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775B1 -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775B1
KR101342775B1 KR1020117003714A KR20117003714A KR101342775B1 KR 101342775 B1 KR101342775 B1 KR 101342775B1 KR 1020117003714 A KR1020117003714 A KR 1020117003714A KR 20117003714 A KR20117003714 A KR 20117003714A KR 101342775 B1 KR101342775 B1 KR 10134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filter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391A (ko
Inventor
아끼라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Abstract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사용 가능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이 천장 설치형의 공조 실내기는,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그리고,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S1: '예'), 공조 운전(실내 팬이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 그리고, 공조 운전 중인 경우(S2: '예'), 공조 운전(실내 팬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 승강 모터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의 하강을 개시한다(S3). 이때, 실내 팬은,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그 운전이 정지된다. 이에 대하여, 공조 운전이 정지 중인 경우(S2: '아니오'), 실내 팬(13)을 정지시킨 상태 그대로, 플랫 패널의 하강을 개시한다(S4).

Description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CEILING-MOUNTED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유지 보수시 등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승강 패널을 구비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의 분야에서는, 필터의 청소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까지 흡입 그릴(승강 패널)을 승강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11-2423호 공보
그러나, 승강 패널의 운전과 공조 기기의 운전을 동시에 행하고자 하면, 일시적으로 큰 전원을 사용하게 되고, 전원 용량의 관계에서 동시에 승강 패널의 운전과 공조 기기의 운전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조 운전과 승강 패널의 승강 운전을 각각 독립으로 제어하고 있었으므로, 공조 운전시에 승강 패널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공조 운전(실내 팬 등의 운전)을 계속한 채로, 승강 패널의 하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승강 패널의 하강시에 공조 운전을 계속하면, 승강 패널이 실내 팬의 흡인력에 의해 천장측에 흡착하여, 승강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사용 가능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를 갖고, 내부에 공조 기기를 탑재하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설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승강 패널과, 승강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승강 패널이 상기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공조 기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승강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공조 기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고, 승강 패널의 하강을 개시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승강 패널의 승강을 행할 때에, 공조 기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상기 공조 기기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조 기기는,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흡입구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시키는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승강 패널이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승강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고, 승강 패널 하강을 개시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승강 패널의 하강을 행할 때에, 공조 기기(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상기 공조 기기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승강 패널이 본체의 설치 위치에 있으므로, 송풍기 등의 구동부를 상기 승강 패널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승강 패널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승강 패널의 하강을 행하기 전에 송풍기의 운전이 정지 혹은 제한되므로, 상기 승강 패널이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본체측에 흡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강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2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승강 패널은, 회동 가능하며, 공조 운전 중에는 흡입구를 개방함과 함께 공조 운전 정지시에는 흡입구를 폐쇄하는 플랫 패널이다.
상기한 플랫 패널을 사용하여, 송풍기의 운전과 플랫 패널의 하강 운전을 동시에 행하면, 송풍기의 운전에 의한 흡입구로부터의 공기의 흡인력에 의해,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랫 패널의 하강 전에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를 폐쇄하는 형상의 플랫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할 우려가 없으므로, 플랫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3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기의 운전 중에 승강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 플랫 패널은 흡입구를 폐쇄한 후, 하강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랫 패널의 일련의 하강 동작 중에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일단 폐쇄하는 타이밍을 갖지만, 플랫 패널의 하강 전에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할 수 있으므로, 플랫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4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기는, 적어도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은, 그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가장 흡착하기 쉬운 타이밍인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은, 송풍기의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5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송풍기는,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그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송풍기의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함으로써,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승강 패널은 격자 형상의 격자 패널이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격자 부분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를 개폐하는 기구를 필요로 하는 플랫 패널 등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해진다.
제8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흡입구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더스트 박스를 더 구비하고, 더스트 박스는 승강 패널에 적재되어, 승강 패널과 함께 승강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승강 패널과 함께 더스트 박스가 하강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제9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8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에 설치되고, 필터에 부착한 먼지를 필터로부터 긁어내는 브러시를 더 구비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승강 패널과 함께 브러시가 하강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제10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 또는 정지시키는 타이머 예약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승강 패널이 하강 또는 상승하고 있을 때에,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하는 예약 시각이 된 경우, 승강 패널의 하강 또는 상승을 종료시킨 후 공조 기기의 운전을 행한다.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승강 패널이 하강 또는 상승하고 있을 때에, 타이머 예약에 의해 공조 기기의 운전이 개시되는 경우에도, 그 공조 기기의 운전의 개시가, 승강 패널의 하강 또는 상승이 종료될 때까지 지연된다. 이에 의해, 공조 기기와 승강 패널이 동시에 동작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발명에서는, 승강 패널의 승강을 행할 때에, 공조 기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상기 공조 기기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서는, 승강 패널의 하강을 행할 때에, 공조 기기(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상기 공조 기기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승강 패널이 본체의 설치 위치에 있으므로, 송풍기 등의 구동부를 상기 승강 패널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승강 패널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승강 패널의 하강을 행하기 전에 송풍기의 운전이 정지 혹은 제한되므로, 상기 승강 패널이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본체측에 흡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강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발명에서는, 플랫 패널의 하강 전에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를 폐쇄하는 형상의 플랫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할 우려가 없으므로, 플랫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발명에서는, 플랫 패널의 일련의 하강 동작 중에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일단 폐쇄하는 타이밍을 갖지만, 플랫 패널의 하강 전에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할 수 있으므로, 플랫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에서는,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가장 흡착하기 쉬운 타이밍인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은, 송풍기의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6 발명에서는,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폐쇄하고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송풍기의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함으로써, 플랫 패널이 본체측에 흡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에서는, 격자 부분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를 개폐하는 기구를 필요로 하는 플랫 패널 등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제8 발명에서는, 승강 패널과 함께 더스트 박스가 하강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9 발명에서는, 승강 패널과 함께 브러시가 하강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0 발명에서는, 승강 패널이 하강 또는 상승하고 있을 때에, 타이머 예약에 의해 공조 기기의 운전이 개시되는 경우에도, 그 공조 기기의 운전의 개시가, 승강 패널의 하강 또는 상승이 종료될 때까지 지연된다. 이에 의해, 공조 기기와 승강 패널이 동시에 동작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공조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측면도, (b)는 공조 실내기의 운전시의 측면도, (c)는 유지 보수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공조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하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필터 청소 기구의 필터 수납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필터 수납 프레임의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필터가 전방 수납부에 있을 때의 필터 수납부의 단면도, (b)는 필터가 후방 수납부에 있을 때의 필터 수납부의 단면도, (c)는 필터를 취출할 때의 필터 수납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랫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화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힌지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승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승강 장치 내부의 부품의 배치도이다.
도 13은 로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랫 패널이 하강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분출구 모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분출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공조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9는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공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타이머 예약 설정시에서의 플랫 패널 및 공조 기기의 동작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공조 실내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공조 실내기(2)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공조 실내기(2)는, 천장 설치형의 실내기이며, 하면에 흡입구(20a) 및 분출구(20b)를 갖는 본체(20)와, 흡입구(20a)를 개폐하는 플랫 패널(24) 및 분출구(20b)를 개폐하는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20a)와 분출구(20b)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인접하고 있고, 분출구(20b)로부터 분출된 공기가 흡입구(20a)에 흡입되는 현상, 소위 쇼트 서킷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체(20)의 하면은, 화장 패널(21)에 의해 덮여 있고, 실제로 천장면에 노출되는 것은 화장 패널(21)이며, 흡입구(20a) 및 분출구(20b)의 윤곽은 화장 패널(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랫 패널(24)은, 천장면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략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고, 흡입구(20a)를 폐쇄하였을 때에 상기 흡입구(20a)로부터 공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플랫 패널(24)은, 본체(20)에 설치되는 설치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유지 보수 위치까지 승강 가능하다. 또한, 이 플랫 패널(24)은, 상기한 설치 위치에 있어서 일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며, 공조 운전 중에는, 설치 위치에 있어서 흡입구(20a)를 개방함과 함께, 공조 운전 정지시에는, 흡입구(20a)를 폐쇄한다. 여기서, 상기한 「설치 위치」라 함은, 플랫 패널(24)이 본체(20)에 지지되어 있는 위치이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힌지 연결 장치(6)(도 10 참조)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를 말한다.
도 2의 (a)는, 공조 실내기의 운전 정지시의 측면도이고, (b)는 그 공조 실내기의 운전시의 측면도이고, (c)는 유지 보수시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 (b), (c)에 있어서, 공조 실내기(2)가 정지하고 있을 때, 플랫 패널(24)은 화장 패널(21)과 외관상 일체화되어 있다. 도 2의 (b)에 있어서,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은 흡입구(20a)를 개방하고,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는 분출구(20b)를 개방한다. 플랫 패널(24)의 일단부는 경첩에 의해 본체(20)에 지지되어 있고, 플랫 패널(24)은 회동하여 흡입구(20a)를 개방한다.
또한, 도 2의 (c)에 있어서, 플랫 패널(24)은 본체(20)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71)에 현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단, 플랫 패널(24)은, 일단부가 경첩에 의해 본체(20)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하강할 수 없으므로, 일단, 흡입구(20a)를 폐쇄하고, 본체(20)에 의한 지지가 해제된 후에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하강한다.
도 3은, 공조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공조 실내기(2)는, 필터(9), 필터 청소 기구(10), 실내 열교환기(12), 실내 팬(13), 드레인 팬(14) 및 분출구 모듈(50)을 더 구비하고 있다. 공조 실내기(2)의 운전시, 흡입구(20a) 및 분출구(20b)가 개방되고, 실내 팬(13)이 회전하고, 공기가 흡입구(20a)를 통하여 흡입됨과 함께 그 흡입구(20a)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분출구(20b)로부터 분출된다.
(실내 열교환기(12))
실내 열교환기(12)는, 2개의 열교환기가 다른 경사 자세로 인접한 형상을 하고 있고, 설명의 편의상, 상측의 열교환기를 상부 열교환기(12a), 하측의 열교환기를 하부 열교환기(12b)라고 부른다.
상부 열교환기(12a)의 상단부는 본체(2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각도는, 연직선에 대하여 45° 이하로 설정되어 있고, 결로수가 확실히 상부 열교환기(12a)를 따라서 드레인 팬(14)으로 향한다. 이로 인해, 드레인 팬(14)은 상부 열교환기(12a)의 하방 전역에 배치될 필요가 없고, 상부 열교환기(12a)의 하단부 근방의 하방에만 배치되어 있다.
하부 열교환기(12b)의 상단부는, 상부 열교환기(12a)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각도는, 연직선에 대하여 45°를 초과하고 있다. 이로 인해, 결로수가 직접 낙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드레인 팬(14)은 하부 열교환기(12b)의 하방 전역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열교환기(12a)는, 하부 열교환기(12b)보다도 긴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하단부 코너가 하부 열교환기(12b)의 상단부 중앙에 근접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열교환기(12a)를 하부 열교환기(12b)보다 길게 한 분량을 상쇄하고 있다.
(실내 팬(13))
실내 팬(13)은 크로스 플로우 팬이며, 폭 치수가 직경보다도 길고,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므로, 단일의 흡입구(20a)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단일의 분출구(20b)로 분출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필터(9) 및 실내 열교환기(12)를 통과하여 실내 팬(13)에 들어간다. 이 이후, 흡입구(20a)로부터 실내 팬(13)까지의 공기 유로를 흡입 유로(31a)라고 부른다.
실내 팬(13)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분출구 모듈(50)을 통과하여 분출구(20b)로부터 분출된다. 분출구(20b)에는, 분출구 모듈(50)의 구성 부품인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가 배치되어 있고,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는 모터에 의해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운전 정지시는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가 분출구(20b)를 폐쇄한다. 이 이후, 실내 팬(13)으로부터 분출구(20b)까지의 공기 유로를 분출 유로(제2 분출 유로(41a), 제1 분출 유로(51a))라고 부른다. 실내 팬(13)과 드레인 팬(14) 사이에서 또한 제2 분출 유로(41a)측에는, 설부(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설부(15)가 분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리고, 하부 열교환기(12b)의 하단부가 설부(15)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종래(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205796 참조)와 같은 설부와 열교환기의 위치 관계에 비하여 무효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설부(15)는 실내 팬(13) 및 드레인 팬(14)과는 독립된 부재이다. 상기한 흡입 유로(31a) 및 제2 분출 유로(41a)는 발포 스티롤(31 및 41)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20))
공조 실내기(2)는, 플랫 패널(24)의 상방에 필터 청소 기구(1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터 청소 기구(1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표준 공조 실내기와 비교하여 본체(20)의 높이 치수가 커진다.
도 4는, 하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화장 패널(21)의 상면에는, 힌지 연결 장치(6), 승강 장치(7), 필터 청소 기구(10)의 필터 수납 프레임(104), 분출구 모듈(50) 및 분출구 모듈 케이스(50a)가 장착되어 있다. 화장 패널(21)의 하면에는, 플랫 패널(24)이 장착되어 있다. 이 분출구 모듈(50) 및 필터 청소 기구(10)의 필터 수납 프레임(104)은, 화장 패널(21)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분출구 모듈(50) 및 필터 수납 프레임(104)은, 화장 패널(21)의 폭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화장 패널(21)의 양단부 근방에는, 승강 장치(7)가 필터 수납 프레임(104)을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필터 청소 기구(10)>
도 5는, 필터 청소 기구의 필터 수납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필터 수납 프레임(104)의 양단부에는, 필터 구동 모터(104f)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구동 모터(104f)는, 기어를 통하여 롤러(102)를 회전시켜, 필터(9)를 이동시킨다. 또한, 필터 수납 프레임(104) 내에는, 테두리에 랙(101)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9), 피니언 기어(102a)를 갖는 롤러(102), 및 필터(9)의 부상을 방지하는 필터 안정판(103)이 설치되어 있다.
(필터(9))
필터(9)는, 그물부(9a)와 그물부(9a)의 주위를 보유 지지하는 테두리부(9b)를 갖고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2)의 전방면측에 배치되고, 실내로부터 도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포집한다. 이에 의해, 필터(9)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가 실내 열교환기(12)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필터(9)의 테두리부(9b)에는, 피니언 기어(102a)와 맞물리는 랙(101)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102))
롤러(102)는, 복수의 피니언 기어(102a)와, 복수의 피니언 기어(102a)를 동축 상에 연결하는 연결축(102b)을 갖고 있다. 피니언 기어(102a)는, 필터(9)의 랙(101)과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필터(9)를 수평하게 이동시킨다.
(필터 수납 프레임(104))
필터 수납 프레임(104)은, 상부 프레임(104a)과 하부 프레임(104b)을 갖고 있고, 상부 프레임(104a)과 하부 프레임(104b)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겹침으로써, 필터 수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04a)에는, 모터 수납부(104c)가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02a)와 맞물리는 전달 기어(104d), 전달 기어(104d)를 구동하는 구동 기어(104e), 및 구동 기어(104e)를 회전시키는 필터 구동 모터(104f)가 수납된다.
여기서, 필터 구동 모터(104f) 및 브러시 구동 모터(108f)의 필터 수납 프레임(104)에 대한 위치 관계, 및 상기 필터 수납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한 것을 설명한다. 도 6은, 필터 수납 프레임의 내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에서는, 필터 구동 모터(104f) 및 브러시 구동 모터(108f)의 필터 수납 프레임(104)에 대한 위치가 명확해지도록, 필터 구동 모터(104f) 및 브러시 구동 모터(108f)를 2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필터 구동 모터(104f) 및 브러시 구동 모터(108f)는, 필터 수납 프레임(104)의 길이 방향의 양측, 즉 흡입구(20a)의 길이 방향의 양측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필터 구동 모터(104f)의 회전축에 구동 기어(104e)가 연결되고, 이 구동 기어(104e)에 전달 기어(104d)가 맞물려 있다. 이 전달 기어(104d)가 롤러(102)의 피니언 기어(102a)를 회전시킨다. 필터 수납부는, 전방 수납부(105)와 후방 수납부(106)로 이루어지고, 전방 수납부(105) 및 후방 수납부(106)의 길이는 필터(9)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상당한다.
도 7의 (a)는, 필터가 전방 수납부에 있을 때의 필터 수납부의 단면도이고, (b)는 필터가 후방 수납부에 있을 때의 필터 수납부의 단면도이고, (c)는 필터를 취출할 때의 필터 수납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 (b), (c)에 있어서, 전방 수납부(105)는 필터(9)가 후방 수납부(106)로 이동할 때의 경로가 되는 직선 형상의 전방 수납 경로(105a)를 갖고, 후방 수납부(106)는, 전방 수납부(105)로부터 이동해 오는 필터(9)를 유도하는 만곡된 후방 수납 경로(106a)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수납부(105)의 종단부는, 흡입 유로(31a)를 형성하는 벽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오목해진 오목부(32)에 끼워 넣어져 있어, 공조 실내기(2)가 가동하고 있을 때, 필터(9)의 테두리부(9b)가 흡입 유로(31a)에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방 수납부(106)는, 흡입구(20a)와 분출구(20b) 사이에서, 또한 드레인 팬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방 수납 경로(106a)에는, 제1 만곡 영역(106b)과 제2 만곡 영역(106c)이 있고, 제1 만곡 영역(106b)은 롤러(102)에 의해 풀어내어진 필터(9)를 피니언 기어(102a)의 중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킨다. 제2 만곡 영역(106c)은, 제1 만곡 영역(106b)과 반대 방향으로 필터(9)를 만곡시킨다.
또한, 필터(9)는 필터 가압부(9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고, 사용자가 필터(9)를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필터 수납 프레임(104)으로부터 취출할 때는, 필터 가압부(91)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필터(9)를 인출한다.
(위치 검지 스위치(107))
도 7에 있어서, 필터(9)는, 필터 수납 프레임(104) 내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필터(9)의 정지 위치는, 위치 검지 스위치(107)에 의해 검지된다. 위치 검지 스위치(107)는, 전방 수납부(105)의 종단부 근방, 및 후방 수납부(106)의 종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검지 스위치(107)의 외측에는, 레버가 경첩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외력이 가해지면 회동하여 위치 검지 스위치(107)의 버튼을 누른다.
(브러시(108))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108)의 털(108a)은, 필터(9)를 사이에 두고 롤러(102)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필터(9)에 접촉하고 있다. 즉, 필터(9)의 상측에 롤러(102)가 있고, 필터(9)의 하방에 브러시(108)가 있다. 털(108a)의 회전축 상에는, 최종 전달 기어(108c)가 연결되어 있고, 브러시 구동 모터(108f)의 회전축에는 구동 기어(108e)가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 기어(108e)와 중간 전달 기어(108d)가 맞물리고, 중간 전달 기어(108d)와 최종 전달 기어(108c)가 맞물려 있다.
또한, 브러시(108)는, 직선 형상의 전방 수납 경로(105a)와 만곡된 후방 수납 경로(106a) 사이에 위치하므로, 필터(9)가 전방 수납 경로(105a)와 후방 수납 경로(106a) 사이를 이동할 때에, 브러시(108)는 필터(9)의 그물부(9a) 전역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최종 전달 기어(108c)와 중간 전달 기어(108d)의 맞물림은, 플랫 패널(24)의 개시 및 하강시에는 해제되고, 최종 전달 기어(108c)는 플랫 패널(24) 및 브러시(108)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폐쇄하였을 때, 최종 전달 기어(108c)와 중간 전달 기어(108d)는 다시 맞물린다.
도 8은, 플랫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에 있어서, 브러시(108)의 털(108a)은 회전축(108b)에 고정되어 있다. 털(108a)은, 플라스틱제의 가는 털이므로, 필터(9)의 그물코에 인입하여 먼지를 확실하게 긁어낼 수 있다. 최종 전달 기어(108c)는 회전축(108b)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더스트 박스(109))
도 8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109)는, 상부의 분출구(20b) 부근에, 먼지 도입 구(109a)를 갖고 있고, 먼지 도입구(109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베어링(109b)을 통하여 회전축(108b)을 지지한다. 또한, 먼지 도입구(109a)에는, 브러시(108)가 필터(9)로부터 긁어낸 먼지를 브러시(108)로부터 걸러내는 빗살부(109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스트 박스(109) 내에 축적된 먼지를 버릴 때는, 더스트 박스(109)가 공조 실내기(2)의 플랫 패널(24)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더스트 박스(109)는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플랫 패널(24)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유지 보수 위치까지 플랫 패널(24)을 하강시킨 후, 더스트 박스(109)를 플랫 패널(24)로부터 제거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109)는 플랫 패널(24)의 회동축측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고, 브러시(108)가 흡입구(20a)의 단부의 분출구(20b) 부근에 더욱 접근하므로, 플랫 패널(24)이 회동하여 흡입구(20a)를 개방하였을 때, 브러시(108)와 함께 필터(9)로부터 이격되어, 흡입 공기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더스트 박스(109)로 향해 오는 공기를 원활하게 필터(9)로 향하게 하기 위하여, 더스트 박스(109)의 흡입 공기와 대향하는 면(109d)은 경사시켜,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고 있다.
더스트 박스(109)가 플랫 패널(24)에 고정되었을 때, 플랫 패널(24)은 더스트 박스(109)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강되므로, 종래, 보강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던 판금 부재의 사용률이 감소한다.
(필터의 청소 동작)
공조 실내기(2)에서는, 자동적으로 혹은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에 리모콘(60)(도 18 참조)에 의해 필터(9)가 자동적으로 청소된다. 이하,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필터(9)의 랙(101)은 전방 수납 경로(105a)에 들어가 있고, 랙(101)의 일단부(이후, 제1 단부(101a)라고 부름)는 피니언 기어(102a)와 맞물려 있다. 롤러(102)가 회전할 때, 피니언 기어(102a)로부터 랙(101)에 회전이 전달되어, 필터(9)의 랙(101)은 롤러(102)에 의해 후방 수납 경로(106a)측으로 반송된다. 롤러(102)가 계속해서 회전함으로써, 랙(101)의 제1 단부(101a)는 후방 수납 경로(106a)의 종단부에 도달한다.
랙(101)의 제1 단부(101a)가 후방 수납 경로(106a)의 종단부에 도달하였을 때, 제1 단부(101a)가 위치 검지 스위치(107)의 레버를 회동시킨다. 후술하는 제어부(70)(도 18 참조)는, 위치 검지 스위치(10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랙(101)의 제1 단부(101a)가 후방 수납 경로(106a)의 종단부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롤러(10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필터(9)의 랙(101)의 전역이, 후방 수납 경로(106a)에 들어가 있고, 랙(101)의 타단부(이후, 제2 단부(101b)라고 부름)는 피니언 기어(102a)와 맞물려 있다.
도 3 및 도 7에 있어서, 필터(9)가 이동할 때에, 필터(9)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는 브러시(108)에 의해 긁어내어져, 더스트 박스(109)에 축적된다. 브러시(108)는, 적어도 필터(9)가 전방 수납 경로(105a)로부터 후방 수납 경로(106a)로 이동하고 있는 기간 중에는 회전하고 있고, 그 회전 방향은 필터(9)의 진행 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이다.
필터(9)가 전방 수납 경로(105a)로부터 후방 수납 경로(106a)로 이동하여 먼지의 제거가 종료되었을 때, 제어부(70)는 롤러(102)를 역회전시킨다. 필터(9)의 랙(101)의 제2 단부(101b)는 피니언 기어(102a)와 맞물려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102a)로부터 랙(101)에 회전이 전달되고, 필터(9)는 롤러(102)에 의해 전방 수납 경로(105a)측으로 반송된다. 롤러(102)가 계속해서 역회전함으로써, 랙(101)의 제2 단부(101b)는 전방 수납 경로(105a)의 종단부에 도달한다.
랙(101)의 제2 단부(101b)가 전방 수납 경로(105a)의 종단부에 도달하였을 때, 제2 단부(101b)가 위치 검지 스위치(107)의 레버를 회동시킨다. 제어부(70)는, 위치 검지 스위치(10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랙(101)의 제2 단부(101b)가 전방 수납 경로(105a)의 종단부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롤러(10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필터(9)의 랙(101)은 전방 수납 경로(105a)에 들어가 있고, 랙(101)의 제1 단부(101a)는 피니언 기어(102a)와 맞물려 있다.
<플랫 패널(24)의 동작에 관련된 장치>
도 9는, 화장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패널(21)의 천장측 면 상에는, 승강 장치(7) 이외에, 힌지 연결 장치(6) 및 로크 장치(8)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힌지 연결 장치(6), 승강 장치(7) 및 로크 장치(8)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힌지 연결 장치(6))
힌지 연결 장치(6)는, 공조 실내기(2)가 가동할 때, 플랫 패널(24)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플랫 패널(24)을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하강시킬 때, 플랫 패널(24)의 일단부의 지지를 해제한다.
도 10은, 힌지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힌지 연결 장치(6)는 회동 부재(61), 미끄러짐 부재(62), 제1 핀(63), 피니언 기어(64), 모터(65), 고정 부재(66), 제2 핀(67) 및 나사(68)를 갖고 있다. 회동 부재(61)는 U자 형상의 고체물이며,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막대 형상의 지지축(61a)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회동 부재(61)의 일단부에는, 축 구멍(61b)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러짐 부재(62)는, 피니언 기어(64)와 맞물리는 랙(62a)과, 회동 부재(61)의 축 구멍(61b)의 양단부를 끼우는 아암(6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62b)에는, 제1 미끄러짐 구멍(62c)이 형성되고, 랙(62a)의 근원 근방에는, 제2 미끄러짐 구멍(62d)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65)는 스테핑 모터이며, 피니언 기어(64)를 회전시킨다. 모터(65)는 나사(68)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65a)을 갖는다.
고정 부재(66)에는, 미끄러짐 부재(62)를 미끄러짐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미끄러짐 공간(66a)과, 피니언 기어(64)가 삽입되는 기어 공간(66b)과, 나사(68)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6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끄러짐 공간(66a)을 형성하는 벽에는, 제1 관통 구멍(66d)과 제2 관통 구멍(66e)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66)의 미끄러짐 공간(66a)에 미끄러짐 부재(62)가 배치되고, 그 미끄러짐 부재(62)의 아암(62b)에 회동 부재(61)의 축 구멍(61b)이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제1 핀(63)은, 고정 부재(66)의 제1 관통 구멍(66d)의 일단부로부터 삽입되고, 미끄러짐 부재(62)의 제1 미끄러짐 구멍(62c) 및 회동 부재(61)의 축 구멍(61b)을 통하여 제1 관통 구멍(66d)의 타단부로 나온다.
제2 핀(67)은, 제2 관통 구멍(66e)의 일단부로부터 삽입되고, 미끄러짐 부재(62)의 제2 미끄러짐 구멍(62d)을 통하여 제2 관통 구멍(66e)의 타단부로 나온다. 그 결과, 미끄러짐 부재(62)는 제1 핀(63) 및 제2 핀(67)을 따라 미끄러짐 공간을 수평 이동할 수 있고, 회동 부재(61)는 제1 핀(6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힌지 연결 장치(6)의 동작)
도 9, 도 10에 있어서, 모터(65)가 피니언 기어(64)를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64)와 맞물리는 랙(62a)에 동력이 전달되어 미끄러짐 부재(62)는 제1 핀(63)을 따라 미끄러짐 이동하고, 미끄러짐 부재(62)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동 부재(61)가 플랫 패널(24)의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회동 부재(61)를 플랫 패널(24)과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모터(65)가 회전하는 것을 정회전이라 부르고, 회동 부재(61)와 플랫 패널(24)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모터(65)가 회전하는 것을 역회전이라 부른다.
플랫 패널(24)의 단부에는, 회동 부재(61)에 지지축(61a)과 대치하는 지지 구멍(24c)(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모터(65)가 정회전하여, 지지축(61a)이 플랫 패널(24)의 지지 구멍(24c)에 삽입되었을 때는, 회동 부재(61)와 플랫 패널(24)의 연결이 성립하여, 플랫 패널(24)은 제1 핀(6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모터(65)가 역회전하여, 지지축(61a)이 플랫 패널(24)의 지지 구멍(24c)으로부터 빠져나왔을 때는, 회동 부재(61)와 플랫 패널(24)의 연결이 해소되어, 플랫 패널(24)은 제1 핀(6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없다.
(승강 장치(7))
도 11은, 승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승강 장치(7)는, 와이어(71), 활차(72), 보빈(73), 권취 기어(74), 구동 기어(75), 승강 모터(76), 스위치(77) 및 케이스(78)를 갖고 있다.
활차(72)는, 활차부(72a)와 캠부(72b)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활차부(72a)는 와이어(71)를 지지하고, 와이어(71)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캠부(72b)는 소직경 곡면과 대직경 곡면과 그들 양 곡면을 연결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보빈(73)은 와이어(71)를 권취한다. 권취 기어(74)는, 보빈(73)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75)는, 권취 기어(74)와 맞물려 보빈(73)을 회전시킨다.
승강 모터(76)는 스테핑 모터이며 구동 기어(75)를 회전시킨다. 승강 모터(76)의 회전수는, 제어부(70)로부터 공급되는 펄스수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77)는 레버(77a)를 갖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며, 레버(77a)가 눌러짐으로써, 승강 모터(76)의 운전을 개시시킨다. 레버(77a)는, 항상 활차(72)의 캠부(72b)와 접촉하고 있고, 캠부(72b)의 대직경 곡면과 대치하였을 때에 눌러진다.
케이스(78)는 지지 케이스(78a)와 커버(78b)로 분할되어 있다. 지지 케이스(78a)에는, 활차(72)를 지지하는 제1 축(79a), 보빈(73)과 권취 기어(74)를 지지하는 제2 축(79b), 스위치(77)를 지지하는 제3 축(79c)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78b)는 지지 케이스(78a)에 지지된 각 부품을 덮어 보호한다.
(승강 장치(7)의 동작)
도 12는, 승강 장치 내부의 부품의 배치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승강 장치(7)가 와이어(71)를 풀어내는 경우, 승강 모터(76)는 구동 기어(75)를 CCW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권취 기어(74)를 CW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보빈(73)이 와이어(71)를 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승강 장치(7)가 와이어(71)를 권취하는 경우, 승강 모터(76)는 구동 기어(75)를 CW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권취 기어(74)를 CCW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보빈(73)이 와이어(71)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끈의 풀어냄량 및 권취량은, 승강 모터(76)의 회전량에 비례하고 있고, 제어부(70)가 승강 모터(76)에 공급하는 펄스수를 제어함으로써, 와이어(71)의 풀어냄량 및 권취량이 제어된다.
와이어(71)의 선단에는 플랫 패널(24)이 연결되므로, 와이어(71)에는 항상 장력이 발생하고 있고, 와이어(71)가 풀어내어질 때, 또는 와이어(71)가 권취될 때, 활차부(72a)가 와이어(71)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캠부(72b)도 회전하므로, 스위치(77)는, 레버(77a)가 캠부(72b)의 대직경 곡면과 대치하였을 때에 운전을 개시시키는 신호를 발하고, 레버(77a)가 소직경 곡면과 대치하였을 때에는 운전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한다. 활차(72)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운전을 개시시키는 신호와 운전을 정지시키는 신호가 교대로 발생하고, 이들 신호는, 모두 제어부(70)에 입력된다.
그러나, 어떠한 요인으로 와이어(71)가 이완 장력이 없어진 경우, 예를 들어, 유지 보수를 위하여 와이어(71)를 풀어내어 플랫 패널(24)을 하강시키고 있을 때에, 소정의 풀어냄량에 도달하기 전에, 플랫 패널(24)이 테이블 등의 위에 착지하여 정지한 경우에는, 와이어(71)와 활차부(72a)의 마찰력이 감퇴하여 활차(72)가 정지한다. 이로 인해, 스위치(77)로부터는, 운전을 개시시키는 신호 또는 운전을 정지시키는 신호 중 어느 한쪽이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이때, 제어부(70)에서는, 승강 모터(76)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스위치(77)로부터의 신호가 일정하게 되어 있으므로, 플랫 패널(24)이 어떠한 장해물에 의해 정지하였다고 추정하고, 즉시 승강 모터(76)를 정지시킨다.
(로크 장치(8))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폐쇄하고 있을 때, 플랫 패널(24)을 본체(20)에 지지하고 있는 것은, 힌지 연결 장치(6)와 승강 장치(7)이다. 불측의 요인으로, 힌지 연결 장치(6)가 오동작하여 플랫 패널(24)의 지지를 해제하고, 승강 장치(7)의 와이어(71)가 느슨해져 버렸을 때에도 플랫 패널(24)이 낙하하지 않도록, 공조 실내기(2)는 로크 장치(8)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13은, 로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로크 장치(8)는 가동체(81), 제1 보유 지지부(82), 제2 보유 지지부(83), 모터(84) 및 스프링(85)을 갖고 있다. 가동체(81)는 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고, 그 일단부에는 경사면(811)이 형성되고, 전체 길이가 최장인 긴쪽 면(812)에는 소정의 기어와 맞물리는 랙(81a)이 형성되고, 랙(81a)의 하방에는 중공부(81b)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81)는 긴쪽 면(812)을 연직 상방을 향하여, 제1 보유 지지부(82)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1 보유 지지부(82)는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이며, 저면에 안내 홈(82a)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체(81)가 그 안내 홈(82a)을 따라 수평 이동한다. 안내 홈(82a)의 양단부는 벽(821, 822) 사이에 끼워져 있고, 한쪽 벽(821)에는 가동체(81)가 통과하는 관통구(82b)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82a)의 양단부를 끼우는 벽(821, 822)에는 벽(823)이 인접하고 있고, 벽(823)에는, 안내 홈(8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 돌기(82c)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체(81)는 제1 보유 지지부(82)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때, 경사면(811)은 항상 제1 보유 지지부(82)의 외측에 위치하고, 랙(81a)은 항상 제1 보유 지지부(82)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보유 지지부(82)의 판 형상 돌기(82c)는 가동체(81)의 중공부(81b)를 관통하고 있다.
벽(823)은 모터(84)를 고정하고, 모터(84)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84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84a)는, 가동체(81)의 랙(81a)과 맞물려, 랙&피니언 기구를 이루고 있다. 가동체(81)의 중공부(81b)에는, 스프링(85)이 수납되어 있다. 스프링(85)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중공부(81b)의 단부와 판 형상 돌기(82c)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2 보유 지지부(83)는, 가동체(81)가 통과하는 안내 구멍(83a)이 형성된 고체물이며, 플랫 패널(24)측에 설치된다. 제2 보유 지지부(83)의 상면에는 매끄러운 곡면(831)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장치(8)의 동작)
도 13에 있어서, 가동체(81)는 제1 보유 지지체(82)와 제2 보유 지지체(83)에 보유 지지된 상태이며, 그 상태에서 모터(84)가 피니언 기어(84a)를 CCW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피니언 기어(84a)의 회전 운동은 랙(81a)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가동체(81)가 벽(822)을 향하여 미끄러짐 이동한다. 가동체(81)가 소정 거리 이동하였을 때, 가동체(81)는 제2 보유 지지부(83)의 안내 구멍(83a)으로부터 이격된다. 가동체(81)를 보유 지지하지 않는 제2 보유 지지체(83)는, 상하 방향의 이동이 허용되므로,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가동체(81)의 이동에 의해, 중공부(81b)의 측면과 판 형상 돌기(82c)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스프링(85)은 압축되어 반발력을 축적한다. 모터(84)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 스프링(85)의 증가하는 반발력에 저항하여 회전하지만,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었을 때, 스프링(85)의 반발력에 의해 역회전하여, 가동체(8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플랫 패널(24)이 하강하지 않고 제2 보유 지지부(83)가 이동하고 있지 않을 때, 가동체(81)는 제2 보유 지지부(83)의 안내 구멍(83a)에 들어간다. 한편, 플랫 패널(24)이 하강하여 제2 보유 지지부(83)가 이동하고 있을 때, 제2 보유 지지부(83)가 복귀하는 궤도 상에서 대기한다. 그리고, 플랫 패널(24)이 상승하여 흡입구(20a)를 폐쇄하였을 때, 제2 보유 지지부(83)는 곡면(831)을 가동체(81)의 경사면(811)에 대고, 가동체(81)를 밀어내어 복귀한다.
제2 보유 지지부(83)에 밀린 가동체(81)는, 수평 이동 스프링(85)을 압축한다. 제2 보유 지지부(83)가 완전히 복귀하였을 때, 가동체(81)는 제2 보유 지지부(83)의 안내 구멍(83a)을 관통한다. 그 결과, 가동체(81)가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방해하게 된다.
(플랫 패널의 개폐 동작)
도 14는, 플랫 패널이 흡입구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힌지 연결 장치(6)가 플랫 패널(24)을 연결한 상태에서, 로크 장치(8)가 로크를 해제하고, 승강 장치(7)가 와이어(71)를 풀어냈을 때, 플랫 패널(24)은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그러나, 플랫 패널(24)의 단부는 힌지 연결 장치(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랫 패널(24)은 단부를 축으로 하여 흡입구(20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승강 장치(7)가 와이어(71)를 권취할 때, 플랫 패널(24)은 상승하지만, 플랫 패널(24)의 단부가 힌지 연결 장치(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랫 패널(24)은 단부를 축으로 하여 흡입구(20a)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완전히 폐쇄하였을 때, 로크 장치(8)가 플랫 패널(24)을 로크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동작)
도 15는, 플랫 패널이 하강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힌지 연결 장치(6)가 플랫 패널(24)의 단부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로크 장치(8)가 플랫 패널(24)의 로크를 해제하고, 승강 장치(7)가 와이어(71)를 풀어냈을 때, 플랫 패널(24)은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한편, 승강 장치(7)가 와이어(71)를 권취할 때, 플랫 패널(24)은 상승하고,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완전히 폐쇄하였을 때, 로크 장치(8)가 플랫 패널(24)을 로크한다.
플랫 패널(24)은 2개의 와이어에 현수되어, 더스트 박스(109)와 함께 하강하므로, 더스트 박스(109)를 포함한 플랫 패널(24)의 총 중량은 증가하고 있고, 실내의 기류에 의해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일은 없다. 단, 먼지가 더스트 박스(109) 내에 치우쳐 집적되어 있을 때는 무게 중심이 변동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더스트 박스(109) 내에 먼지가 만재되어 있을 때의 자세와, 더스트 박스(109) 내가 비었을 때의 자세가 대략 동일한 자세가 되도록, 플랫 패널(24) 상의 더스트 박스(109)의 치수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더스트 박스(109)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는, 플랫 패널(24)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의 1/2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더스트 박스(109)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는, 플랫 패널(24)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의 1/3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더스트 박스(109)는 플랫 패널(24)이 회동할 때의 회동축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분출구 모듈(50)의 구성 부품>
도 16은 분출구 모듈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7은 분출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 도 17에 있어서, 분출구 모듈(50)은,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53), 긴 블레이드 지지 부재(54), 직사각형 블레이드 지지 부재(55) 및 단열재(56)가 모듈화된 것이다.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는, 공기 유로의 종단부에 위치하여 분출구(20b)에 연결되는 제1 분출 유로(51a)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는, 제2 분출 유로(41a)를 형성하는 제2 분출 유로 형성 벽부(41)(도 3 참조)의 종단부와 마주 보는 부분에, 수지성의 밀봉 부재 부착면(511)을 갖고 있고, 거기에 밀봉 부재(59)가 부착된다. 밀봉 부재 부착면(511)의 폭 치수는, 3㎜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는 밀봉 부재 부착면(511)으로부터 분출구(20b)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512) 및 내벽(513)과, 외벽(512)의 종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14)를 더 갖고 있다. 외벽(512)과 내벽(513)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벽(512)과 내벽(513) 사이에 단열 공기층(51b)을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514)는 분출구(20b)를 사이에 두고 흡입구(20a)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화장 패널(21)의 보강판을 겸하고 있다.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는 분출구(20b)의 근방에 위치하고, 분출구(20b)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긴 블레이드(52a, 52b)를 갖고 있다. 긴 블레이드(52a, 52b)는, 긴 블레이드 지지 부재(54)에 의해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에 연결되어 있고, 긴 블레이드 지지 부재(54)의 지지부(54a, 54b)가 분출구(20b)의 길이 방향과 병행인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긴 블레이드(52a, 52b)의 경사 각도를 조절한다. 단, 공조 실내기(2)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분출구(20b)를 폐쇄한다.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53))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53)는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의 상류에 위치하고, 복수의 직사각형 블레이드(53a)와 1개의 구동축(53b)을 갖고 있다. 각 직사각형 블레이드(53a)는, 직사각형 블레이드 지지 부재(55)에 의해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에 연결되고, 소정 간격으로 분출구(20b)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직사각형 블레이드(53a)는, 구동축(53b)에 의해 연결되고 있고, 구동축(53b)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분출구(20b)의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축을 중심으로 요동(遙動)한다.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7))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7)는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의 외측에서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7)는, 내부에 스테핑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그 스테핑 모터의 회전을 긴 블레이드 지지 부재(54)에 전달하는 전달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8))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8)는, 제1 분출 유로 형성 벽부(51)의 외측에서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53)의 구동축(53b)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8)는, 내부에 스테핑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그 스테핑 모터의 회전을 구동축(53b)에 전달하는 전달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제어부의 구성>
도 18은, 공조 실내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실내기(2)에는, CPU, 메모리 및 모터 드라이브 회로 등이 탑재되는 제어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70)는, 상기한 실내 팬(13), 필터 구동 모터(104f), 브러시 구동 모터(108f), 힌지 연결 장치(6)의 모터(65), 승강 장치(7)의 승강 모터(76), 로크 장치(8)의 모터(84), 2개의 위치 검지 스위치(107), 승강 장치(7)의 스위치(77) 및 리모콘(60) 등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리모콘(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조 실내기(2)의 공조 명령(냉방 명령, 난방 명령, 제습 명령, 송풍 명령 등), 플랫 패널(24)의 승강 명령, 및 필터(9)의 청소 명령 등을 입력하는 것이며, 리모콘(60)에 입력된 각종 명령은, 공조 실내기(2)의 수신부를 통하여 제어부(70)로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명령을 수신한 제어부(70)는 상기 명령에 기초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공조 실내기(2)의 운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70)는,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리모콘(60)의 조작에 의해 플랫 패널(24)을 하강시키는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한 후,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한다. 이때, 제어부(70)는,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폐쇄하고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도 19는,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다음에, 도 19를 참조하여,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70)는, 리모콘(60)의 조작에 의해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 그리고,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1: '예'), 제어부(70)는, 공조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이에 대하여, 하강 명령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스텝 S1: '아니오'), 하강 명령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스텝 S1의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운전 중인 경우(스텝 S2: '예'), 제어부(70)는, 공조 운전을 정지시킨 후,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한다(스텝 S3).
이에 대하여, 공조 운전이 정지 중인 경우(스텝 S2: '아니오'), 제어부(70)는, 공조 운전을 정지시킨 상태 그대로,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한다(스텝 S4).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공기 조화기)의 특징>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서는, 플랫 패널(24)이 본체(20)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실내 팬(13) 등의 공조 기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행하지 않으므로, 상기 플랫 패널(24)이 실내 팬(13)의 흡인력에 의해 본체(20)측에 흡착해 버릴 우려가 없다. 그 결과, 플랫 패널(24)의 원활한 하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서는, 실내 팬(13)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이 본체(20)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실내 팬(13) 등의 구동부를 상기 플랫 패널(24)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는, 공조 운전(실내 팬(13)의 운전)과 플랫 패널(24)의 승강 운전을 동시에 행하지 않으므로, 공조 실내기(2)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예를 들어, 업무용 전원보다 전원 용량이 작은 가정용 전원의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조 실내기(2)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서는, 흡입구(20a)를 폐쇄하는 형상의 플랫 패널(24)을 사용한 경우에도, 플랫 패널(24)이 흡착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플랫 패널(24)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서는, 플랫 패널(24)의 일련의 하강 동작 중에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일단 폐쇄하는 공정을 갖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13)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행하지 않으므로, 플랫 패널(24)의 원활한 하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서는,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폐쇄하고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플랫 패널(24)이 본체(20)측에 흡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2)에서는, 플랫 패널(24)과 함께 더스트 박스(109) 및 브러시(108)가 하강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난방 운전이나 냉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시에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공조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공조 기기의 일례로서의 실내 팬의 운전시에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실내 팬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우선, 제어부(70)는, 리모콘(60)의 조작에 의해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1). 그리고,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101: '예'), 제어부(70)는, 실내 팬(13)이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0)는, 실내 팬(13)을 구동하는 팬 모터가 구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하강 명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스텝 S101: '아니오'), 하강 명령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스텝 S101의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13)이 운전 중인 경우(스텝 S102: '예'), 제어부(70)는,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한 후,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시킨다(스텝 S103). 그리고, 플랫 패널(24)의 하강이 완료한 후, 실내 팬(13)의 운전을 개시한다.
이에 대하여, 실내 팬(13)의 운전이 정지 중인 경우(스텝 S102: '아니오'), 제어부(70)는, 실내 팬(13)을 정지시킨 상태 그대로,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한다(스텝 S104).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 팬(13)의 운전 중에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실내 팬(13)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 팬(13)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이 본체의 설치 위치에 있으므로, 본체 내에 조립되는 실내 팬(13)을 플랫 패널(24)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랫 패널(24)이 본체(20)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실내 팬(13)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행하지 않으므로, 상기 플랫 패널(24)이 실내 팬(13)의 흡인력에 의해 본체(20)측에 흡착해 버릴 우려가 없다. 그 결과, 플랫 패널(24)의 원활한 하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난방 운전이나 냉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시에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공조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공조 기기의 일례로서의 실내 열교환기의 운전시에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실내 열교환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기 조화기 내부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냉방ㆍ제습(드라이) 운전 종료 후에, 실내 열교환기를 가열함으로써 공기 조화기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운전을 행할 수 있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우선, 제어부(70)는, 리모콘(60)의 조작에 의해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1). 그리고,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201: '예'), 제어부(70)는, 실내 열교환기(12)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2). 이에 대하여, 하강 명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스텝 S201: '아니오'), 하강 명령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스텝 S201의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12)가 운전 중인 경우(스텝 S202: '예'), 제어부(70)는, 실내 열교환기(12)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한 후,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시킨다(스텝 S203).
이에 대하여, 실내 열교환기(12)의 운전이 정지 중인 경우(스텝 S202: '아니오'), 제어부(70)는, 실내 열교환기(12)를 정지시킨 상태 그대로,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한다(스텝 S204).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2)의 운전 중에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실내 열교환기(12)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12)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2)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이 본체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본체 내에 조립되는 실내 열교환기(12)를 플랫 패널(24)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팬 및 실내 열교환기의 운전시에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실내 팬 및 실내 열교환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와 달리, 공조 기기의 일례로서의 필터 청소 기구의 운전시에 플랫 패널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필터 청소 기구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우선, 제어부(70)는, 리모콘(60)의 조작에 의해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1). 그리고,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스텝 S301: '예'), 제어부(70)는, 필터 청소 기구(10)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0)는, 필터(9)를 이동시키는 필터 구동 모터(104f)가 구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하강 명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스텝 S301: '아니오'), 하강 명령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스텝 S301의 판단을 반복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청소 기구(10)가 운전 중인 경우(스텝 S302: '예'), 제어부(70)는, 필터 청소 기구(10)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한 후,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시킨다(스텝 S303).
이에 대하여, 필터 청소 기구(10)의 운전이 정지 중인 경우(스텝 S302: '아니오'), 제어부(70)는, 필터 청소 기구(10)를 정지시킨 상태 그대로, 승강 모터(76)를 제어하여 플랫 패널(24)의 하강을 개시한다(스텝 S304).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 청소 기구(10)의 운전 중에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을 받은 경우에 필터 청소 기구(10)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함으로써, 필터 청소 기구(10)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청소 기구(10)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플랫 패널(24)이 본체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본체 내에 조립되는 필터 청소 기구(10)를 플랫 패널(24)로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타이머 예약 설정시에서의 플랫 패널 및 공조 기기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5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플랫 패널 및 공조 기기의 동작 제어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플랫 패널의 승강 제어>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부(컨트롤러)(70)는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에 관계되는 공조 기기(실내 팬(13), 실내 열교환기(12), 필터 청소 유닛(10))의 운전을 소정 시각에 개시 또는 정지시키는 타이머 예약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랫 패널(24)이 하강 또는 승강하고 있을 때에,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하는 시각(이하, 예약 시각이라 함)이 된 경우, 상기 플랫 패널(24)의 하강 또는 승강을 종료시킨 후, 공조 기기의 운전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0)는, 플랫 패널(24)이 승강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401), 플랫 패널(24)이 승강 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401: '아니오'), 상기 판단을 반복한다. 한편, 플랫 패널(24)이 승강(하강 또는 상승) 중인 경우에는(스텝 S401: '예'), 제어부(70)는, 타이머 예약이 이루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2). 이 타이머 예약은, 유저에 의한 리모콘(60)의 조작 등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머 예약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스텝 S402: '예'), 현재 시각과 그 타이머 예약에 관한 예약 시각을 비교하여, 현재 시각이 예약 시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3).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패널(24)의 승강 중에(스텝 S401: '예'), 현재 시각이 타이머 예약에 관한 예약 시각이 된 경우라도(스텝 S403: '예'),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하지 않고, 그 운전 개시를 지연시킨다(정지한 상태로 해 둠)(스텝 S404). 그 후, 플랫 패널(24)의 승강이 완료되어 플랫 패널(24)의 동작이 정지하면(스텝 S405: '예'),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한다(스텝 S406).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랫 패널(24)이 하강 또는 상승하고 있을 때에, 타이머 예약에 의해 공조 기기의 운전이 개시되는 경우라도, 그 공조 기기의 운전의 개시가 승강 패널의 하강 또는 상승이 종료될 때까지 지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공조 기기와 플랫 패널(24)이 동시에 동작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패널의 일례로서 플랫 패널(24)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패널이 격자 형상의 격자 패널(124)이어도 된다. 이 경우, 격자 부분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20a)를 개폐하는 기구(힌지 연결 장치(6) 등)가 필요해지는 플랫 패널(24)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실내 팬(13)은,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폐쇄하고 유지 보수 위치까지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그 운전을 정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 패널(24)이 흡입구(20a)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만큼,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효율적으로 플랫 패널(24)이 본체(20)측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에, 실내 팬(13)의 운전을 정지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실내 팬(13)의 운전을 감속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공조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플랫 패널(24)의 하강 명령이 이루어진 경우에, 실내 팬(13)의 회전수를, 공조 운전시에 있어서의 실내 팬(13)의 회전수보다 작게 하여, 플랫 패널(24)의 본체측에의 흡착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패널이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공조 기기(실내 팬, 실내 열교환기, 필터 청소 유닛)의 운전시에, 플랫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 상기 공조 기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에 수용되는 공조 기기이면, 상기한 실내 팬, 실내 열교환기 및 필터 청소 기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공조 기기의 예로서의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7)) 및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53)(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8))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시에, 플랫 패널(24)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52 및 53)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52)(제1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7)) 및 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53)(제2 풍향 조절 블레이드 구동부(58))의 사용 전력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 전체적으로 필요해지는 전원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원 용량이 작은 환경 하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를 이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을 이용하면, 승강 패널의 원활한 하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2: 공조 실내기(공기 조화기)
7: 승강 기구
9: 필터
10: 필터 청소 기구(공조 기기)
12: 실내 열교환기(공조 기기)
13: 실내 팬(송풍기, 공조 기기)
20: 본체
20a: 흡입구
20b: 분출구
24: 플랫 패널(승강 패널)
60: 리모콘(입력부)
70: 제어부(컨트롤러)
108: 브러시
109: 더스트 박스
124: 격자 패널(승강 패널)

Claims (10)

  1. 흡입구를 갖고, 내부에 공조 기기를 탑재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설치 위치로부터 이동 가능한 승강 패널과,
    상기 승강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조 기기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승강 패널이 상기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송풍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상기 승강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고, 상기 승강 패널의 하강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기기는, 송풍기와,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상기 필터로부터 이탈시키는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패널이 상기 설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송풍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상기 승강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상기 송풍기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필터 청소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전을 정지 혹은 제한하고, 상기 승강 패널의 하강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패널은, 회동 가능하며, 공조 운전 중에는 상기 흡입구를 개방함과 함께 공조 운전 정지시에는 상기 흡입구를 폐쇄하는 플랫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운전 중에 상기 승강 패널을 하강시키는 명령을 받은 경우, 상기 플랫 패널은, 상기 흡입구를 폐쇄한 후,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적어도 상기 플랫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은, 그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플랫 패널이 상기 흡입구를 폐쇄하고 하강할 때까지의 일련의 동작 중, 그 운전을 감속 또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패널은 격자 형상의 격자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회수하기 위한 더스트 박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더스트 박스는, 상기 승강 패널에 적재되고, 상기 승강 패널과 함께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상기 필터로부터 긁어내는 브러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 또는 정지시키는 타이머 예약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 패널이 하강 또는 상승하고 있을 때에, 상기 공조 기기의 운전을 개시하는 예약 시각이 된 경우, 상기 승강 패널의 하강 또는 상승을 종료시킨 후 상기 공조 기기의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20117003714A 2008-07-18 2009-07-03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KR101342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6851 2008-07-18
JP2008186851 2008-07-18
JPJP-P-2009-143050 2009-06-16
JP2009143050A JP4561924B2 (ja) 2008-07-18 2009-06-16 天井設置型の空気調和機
PCT/JP2009/062220 WO2010007907A1 (ja) 2008-07-18 2009-07-03 天井設置型の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391A KR20110031391A (ko) 2011-03-25
KR101342775B1 true KR101342775B1 (ko) 2013-12-19

Family

ID=4155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714A KR101342775B1 (ko) 2008-07-18 2009-07-03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61924B2 (ko)
KR (1) KR101342775B1 (ko)
CN (1) CN102099634B (ko)
WO (1) WO2010007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6307B (zh) * 2013-07-16 2018-12-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壁挂式空调过滤网自动清洗方法及装置
CN105318517B (zh) * 2014-07-25 2019-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顶置式空调机
CN111295554B (zh) * 2017-09-06 2021-10-29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天花板式室内机
WO2019050305A1 (ko) * 2017-09-06 2019-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166A (ja) 2000-05-17 2001-11-22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6170614A (ja) 2006-03-17 2006-06-2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0966A (ja) * 1996-10-03 1998-04-28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271008B2 (ja) * 2003-01-16 2009-06-03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918283B2 (ja) * 2006-05-23 2012-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140714B1 (ko) * 2006-11-16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166A (ja) 2000-05-17 2001-11-22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6170614A (ja) 2006-03-17 2006-06-2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43839A (ja) 2010-02-25
CN102099634B (zh) 2015-09-09
WO2010007907A1 (ja) 2010-01-21
JP4561924B2 (ja) 2010-10-13
CN102099634A (zh) 2011-06-15
KR20110031391A (ko)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5515B2 (ja) 空調室内機
KR101342775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JP5305800B2 (ja) 空気調和機
KR101342845B1 (ko) 천장 설치형 공기 조화기
JP4935774B2 (ja) 天井設置型の空気調和機
JP4915392B2 (ja) 空調室内機及び空調室内機のパネルの移動方法
JP4488107B2 (ja) 空調室内機
JP463619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09098954A1 (ja) 空調室内機
JP2009186079A (ja) 空調室内機
JP4900269B2 (ja) 空調室内機
JP5239629B2 (ja) 空調室内機
JP4915393B2 (ja) 空調室内機
JP4849079B2 (ja) 空調室内機
JP4894773B2 (ja) 空調室内機
JP2009186164A (ja) 空調室内機
JP2011174706A (ja) 空調室内機
JP2011202949A (ja) 空調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