)로 전달되어진다. 한편, 상기 진공사일로(300)의 측면에는 급기관(340)이 형성되어지고, 상부사일로(310) 및 하부사일로(320)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330)가 각각 구성되어지되, 점검구(360)를 형성하여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오토덤프(400)는 single chamber 방식에도 불구하고, 필러밸브(430)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연소재(G)를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토덤프(400)는 연소재유입구(460)를 통하여, 연소재저장호퍼(410)에 일시적으로 연소재(G)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상기 필러밸브(430)을 나온 연소재(G)는 연소재배출구(470)를 거쳐 블라스팅 탱크(120)로 전달되어진다. 한편, 상기 오토덤프(400)의 측면에는 급기관(440)이 형성되어지고,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420)가 구성되어지되, 점검구(450)를 형성하여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집진장치(6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장치(200) 내부에 있는 분진을 포집하여 분진유입구(660)를 통하여 공급받으며, 분진은 필터(610)를 통하여 걸러지게 되고, 걸러진 분진은 컨베이어(640)를 통하여 자동이송되어 집진탱크(650)에 저장된다. 이때 정화된 공기는 공기배출구(6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집진장치(600)의 필터(610)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교체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도 하다.
대차장치(700)는 각 장치들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각 대차마다 구동장치(710)를 장착하여 블라스팅 속도와 동일한 진행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면과 경사면의 경로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구동장치(710)의 전체구동과 일부구동을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차장치(700)에 수평추 방식의 구동장치(710)를 채택하여, 분진과 진동이 많은 작업환경에서 오작동이 잦은 근접센서를 제거하여, 작업의 효율을 꾀할 수 있으며, 전체 블라스팅 공정에 따른 대차장치(700)의 길이를 28m로 단축시켜 경제적인 작동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대차장치(700)는 고효율이며 고감속비율의 감속기(720)를 사용하여, 작업이 완료될 경우에는 바퀴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대차장치의 바퀴(730)는 우레탄 코팅의 소재를 이용하여, 내마모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재(G)는 모래나 쇼트 볼, 커트 와이어(cut-wire) 및 그리트(grit) 등 모든 종류의 연소재(G)가 가능하다. 다만, 커트 와이어(cut-wire) 또는 그리트(gri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블라스팅 공정간에 샌드 블라스팅이나 쇼트 볼을 이용한 쇼트 블라스팅 방식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연소재는 강도가 낮아 수명이 짧으며, 이로써 잦은 교체작업이 필요한 한계가 있었으며, 표면처리 과정에서도 정밀한 조도를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커트 와이어(cut-wire) 및 그리트(grit)는 상기 쇼트 볼보다 강도가 높아 수명이 길며, 표면처리 과정에서도 보다 정밀한 조도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진의 발생량 자체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11)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G)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설치 단계(S100);와 블라스팅 탱크(120)로부터 연소재(G)를 공급받아 블라스팅 본체(110)에 장착된 다수개의 노즐(111)을 통하여 상기 연소재(G)를 투사하는 표면처리 단계(S200);와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보내주는 진공회수 단계(S300); 및 격벽장치(200) 내부의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설치 단계(S100)은 격벽 장치(200)를 이용하므로 블라스팅 작업간에 다량의 분진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관 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증진시키고, 추후에 이어지는 도장공정을 정밀화할 수 있다. 또한, 분진과 소음이 관 외부로 까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역주민의 건강에도 무해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격벽설치 단계(S100)는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는 반경조절 단계(S110);와 상기 로드(212c)의 단부에 형성된 롤러(212f)를 통하여 상기 격벽장치(200)를 관의 내벽에 고정하는 격벽고정 단계(S120); 및 상기 격벽장치(200)를 진공회수장치(500) 및 집진장치(600)와 연결하는 연결관형성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경조절 단계(S110)는 구동체(212)(212')는 베어링 하우징(21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실린더(212b)와 상기 에어실린더(212b)의 내부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는 로드(212c)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에 클램프(212d)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클램프(212d)에 연결된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어진다.
또한, 상기 격벽고정 단계(S120)의 롤러(212f)는 격벽장치(200)를 상수도관 내벽에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갱생공정에 따른 이동과정에서 대차장치(700)와 함께 격벽장치(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연결관형성 단계(S130)는 격벽시트(211)에 형성된 회수공(211a)과 포집공(211b)에 상기 진공회수장치(500)의 사이클론(510) 및 집진장치(600)의 분진유입구(660)를 각각 연결하여 연결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표면처리 단계(S200)는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부터 블라스팅 본체(110)로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재공급 단계(S210); 및 상기 노즐(111)이 연속적인 회전을 하며, 상기 연소재(G)를 투사하는 연소재투사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단계(S200)의 블라스팅 탱크(120)는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의 dual chamber blast tank 형식으로 구성되어 자동화된 연소재(G)의 충진 및 투사가 가능하므로 연소재(G)를 다시금 인력으로 충진시키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이 중단되지 않으므로 매끈한 표면처리가 가능해 진다.
상기 연소재투사 단계(S220)에 있어서, 회전블라스터(114)는 공급관(113)을 회전시켜 상기 공급관(113)과 수직으로 배치되어진 회전체(112)가 일체로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체(112)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노즐(111)이 결속되어 있으므로, 연소재(G)와 압축공기가 회전하는 상기 노즐(111)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표면에 투사된다.
또한, 상기 진공회수 단계(S300)는 진공회수장치(500)를 통하여 연소재와 분진을 분리하는 1차분리 단계(S310);와 상기 1차분리 단계(S310)를 거친 연소재(G)와 이물질을 진공사일로(300)에서 분리하는 2차분리 단계(S320); 및 상기 2차분리 단계(S320)를 거친 연소재(G)를 오토덤프(400)에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하는 연소재이송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분리 단계(S310)의 진공회수장치(500)에서 90% 이상의 분진을 포집하지만, 더욱 정밀한 분리작업을 위하여 블라스팅 탱크(120)로 연소재(G)를 이송하기 전에 진공사일로(300)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2차분리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재이송 단계(S330)는 오토덤프(400)의 필러밸브(430)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연소재(G)를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에 있어서, 연소재(G)로 커트와이어(cut-wire) 또는 그리트(gri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블라스팅 장비 G:연소재
100:표면처리장치 110:블라스팅 본체
111:노즐 112:회전체
113:공급관 114:회전블라스터
120:회전블라스터 200:격벽장치
210,210':전면격벽부 및 후면격벽부 211,211':격벽시트
212,212':구동체 212a:베어링 하우징
212b:에어실린더 212c:로드
212d:클램프 212e:서포터
212f:롤러 300:진공사일로
310:상부사일로 320:하부사일로
400:오토덤프 500:진공회수장치
510:사이클론 520:집진부
521:필터 522:집진탱크
600:집진장치 700:대차장치
S100:격벽설치 단계 S110:반경조절 단계
S120:격벽고정 단계 S130:연결관형성 단계
S200:표면처리 단계 S210:연소재공급 단계
S220:연소재투사 단계 S300:진공회수 단계
S310:1차분리 단계 S320:2차분리 단계
S330:연소재이송 단계 S400:집진 단계

Claims (13)

  1.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B)에 있어서,
    다수개의 노즐(111)이 장착된 블라스팅 본체(110)와 상기 노즐(111)에 연소재(G)를 공급함과 동시에 충진하는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루어진 표면처리장치(100);와
    상기 노즐(111)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G)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장치(200);와
    상기 격벽장치(200)에 연결되어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보내주는 진공회수장치(500);와
    상기 격벽장치(200)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장치(600); 및
    각 장치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하는 대차장치(700);를 포함하되,
    상기 격벽장치(200)는 상기 노즐(111)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각각 차단하는 전면격벽부(210) 및 후면격벽부(21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전면격벽부(210) 및 후면격벽부(210')는 각각 격벽시트(211)(211')와 상기 격벽시트(211)(211')의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구동체(212)(212')로 형성되어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장치(100)의 블라스팅 본체(110)는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113)과 상기 공급관(113)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113)을 회전시키는 회전블라스터(114)와 상기 공급관(113)과 수직으로 배치되어지되, 단부에 상기 공급관(113)에서 갈라진 다수개의 노즐(111)이 결속되어진 회전체(112)로 구성되며,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는 상부탱크(121)와 하부탱크(122)로 구성되어지되, 급기관(125)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관(113)에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라스터(114)는 연속적인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시트(211)(211')의 일단에는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211a)과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공(211b)이 형성되어, 각각 진공회수장치(500)와 집진장치(600)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구동체(212)(212')는 공급관(113)이 관통하는 베어링 하우징(21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에어실린더(212b)와 상기 에어실린더(212b)의 내부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는 로드(212c)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에 클램프(212d)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클램프(212d)에 연결된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어지되, 상기 로드(212c)의 단부에는 롤러(212f)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는 진공을 발생시켜 연소재를 분리하고,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배출하는 사이클론(510)과 상기 사이클론(510)에 연결되어 분진 및 이물질을 수집하는 집진부(5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집진부(520)는 필터(521)와 집진탱크(522)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520)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헤드(523)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헤드(523)에 연결된 에어노즐(526)을 통해 상기 필터(521)로 공기를 투사하여 상기 필터(521)의 분진을 집진탱크(522)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투사된 연소재(G)가 상기 진공회수장치(500)로 회수되기 이전에 진공사일로(300)가 배치되어 분리된 연소재(G)를 저장하고, 상기 진공사일로(300)에 연결된 오토덤프(400)에 상기 연소재(G)를 이송하되,
    상기 진공사일로(300)는 상부사일로(310)와 하부사일로(320)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오토덤프(400)는 상기 연소재(G)를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장비.
  9.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에 있어서,
    노즐(111)을 사이에 두고 블라스팅 작업간에 투사된 연소재(G)와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설치 단계(S100);와
    블라스팅 탱크(120)로부터 연소재(G)를 공급받아 블라스팅 본체(110)에 장착된 다수개의 노즐(111)을 통하여 상기 연소재(G)를 투사하는 표면처리 단계(S200);와
    투사된 연소재(G)를 회수하여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보내주는 진공회수 단계(S300); 및
    격벽장치(200) 내부의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격벽설치 단계(S100)는 로드(212c)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서포터(212e)의 반경이 조절되는 반경조절 단계(S110);와
    상기 로드(212c)의 단부에 형성된 롤러(212f)를 통하여 상기 격벽장치(200)를 관의 내벽에 고정하는 격벽고정 단계(S120); 및
    상기 격벽장치(200)를 진공회수장치(500) 및 집진장치(600)와 연결하는 연결관형성 단계(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 단계(S200)는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부터 블라스팅 본체(110)로 연소재(G)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재공급 단계(S210); 및
    상기 노즐(111)이 연속적인 회전을 하며, 상기 연소재(G)를 투사하는 연소재투사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회수 단계(S300)는 진공회수장치(500)를 통하여 연소재와 분진을 분리하는 1차분리 단계(S310);와
    상기 1차분리 단계(S310)를 거친 연소재(G)와 이물질을 진공사일로(300)에서 분리하는 2차분리 단계(S320); 및
    상기 2차분리 단계(S320)를 거친 연소재(G)를 오토덤프(400)에 저장하고, 동시에 상기 블라스팅 탱크(120)로 이송하는 연소재이송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재(G)는 커트 와이어(cut-wire) 또는 그리트(gr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갱생작업을 위한 블라스팅 방법.


KR1020120096426A 2012-08-31 2012-08-31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KR10134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26A KR101346011B1 (ko) 2012-08-31 2012-08-31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426A KR101346011B1 (ko) 2012-08-31 2012-08-31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011B1 true KR101346011B1 (ko) 2013-12-31

Family

ID=4998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426A KR101346011B1 (ko) 2012-08-31 2012-08-31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0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86B1 (ko) * 2014-07-04 2015-03-05 주식회사 코인즈 노후관로 갱생용 블라스트장치
KR102086817B1 (ko) * 2019-12-27 2020-03-09 주식회사 엘케이이엔씨 친환경 건식 습식 겸용 소다 블라스팅 표면처리장치
KR102539634B1 (ko) 2022-12-08 2023-06-07 성은종합철강(주) 투사재 공급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39635B1 (ko) 2022-12-08 2023-06-07 성은종합철강(주) 투사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87653B1 (ko) * 2022-06-08 2023-10-11 주식회사 언더더라인 3축 대차 시스템을 이용한 관 갱생 공법 및 관 갱생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600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숏 블라스트용 분체 배출장치
JP2007038350A (ja) * 2005-08-03 2007-02-15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配管内ブラスト装置
KR101031309B1 (ko) * 2009-02-19 2011-05-02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팅 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600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숏 블라스트용 분체 배출장치
JP2007038350A (ja) * 2005-08-03 2007-02-15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配管内ブラスト装置
KR101031309B1 (ko) * 2009-02-19 2011-05-02 덕원산업개발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팅 장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86B1 (ko) * 2014-07-04 2015-03-05 주식회사 코인즈 노후관로 갱생용 블라스트장치
KR102086817B1 (ko) * 2019-12-27 2020-03-09 주식회사 엘케이이엔씨 친환경 건식 습식 겸용 소다 블라스팅 표면처리장치
KR102587653B1 (ko) * 2022-06-08 2023-10-11 주식회사 언더더라인 3축 대차 시스템을 이용한 관 갱생 공법 및 관 갱생 시스템
KR102539634B1 (ko) 2022-12-08 2023-06-07 성은종합철강(주) 투사재 공급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39635B1 (ko) 2022-12-08 2023-06-07 성은종합철강(주) 투사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312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노후관 도장막 제거 장비
KR101346011B1 (ko) 상수도관 갱생작업용 블라스팅 장비 및 블라스팅 방법
KR101705100B1 (ko) 도장막 제거장치,도막 수거장치, 쇼트블라스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JP6967241B2 (ja) トンネル工事用散水装置
CN102001045B (zh) 履带式喷砂清理机
KR101525219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104552023B (zh) 一种细长钢管管道内壁数控喷丸自动化系统
KR20210030295A (ko) 상수도관 스크레이퍼시스템
KR101272180B1 (ko) 노후관 갱생방법
KR20160136534A (ko) 선로용 청소차
KR100889328B1 (ko) 열차 터널용 청소차량
CN106693535A (zh) 一种空气滤芯清理装置
CN209665142U (zh) 湿式喷砂设备
JP4280799B2 (ja) 路面清掃車
KR101585973B1 (ko) 장거리용 관 갱생 여재 블라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장거리용 관 갱생 블라스팅 공법
CN203141320U (zh) 小口径弯管以及含长直管段小口径弯管的管内除锈系统
CN106049334B (zh) 一种环保清扫车
KR100454369B1 (ko) 습식과 건식의 동시이용이 가능한 노면 청소차
CN106853302A (zh) 一种清洁装置
JP3932411B2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CN216446933U (zh) 一种气动除尘混凝土喷射机
CN103072088B (zh) 小口径弯管以及含长直管段小口径弯管的管内除锈系统
KR101496886B1 (ko) 노후관로 갱생용 블라스트장치
KR102539634B1 (ko) 투사재 공급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KR102539635B1 (ko) 투사기, 쇼트 블라스팅 장치 및 상수도 노후관 갱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