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639B1 -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639B1
KR101345639B1 KR1020120022769A KR20120022769A KR101345639B1 KR 101345639 B1 KR101345639 B1 KR 101345639B1 KR 1020120022769 A KR1020120022769 A KR 1020120022769A KR 20120022769 A KR20120022769 A KR 20120022769A KR 101345639 B1 KR101345639 B1 KR 10134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back
main frame
rear sea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767A (ko
Inventor
윤재호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6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과, 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복판형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쉘 플레이트는 그 테두리를 따라 단부가 연장되어 연장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단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진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프레임단부의 각진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피팅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트립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성이 개선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작업부하도 줄어 들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물류과정에서도 스트립이 탈락되는 현상이 없어 물류의 안정성도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REAR SEAT BACK FRAM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적용되는 인테리어 피팅 법규를 만족하면서 스트립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물류시 스트립 탈락 등의 문제를 해소시킨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백(Seat Back)은 탑승자의 엉덩이를 받쳐 주는 시트 쿠션과 연결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함으로써 편안하고 안락한 탑승환경을 제공해 주는 수단이다.
이러한 시트 백은 통상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며, 강도(Strength) 유지를 위해 도 1의 예시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 상에 리브(Rib)(12) 또는 채널(Channel)(14)을 형성하고 있다.
아울러,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해 시트백 프레임(10)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성형, 이를 테면 사출 성형, 컴프레션 몰딩 등의 방법으로 성형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성수지로 LFT(Long Fiber Thermoplastics:열가소성 장섬유 복합재)를 비롯한 GMT(Glass fiber Mat Thermoplastics) 등을 들 수 있으며, 주로 컴프레션 몰딩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 특히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사출 성형이 아닌 컴프레션 몰딩 방식은 도 2에서와 같이, 상하 금형의 파팅(습합)라인(11)으로 인해 시트백 프레임(10, 도 1 참조) 성형시 테두리 단부에서 날카로운 모서리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유럽의 인테리어 피팅 법규에 의해 승객의 안전을 위해하는 요소로 규제를 받게 되므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현재는 도 3과 같이 날카로운 모서리(32)에 라운드형 스트립(31)을 끼워 라운드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별개품인 스트립(31)은 작업자가 일일이 끼워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물류과정에서 쉽게 탈락되어 품질 문제를 야기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진동용착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시트백 프레임(10)을 메인프레임(Main Frame)과 쉘 플레이트(Shell Plate)로 분리한 상태에서 이들을 진동용착방식으로 상호 접합한 복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강도 특성은 물론 감성 품질까지 만족시키려는 노력들이 경주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메인프레임과 쉘 플레이트가 진동용착 방식으로 접합됨으로 인해 접합성이 우수한 복판형 구현이 가능하게 된 점을 감안하여 쉘 플레이트의 활용을 통해 메인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라운드 가공을 실현시킴으로써 유럽 법규인 인테리어 피팅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해 별도로 장착되던 스트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인프레임과, 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복판형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쉘 플레이트는 그 테두리를 따라 단부가 연장되어 연장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단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진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프레임단부의 각진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쉘 플레이트는 국부적인 진동용착 방식으로 접합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호그링홈과 대응되는 클립삽입홈을 갖고 클립삽입홈이 호그링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장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테리어 피팅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트립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성이 개선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작업부하도 줄어 들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물류과정에서도 스트립이 탈락되는 현상이 없어 물류의 안정성도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시트백 프레임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컴프레션 몰딩 예를 보인 예시적인 공정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인테리어 피팅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해 모서리에 스트립을 장착한 예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의 모서리 가공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은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접합되어 일체화되는 쉘 플레이트(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쉘 플레이트(200)는 국부적으로 상호 진동용착되는 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진동용착이란 열가소성수지 2개를 제품 간에 가압하면서 상측 지그에 좌우 진동을 주어 접촉 부위에서 발생되는 마찰열로 수지를 용융시키고, 충분히 용융된 후 진동을 멈추면 제품이 정렬되며, 이 상태에서 가압하면서 냉각시켜 융착을 이루어내는 방법을 말한다.
이와 같은 진동용착을 이용하면 국부적인 접합을 용이하게 달성하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용착면이 서로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에 따라, 러기지 충돌시험(ECE R17)시 기존 단층 모델과 같은 날카로운 파손 부위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탑승자를 위협하는 요소가 극소화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백 프레임은 별개의 부품으로 복판형 구현이 가능한 메인프레임(100)과 쉘 플레이트(200)를 국부적으로 진동용착하여 접합해야 하므로 이들은 서로 맞닿는 형태로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호그링홈(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쉘 플레이트(200)의 단부를 가공해야 하는데, 이때 단부를 더 연장시켜 연장부(210)를 구성하되, 상기 연장부(21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프레임단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라운드 가공되게 함으로써 종래 기술상 문제점인 인테리어 피팅 법규를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호그링홈(110)은 시트를 구성하기 위한 폼를 감싸는 천을 고정하기 위해 클립(미도시)이 끼워져 고정되는 홈으로서, 클립을 끼워 고정하는 것을 호그링이라 한다.
다시 말해, 기존에는 복판형 구성이 아니었기 때문에 컴프레션 몰딩 방법으로 시트백 프레임 제조시 종래 기술과 같은 문제가 유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진동용착에 따른 복판형 시트백 프레임 제조가 가능해 짐에 따라 쉘 플레이트(200)의 응용성이 커지고 넓어진 것으로 쉘 플레이트(200) 성형시 연장부(210)를 접합될 메인프레임(100)의 설계사양에 맞게 가공해 둔 뒤 서로 진동용착 방식으로 접합시켜 일체화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메인프레임(100)의 단부(120)에 생긴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이 인테리어 피팅 법규인 R5 이하를 갖도록 라운드 처리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210)는 단순 연장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갖는 호그링홈(110)에 맞게 클립고정홈(220)을 갖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클립(미도시) 고정은 기존과 달리 상기 클립고정홈(220)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트백을 구성하는 폼을 덮어 씌우는 천 고정이 기존과 다를 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프레임은 간단하고 단순해 보이는 연장부(210)를 쉘 플레이트(200)에 구현함으로써 지금까지 지속적인 미해결 과제로 남아 있던 당해 분야의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게 되었으며, 특히 기존에 사용되던 트스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절감은 물론 물류과정에서 빈발하였던 스트립 탈락으로 인해 불량의 문제까지 일거에 해소할 수 있게 되어 그 유용성이 지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도 5 중 미설명 부호 '300'은 진동용착부를 나타낸다.
100 : 메인프레임 110 : 호그링홈
120 : 프레임단부 200 : 쉘 플레이트
210 : 연장부 220 : 클립삽입홈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메인프레임과, 쉘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복판형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서 상기 쉘 플레이트는 그 테두리를 따라 단부가 연장되어 연장부를 이루도록 성형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프레임단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진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프레임단부의 각진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호그링홈과 대응되는 클립삽입홈을 갖고 클립삽입홈이 호그링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KR1020120022769A 2012-03-06 2012-03-06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KR10134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69A KR101345639B1 (ko) 2012-03-06 2012-03-06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69A KR101345639B1 (ko) 2012-03-06 2012-03-06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67A KR20130101767A (ko) 2013-09-16
KR101345639B1 true KR101345639B1 (ko) 2013-12-27

Family

ID=4945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69A KR101345639B1 (ko) 2012-03-06 2012-03-06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716B1 (ko) * 2014-12-15 2016-09-01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 커버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67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6836C2 (ru) Подголовник с двоякой жесткостью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278896B1 (ko) 시트 백 프레임
EP3020600A1 (en) Vehicle seat
US9783091B2 (en) Seatback frame and resin for employing in a seatback frame
WO2011016532A1 (ja) 連結手段保護部材
US9566755B2 (en) Foamed synthetic resin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345639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JP2014128989A (ja) ヘッドレスト
US8702155B2 (en) Cowl louver sealing structure
KR101880987B1 (ko) 싱크마크 개선을 위한 시트백 프레임의 샌드위치 구조
KR101759206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KR101643177B1 (ko) 백커버 일체형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101247310B1 (ko) 접합성이 개선된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시트 백 프레임
KR101759207B1 (ko) 차일드 시트 체결구조가 포함된 cfrtpc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 제조방법
KR101923894B1 (ko) 중공 구조의 시트백 프레임 및 제조방법
KR101254033B1 (ko) 시트백 프레임의 커버 조립구조
KR101278901B1 (ko) 복판형 시트 백 프레임
KR20150044045A (ko) 리클라이너 마운팅 일체형 시트백 프레임
KR101510667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외관 개선용 부직포 조립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1666423B1 (ko) 차량용 시트백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N204845742U (zh) 机动车后行李箱隔板及由该隔板和白车身构成的组件
JP6107540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90055903A (ko) 원단 일체형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7777B1 (ko) 강성 향상을 위한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시트 백 프레임
US10279715B2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