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523B1 - 다도어 냉장고 - Google Patents

다도어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523B1
KR101343523B1 KR1020110098669A KR20110098669A KR101343523B1 KR 101343523 B1 KR101343523 B1 KR 101343523B1 KR 1020110098669 A KR1020110098669 A KR 1020110098669A KR 20110098669 A KR20110098669 A KR 20110098669A KR 101343523 B1 KR101343523 B1 KR 10134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sket
extension part
main body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173A (ko
Inventor
유장호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PCT/KR2012/0075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42947A1/ko
Publication of KR2013003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1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magnetic g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101)을 가진 본체(100)와 상기 저장실(101)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도어(200)를 구비한다. 도어(200)는 본체에 힌지결합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40)를 구비한다. 제1도어(210)는 몸체(211)와, 상측 제1연장부(212a)와 하측 제1연장부(212b)를 구비한다. 제2도어는 제1도어(210)의 상측 제1연장부(212a)와 중첩하는 상부도어(220)와 제1도어(210)의 하측 제1연장부(212b)에서 중첩하는 하부도어(230)를 구비한다. 제1도어(210), 상부도어(220), 하부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30)이 마련된다.

Description

다도어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multi-door}
본 발명은 복수의 도어를 가진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저장실에 2개 이상의 복수의 도어를 가진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되어 형성되고, 각 저장실마다 하나의 도어가 설치된다. 또한 냉장고의 일종으로 도어가 투명한 유리 등을 포함하여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쇼케이스의 경우도 저장실마다 하나의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냉장고나 쇼케이스에 있어서, 특히 냉장실은 다수의 선반으로 구분되어 여러 종류의 많은 냉장식품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냉장고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없는 전형적인 의미의 냉장고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쇼케이스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저장실(특히 냉장실)에는 단지 하나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선반 중에서 특정한 선반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 또는 특정한 선반에 식품을 저장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도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고, 이 경우 저장실 전체가 개방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냉기손실을 유발하여 결국 전기에너지의 손실이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냉장고나 쇼케이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에 다수의 도어를 설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독립하여 개별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고 다른 도어와 함께 개방될 수도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 개방에 따른 냉기 손실을 감소시켜 결국 전기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물론이고 도어와 도어 사이에도 충분히 기밀을 유지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와 도어 사이를 통한 냉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을 가진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몸체와,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2연장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2개스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2연장부의 하나에는 자석이 내장된 제2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2연장부의 다른 하나에는 금속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상하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3개스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과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의 단부에는 서로 중첩하도록 연장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의 연장부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에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자석을 포함하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단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의 단부의 자석의 극성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을 가진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는 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상측 제1연장부와 상기 제1몸체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하측 제1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는 상부도어몸체와, 상기 제1도어의 상측 제1연장부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상부도어몸체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상부도어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도어는 하부도어몸체와, 상기 제1도어의 하측 제1연장부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하부도어몸체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하부도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하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상측 연장부와 상기 상부도어의 상부도어연장부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도어의 하측 연장부와 상기 하부도어의 하부도어연장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2개스킷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상부도어의 상하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도어와 상기 하부도어의 상하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3개스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상단과 하단에는 연장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부도어의 제1개스킷의 하단에는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상단에 형성된 연장부와 중첩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도어의 제1개스킷의 상단에는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부와 중첩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도어의 제1개스킷의 연장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 상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도어의 제1개스킷의 연장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상기 상부도어, 상기 하부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자석을 포함하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도어의 제1개스킷의 하단부의 자석의 극성은 반대이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도어의 제1개스킷의 상단부의 자석의 극성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도어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에 다수의 도어를 설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독립하여 개별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고 다른 도어와 함께 개방될 수도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 개방에 따른 냉기 손실을 감소시켜 결국 전기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도아 냉장고에 의하면,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물론이고 도어와 도어 사이에도 충분히 기밀을 유지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와 도어 사이를 통한 냉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도아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도아 냉장고의 제1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개스킷의 배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주요부 상세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개스킷 부분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도어 냉장고의 제2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의 냉장고(쇼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냉장고는 저장실(101)을 가진 본체(100)와 상기 저장실(101)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상기 저장실(101)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도어(200)를 구비한다. 본체(100)와 도어(200) 사이에는 힌지(300)가 설치된다. 도어(200)에는 손잡이(201)가 설치되고 저장실(101)에는 다수의 선반(102)이 설치된다. 상기 도어(200)는 독립하여 개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도어와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도어(210)와, 상기 제1도어(210)와 함께 개폐되는 제2도어(220,2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도어(210)는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상측 제1연장부(212a)와 상기 몸체(211)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하측 제1연장부(212b)를 구비한다.
상기 제2도어(220)(23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0)의 상측 제1연장부(212a)와 중첩하는 상부도어(220)와 상기 제1도어(210)의 하측 제1연장부(212b)에서 중첩하는 하부도어(23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도어(220)는 상부도어몸체(221)와, 상기 제1도어(210)의 상측 제1연장부(212a)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상부도어몸체(221)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상부도어 연장부(222)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도어(230)는 하부도어몸체(231)와, 상기 제1도어(210)의 하측 제1연장부(212b)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하부도어몸체(231)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하부도어 연장부(2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도어(210)는 단독으로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부도어(220)를 개방하면 제1도어(210)는 상부도어(220)와 함께 개방되고, 하부도어(230)를 개방하면 제1도어(210)는 하부도어(230)와 함께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저장실(101)의 중간부의 선반(10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 또는 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도어(210)만 개방하면 되고, 저장실(101) 상측부의 선반(10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 또는 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도어(220)와 함께 제1도어(210)를 개방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저장실(101)의 하측부의 선반(10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고자 할 경우 또는 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도어(230)와 함께 제1도어(210)를 개방하면 되므로 도어 개폐에 따른 냉기의 손실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가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상부도어와 하부도어의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도어의 연장부는 몸체의 상단 또는 하단의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210), 상기 상부도어(220), 상기 하부도어(2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와 접하는 상기 제1도어(210), 상기 상부도어(220), 상기 하부도어(230)의 테두리 부분에는 자석이 내장된 제1개스킷(30)(30a)(30b)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도어(210)에는 양쪽 테두리에 일자형 제1개스킷(30)이 각각 마련되고, 상부도어(220)에는 양쪽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에 제1개스킷(30a)이 마련된다.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a)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도어(230)에도 양쪽 테두리와 상부 테두리에 제1개스킷(30b)이 마련되고,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b)도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a)에는 돌출부(32a)가 마련되고,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 상단부에는 돌출부(32a)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이 마련된다. 또한 이와 비슷하게,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b)에는 돌출부(32b)가 마련되고,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하단부에는 돌출부(32b)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이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부(32a)(32b)와 삽입홈(33)은 제1도어(210)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 사이의 냉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210)의 상측 연장부(212a)와 상기 상부도어(220)의 상부도어연장부(222)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도어(210)의 하측연장부(212b)와 상기 하부도어(230)의 하부도어연장부(232)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2개스킷(60)이 각각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개스킷(60)은 자석이 내장된 고무재질이 사용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상측 연장부(212a)와 상기 상부도어(220)의 상부도어연장부(222)의 하나 및 상기 제1도어(210)의 하측연장부(212b)와 상기 하부도어(230)의 하부도어연장부(232)의 하나에는 제2개스킷(60)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상측 연장부(212a)와 상기 상부도어(220)의 상부도어연장부(222)의 다른 하나 및 상기 제1도어(210)의 하측연장부(212b)와 상기 하부도어(230)의 하부도어연장부(232)의 다른 하나에는 제2개스킷(60)과 대응하는 금속판(90)이 예를 들면 철판이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어(210)의 상측 연장부(212a)와 하측 연장부(212b)에 제2개스킷(60)이 마련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부도어연장부(222)와 하부도어연장부(232)에 제2개스킷(60)이 마련될 수도 있고, 제1도어(210)의 상측 연장부(212a)와 하측 연장부(212b) 및 상부도어연장부(222)와 하부도어연장부(232) 모두에 제2개스킷(6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개스킷(60)에 내장된 자석의 극성은 반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제2개스킷(60)은 상측 연장부(212a)와 하측 연장부(212b), 상부도어연장부(222)와 하부도어연장부(23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된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210)와 상기 상부도어(220)의 상하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도어(210)와 상기 하부도어(230)의 상하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3개스킷(70)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3개스킷(70)은 자석이 내장된 고무재질이며, 상기 제1도어(210)와 상기 상부도어(220)의 상하 대향면 중의 하나 및 상기 제1도어(210)와 상기 하부도어(230)의 상하 대향면 중의 하나에는 제3개스킷(70)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와 상기 상부도어(220)의 상하 대향면 중의 다른 하나 및 상기 제1도어(210)와 상기 하부도어(230)의 상하 대향면 중의 다른 하나에는 제3개스킷(70)과 대응하는 금속판(90), 예를 들면 철판이 설치된다. 도 5는 제3개스킷(70)의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3개스킷(70)은 상부도어(220)의 상부도어연장부(222)와 상하로 대향하는 제1도어(210)의 대향면에 마련되며, 이러한 제3개스킷(70)은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3개스킷(7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3개스킷(70)은 제1도어(210)와 상하로 대향하는 상부도어(220)의 상부도어연장부(222)의 대향면에 마련되며, 이러한 제3개스킷(70)은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과 일체로 마련된다.
도 7과 도 8은 제1개스킷(30)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연장부(31)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a)의 하단에는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상단에 형성된 연장부(31)와 중첩하는 연장부(31a)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b)의 상단에는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부(31)와 중첩하는 연장부(31b)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a)의 연장부(31a)에는 돌출부(32a)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 상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2a)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이 마련된다(도 7의 상세도 참조). 또한 이와 비슷하게, 상기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b)의 연장부(31b)에는 돌출부(32b)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2b)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이 마련된다(도 8 참조). 이러한 돌출부(32a)(32b)와 삽입홈(33)은 제1도어(210)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 사이의 냉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개스킷(30)은 자석이 내장된 고무재질이므로 도어가 닫혀서 돌출부(32a)(32b)가 삽입홈(3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돌출부(32a)(32b)가 신장되어 삽입홈(33) 내에서 밀착되므로 충분히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연장부(31)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의 연장부(31a)(31b)는 각각 수직면(34)과 경사면(35)을 구비한다. 도어(200)의 개폐가 이루어질 경우, 이 경사면(35)의 안내에 의해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연장부(31)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의 연장부(31a)(31b)가 원활하게 형합되어 서로 밀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과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의 제1개스킷(30a)(30b)에는 자석이 내장되므로 제1도어(210)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가 닫힌 상태에서는 자력에 의해 냉장고 본체(100)의 금속부분에 더욱 밀착되어 냉장고 본체(100)와 도어(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연장부(31)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의 연장부(31a)(31b)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할지라도 이들은 중첩되어 있으므로 자력의 영향을 받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의 연장부(31a)(31b)가 냉장고 본체(100)에 자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연장부(31)가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의 연장부(31a)(31b)와 중첩된 상태로 밀착되므로 충분히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b)의 연장부(31b)에는 돌출부(32b)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2b)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이 마련되므로(이와 동일하게 상기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b)의 연장부(31b)에는 돌출부(32a)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 상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2a)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이 마련됨)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과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이 분리되어 있다 하더라고 이들 사이에 충분히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단부의 자석의 극성과 이와 대향하는 상기 상부도어(220)의 제1개스킷(30a)의 단부의 자석의 극성을 서로 반대로 배열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의 단부의 자석의 극성과 이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b)의 단부의 자석의 극성을 서로 반대로 배열하면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과 상기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상부도어(220) 및 하부도어(230)의 제1개스킷(30a)(30b)과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이 분리되어 있다 하더라고 이들 사이에 기밀을 더욱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냉장고는 냉동실(103)과 냉장실(104)이 구획된 본체(100)와 냉동실도어(105) 및 냉장실도어(210)(240)를 구비한다. 냉장실도어(210)(240)는 독립하여 개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도어와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1도어(210)와, 상기 제1도어(210)와 함께 개폐되는 제2도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도어(210)는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장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240)는 몸체(241)와, 상기 제1도어(210)의 제1연장부(213)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몸체(241)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장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도어(210) 및 상기 제2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210)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30c)이 마련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개스킷과 유사하게,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의 하단에는 연장부(31c)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의 상단에는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부(31c)와 중첩하는 연장부(31d)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30d)의 연장부(31d)에는 돌출부(32d)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의 하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2d)가 삽입되는 삽입홈(32c)이 마련된다.
한편,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의 연장부(31c)와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의 연장부(31d)는 수직면(34)과 경사면(35)을 구비하며, 이 경사면(35)에 의해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의 연장부(31c)와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의 연장부(31d)가 원활하게 밀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과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에는 자석이 내장되므로 제1도어(210)와 제2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고 본체(100)의 금속부분에 자력에 의해 더욱 밀착되어 냉장고 본체(100)와 냉장실도어(106)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의 연장부(31c)와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의 연장부(31d)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할지라도 이들은 중첩되어 있으므로 자력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과 상기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 단부의 자석의 극성을 서로 반대로 배열하면 상기 제1도어(210)의 제1개스킷(30c)과 상기 제2도어(240)의 제1개스킷(30d)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므로, 이들 사이에 기밀을 더욱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스킷의 변형예로서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개스킷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210: 제1도어 220: 상부도어
230: 하부도어 30, 30a, 30b, 30c, 30d: 제1개스킷
32a, 32b, 32d: 돌출부 33, 32c: 삽입홈
60: 제2개스킷 70: 제3개스킷

Claims (11)

  1. 저장실을 가진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몸체와,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의 내측에서 중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연장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과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의 단부에는 서로 중첩하도록 연장하는 연장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의 연장부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에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어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2연장부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2개스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어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2연장부의 하나에는 자석이 내장된 제2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2연장부의 다른 하나에는 금속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어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상하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제3개스킷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어 냉장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도어 및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 부분에는 자석을 포함하는 제1개스킷이 마련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도어의 제1개스킷의 단부와 상기 제2도어의 제1개스킷의 단부의 자석의 극성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어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98669A 2011-09-20 2011-09-29 다도어 냉장고 KR10134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7524 WO2013042947A1 (ko) 2011-09-20 2012-09-20 다도어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4699 2011-09-20
KR1020110094699 2011-09-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095A Division KR20130035260A (ko) 2013-02-25 2013-02-25 다도어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73A KR20130031173A (ko) 2013-03-28
KR101343523B1 true KR101343523B1 (ko) 2013-12-20

Family

ID=4818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669A KR101343523B1 (ko) 2011-09-20 2011-09-29 다도어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80B1 (ko) * 2018-09-21 2020-09-04 호산테크 주식회사 Acqc 유닛용 밀폐형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173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316B2 (en) Spring loaded mullion for french door refrigerator
US9097457B2 (en) Refrigerator
WO2011118137A1 (ja) 冷蔵庫
US20140097733A1 (en) Refrigerator and filler thereof
KR20160065679A (ko) 냉장고
KR101343524B1 (ko) 다도어 냉장고
KR101343523B1 (ko) 다도어 냉장고
JP2014066386A (ja) 冷蔵庫
JP5246192B2 (ja) 冷蔵庫
KR20130035260A (ko) 다도어 냉장고
KR20130035261A (ko) 다도어 냉장고
US20110197623A1 (en) Double-door vertical freezer
JP6517858B2 (ja) 冷蔵庫
CN102261785A (zh) 用于制冷器具的低压储物单元以及制冷器具
KR20080064555A (ko) 냉장고 선반
WO2013042947A1 (ko) 다도어 냉장고
KR200443659Y1 (ko) 냉 온장고의 한 쌍의 양방향 여닫이문 밀폐구조
EP4001809B1 (en) Refrigerator
KR20120136138A (ko) 냉장고용 도어의 개스킷
KR101592564B1 (ko) 냉장고
JP6854314B2 (ja) 冷蔵庫
JP7422310B2 (ja) 冷蔵庫
KR100685998B1 (ko)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0348291Y1 (ko) 식품 냉동 냉장고 쇼케이스의 기밀유지구조
KR20090066770A (ko) 냉장고형 홈바 도어의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