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338B1 -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338B1
KR101343338B1 KR1020120132427A KR20120132427A KR101343338B1 KR 101343338 B1 KR101343338 B1 KR 101343338B1 KR 1020120132427 A KR1020120132427 A KR 1020120132427A KR 20120132427 A KR20120132427 A KR 20120132427A KR 101343338 B1 KR101343338 B1 KR 101343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vehicle
sub
selection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이교훈
성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오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오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오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3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비 대상 차량의 견적을 산출하기 위해 차량 부품을 상위 선택 그룹과 하위 선택 그룹의 계층적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견적을 산출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파트로 분해한 차량의 상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상위 선택 그룹과 상위 부품 파트의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하위 선택 그룹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하위 선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하위 선택 그룹에 대응하는 작업조건을 선택하는 견적 세부 옵션 항목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세부옵션 항목의 선택에 따라 정비 차량에 대한 견적 리스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Estimate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비 대상 차량의 견적을 산출하기 위해 차량 부품을 상위 선택 그룹과 하위 선택 그룹의 계층적 구조로 구성하여 아이콘화함으로써 차량의 견적을 산출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정비 대상 차량의 견적 프로그램은 견적을 내고자 하는 부품의 리스트가 텍스트 기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가인 견적사에 의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자동차 정비 영업소에 근무하는 전문 견적사외의 일반 직원은 텍스트 기반의 견적 프로그램(차동차 부품의 종류가 너무많고 각 부품마다 부품 고유 명칭을 알고 있어야 함으로)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프로그램은 2005년도에 정부 산하기관에 의해 마련된 표준 공임시간을 사용하고 있어 2006년 이후의 신차종에 대해서는 신차종과 유사한 구차종의 표준 공임시간을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공개특허공보 제2002-329101호(발명의 명칭 : 자동차 수리 견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서는 정비 대상 차량의 견적서를 작성할 때 데이터의 입력이 용이한 자동차 수리 견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선행기술문헌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기반의 도면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견적리스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2D 평면도(도 12의 부호44,46, 도 13의 부호48 참조)를 디스플레이하는 외에 근본적으로 텍스터 기반(도 12의 부호45, 도 13의 부호49 참조)으로 동작되도록 되어 있어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부품을 상위 선택 그룹과 하위 선택 그룹으로 계층적 분할하고, 각 선택 그룹을 2차원 또는 3차원의 입체 아이콘으로 그림 아이콘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문 견적사가 아닌 일반 정비영업소 직원도 사고사진과 그림 아이콘을 비교하여 계층적으로 선택하여 내려감으로써 쉽게 차량 견적을 낼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005년도에 작성된 표준 공임시간을 보완하기 위해 실측 공임시간을 표준 공임시간과 같이 제공함으로써 차량 정비 영업소에서 작성되는 차량 정비 견적을 좀 더 현실화시킬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각 부위 파트를 복수로 분해한 상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상위 선택 그룹과 상위 부품 파트의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하위 선택 그룹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하위 선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하위 선택 그룹에 대응하는 작업조건을 선택하는 견적 세부 옵션 항목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세부옵션 항목의 선택에 따라 정비 차량에 대한 견적 리스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위 선택 그룹은 후술하는 상위 부품 파트에 대응하여 아이콘화된 상위 아이콘 그룹이고, 하위 선택 그룹은 선택된 상위 부품 파트의 하위 부품 파트에 대응하여 아이콘화된 하위 아이콘 그룹이다.
상위 선택 그룹과 하위 선택 그룹은 아이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이콘은 문자 아이콘 및 그림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상위 선택 그룹이 그림 아이콘인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이미지이다.
분할된 화면의 일측에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분할된 화면의 타측에는 정비 대상 파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아이콘이 그림 아이콘인 경우에는, 분할된 화면에 표시되는 정비 대상 파트의 사진 또는 동영상과 시각적으로 비교되어 선택된다.
상위 선택 그룹과 하위 선택 그룹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상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위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상위 부품 파트의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분할된 화면의 일측을 기준으로 중심영역에 차량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차량 아이콘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상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며, 하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위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아이콘이 중심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중심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에 상응하는 하위 아이콘이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이다.
세부 옵션 항목의 작업조건은, 정비 대상 파트의 작업방식과 정비 대상 파트의 작업위치이다.
선택된 하위 선택 그룹과 견적 세부 옵션 항목의 매칭에 의해 견적 리스트가 작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 견적사가 아닌 정비 영업소에 근무하는 일반 직원도 쉽게 차량 정비 견적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준 공임시간과 같이 실측 공임시간이 제공되어 공임비 산출을 좀 더 현실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비 견적 리스트 산출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수 아이콘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비 대상 차량의 정보 입력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위 아이콘이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위 아이콘이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견적리스트 생성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론트 그룹이 확대되어 나타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론트 그룹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하위 아이콘이 둘레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후론트 범퍼가 확대되어 나타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위 부품 파트 중 루프패널에 대한 하위 부품 파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부 옵션 견적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작업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적 리스트가 최종적으로 생성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림 아이콘과 데이터베이스의 매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림 아이콘을 모델링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단계>
본 발명은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정비 대상 차량의 부품비, 공임비, 도장에 따른 재료비, 도장에 따른 페인트 재료비 등을 그림 아이콘 또는 문자 아이콘 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선택함으로써 각 차량정비 영업소에서 정비 견적을 쉽게 생성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프로그램은 웹 기반의 프로그램으로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기반에서는 어디서든 접속하여 차량 견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회사코드는 각 차량정비 영업소의 고유 코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회사코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면(S1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수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접수 아이콘(10)"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 차량정보, 도장, 비고, 고객, 입금, 자료변경에 해당하는 입력란에 사용자가 택일적으로 입력하게 된다(S20). 이렇게 입력된 정비대상 차량의 정보를 이용(일예로서 차량 모델 및 도장 색상)하여 후술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가 작성될 수 있다. 차량모델은 후술하는 차량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도장 색상은 차량 도장시 참조될 수 있다.
정비대상 차량의 정보가 입력되면 도 4에 도시된 "견적 아이콘(20)"을 사용자가 선택(S30)함으로써 견적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견적 아이콘(20) 선택에 따라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화면(100)은 대략적으로 크게 접수내역 디스플레이 화면(110), 정비차량 파트 디스플레이 화면(120), 정비견적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130),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140) 등으로 분할되어 표시된다.
먼저, 접수내역 디스플레이 화면(110)은 "접수내역, 차종별 옵션, 정비기준, 도장기준" 등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접수내역은 상술한 정비대상 차량의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정비차량 파트 디스플레이 화면(120)은 사고 차량 또는 정비가 필요한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진 또는 동영상 형태로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진의 경우에는 정비 대상 파트의 개수에 해당하는 사진이 각각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되며, 동영상의 경우에는 정비 대상 파트를 촬영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사진 또는 동영상은 각 차량 정비 영업소에서 관련 담당자가 정비대상 차량을 먼저 촬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 차량 파트 디스플레이 화면(120) 상단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진을 가져오거나 사진을 제거할 수 있는 아이콘이 구비되어 있다. 동영상의 경우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동영상을 가져오거나 제거할 수 있는 아이콘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정비 차량 파트 디스플레이 화면(120)의 우측에는 정비 대상 사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사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확대화면(1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진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비 대상 파트가 차량의 어떤 파트(또는 부품)인지를 더욱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곧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표시되는 그림 아이콘 또는 문자 아이콘이 정비 대상 파트의 사진 또는 동영상과 사용자에 의해 쉽게 비교되어 선택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140)은 차량 모델이 3차원으로 모델링되어 표시되는 차량 아이콘(141)이 화면 중앙에 표시되며,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140) 둘레방향으로 상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상위 아이콘(143)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차량 아이콘(141)은 사용자에게 실제 차량과 동일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화면상에서 360도 회전하며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140)은 도 5에서 표시된 상위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위 아이콘(143)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위 아이콘을 중심으로 화면 둘레방향으로 상위 부품 파트의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143')이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차량 아이콘(141)은 화면 중앙에 디스플레이되고, 상위 아이콘(143)과 하위 아이콘(143')은 도 5 및 도 6에서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예시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표시된 차량 아이콘(141)은 화면(140) 왼쪽에 표시되고 상위 아이콘(143)은 화면 오른쪽에 표시될 수 있으며 도 6도 마찬가지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정비 대상 차량의 정보 입력에 의해 정비 대상 차종이 어떤 차종인지를 알 수 있으며 차량 아이콘(141)은 이에 상응하는 3차원 입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정비 대상 차종과 꼭 동일한 차종의 차량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필요는 없다. 즉, 비슷한 차종의 아이콘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는 본 발명의 목적인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위 아이콘과 하위 아이콘이 그림 아이콘인 경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문자 아이콘과 그림 아이콘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제2실시예는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제1실시예 -그림 아이콘)
본 발명의 견적 리스트 생성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상술한 도 5의 도면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특정 차종의 모델(이하에서는 "A"모델이라 한다)인 차량 아이콘(141)이 화면(140) 중앙에 도시되어 있으며, 둘레방향으로 A모델의 상위 10개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상위 아이콘(143)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되는 상위 아이콘(143)의 개수는 차량의 모델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화면(140) 상단에는 상위도면(145)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하위도면(147)보다 더욱 명료하게 표시되어 현재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이 상위 아이콘(143)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도 9에서는 하위도면 아이콘(147)이 상위도면 아이콘(145)보다 더욱 명료하게 표시되어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이 하위 아이콘(143')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A모델의 상위 아이콘(143)은 후론트그룹, 사이드그룹, 루프패널, 리어그룹, 실내그룹, 전장그룹, 트립그룹, 유리그룹, 엔진그룹, 밋션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위 아이콘(143)은 A모델의 10개 최상위 부품 파트가 각각 아이콘화된 것을 의미하며, 하위 아이콘(143')은 10개 최상위 부품 파트가 다시 계층적으로 세분화되어 그 각각이 아이콘화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위 아이콘(143)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은 도 6과 같이 다시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143')으로 분류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상위 아이콘(143)은 하위 계층의 하위 아이콘(143')이 존재할 수도 있고 차량 모델에 따라서는 하위 아이콘(143')이 없는 상위 아이콘(143)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위 아이콘과 하위 아이콘이 2단으로 수직 계층적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차량의 부품이 복잡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3단 이상 분류될 수 있으며, 일예를 들어 "최상위 아이콘-상위 아이콘-하위 아이콘"의 수직 계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서 A모델의 상위 아이콘(143) 중 후론트 그룹을 선택하기 위해 후론트 그룹 아이콘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한다(S40). 후론트 그룹 아이콘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가 이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론트 그룹 아이콘이 확대 디스플레이된다(S50). 확대된 후론트 그룹 아이콘을 선택하면(S6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론트 그룹 아이콘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143')이 화면 둘레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며 화면 중앙에는 선택된 후론트 그룹 아이콘이 3차원 입체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 된다(S70).
도 9에 도시된 후론트 그룹 아이콘의 하위 아이콘(143')은 대략 18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후론트 범퍼(143')를 선택하기 위해 후론트 범퍼 아이콘 영역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면 후론트 그룹 아이콘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80). 확대된 후론트 그룹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견적 세부 옵션 항목이 디스플레이 된다(S9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위 아이콘 및 하위 아이콘을 3차원 입체 아이콘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비 대상 차량의 사고사진 또는 정비대상 차량을 촬영한 동영상과 3차원으로 모델링 된 그림 아이콘을 그래픽적으로 서로 비교하여 선택함으로써 비 전문가의 입장에서도 쉽게 차량 견적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위 아이콘 및 하위 아이콘은 A모델의 각 부품을 상위 부품 파트와 하위 부품 파트로 나누어 각 아이콘에 구체화한 것이다. 상위 아이콘 및 하위 아이콘은 3차원 입체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2차원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위 아이콘은 3차원 입체 아이콘으로 구현되고 하위 아이콘은 2차원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 있다. 3차원 입체 아이콘은 일예로서 2차원 도면을 그래픽 엔진 및 3차원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술한 상위 아이콘(143) 중 루프패널의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일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하위 부품 파트를 하위 아이콘(143')으로 아이콘화하여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후론트 그룹 외에 다른 상위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도 7 내지 도 9에서의 원리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 제2실시예 -문자아이콘과 그림아이콘 혼용)
상술한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상위 아이콘 및 하위 아이콘이 그림 아이콘으로 구체화되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렇게 그림 아이콘으로 구체화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견적 리스트에 올라갈 견적부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3차원 입체 아이콘으로 모델링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경우 실행속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는 상위 아이콘을 문자 아이콘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상위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문자 아이콘으로 대체함으로써 실행속도의 부담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상위 아이콘에는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후론트 그룹, 엔진그룹이 있으며 이러한 후론트 그룹 및 엔진그룹을 그림 아이콘을 대신하여 문자 아이콘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문자 아이콘은 단순히 "후론트 그룹", "엔진 그룹"의 텍스트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문자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하위 아이콘(143')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그림 아이콘과 문자 아이콘이 혼용되는 경우에는 그림 아이콘은 그림 아이콘대로, 문자 아이콘은 문자 아이콘대로 그룹지어 각 화면(140)상에 분할되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외에 그림 아이콘에 문자 텍스터를 같이 병기하여 사용자에게 그래픽적인 느낌과 문자를 동시에 전달하여 쉽게 견적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9에서 후론트 범퍼(143')는 그림 아이콘과 그림 아이콘에 병기된 "후론트 범퍼" 텍스터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후론트 범퍼 아이콘을 선택하면 세부 옵션 견적 항목(150)이 팝업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90). 세부 옵션 견적 항목에서는 최종 선택된 하위 아이콘(143')에 대응하는 정비부품의 작업방식(151) 선택과 선택된 정비부품의 작업위치 체크박스(153)를 선택할 수 있다(S100). 이때 정비부품의 작업위치는 선택된 하위 아이콘(143')에 따라 서로 다른 체크박스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작업위치 체크박스는 최종 선택된 정비부품이 도어로서, 도어는 내측/외측, 앞/뒤, 좌/우, 상/하의 작업위치가 있으며 이러한 예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작업방식(151)은 탈착, 그린, 참조, 사용자공임, 도장(교환), 도장(판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탈착은 수리를 위해 부품을 분해 분리한 다음 다시 부품을 조립하는 것을 말한다. 그린은 부품을 교환대신 교환 가의 일정비율을 받고 판금 수리하는 것을 말한다. 참조는 신차종이 출시되면 새로운 부품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부품에 대해서 견적리스트 프로그램 제공자가 표준공임시간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공임은 견적리스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정비영업소가 자유롭게 사용자공임(표준공임시간)을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도장(교환)은 대부분의 부품이 탈색을 이유로 칠이 없는 상태에서 출고되므로 부품을 교환한 후 교환된 부품의 색을 도색하는 것을 말한다. 도장(판금)은 정비를 위해 부품을 판금 하면 판금 된 부품의 색을 다시 도색하는 것을 말한다.
상술한 작업방식 선택과 작업위치 선택이 완료되면 도 11의 "확인"버튼을 누른다. "확인"버튼을 누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견적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130)에 정비공임 및 도장공임의 정비 견적리스트가 최종적으로 생성된다(S110). 도 16에 도시된 정비견적 리스트는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것이며 상술한 하위 아이콘(143') 및 세부 옵션 견적 항목의 작업방식과 작업위치 선택에 따라 견적이 최종적으로 작성된다.
여기서, 산출되는 견적리스트는 정비부품의 부품비, 정비부품의 시간공임비, 도장을 하는 경우 페인트 재료비, 도장에 따른 시간공임비 등이 산출된다. 이때 시간공임비를 산출하기 위해 2005년에 정부기관 산하 단체에서 만들어진 표준 공임시간을 이용한다. 시간공임비는 표준 공임시간에 비용을 곱해서 산출한다. 표준 공임시간은 정비부품 수리시 예상되는 공임시간으로서 2005년에 만들어져 2006년 이후에 출시되는 신차종에 대해서는 비슷한 차종의 표준 공임시간을 적용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예를 들어 구차종의 정비부품의 표준 공임시간에 비해 신차종의 정비부품의 표준 공임시간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구차종의 표준 공임시간을 적용할 수밖에 없어 차량 정비 영업소에서 보험사에 요청하는 시간공임비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비부품의 정비시간을 실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정비공업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다수의 전문가 풀에 의해 정비시간을 실측하고 이를 평균하여 표준 공임시간 대신 실측 공임시간을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전문가 풀은 정비 영업소의 특급기사를 제외한 일반 정비기사의 관점에서 풀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측 공임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각 정비영업소에 CCTV를 장착하여 정비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평균화할 수 있다. 또한, CCTV에 의한 시간측정 및 정비 현장을 촬영한 동영상 파일은 보험사에 실제 공임시간에 대한 증빙자료를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림 아이콘과 데이터베이스의 매칭방법 )
견적리스트가 산출되기 위해서는 최종 선택된 하위 아이콘에 해당하는 파일과 세부 옵션 항목에서 선택된 작업조건의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매칭되어야 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아이콘과 하위 아이콘은 파일 형태로 도면DB에 저장될 수 있다. 하위 아이콘 중 어느 하나는 파일이름(예로서 P001.jpg), 하위 아이콘 이름(예로서 후론트 범퍼) 등으로 관리될 수 있다. 데이터DB에는 각 차종별 표준시간DB, 작업조건DB, 이외에 각종 필요한 DB(일예로서 도장DB)가 분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XML을 이용하여 도면DB와 데이터DB를 서로 매칭할 수 있다.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1의 세부 옵션 견적 항목에서 외측, 내측, 좌측, 우측의 작업위치가 선택되고, 하위 아이콘이 도어에 관한 것이라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XML은 작업위치에 대한 조건과 하위 아이콘(이때는 도어 아이콘)을 표준시간DB와 매칭시킴으로써 표준 공임시간을 총 7시간으로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1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종 필요한 DB에는 도장DB(일예로서 도장에 관한 재료비, 도장에 관한 공임시간) 또는 각 부품에 대한 재료비DB 등의 다양한 DB가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작업조건에서 도장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장 DB가 XML에 의해 매칭됨으로써 최종 견적리스트가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종 DB는 각 차종별로 각기 따로 데이터가 구분 저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그림 아이콘이 아닌 문자 아이콘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매칭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장치는 대략적으로 표시수단, 인터페이스 수단, 및 출력수단으로 구성되어 정비 대상 차량의 견적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한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단계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첩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장치는 차량 정비 영업소에 비치되는 일반 컴퓨터 및 모니터로 구성된다. 컴퓨터는 종래의 데스크탑, 노트북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모니터는 LCD 또는 LED 등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최종 견적리스트 생성시 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인 프린터 등이 더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프린터는 레이저프린트 또는 잉크젯 프린터 등 복사지에 차량 정비 부품의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단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나 이러한 수단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다만, 구분되어 설명되는 수단은 하나의 장치에 모두 구체화될 수도 있고 2가지 이상의 장치에 구체화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은 상술한 LCD 또는 LED 모니터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된 화면의 좌측에는 접수현황, 사고사진 또는 사고 동영상, 최종 견적리스트가 표시되고, 분할된 화면의 우측에는 상위 아이콘 또는 하위 아이콘이 둘레방향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상위 아이콘은 차량의 각 파트를 대략 상위 10개로 분할한 부품이 아이콘으로 구체화된 것이며, 하위 아이콘은 상위 10개의 부품이 각각 수직 계층적으로 더욱 세분화되어 아이콘으로 구체화된 것이다. 상위 아이콘 및 하위 아이콘은 차량의 모델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수단은 도 18에 도시된 그림 아이콘(400)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아이콘은 컴퓨터에 제공하는 명령을 문자나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마우스나 라이트 펜으로 아이콘을 선택하여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그림 아이콘(400)은 상위 그림 아이콘(143) 또는 하위 그림 아이콘(143')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로 상위 그림 아이콘을 누르는 경우 수직 계층적 구조로 형성된 하위 그림 아이콘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그림 아이콘(40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수단(200)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모델 A 파일(210)을 그래픽 엔진을 이용하여 3D 모델링화하여 모니터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차량모델 A 파일(210)은 차량의 상위 부품 도면에 해당하는 파일이 상위1.JPG ~ 상위n.JPG로 저장되어 있고 상위 부품 도면에 각각 상응하는 하위 부품 도면에 해당하는 파일이 하위1.JPG ~ 하위n.JPG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그림 아이콘(400)을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JPG 파일을 읽으면 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최초 사고 차량 정보의 입력에 의해 차량 모델을 알 수 있고, 만약 차량모델이 A모델이라고 한다면 도 18의 저장수단(200)의 차량1.JPG 파일을 읽어들여 그래픽 엔진에 의해 3D 모델링함으로써 A모델의 차량이 3D로 화면상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차량모델이 B모델이라면 저장수단의 차량2.JPG 파일을 읽어들여 3D 모델링하게 될 것이다. 동일한 개념으로 A모델의 상위 그림 아이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저장수단의 상위1.JPG ~ 상위n.JPG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읽어들여 그래픽 엔진에 의해 모델링함으로써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JPG 파일은 2D 도면일 수 있다.
상술한 저장수단(2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에 부착된 내장 하드디스크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3D 모델링수단(3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을 읽어들이고 모니터로 그림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수단도 상술한 각종 컴퓨터의 기능에 의해 충분히 구체화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하위 그림 아이콘이 선택되고 세부 옵션 항목에서 각종 작업조건이 선택되면 정비견적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130)에 정비 대상 부품의 견적이 작성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정비대상 차량의 견적 리스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은 작성된 정비 견적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이거나 또는 정비 견적 리스트를 복사지 또는 이와 유사한 용지에 프린터하는 각종 프린터 장치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접수 아이콘
20 : 견적 아이콘
100 : 디스플레이 화면
110 : 접수내역 디스플레이 화면
120 : 정비 차량 파트 디스플레이 화면
121 : 확대화면
130 : 정비견적 리스트 디스플레이 화면
140 : 아이콘 디스플레이 화면
141 : 차량 아이콘
143 : 상위 아이콘
143': 하위 아이콘
145 : 상위도면 아이콘(1차도면)
147 : 하위도면 아이콘(2차도면)
150 : 세부 옵션 견적 항목
151 : 작업방식
153 : 작업위치 체크박스
200 : 저장수단
210 : 차량모델 A 파일
220 : 차량모델 B 파일
300 : 3D 모델링수단
400 : 그림 아이콘

Claims (9)

  1. 정비 대상 차량의 상위 부품 파트에 상응하는 상위 선택 그룹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상위 선택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상위 선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수직 계층적으로 연결된 상기 상위 선택 그룹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하위 선택 그룹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가 상기 하위 선택 그룹에서 선택되는 단계,
    상기 하위 선택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의 작업조건을 선택하는 세부 옵션 항목이 표시되어 세부 옵션이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세부 옵션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에 대응되는 차량 견적 리스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위 선택 그룹과 상기 하위 선택 그룹은 아이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아이콘은 문자 아이콘 및 그림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선택 그룹이 그림 아이콘인 경우에는 3차원 입체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된 화면의 일측에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분할된 화면의 타측에는 상기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의 사진 또는 동영상에 상응하는 상기 그림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선택 그룹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분할된 화면의 일측을 기준으로 차량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차량 아이콘을 중심으로 둘레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상기 상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상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하위 선택 그룹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는,
    상기 상위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된 상위 아이콘을 중심으로 둘레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상기 하위 부품 파트에 해당하는 하위 아이콘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옵션 항목의 작업조건은,
    차량의 정비 대상 파트의 작업방식과 상기 정비 대상 파트의 작업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하위 선택 그룹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과 견적 세부 옵션 항목의 선택에 의해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서로 매칭에 의해 견적 리스트가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KR1020120132427A 2012-11-21 2012-11-21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KR101343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427A KR101343338B1 (ko) 2012-11-21 2012-11-21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427A KR101343338B1 (ko) 2012-11-21 2012-11-21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338B1 true KR101343338B1 (ko) 2013-12-20

Family

ID=4998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427A KR101343338B1 (ko) 2012-11-21 2012-11-21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01A (ko) 2015-05-15 2016-11-23 (주)플래닛텍 자동차의 수리견적 자동산출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9547A (ja) 2007-05-30 2008-12-11 Kyoei Fire & Marine Insurance Co Ltd 車両の修理又は整備費用見積装置および見積方法。
JP2008310535A (ja) 2007-06-13 2008-12-25 Broadleaf:Kk 車両/部品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9547A (ja) 2007-05-30 2008-12-11 Kyoei Fire & Marine Insurance Co Ltd 車両の修理又は整備費用見積装置および見積方法。
JP2008310535A (ja) 2007-06-13 2008-12-25 Broadleaf:Kk 車両/部品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01A (ko) 2015-05-15 2016-11-23 (주)플래닛텍 자동차의 수리견적 자동산출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235B2 (ja) 複合システムの統合的な視覚化及び分析
CN105389321B (zh) 复杂系统的主题元件的可视化和分析
US20140025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Product Configuration
CN104077350A (zh) 使用可视化查询系统的对象的可视化
KR100844467B1 (ko)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01021865A (zh) 数据检索结果显示方法及显示系统
Port The management of CAD for construction
Bellalouna Industrial case studi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engineering processes using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AU20162005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product development information
CN105830014B (zh) 确定图像比例重设因子
Samphaongoen A visual approach to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KR101343338B1 (ko)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방법
KR101343335B1 (ko)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장치
Cobb Enterprise Process Mapping
JP4918644B2 (ja) 損傷車両画像作成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て構築された車両修理費見積システム。
US20130205224A1 (en) Electronic data plate system for collaboration amongst multiple disparate parties
KR20150105034A (ko) 차량정비 견적리스트를 모바일 장치에서 생성하는 방법과 이를 생성하는 모바일 장치
KR20140091134A (ko) 차량 정비 견적 리스트 생성 장치
KR20140104616A (ko) 차량 정비에 관한 전자서명 동의서 생성 장치
US201300611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using a focal point tool
Planchard Engineering Design with SolidWorks 2015 and Video Instruction
JP7330323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US20240004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underground utilities and structures
WO2023067836A1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
Kovacs et al. Building information dashboard as decision support during design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