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079B1 -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079B1
KR101342079B1 KR1020110108737A KR20110108737A KR101342079B1 KR 101342079 B1 KR101342079 B1 KR 101342079B1 KR 1020110108737 A KR1020110108737 A KR 1020110108737A KR 20110108737 A KR20110108737 A KR 20110108737A KR 101342079 B1 KR101342079 B1 KR 10134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aw concrete
concrete
unit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597A (ko
Inventor
이봉춘
문규돈
최영철
우영제
손영정
서인호
최연규
박규성
서윤성
김상태
이동권
김권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0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7/00Methods or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capacity of containers or cavities, or the volume of solid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 콘크리트 생산자로부터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 단위부피 당 시멘트량(C), 물의 양(WW), 골재량의 배합비 데이터와, 생 콘크리트 생산 시에 측정된 생 콘크리트의 초기 공기량(AIR)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생 콘크리트가 담기게 되는 에어미터 용기의 용적(V0)과, 상기 생 콘크리트가 담기기 전 상태에서의 에어미터의 공질량(Mair-meter)을 측정하는 단계(S100); b) 상기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실측 공기량(Air)을 측정하는 단계(S200); c) 상기 생 콘크리트가 담긴 상태에서의 에어미터와 생 콘크리트의 전체 질량(M0)을 측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에어미터에 담긴 생 콘크리트의 질량(M2)을 수학식 1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에어미터와 상기 생 콘크리트 및 물을 합친 질량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MO로부터 에어미터와 물을 합친 질량(M1)을 구하고, 수학식 2에 의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용적(V3)을 연산하는 단계(S500); f) 상기 배합비 데이터에 기초한 초기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을 수학식 3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600); g) 상기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실측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을 수학식 4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700); h) 상기 f)단계(S600)에서 연산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과 상기 g)단계(S700)에서 연산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을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을 수학식 5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800); 및 i) 상기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을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을 수학식 6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900);를 포함하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UNIT WATER CONTENT USING UNIT AIR VOLUME IN FRESH CONCR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미터(airmeter)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단위공기량을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은 콘크리트 경화 후의 강도와 내구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생 콘크리트는 비빔이 완료되었으나 아직 굳지 아니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가열건조법, 원심분리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가열건조법은 생 콘크리트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건조를 위해 약 15 내지 30분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심분리법은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수분만을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작업을 위해 약 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공사 현장으로부터 상당 거리 떨어진 콘크리트 생산 공장에서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 등의 필요 재료들이 혼합된 후 레미콘 등의 운반수단에 의해 현장으로 운송되어 타설된다. 콘크리트 생산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혼합 제조할 때,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측정하여,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된 재료에 대한 배합비 즉, 콘크리트 단위부피당 사용된 시멘트량, 물의 양, 잔골재량 및 굵은 골재량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생 콘크리트의 생산 당시 단위수량 데이터를 현장에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현장이 콘크리트 생산 공장으로부터 원격지에 있는 경우, 생 콘크리트의 운반 과정에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에 변화가 생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생 콘크리트의 생산 당시에 측정된 단위수량 데이터는 현장 타설 당시의 생 콘크리트 단위수량과는 차이가 있게 되어 활용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다시 생 콘크리트의 정확한 단위수량을 측정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측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건조 등을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 정도의 시간 동안에도 생 콘크리트는 경화가 진행되므로,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현장에서 측정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값은, 측정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생 콘크리트 상황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생 콘크리트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생 콘크리트 생산 당시에 측정된 단위수량에 보정치로 적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구한 단위수량 값이 측정이 완료된 상태의 생 콘크리트의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간편하고 신속한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은, 생 콘크리트 생산자로부터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 단위부피 당 시멘트량(C), 물의 양(WW), 골재량의 배합비 데이터와, 생 콘크리트 생산 시에 측정된 생 콘크리트의 초기 공기량(AIR)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생 콘크리트가 담기게 되는 에어미터 용기의 용적(V0)과, 상기 생 콘크리트가 담기기 전 상태에서의 에어미터의 공질량(Mair-meter)을 측정하는 단계(S100); b) 상기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실측 공기량(Air)을 측정하는 단계(S200); c) 상기 생 콘크리트가 담긴 상태에서의 에어미터와 생 콘크리트의 전체 질량(M0)을 측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에어미터에 담긴 생 콘크리트의 질량(M2)을 수학식 1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에어미터와 상기 생 콘크리트 및 물을 합친 질량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MO로부터 에어미터와 물을 합친 질량(M1)을 구하고, 수학식 2에 의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용적(V3)을 연산하는 단계(S500); f) 상기 배합비 데이터에 기초한 초기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을 수학식 3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600); g) 상기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실측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을 수학식 4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700); h) 상기 f)단계(S600)에서 연산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과 상기 g)단계(S700)에서 연산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을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을 수학식 5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800); 및 i) 상기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을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을 수학식 6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900);를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 1은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1
이고,
상기 수학식 2는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2
이며,
상기 수학식 3은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3
(여기서, a는 단위 생 콘크리트량의 보정치임)이고,
상기 수학식 4는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4
이며,
상기 수학식 5는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5
(여기서, Mc는 각 배합에 들어간 생 콘크리트의 총 질량의 합임)이고,
상기 수학식 6은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6
(여기서, W0는 생 콘크리트 생산로부터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의 이론 단위수량 값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단계(S900)에서 연산된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을 표시하는 j)단계(S9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S200)는 b-1) 상기 생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j)단계(S950)는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과 상기 생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에 의하면, 생 콘크리트 제조자 등으로부터 제공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값에 대해,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에 대해 실제로 측정한 데이터에 근거한 보정치를 적용함으로써, 더욱 신뢰성있는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에 의하면,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을 구함으로써,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시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최종적으로 구한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 값이 측정이 완료된 상태의 생 콘크리트의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특허 제10-0738971호에 기재된 콘크리트 공기량측정기(이하, 에어미터(airmeter)라 함)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단위공기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을 구현하는 콘크리트 공기량 측정기의 구조 및 기능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기등록특허공보의 기재를 참조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그에 관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측정에 에어미터(airmeter)를 사용하게 되는데, 우선 에어미터에 구비되어 생 콘크리트 시료(이하, 생 콘크리트라 통칭함)를 담게 되는 용기의 용적 즉, 에어미터 용기의 용적(V0)을 측정하고, 생 콘크리트가 아직 에어미터에 담기기 전의 상태에서의 에어미터만의 질량 즉, 에어미터의 공질량(M air-meter)을 측정한다(S100).
한편, 생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레미콘 업체 등의 생 콘크리트 생산자로부터 생 콘크리트의 배합에 사용된 시멘트, 물,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양(생 콘크리트의 단위부피당 혼합된 재료의 질량/ 단위는 kg/㎥)에 대한 데이터 즉, 생 콘크리트의 배합비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또한, 생 콘크리트 생산자로부터, 생 콘크리트의 생산 당시에 측정된 공기량(AIR)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생 콘크리트의 생산을 위하여 생 콘크리트 단위부피 당 시멘트량(C), 물의 양(WW), 잔 골재량 및 굵은 골재량이라는 배합비 데이터와, 생 콘크리트 생산 당시에 측정된 생 콘크리트의 초기 공기량(AIR)은 기지(旣知)의 값에 해당한다.
그런 다음, 공지된 에어미터 용기의 용적(V0)과 에어미터의 공질량(M air-meter)을 측정한 후,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공기량(단위 %)을 측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에 대해 실측 공기량(Air)을 측정한다(S200).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생 콘크리트에 대해 반죽의 정도를 나타내는 슬럼프(Sp; Slump)도 측정한다.
그런 다음, 에어미터에 생 콘크리트가 담긴 상태에서 전체 질량 즉, 에어미터와 그에 담긴 생 콘크리트의 전체 질량(M0)을 측정한다(S300).
그런 다음, 에어미터와 그에 담긴 생 콘크리트의 전체 질량(M0)과, 앞서 측정해둔 에어미터만의 공질량(M air-meter)을 이용하여 에어미터에 담긴 생 콘크리트만의 질량(M2)을 구한다(S400). 여기서, 에어미터에 담긴 생 콘크리트만의 질량(M2)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알 수 있게 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7
여기서, M2는 생 콘크리트만의 질량이며, M0은 에어미터와 그에 담긴 생 콘크리트의 전체 질량이고, M air - meter는 에어미터의 공질량이다.
그런 다음, 에어미터와 생 콘크리트 및 물을 합친 질량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MO로부터 에어미터와 물을 합친 질량(M1)을 구하고, 아래 [수학식 2]에 의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용적(V3)을 구한다(S500).
[수학식 2]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8
여기서, V3은 콘크리트의 용적이며, M1은 에어미터와와 물을 합친 질량이며, M0는 에어미터와 콘크리트를 합한 질량이다.
그런 다음, 레미콘 업체 등의 생 콘크리트 생산자로부터 제공받은 기지의 생 콘크리트의 배합비 데이터에 기초한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을 아래 [수학식 3]에 의하여 연산하여 구한다(S600).
[수학식 3]
Figure 112011083093863-pat00009
여기서, V1는 기지의 배합비 데이터에 근거한 공기량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으로서 단위는 L이고, a는 단위시멘트량의 보정치이며, AIR은 생 콘크리트의 생산 당시에 측정된 초기 공기량이다,
또한,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에 대해 실제 실험을 수행하여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한 공기를 제외한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 즉 에어미터에 근거한 공기량(Air)를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를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하여 연산하여 구한다(S700).
[수학식 4]
Figure 112011083093863-pat00010
여기서, r2는 에어미터 실측에 근거한 공기를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으로서 단위는 ㎏/㎥이고, M2는 생 콘크리트만의 질량이며, V3는 생 콘크리트에 대한 용적값이며 단위는 L이다.
상기와 같이, 배합비 데이터에 근거한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과 에어미터에 근거한 공기량(Air)를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이 구해지면, 아래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연산함으로써, 온도 및 배합과정에서 발생된 단위수량의 증가량(△W)를 구할 수 있다(S800). 이와 같이 구해진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W)의 단위는 kg/㎥이다.
[수학식 5]
Figure 112011083093863-pat00011
여기서, ΔW는 온도 및 배합과정에서 발생된 단위수량의 증가량(ΔW), r2는 공기를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이며, V1은 공기량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이며, Mc는 각 배합에 들어간 생 콘크리트의 총질량의 합이다.
이와 같이, 배합비 데이터에 근거한 온도 및 배합과정에서 발생된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이 구해지면 아래의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연산함으로써, 에어미터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에 의해 조정된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을 구할 수 있게 된다(S900). 이와 같이 구해진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의 단위는 kg/㎥이다.
[수학식 6]
Figure 112011083093863-pat00012
여기서, W는 에어미터 실측에 의해 구해진 최종적인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이며, W0는 생 콘크리트 제조자 측에서 제공한, 생 콘크리트를 생산할 때 측정된 생 콘크리트의 이론 단위수량 값이며, ΔW은 온도 및 배합과정에서 발생된 단위수량의 증가량이다.
상기 [수학식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생 콘크리트 제조자 등으로부터 제공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값에 대해,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에 대해 실제로 측정한 데이터에 근거한 보정치를 적용함으로써, 더욱 신뢰성있는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을 구함에 있어서, 에어미터를 이용하게 되므로,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시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한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 값이 측정이 완료된 상태의 생 콘크리트의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생 콘크리트 생산자로부터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 단위부피 당 시멘트량(C), 물의 양(WW), 골재량의 배합비 데이터와, 생 콘크리트 생산 시에 측정된 생 콘크리트의 초기 공기량(AIR)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생 콘크리트가 담기게 되는 에어미터 용기의 용적(V0)과, 상기 생 콘크리트가 담기기 전 상태에서의 에어미터의 공질량(Mair-meter)을 측정하는 단계(S100);
    b) 상기 에어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실측 공기량(Air)을 측정하는 단계(S200);
    c) 상기 생 콘크리트가 담긴 상태에서의 에어미터와 생 콘크리트의 전체 질량(M0)을 측정하는 단계(S300);
    d) 상기 에어미터에 담긴 생 콘크리트의 질량(M2)을 수학식 1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400);
    e) 상기 에어미터와 상기 생 콘크리트 및 물을 합친 질량을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MO로부터 에어미터와 물을 합친 질량(M1)을 구하고, 수학식 2에 의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용적(V3)을 연산하는 단계(S500);
    f) 상기 배합비 데이터에 기초한 초기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을 수학식 3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600);
    g) 상기 생 콘크리트에 대한 실측 공기량(Air)을 제외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을 수학식 4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700);
    h) 상기 f)단계(S600)에서 연산된 생 콘크리트의 설계용적(V1)과 상기 g)단계(S700)에서 연산된 생 콘크리트의 실측 단위용적 질량(r2)을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을 수학식 5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800); 및
    i) 상기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량(ΔW)을 이용하여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을 수학식 6에 의하여 연산하는 단계(S900);를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 1은
    Figure 112012109533851-pat00013
    이고,
    상기 수학식 2는
    Figure 112012109533851-pat00014
    이며,
    상기 수학식 3은
    Figure 112012109533851-pat00015
    (여기서, a는 단위 생 콘크리트량의 보정치임)이고,
    상기 수학식 4는
    Figure 112012109533851-pat00016
    이며,
    상기 수학식 5는
    Figure 112012109533851-pat00017
    (여기서, Mc는 각 배합에 들어간 생 콘크리트의 총 질량의 합임)이고,
    상기 수학식 6은
    Figure 112012109533851-pat00018
    (여기서, W0는 생 콘크리트 생산로부터 공급되는 생 콘크리트의 이론 단위수량 값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j)상기 i)단계(S900)에서 연산된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을 표시하는 단계(S9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S200)는 b-1) 상기 생 콘크리트의 슬럼프(SP)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j)단계(S950)는 상기 생 콘크리트의 측정 단위수량(W)과 상기 생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KR1020110108737A 2011-10-24 2011-10-24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KR10134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37A KR101342079B1 (ko) 2011-10-24 2011-10-24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737A KR101342079B1 (ko) 2011-10-24 2011-10-24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97A KR20130044597A (ko) 2013-05-03
KR101342079B1 true KR101342079B1 (ko) 2013-12-16

Family

ID=4865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737A KR101342079B1 (ko) 2011-10-24 2011-10-24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450A (ko) 2022-09-29 2022-10-18 (주)평화하이텍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KR20230017156A (ko) 2022-12-15 2023-02-03 (주)평화하이텍 다중주파수 마이크로웨이브 수분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811A (ja) 2001-05-31 2002-12-10 Ohbayashi Corp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測定装置
JP2010066173A (ja) 2008-09-11 2010-03-25 Okumura Corp エアメータ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推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811A (ja) 2001-05-31 2002-12-10 Ohbayashi Corp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測定装置
JP2010066173A (ja) 2008-09-11 2010-03-25 Okumura Corp エアメータ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推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450A (ko) 2022-09-29 2022-10-18 (주)평화하이텍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KR20230017156A (ko) 2022-12-15 2023-02-03 (주)평화하이텍 다중주파수 마이크로웨이브 수분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위 수량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97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derete et al. Physical evidence of swelling as the cause of anomalous capillary water uptake by cementitious materials
CA2843658C (en) System and process for mixing concrete having desired strength characteristics
JP5231493B2 (ja) 覆工コンクリート脱型時期判定方法及び脱型時期判定システム
CN110412254B (zh) 一种半柔性路面预估残余空隙率的试验方法
US951151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ability parameter of a concrete in a mixer
KR102190604B1 (ko) 조기재령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방법 및 조기재령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예측방법
CN107656037A (zh) 一种钢壳高流动性混凝土性能验证方法
JP2017223490A (ja) コンクリートの施工性評価方法
KR101342079B1 (ko)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JP2009184273A (ja) コンクリート材料の配合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40083068A1 (en) Mobile volumetric concrete-production system
KR101734953B1 (ko) 골재의 실시간 수분함량 측정에 따른 콘크리트 자동배합 시스템 및 방법
KR101154418B1 (ko) 에어미터에 의한 단위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측정방법
KR101232685B1 (ko) 정전용량방식이 추가된 생 콘크리트의 단위 공기량 측정을 이용한 단위수량측정방법
JP4349990B2 (ja) 生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測定算出方法及び生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測定システム。
JP4491680B2 (ja) 硬練りコンクリートのフレッシュ性状評価方法および水量推定方法
CN106093359A (zh) 一种混凝土骨料碱活性验证方法及其模型
JP4565900B2 (ja) 生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測定装置
JPH1183718A (ja) 無機水硬性物質の密度測定方法及び無機水硬性混練物の単位水量測定方法
JP2009113408A (ja) 細骨材の諸元値算出方法
JP2015021905A (ja)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又はフレッシュモルタルの単位水量測定方法
JP2002355811A (ja)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測定装置
JP5680493B2 (ja) コンクリートのブリーディング量管理方法
JPH0339802B2 (ko)
JP4376097B2 (ja)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単位水量早見表および作成プログラム並びに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