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667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667B1
KR101345667B1 KR1020070127199A KR20070127199A KR101345667B1 KR 101345667 B1 KR101345667 B1 KR 101345667B1 KR 1020070127199 A KR1020070127199 A KR 1020070127199A KR 20070127199 A KR20070127199 A KR 20070127199A KR 101345667 B1 KR101345667 B1 KR 10134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array
liquid crystal
connector
terminal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054A (ko
Inventor
곽선우
이용덕
최연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6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의 사이즈를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 외부와 연결된 시스템 보드; 상기 시스템 보드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제어신호 및 화소데이터를 공급하는 회로들이 실장된 콘트롤 보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시스템 보드와 연결되며, 본체 및 본체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접속단자 어레이 및 본체 하부에 형성된 제 2 접속단자 어레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콘트롤 보드에 형성되며, 내부에 플러그가 체결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제 1 접속단자 어레이와 접속되는 제 3 접속단자 어레이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 어레이와 접속되는 제 4 접속단자 어레이가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제 3 접속단자 어레이와 연결된 제 1 핀 어레이 및 제 4 접속단자 어레이와 연결된 제 2 핀 어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 어레이와 제 2 핀 어레이는 콘트롤 보드의 회로와 연결된다.
액정표시장치, 콘트롤 보드,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의 구조를 변경한 공간 활용을 통하여 사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경량화, 박형화의 최근 추세에 부응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요소로서 채용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화소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인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과 하부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 기판이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는 액정층이 충진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주사신호 및 화상정보를 공급하여 액정패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상기 도1의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와 시스템 보드와 연결된 플러그의 체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체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다수의 화소가 정의된 액정패널(1)과, 상기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3) 및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2)와, 외부(예 : 컴퓨터의 메인보드)와 연결된 시스템 보드(4); 상기 시스템 보드(4)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와 데이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외부로부터의 화소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회로들이 실장된 콘트롤 보드(5)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트롤 보드(5)에는 시스템 보드(4)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7)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7)는 내부에 체결공간이 형성된 본체(7a) 및,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제 1 접속단자 어레이(7c) 및, 내부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단자 어레이(7b) 및, 상기 제 1 접속단자 어레이(7c)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에 형성되며 콘트롤 보드(5)와 연결된 핀 어레이(7d)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 보드(4)는, 상기 콘트롤 보 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6)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플러그(6)는 상기 시스템 보드(4)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8)을 통해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6)는 본체(6a) 및, 상기 본체(6a)의 하부에 형성되며 커넥터(7)의 제 1 접속단자 어레이(7c)와 접속되는 제 2 접속단자 어레이(6c)로 구성된다.
최근, 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화면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콘트롤 보드(5) 및 커넥터(7)의 크기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면 크기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부피를 증가시키는 내부 구성요소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근의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러그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커텍터와 플러그의 크기를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 외부와 연결된 시스템 보드; 상기 시스템 보드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제어신호 및 화소데이터를 공급하는 회로들이 실장된 콘트롤 보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시스템 보드와 연결되며, 본체 및 본체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접속단자 어레이 및 본체 하부에 형성된 제 2 접속단자 어레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콘트롤 보드에 형성되며, 내부에 플러그가 체결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제 1 접속단자 어레이와 접속되는 제 3 접속단자 어레이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 어레이와 접속되는 제 4 접속단자 어레이가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제 3 접속단자 어레이와 연결된 제 1 핀 어레이 및 제 4 접속단자 어레이와 연결된 제 2 핀 어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 어레이와 제 2 핀 어레이는 콘트롤 보드의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커넥터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및 커넥터에 체결되는 플러그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커넥터는, 종래의 일반적인 커넥터에 비교하여 동일 사이즈일 경우에 접속단자를 최대 두 배까지 더 많이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1); 상기 액정패널(101)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103)와 데이터 구동부(102); 외부와 연결된 시스템 보드(104); 상기 시스템 보드(104)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103)와 데이터 구동부(102)에 제어신호 및 화소데이터를 공급하는 회로들이 실장된 콘트롤 보드(105); 연성인쇄회로기판(108)을 통해 상기 시스템 보드(104)와 연결되며, 본체(106a) 및 본체(106a)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접속단자 어레이(106b) 및 본체(106a) 하부에 형성된 제 2 접속단자 어레이(106c)로 구성된 플러그(106); 상기 콘트롤 보드(105)에 형성되며, 내부에 플러그(106)가 체결되는 커넥터(108);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8)는 내부에 상기 제 1 접속단자 어레이(106b)와 접속되는 제 3 접속단자 어레이(107b)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 어레이(106c)와 접속되 는 제 4 접속단자 어레이(107c)가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제 3 접속단자 어레이(107b)와 연결된 제 1 핀 어레이(107d) 및 제 4 접속단자 어레이(107c)와 연결된 제 2 핀 어레이(107e)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 어레이(107d)와 제 2 핀 어레이(107e)는 콘트롤 보드(105)의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패널(101)은 컬러필터 기판인 제 1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인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기판 사이에는 액정층(미도시)이 형성된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정패널(101)의 제 2 기판에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어 다수의 화소가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각 화소에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상기 각 화소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연결된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01)의 제 1 기판에는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여 각 화소를 구동하는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 1 기판의 화소전극에 화소데이터를 공급하고 제 2 기판의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각 화소를 구동하기 위하여 게이트 구동부(103), 데이터 구동부(102), 콘트롤 보드(105)와 같은 다양한 구동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03)는 제 1 기판 상의 게이트 라인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데이터 구동부(102)는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게이트 라인의 구동시점에 맞추어 제 1 기판 상의 데이터 라인에 화소데이터를 공급한다.
그리고, 콘트롤 보드(105)는 시스템 보드(104)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와 데이터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외부로부터의 화소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컴퓨터 모니터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시스템 보드(104)는 컴퓨터 메인 보드일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 보드(104)에는 콘트롤 보드(105)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수단인 플러그(106)가 마련되는데, 시스템 보드(104)와 콘트롤 보드(105)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상기 시스템 보드(104)와 플러그(106)는 적어도 시스템 보드(104)와 콘트롤 보드(105)가 이격된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연성인쇄회로기판(108)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보드(105)에는 상기 플러그(106)와 대응되어 체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는 커넥터(107)가 형성된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플러그(106) 및 커넥터(107)의 구조 및 체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6)는, 본체(106a)와, 상기 본체(106a) 상부에 형성된 제 1 접속단자 어레이(106b)와, 상기 본체(106a) 하부에 형성된 제 2 접속단자 어레이(10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단자 어레이(106b)와 제 2 접속단자 어레이(106c)는 도전성 금속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7)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107a)와, 상기 본체(107a)의 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플러그(106)의 제 1 접속단자 어레이(106b)와 접촉되는 제 3 접속단자 어레이(107b)와, 본체(107a)의 내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플러그(106)의 제 2 접속단자 어레이(106c)와 접촉되는 제 4 접속단자 어레이(107c)와, 상기 본체(107a)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접속단자 어레이(107b)와 연결된 제 1 핀 어레이(107d)와, 본체(107a)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4 접속단자 어레이(107c)와 연결된 제 2 핀 어레이(107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접속단자 어레이(107b)와 제 4 접속단자 어레이(107c) 및 제 1 핀 어레이(107d)와 제 2 핀 어레이(107e)는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107)의 본체(107a) 외부에 위치하는 제 1 핀 어레이(107d)와 제 2 핀 어레이(107e)는 콘트롤 보드(105)에 솔더링(soldering)됨으로써 콘트롤 보드(105)의 회로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커넥터(107)의 제 3 접속단자 어레이(107b)와 제 4 접속단자 어레이(107c)는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소정의 유연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07)의 내부 공간에 플러그(106)가 체결되었을 시에 플러그(106)가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107)는 본체(107a)의 내부 공간의 상면과 하면에 제 3 접촉단자 어레이(107b)와 제 4 접촉단자 어레이(107c)가 형성 됨으로써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었던 동일 크기의 커넥터에 비교하여 최대 두 배의 접촉단자(107b, 107c)와 핀(107d, 107e)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107)는 상기와 같이 최대 두 배의 접촉단자(107b, 107c)와 핀(107d, 107e)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었던 동일 수의 접촉단자와 핀이 형성된 커넥터에 비교하면 사이즈가 최대 두 배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커넥터(107)의 사이즈에 비례하여 플러그(106)의 사이즈도 최소화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텍터와 플러그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체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4의 콘트롤 보드에 형성된 커넥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커텍터와 플러그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체결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액정패널 102 : 데이터 구동부
103 : 게이트 구동부 104 : 시스템 보드
105 : 콘트롤 보드 106 : 플러그
106a : 본체 106b : 제 1 접속단자 어레이
106c : 제 2 접속단자 어레이
107 : 커넥터 107a : 본체
107b : 제 3 접속단자 어레이 107c : 제 4 접속단자 어레이
107d : 제 1 핀 어레이 107e : 제 2 핀 어레이
108 : 연성인쇄회로기판

Claims (3)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
    외부와 연결된 시스템 보드;
    상기 시스템 보드로부터 입력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제어신호 및 화소데이터를 공급하는 회로들이 실장된 콘트롤 보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상기 시스템 보드와 연결되며, 본체 및 본체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접속단자 어레이 및 본체 하부에 형성된 제 2 접속단자 어레이로 구성된 플러그;
    상기 콘트롤 보드에 형성되며, 내부에 플러그가 체결되는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제 1 접속단자 어레이와 접속되는 제 3 접속단자 어레이 및 상기 제 2 접속단자 어레이와 접속되는 제 4 접속단자 어레이가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제 3 접속단자 어레이와 연결된 제 1 핀 어레이 및 제 4 접속단자 어레이와 연결된 제 2 핀 어레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 어레이와 제 2 핀 어레이는 콘트롤 보드의 회로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 제 4 접속단자 어레이와 제 1, 제 2 핀 어레이는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4 접속단자 어레이는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70127199A 2007-12-07 2007-12-07 액정표시장치 KR10134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199A KR101345667B1 (ko) 2007-12-07 2007-12-07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199A KR101345667B1 (ko) 2007-12-07 2007-12-07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054A KR20090060054A (ko) 2009-06-11
KR101345667B1 true KR101345667B1 (ko) 2013-12-30

Family

ID=4099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199A KR101345667B1 (ko) 2007-12-07 2007-12-07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55B1 (ko) * 2014-11-24 2021-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4777644B (zh) * 2015-04-09 2018-06-01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组装结构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683A (ko) * 2005-10-31 2007-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pc 커넥터 접속불량을 감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53019A (ko) * 2005-11-18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8113A (ko) * 2006-01-26 200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103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683A (ko) * 2005-10-31 2007-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pc 커넥터 접속불량을 감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53019A (ko) * 2005-11-18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8113A (ko) * 2006-01-26 200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103A (ko) *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054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1169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ey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7092151B (zh) 阵列基板、电子纸式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US9875699B2 (en) Display device
US7471349B2 (en) Display device
US9075267B2 (en) Display panel
US8941630B2 (en) Device substrate
US82843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6547127B (zh)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663863B (zh) 阵列基板
CN106940502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872700B (zh) 一种显示模组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14342368A (zh) 显示基板、显示装置
CN114815359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290903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345667B1 (ko) 액정표시장치
CN110320690B (zh) 一种显示装置
TWI276863B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021747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171178A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EP4207981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0810959B2 (en) Display device
KR100793548B1 (ko) 액정 표시장치
EP1811492A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CN116184708A (zh) 一种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CN116825045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