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202B1 -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202B1
KR101342202B1 KR1020130128257A KR20130128257A KR101342202B1 KR 101342202 B1 KR101342202 B1 KR 101342202B1 KR 1020130128257 A KR1020130128257 A KR 1020130128257A KR 20130128257 A KR20130128257 A KR 20130128257A KR 101342202 B1 KR101342202 B1 KR 10134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late
bag
storage tank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회
강광남
허문수
Original Assignee
에이티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티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76Shape variable
    • F17C2201/018Shape variable with blad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8Protective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유입구(113) 및 공기배출구(115)와, 상기 공기유입구(113) 및 상기 공기배출구(115)의 하부에 배치된 가스유입구(117) 및 가스배출구(119)가 각각 형성되며, 일정 높이의 내벽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면적 돌출형성된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가 구비된 탱크본체(110)와; 상부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 내벽면에 고정되고, 하부 테두리영역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상기 가스의 유입 및 유출에 따라 체적이 수축 또는 팽창되는 가스포집백(140)과;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와 고정되는 백상부고정부(150)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하부(143)를 고정하는 백하부고정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백상부고정부(150)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백상부(14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부앵커볼트(151)와; 상기 백상부(141)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앵커볼트(151)와 결합되는 축결합캡(153)과; 상기 상부앵커볼트(151)의 머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앵커볼트(151)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155)을 포함하고, 상기 백하부고정부(160)는,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의 판면에 배치된 백하부(143)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를 함께 관통하여 삽입되는 하부앵커볼트(161)와; 상기 하부앵커볼트(161)와 상기 백하부(14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앵커볼트(161)의 위치를 구속하는 하부지지프레임(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타입 가스저장탱크{BAG TYPE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가스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가스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가스포집백을 구비한 가스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폐기물, 가축분뇨 등 유기물이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혐기소화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는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보통 발열량은 약 5,000 Kcal/㎥ 정도이다. 이러한 가스 조성비는 유기물의 종류 및 혐기소화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별도의 가스저장탱크에 저장하여 공정내 보일러용 연료 등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
가스저장탱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1829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저장탱크(10)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종래 가스저장탱크(10)는 하단부에 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유입되는 가스유량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고무재질의 실라바(15)와, 실라바(15)에 장착된 일정 무게를 갖는 피스톤 데크(piston deck,13), 그리고 실라바(15)가 저장탱크(11)의 내부측에 일정 높이로 고정되는 고정부분(1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실라바(15)의 재질은 특수 고무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의 유입배관을 통해 가스(G)가 유입되면 실라바(15)와 고정부분(14)에 의해 밀폐된 저장탱크(11)의 내부는 유입된 가스 압력에 의해 실라바(15)는 상승하고, 저장탱크(11)의 반대편 배출구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면 실라바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으로서 일정 무게를 가진 피스톤 데크(13)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가스저장탱크(10)는 가스(G)의 유입과 배출유량에 의해 불규칙하게 실라바(15)가 상승 및 하강하게 되어, 피스톤 데크(13)를 고정하는 다수의 와이어(미도시)에 악영향을 줄 뿐 아니라 불균형 상승 및 하강에 의하여 손상을 유발한다.
또한 불규칙한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고무재질의 실라바(15)의 내구성 하락을 유발시켜 파손이 쉽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 파손부분을 통해 바이오 가스가 새어 나오는 등 기밀성 유지를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또한, 가스의 유출은 외부 탱크 및 부대설비의 부식을 일으키는 등의 손상을 주게 된다.
또한, 종래 가스저장탱크(10)는 피스톤 데크(13) 또는 실라바(15)의 손상으로 인해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하고 가스저장시설의 효율성을 낮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본체 상단 중앙에 고정시키는 멤브레인 재질의 가스포집을 갖는 가스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전체 구조를 간소화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가스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저장탱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저장탱크는, 공기유입구(113) 및 공기배출구(115)와, 상기 공기유입구(113) 및 상기 공기배출구(115)의 하부에 배치된 가스유입구(117) 및 가스배출구(119)가 각각 형성되며, 일정 높이의 내벽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면적 돌출형성된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가 구비된 탱크본체(110)와; 상부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 내벽면에 고정되고, 하부 테두리영역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상기 가스의 유입 및 유출에 따라 체적이 수축 또는 팽창되는 가스포집백(140)과;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와 고정되는 백상부고정부(150)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하부(143)를 고정하는 백하부고정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백상부고정부(150)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백상부(14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부앵커볼트(151)와; 상기 백상부(141)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앵커볼트(151)와 결합되는 축결합캡(153)과; 상기 상부앵커볼트(151)의 머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앵커볼트(151)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155)을 포함하고, 상기 백하부고정부(160)는,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의 판면에 배치된 백하부(143)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를 함께 관통하여 삽입되는 하부앵커볼트(161)와; 상기 하부앵커볼트(161)와 상기 백하부(14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앵커볼트(161)의 위치를 구속하는 하부지지프레임(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에는 상기 가스포집백의 뒤틀림을 예방하는 원형의 축결합판(147)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백상부고정부(150)는 상기 축결합판(147)에 결합되며, 상기 축결합판(147)과 상기 백상부(141)를 서로 고정시키는 판결합부재(145)가 상기 축결합판(147)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판결합부재(145)는, 상기 축결합판(147)과 상기 백상부(141)에 함께 삽입되는 판결합볼트와; 상기 축결합판(147)과 상기 백상부(141)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유입구(113)에는 공기유입팬(121)이 설치된 공기공급관(120)이 결합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15)에는 압력조절밸브(131)가 구비된 공기배출관(130)이 결합되며, 상기 탱크본체(110)와 상기 가스포집백(140) 사이는 상기 공기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압력조절밸브(131)가 설정한 운전압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는 가스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가스포집백이 팽창 또는 수축되므로 불규칙하고 불균형적인 압력 상승 및 하강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가스포집백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팽창 및 수축되므로 종래 실라바가 상하로 이동되던 것과 비교할 때 멤브레인 재질로 인가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포집백의 손상을 줄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는 백상부고정부와 백하부고정부에 위해 가스포집백이 탱크본체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 되므로 종래 가스저장탱크 구조와 비교할 때 별도의 피스톤 데크 설비가 불필요하므로 전체 구조가 간소화되어 효율적인 가스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는 백상부에 원형의 축결합판을 적용함으로써 가스포집백의 팽창과 수축이 진행될 때 가스포집백의 뒤틀림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저장탱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가스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탱크본체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백상부고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판결합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백하부고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가스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탱크의 가스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100)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100)는 가스가 유입 및 유출되는 탱크본체(110)와, 탱크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탱크본체(1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20)과, 탱크본체(11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130)과,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가스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하로 체적이 팽창되는 가스포집백(140)과, 가스포집백(140)의 상부를 탱크본체(110)에 고정하는 백상부고정부(150)와, 가스포집백(140)의 하부 테두리영역을 탱크본체(110) 내벽면의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시키는 백하부고정부(160)를 포함한다.
탱크본체(110)는 베이스(200)의 상부에 기립배치된다. 탱크본체(110)는 일정 체적을 갖는 밀폐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탱크본체(11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탱크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탱크본체(110)의 하부 벽면에는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17)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19)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가스유입구(117) 및 가스배출구(119)와 일정 높이 이격되게 공기유입구(113)와 공기배출구(115)가 배치된다.
이 때, 가스유입구(117)와 공기유입구(113) 사이, 가스배출구(119)와 공기배출구(115) 사이에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가 배치된다.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는 탱크본체(110)의 내벽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 면적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3은 탱크본체(110)에 가스포집백(140)이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10)의 내부로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이 일정 면적 형성되고,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가스포집백(140)의 테두리영역이 고정되게 배치된다. 이 때,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와 가스포집백(140)은 백하부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된다.
공기공급관(120)과 공기배출관(130)은 탱크본체(110)와 가스포집백(140) 사이의 상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일정 운전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공기공급관(120)에는 공기공급팬(121)이 구비되고, 공기배출관(130)에는 압력조절밸브(131)가 구비된다. 탱크본체(110) 내부에 형성되는 운전압은 압력조절밸브(131)에 의해 조절되고, 해당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공급팬(121)이 구동된다.
가스포집백(140)은 탱크본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의 유입에 의해 체적이 수축되거나 팽창된다. 가스포집백(140)은 멤브레인 재질로 형성된다. 가스포집백(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11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가스포집백(140)은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영역의 백상부(141)가 탱크본체(110)의 상부와 고정되고, 테두리영역인 백하부(143)가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된다.
이 때, 가스포집백(140)의 상부 가운데영역에는 축결합판(147)이 일정 면적 형성된다. 축결합판(147)은 수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축결합판(147)을 관통하게 백상부고정부(150)가 결합된다. 여기서, 축결합판(147)과 백상부(141)는 판결합부재(145)에 의해 결합된다.
도 4는 가스포집백(140)과 백상부고정부(15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축결합판(147)과 판결합부재(145)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상부고정부(150)는 탱크본체(1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축결합판(147)에 결합되는 상부앵커볼트(151)와, 판결합부재(145)의 하부에서 상부앵커볼트(151)의 볼트축(151a)와 결합되는 상부축결합캡(153)을 포함한다.
볼트축(151a)는 탱크본체(110)의 상부에서 일정 길이 하부로 연장되어 축결합판(147)에 고정된다. 축결합판(147)은 판상 재질로 형성되어 수평한 상태가 유지된다.
축결합판(147)의 외주연은 판결합부재(145)에 의해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와 결합된다. 가스포집백(140)은 가운데 영역이 축결합판(147)의 크기만큼 구멍이 형성되고, 거기에 축결합판(147)이 판결합부재(145)에 의해 결합된다.
판결합부재(1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상부(141)와 축결합판(147)을 함께 관통하는 판결합볼트(145a)와, 판결합볼트(145a)의 하부에 결합되는 볼트결합캡(145c)를 포함한다. 여기서, 백상부(141)와 판결합볼트(145a) 사이에는 백상부(141)를 압착하는 백압착부재(145b)가 배치되고, 백상부(141)와 축결합판(147) 사이에는 패킹부재(144)가 배치된다.
패킹부재(144)는 백상부(141)와 축결합판(147) 사이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다. 또한, 백압착부재(145)는 백상부(141)를 하부로 압착하여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한다.
도 6은 가스포집백(140)의 백하부(143)와 백하부고정부(16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하부고정부(160)는 백하부(143)를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시킨다. 백하부고정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스포집백(140)이 안정적으로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가스(G)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백하부고정부(160)는 백하부(143)를 관통하여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의 삽입공(111a)로 삽입되는 하부앵커볼트(161)와, 하부앵커볼트(161)의 결합상태를 구속하는 하부지지프레임(163)을 포함한다.
한편, 탱크본체(110)의 내벽면 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타입의 레벨트랜스미터(1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레벨트랜스미터(170)는 탱크본체(110) 내부의 가스포집량을 측정한다. 이 때, 탱크본체(110)의 상부에는 레벨스랜스미터(17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2)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100)의 작동과정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스저장탱크(100)의 내부에 가스포집백(140)을 설치한다. 설치를 위해 탱크본체(110)의 상부에 백상부고정부(150)를 설치한다. 상부앵커볼트(151)를 삽입하여 가스포집백(140)의 축결합판(147)에 고정한다.
이 때, 축결합판(147)의 테두리영역은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와 복수개의 판결합부재(145)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가스포집백(140)의 외측 테두링영연은 탱크본체(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백하부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된다. 복수개의 백하부고정부(160)가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가스포집백(140)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가스(G)가 유입되고, 압력조절밸브(131)가 운전압을 조절하면 탱크본체(110)의 상부에는 운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가스(G)가 가스포집백(140)의 하부에 충진되면 서서히 가스포집백(140)이 상방향으로 팽창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G)의 유입량이 많으면 가스포집백(140)이 상부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 때, 가스포집백(140)의 상부 가운데 영역은 탱크본체(110)와 백상부고정부(150)에 의해 고정되고, 테두리영역은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백하부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는 가스가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가스포집백(140)이 팽창 또는 수축되므로 불규칙하고 불균형적인 압력 상승 및 하강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가스포집백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팽창 및 수축되므로 종래 실라바가 상하로 이동되던 것과 비교할 때 멤브레인 재질로 인가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포집백의 손상을 줄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관리비용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탱크는 백상부고정부와 백하부고정부에 위해 가스포집백이 탱크본체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 되므로 종래 가스저장탱크 구조와 비교할 때 별도의 피스톤 데크 설비가 불필요하므로 전체 구조가 간소화되어 효율적인 가스 저장이 가능하다.
또한, 가스저장탱크내 하부에는 드레인 배관이 설치되어 유입가스와 함께 유입된 습기가 가스포집백 내에 응축되어 액체화된 것을 배출할 수 있게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가스저장탱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가스저장탱크 110 : 탱크본체
111 :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 113 : 공기유입구
115 : 공기배출구 117 : 가스유입구
119 : 가스배출구 120 : 공기공급관
130 : 공기배출관 131 : 압력조절밸브
140 : 가스포집백 141 : 백상부
143 : 백하부 144 : 패킹부재
145 : 판결합부재 145a : 판결합볼트
145b : 백압착부재 145c : 볼트결합캡
147 : 축결합판 150 : 백상부고정부
151 : 상부앵커볼트 151a : 볼트축
153 : 상부축결합캡 155 : 상부지지프레임
160 : 백하부고정부 161 : 하부앵커볼트
161a : 볼트축 163 : 하부지지프레임
200 : 베이스

Claims (3)

  1. 가스저장탱크에 있어서,
    공기유입구(113) 및 공기배출구(115)와, 상기 공기유입구(113) 및 상기 공기배출구(115)의 하부에 배치된 가스유입구(117) 및 가스배출구(119)가 각각 형성되며, 일정 높이의 내벽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면적 돌출형성된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가 구비된 탱크본체(110)와;
    상부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 내벽면에 고정되고, 하부 테두리영역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상기 가스의 유입 및 유출에 따라 체적이 수축 또는 팽창되는 가스포집백(140)과;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와 고정되는 백상부고정부(150)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하부(143)를 고정하는 백하부고정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백상부고정부(150)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백상부(141)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부앵커볼트(151)와;
    상기 백상부(141)의 하부로 노출된 상기 상부앵커볼트(151)와 결합되는 축결합캡(153)과;
    상기 상부앵커볼트(151)의 머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앵커볼트(151)를 지지하는 상부지지프레임(155)을 포함하고,
    상기 백하부고정부(160)는,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의 판면에 배치된 백하부(143)와, 상기 사이드윙 앙카플레이트(111)를 함께 관통하여 삽입되는 하부앵커볼트(161)와;
    상기 하부앵커볼트(161)와 상기 백하부(14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앵커볼트(161)의 위치를 구속하는 하부지지프레임(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포집백(140)의 백상부(141)에는 상기 가스포집백의 뒤틀림을 예방하는 원형의 축결합판(147)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백상부고정부(150)는 상기 축결합판(147)에 결합되며,
    상기 축결합판(147)과 상기 백상부(141)를 서로 고정시키는 판결합부재(145)가 상기 축결합판(147)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판결합부재(145)는,
    상기 축결합판(147)과 상기 백상부(141)에 함께 삽입되는 판결합볼트와;
    상기 축결합판(147)과 상기 백상부(141)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113)에는 공기유입팬(121)이 설치된 공기공급관(120)이 결합되고, 상기 공기배출구(115)에는 압력조절밸브(131)가 구비된 공기배출관(130)이 결합되며,
    상기 탱크본체(110)와 상기 가스포집백(140) 사이는 상기 공기공급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압력조절밸브(131)가 설정한 운전압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탱크.
KR1020130128257A 2013-10-28 2013-10-28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KR10134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57A KR101342202B1 (ko) 2013-10-28 2013-10-28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57A KR101342202B1 (ko) 2013-10-28 2013-10-28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202B1 true KR101342202B1 (ko) 2013-12-16

Family

ID=4998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257A KR101342202B1 (ko) 2013-10-28 2013-10-28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2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834A (en) 1974-06-26 1976-01-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sion tank diaphragm assembly
KR101168045B1 (ko) 2010-10-25 2012-07-27 (주)에스엠테크 복합재질 격막으로 이루어진 밀폐형 팽창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1834A (en) 1974-06-26 1976-01-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sion tank diaphragm assembly
KR101168045B1 (ko) 2010-10-25 2012-07-27 (주)에스엠테크 복합재질 격막으로 이루어진 밀폐형 팽창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0715B (zh) 一种带内胆的升降网箱及其升降支撑系统
CN202144940U (zh) 内囊外壳气柜
KR101342202B1 (ko) 백타입 가스저장탱크
CN201407479Y (zh) 储气柜
CN201888158U (zh) 一种冲水充气式孵化容器
CN201198956Y (zh) 柔性储气柜
WO2006056115A1 (fr) Dispositif a ferment anaerobie hydraulique exterieur
KR101938702B1 (ko) 양수발전소의 입구밸브 점검용 압력 테스트부재
CN202834717U (zh) 一种煤气柜
CN208857278U (zh) 组合式沼气储气柜
CN106609238B (zh) 支架式软体厌氧反应器
CN209427423U (zh) 一种装运溴素介质的罐式集装箱
CN211818416U (zh) 适用于柔性膜囊的贮气罐结构
CN107013810A (zh) 可调水封高度的水封排水器
CN108929847A (zh) 组合式沼气储气柜及其使用方法
CN206939521U (zh) 一种内衬罐
CN203501428U (zh) 热水器
CN208330755U (zh) 应用于地面上的潜水泵
CN201245862Y (zh) 拼装式高位环保密闭供水水箱
CN206970306U (zh) 一种大型生物厌氧消化装置
KR20100010259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저동력 지하수 펌핑 시스템
CN201296755Y (zh) 球形水压式玻璃钢沼气池
CN106149854A (zh) 预制泵站
CN205751781U (zh) 一种可排水变压器油箱外壳
CN211445212U (zh) 一种好氧池用可升降喷气管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