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20B1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2120B1 KR101342120B1 KR1020110023785A KR20110023785A KR101342120B1 KR 101342120 B1 KR101342120 B1 KR 101342120B1 KR 1020110023785 A KR1020110023785 A KR 1020110023785A KR 20110023785 A KR20110023785 A KR 20110023785A KR 101342120 B1 KR101342120 B1 KR 101342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medical
- medical information
- service user
- appl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0090 Acut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는,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해서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스마트폰;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 및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Disclosed are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using a smartphone.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by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nd receives the medic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execu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converting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into a medical information format prescrib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martphone to transmit to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tores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to the smart 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within the smart phone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for identifying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ecut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to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and managing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by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 phone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It includes a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양한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의료정보들을 스마트폰을 통해서 하나로 통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phon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integrating medical information provided from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into one through a smartphone.
현재 국내의 각 의료기관들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보 시스템들은 원활한 운영을 위해 의료와 관련된 다양한 명칭(질병, 약품, 처방 등)들을 정의하고 있는 코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코드의 형태는 비록 같은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 의료기관이라 할지라도 솔루션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의료기관들의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하여, 정보의 전달 및 호환에 있어 중요한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다.Currently, information systems operating in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include codes that define various names related to medical care (diseases, drugs, prescriptions, etc.) for smooth operation. This type of cod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obstacle to the transfer and compatibility of information, even though medical institutions using the same solution have evolved into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needs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olution.
의료법상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의료기관에 자신의 진료기록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의료기관은 진료기록을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Under the Medical Law, medical service users have the authority to request their medical records from the medical institutions they use, and medical institutions are obliged to provide medical records to medical service users.
의료서비스 이용자에게 진료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의료기관에서는 복사(Copy)를 통한 전달이 가장 흔히 이용되고 있으며 진료차트와 함께 X-ray, CT, MRI 등 다양한 필름 등도 복사의 대상이 된다.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소정의 비용을 복사비의 명목으로 지불한 후 복사한 진료기록들을 진료를 희망하는 의료인에게 전달된다.Copying is most commonly used in medical institutions as a method of delivering medical information to medical service users, and various films such as X-ray, CT, and MRI are also subject to copying along with medical charts. The user of the medical service pays a predetermined fee in the name of the copying fee and then transfers the copied medical records to the medical practitioner wishing to see the medical treatment.
대부분 과거 진료기록이 필요한 시점은 새롭게 방문한 병원에서 의료인을 처음으로 대면할 때이며,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과거 진료기록의 전달을 위해 이전에 방문하였던 병원을 다시 방문하여 진료기록을 요청하는 것에 불편함을 겪게 된다.In most cases, the need for past medical records is when a newly visited hospital encounters a medical doctor for the first time, and the user of the service may be uncomfortable requesting medical records by returning to a previously visited hospital. do.
급성질환을 제외한 대부분의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과거 진료기록들은 매우 가치가 있는 정보들로써, 사회가 복잡해지고, 의료가 발전함에 따라 대부분의 질병들이 만성화되어가고 있어 이들 과거 진료기록 참조를 통한 장기적인 질병의 관리는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어, 의료 기관간 진료정보의 전달체계 및 정보의 표준화는 의학의 발전 및 국민의 건강증진 차원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st diseases except acute diseases, the past medical records are very valuable information. As the society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medical developments, most diseases are becoming chronic. As the management of disease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delivery system and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in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health promotion of the public.
또한 진료정보의 전달체계의 확립과 표준화는 의료재정과 의학의 발전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정보의 보관 및 전달, 재활용을 통해 의료재정의 낭비적인 요소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효율적인 운용 및 재투자가 가능해지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편의성 증대 및 건강증진 등의 의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의학의 발전에 밑바탕이 되는 다양한 정보들과, 통계자료의 산출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여 많은 나라에서 커다란 관심과 함께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In addition, establishing and standardizing the delivery system of medical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l finance and medicin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wasteful elements of medical finance through the storage, transmission and recycling of information. It provides the foundation to be faithful to the role of medical care, such as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medical service users and health promotion, and enables the real-time calculation of various information and statistical data underlying the development of medicine. Many countries are spared no investment with great interest.
그러나,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가 프라이버시 보호 및 정보 보안 차원에서 타 의료기관, 보험사, 건강관리정보 서비스 회사 등에 제공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 전송 및 활용에 대한 동의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며 나아가 각 기관간에도 정보 공유를 위해 다양한 협의 사항들이 필요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for medical information of medical service users to be provided to other medical institutions, insurance companies, and health care information service companies in order to protect privacy and information security, consent procedures for transmitting and using medical information of medical service users are necessary. There is also a need for a variety of consultations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two.
또한 여러 협의 사항을 거쳐 실제 시스템 구축단계에 들어가게 되더라도 의료정보 송수신을 위해서는 각 기관별로 새로운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며, 인터페이스 규격, 전송규약, 보안 정책, 방화벽 문제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상호 해결해야 하므로, 초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축 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 actual system construction stage goes through various discussions, new systems must be established for each institution in order to send and receive medical information. As a result, the cost of building software is high.
의료정보 송수신을 위해서 각 기관별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서 인터페이스 규격, 전송규약, 보안 정책, 방화벽 문제 등의 사항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 및 그 방법이 제안된다. There is no need to establish a new system for each institu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and as a result,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smartphones and methods that do not require consideration of interface specifications, transmission protocols, security policies, firewall issues, etc. Is suggest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는,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해서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수신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스마트폰;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 및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to receive medical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nd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execu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converting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into a medical information format prescrib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martphone to transmit to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tores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to the smart 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within the smart phone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for identifying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ecut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to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and managing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by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 phone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It includes a system.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상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의료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의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dical service users;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pplic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unit to the smart 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A medical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medical information and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phone; And a med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and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edical service user's name, social security number,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은, 의료정보 요청정보 또는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의료정보 요청부; 상기 입력된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된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의료정보 활용동의정보 전송부; 상기 전송요청된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조회부; 및 상기 전송요청된 의료정보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수신된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의료정보 취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or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A medical information request unit which transmits the input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input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A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put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to a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input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An information inquiry unit which transmits the requested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and receives medical information by transmitting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through execution of a receiv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And converting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in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mat defin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by transmitting the requested medical information consen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which transmits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은, 스마트폰이,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스마트폰이,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스마트폰이, 상기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의료기관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폰이, 상기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수신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해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상기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phon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received by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 to transfer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Executing; Executing, by the smartphone, the receiv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by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smartphon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through the execut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using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identifying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ecut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to a smartphone; The smart phone converts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in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mat defined by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execut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And storing, by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ecut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 및 방법에 따르면,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합관리함으로써, 의료정보 송수신을 위해서 각 기관별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서 인터페이스 규격, 전송규약, 보안 정책, 방화벽 문제 등의 사항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using a smart phone, it is necessary to build a new system for each institu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This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consider the interface specifications, transport protocols, security policies, and firewall issu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는, 스마트폰(10), 의료기관 시스템(20) 및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을 포함한다.As show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스마트폰(10)은, 의료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20)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11) 실행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20)에 전송해서 의료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스마트폰(10)은 의료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12)을 실행하여, 의료기관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이 규정한 의료정보포맷으로 변환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에 전송한다. The
이러한 스마트폰(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3), 의료정보 요청부(14), 의료정보 활용동의정보 전송부(15), 정보 조회부(16) 및 의료정보 취합부(1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입력부(13)는 의료정보 요청정보 또는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The
의료정보 요청부(14)는 입력부(13)에 입력된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입력된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20)에 전송한다. The medical
의료정보 활용동의정보 전송부(15)는 입력부(13)에 입력된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입력된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에 전송한다.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정보 조회부(16)는 전송요청된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11)의 실행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20)에 전송하여 의료정보를 수신한다. The
의료정보 취합부(16)는 전송요청된 의료정보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에 전송해서 수신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12)의 실행을 통해, 의료기관 시스템(20)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에 전송한다.
The medical
한편, 의료기관 시스템(20)은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 및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저장한다. 의료기관 시스템(20)은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10)에 전송한다. 이후, 의료기관 시스템(20)은 상기 저장된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 내에서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이때, 의료기관 시스템(20)은 의료서비스 이용자, 예를 들어 환자 등을 진료 또는 수술한 검진기관 또는 병원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은,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10)에 전송한다.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은 스마트폰(10)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The integrated medical
이때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은,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1), 어플리케이션 저장부(32),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3), 의료정보 수신부(34) 및 의료정보 저장부(35)를 포함하며, 보험사, 건강관리정보 서비스 회사,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서비스 이용자가 진료받지 않은 병원 또는 검진기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grated medical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1)는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저장한다.The
어플리케이션 저장부(32)는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The
어플리케이션 제공부(33)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저장부(32)에 저장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The
의료정보 수신부(34)는 스마트폰(10)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The
의료정보 저장부(35)는 의료정보 수신부(34)에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의료정보를 대응시켜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한다. 이때,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c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에 따르면,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통합관리함으로써, 의료정보 송수신을 위해서 각 기관별로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서 인터페이스 규격, 전송규약, 보안 정책, 방화벽 문제 등의 사항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anaging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hrough a smartphone, there is no need to build a new system for each institu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This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consider the interface specifications, transport protocols, security policies, firewall issu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에서, 의료기관 시스템은 1개만 도시되었지만 의료서비스 이용자가 다수의 의료기관 시스템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은 경우에는 다수 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스마트폰(10)을 통한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요청은 의료서비스 이용자가 의료서비스를 받은 모든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의료기관 시스템은 각각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에서 실행된 각각의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되는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30)에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only one medical institution system is shown, when a medical service user receives medical services from a plurality of medical institution systems, the number may be many. Therefore, in this case, the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hrough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As shown, the smart phone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quest to transmit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S1).
스마트폰은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 이때, 단계 S1 및 S2는 동시에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S1단계가 실행된 후 S2단계가 실행되거나, S2단계가 실행된 후 S1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The smart phone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and executes the received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S2). At this time, steps S1 and S2 may be processed simultaneously, or step S2 may be executed after step S1 is executed, or step S1 may be executed after step S2 is executed.
스마트폰은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한다(S3).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through the executed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S3).
의료기관 시스템은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4).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uses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by the plurality of medical service users to identify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executed on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S4).
스마트폰은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료기관 시스템에서 수신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해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5). The smartphone converts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in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mat defined by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execut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S5).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S6).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tores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phone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S6).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6)
상기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 및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received by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which received the medical service, and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Receive the medical information user's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medical information user's medical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which the medical information user's medical information is to be provided, and execute the receiv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to receive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 smart phone that converts the medical information format defin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ransmits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tores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to the smart 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by the medical service user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for identifying the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executed in the transmission to the smartphone; And
Upon receiv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a smart phone, and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ing and storing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 phone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ar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phone, including a management system.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상기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의료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의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The method of claim 1,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at least on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dical service users;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 applic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unit to the smart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A medical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medical information and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phone; And
And a med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and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네트워크.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using a smartphon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dical service user's name, social security number,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로 적어도 하나의 의료정보를 저장하는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 활용 동의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상기 스마트폰 내에서 실행된 상기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의료정보 수신부; 및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의료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A medical institution system storing medical information of a medical service user who has received medical service, a smartphone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including a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provided through the smart phone,
A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at least one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medical service users;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 applic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to the smart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from the smartphone;
A medical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medical information and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smartphone; And
And a med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and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 요청정보 또는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의료정보 요청부;
상기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의 전송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 활용동의 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의료정보 활용동의정보 전송부;
상기 전송요청된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해서 수신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조회부; 및
상기 전송요청된 의료정보 동의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해서 수신한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의료정보 취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A medical institution system storing medical information of a medical service user who has received medical service, a smartphone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he smart phone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comprising a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provided through the smart phon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or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 medical information request unit which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A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greement information;
An information inquiry unit which transmits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nd receives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by executing the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transmitted by transmitting the requested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And
By transmitting the requested medical information consen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executing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received,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in th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mat prescrib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onverting, including a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mart phone.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 요청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 요청정보를 상기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정보를 저장한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신한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이, 미리 저장된 다수의 의료서비스 이용자별 의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조회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에 해당되는 의료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수신한 의료정보를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규정한 의료정보 관리 포맷으로 변환해서,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이, 상기 정보취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의료정보와 의료서비스 이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 방법.The smart phone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ere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is to be provided according to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utilization consent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nd executes the received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Doing;
Executing, by the smart phone,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system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according to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quest information of the medical service user;
Transmitting, by the smartphon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through the information inquiry application;
The medical institution system, using the pre-stored medical information for each medical service user, grasping the med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query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o the smart phone;
The smart phone converts the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into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format defined by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d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gether with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step; And
Comprising the step of the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t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and the medical service user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pho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3785A KR101342120B1 (en) | 2011-03-17 | 2011-03-17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3785A KR101342120B1 (en) | 2011-03-17 | 2011-03-17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992A KR20120105992A (en) | 2012-09-26 |
KR101342120B1 true KR101342120B1 (en) | 2013-12-18 |
Family
ID=4711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3785A KR101342120B1 (en) | 2011-03-17 | 2011-03-17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212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3482B1 (en) * | 2012-12-10 | 2014-07-04 | 주식회사 헤셀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records using mobile device |
KR101708774B1 (en) * | 2016-05-27 | 2017-03-08 |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 A third party central system of tranferring medical records using open authorization and the method thereof |
KR20180076910A (en) * | 2016-12-28 | 2018-07-06 | (주)메디컬로직 | A method of transferring medical records to the third part in an emergenc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39536A (en) | 1999-03-05 | 2002-11-19 | アクセンチュア・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パートナーシップ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clinical information |
-
2011
- 2011-03-17 KR KR1020110023785A patent/KR1013421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39536A (en) | 1999-03-05 | 2002-11-19 | アクセンチュア・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パートナーシップ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clinical inform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5992A (en) | 2012-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5778B2 (en) | Teleradiology image processing system | |
US20200243176A1 (en) | Location based medical recor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
KR102097622B1 (en) | Personal health records sha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9218569B2 (en) | Rules-bas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information | |
US20070016452A1 (en) | Method, software and device for managing patient medical records in a universal format using USB flash drive and radio telephone auto dialer and siren | |
JP2005519413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rehensive healthcare data storage means | |
CN101803293A (en) | Healthcare semantic interoperability platform | |
CN1938708A (en) | System supporting exchange of medical data and images between different executable applications | |
US9754127B2 (en) | Processing-context-dependent pseudonymization of security-critical medical data via a network | |
CN109947854B (en) | Block chain-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 |
KR10080564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ing medical data between hospitals | |
US201300312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lectronic Information | |
KR20140096044A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ntelligent routing of health information | |
CN104102807A (en) | Medical system, patient data analysis equipment and hospital gateway equipment | |
KR101342120B1 (en)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 |
US10983982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pproving a submission of information | |
US20140249859A1 (en) | Data exchange with personal health record service | |
KR20120101806A (en)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network and method thereof | |
CN102103655A (en) | Coordinated checking information system crossing over hospitals based on health file sharing platform | |
CN111048187A (en) | Family doctor signing service system | |
US11967427B2 (en) | Electronic medical record exchange | |
US20170235900A1 (en) | Value based health care claims processing system | |
JP2011014959A (en) | Care receiver side system and support providing side system in home care | |
Oluwaseyi et al. | Health Information Exchange Model for Nigerian Health Information Systems | |
CN109545338B (en) | Medical resource management method, server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