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523B1 -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 Google Patents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523B1
KR101340523B1 KR1020120054458A KR20120054458A KR101340523B1 KR 101340523 B1 KR101340523 B1 KR 101340523B1 KR 1020120054458 A KR1020120054458 A KR 1020120054458A KR 20120054458 A KR20120054458 A KR 20120054458A KR 101340523 B1 KR101340523 B1 KR 10134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amorphous carbon
bacteria
tin oxide
nano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553A (ko
Inventor
김동완
심현우
임아현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523B1/ko
Priority to PCT/KR2012/011355 priority patent/WO2013176363A1/ko
Publication of KR2013013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실러스 박테리아 표면에 주석 산화물을 직접적으로 결합시켜 획득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의 분말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화학적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0 차원 형상을 갖는 다상의 주석 산화물들 및 주석 금속과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과의 복합화를 이루는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에서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저 용량 및 저 출력 (높은 전류 밀도에 낮은 용량), 리튬과 반응 시 큰 부피 변화로 인해 사이클에 따른 용량이 크게 감소되는 특성을 박테리아를 템플릿으로 사용하고, 고용량의 특성 구현이 가능한 주석 산화물을 박테리아 표면과 결합하여 이들의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제작되는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저차원 나노구조체들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 제조를 통해 해결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열화학적 환원 공정은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사용되는 박테림아 템플릿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복합체 수득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저온 합성 및 중간 매개체의 합성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기 때문에 리튬 이차전지뿐만 아니라, 전기 이중층 슈퍼 커패시터 분야로의 실질적 응용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Description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Method for Multiphasic Tin-based Nano Structures/Amorphous Carbon Nano Composite and Anode Active Material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석 원소를 기반으로 하는 다상의 나노구조체들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산업, 이동통신을 포함한 각종 정보통신 등 커뮤니케이션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요구에 부응하여, 휴대전화, 노트북, PDA,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등 휴대용 전자제품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이들 기기의 구동 전원인 전지의 개발에 대해서도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순수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전기자동차의 개발에 따라 고성능, 대용량, 고밀도 및 고출력, 고안정성을 갖는 전지의 개발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빠른 충ㆍ방전 속도 특성을 갖는 전지의 개발 또한 커다란 이슈로 자리 잡고 있다.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를 바꾸는 장치인 전지는 기본 구성 재료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일차전지, 이차전지, 연료전지, 그리고 태양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이차전지는 일회 사용이 가능한 1차 전지와는 달리, 방전이 되면 다시 충전하여 여러 회의 사용이 가능하다. 흔히 많이 사용하는 일차전지의 경우에, 알칼리전지, 수은전지, 망간전지 등과 같이 큰 용량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일차전지가 갖는 한계로서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환경 친화적이지 않은 반면에, 납축전지, 니켈 카드뮴전지, 니켈 메탈 하이브리드전지, 리튬 금속전지, 리튬이온전지 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일차전지보다 전압이 높아 에너지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처럼 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아직 많은 기술적인 제약이 존재하는 것과 달리, 이차전지는 고용량, 고 에너지 밀도를 가지면서 현재 각종 산업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이차전지 중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소형에서부터 중ㆍ대형에 이르는 적용으로 최근 들어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전해질 및 분리막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삽입/탈리될 때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게 된다. 즉, 전하를 운반하는 리튬이온과 전자가 양극과 음극을 왕복 이동하는 원리를 기본으로 하여, 방전시에는 리튬이온과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하여 음극활물질에 삽입되고, 충전시에는 이들이 음극활물질로부터 탈리되어 양극활물질에 삽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근래 들어, 이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이용한 중ㆍ대형급의 활용이 가속화됨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고성능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고성능화는 핵심 요소인 전극활물질의 개발 및 물성 향상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으며, 특히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극활물질의 경우 단순한 물질 및 공정 기술 개발을 지양하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첨단 나노기술의 적절한 융합이 필요하다. 즉, 리튬이온 전지가 큰 용량과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음극 및 양극활물질이 리튬과 반응하기에 적절한 결정 구조를 갖고 전기적 성질이 뛰어나야 한다. 또한 활물질과 전해질 간의 부차 반응(side-reaction)이 없고 충ㆍ방전시 발생하는 활물질 격자의 부피 변화가 작아야 한다.
특히 음극활물질의 경우 지금까지도 탄소계 물질의 리튬이온의 삽입/탈리 반응을 기반으로 한 음극활물질이 리튬이온 이차전지 기술의 음극 소재 분야에 있어 핵심을 이루며 아직까지 상용화되고 있는 제품에는 이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기 탄소계 음극활물질의 경우 기본적으로 적은 이론 용량(372 mAh/g)과 함께 상용화된 용량은 이보다도 작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래 들어 탄소계 재료를 대체할 신규의 음극활물질에 관한 연구 및 나노구조를 갖는 음극활물질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리튬과 합금을 형성하는 Si, Ge, Sn 등을 이용한 반응(alloying reaction)이나 기존의 삽입/탈리 과정이 아닌 금속/금속 산화물 사이의 전환반응(conversion reaction)을 통해 용량을 발현하는 CuO, CoO, Fe2O3, NiO, MnO2 등과 같은 전이금속 산화물에 대한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W. J. Weydanz et al., J. Power Sources 237 (1999) 81; P. Poizot et al., Nature 407 (2000) 496].
하지만, 이러한 음극활물질들의 경우, 충ㆍ방전시 이루어지는 수백 퍼센트의 부피 변화, 입자간의 응집, 낮은 전기전도도 등의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높은 용량을 지니면서도 리튬이온과의 충ㆍ방전간 부피 변화가 적고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부여할 수 있는 음극활물질의 제조가 더욱더 요구된다. 이러한 음극활물질은 종래의 마이크로 크기의 벌크한 물질이 아닌 나노구조를 갖는 물질 제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나노구조가 갖는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리튬과 반응할 수 있는 반응 사이트가 많아지고, 리튬이온의 확산 이동 거리가 짧아질 수 있는 장점 등을 바탕으로 향상된 음극활물질로서의 특성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근래에는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음극활물질의 단순한 적용뿐 아니라, 나노구조체들의 복합화를 통한 나노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나노구조체 각각의 장점을 활용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고성능화를 이루려는 시도들이 보고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고성능화를 위한 음극활물질의 제조는 고용량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재료의 나노구조화와 또는 나노복합화를 통한 전기전도도 향상, 리튬과의 반응간 작은 부피 변화, 입자간 응집 억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바, 다양한 조성들의 나노구조화, 복합화와 더불어 여러 형태의 나노구조체들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리튬과의 합금 반응을 통해 고용량의 특성을 구현하는 Sn, Ge, Si과 같은 원소들의 나노구조화를 통한 음극활물질 제조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고성능화를 이룰 수 있는 음극활물질 재료로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언급한 것처럼, 큰 부피 변화에 따른 급격한 용량 감소, 낮은 전기전도도 등의 문제 해결을 같이 고려해야 하는 바, 상기 리튬과의 합금 반응을 갖는 나노구조체의 다른 나노재료들과의 복합화 또한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나노구조의 특성상 제조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합성 진행간 나노구조의 형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조 방법 또한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박테리아 템플릿을 매개체로 적용하고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높은 용량을 갖는 주석 원소 기반의 나노구조체들과 향상된 전기전도도들 제공할 수 있는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로 구성된 음극활물질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용이한 박테리아를 매개체로 하고, 박테리아/주석 산화물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수소 분위기에서 간단한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튜브 형상을 갖는 다상의 주석 원소로 이루어진 나노구조체와 비정질 카본으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나노복합체의 용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1) 표면에 음이온을 띠는 박테리아를 배양 후 박테리아의 농도를 탈이온수로 조절하여 박테리아 분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전이금속 전구체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주석 전구체 용액을 상기 1)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20 ~ 30 ℃에서 0.5 ~ 2 시간 동안 스터링(stirring)하여 바실러스 박테리아와 전이금속 전구체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
3) 하이드라진(N2H4ㆍH2O)을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 2)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반응시켜 상기 박테리아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이 고르게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4) 상기 3)의 반응 용액을 원심분리 후 세척하여 석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상기 석출물을 진공 건조하여 박테리아/전이금속 산화물 복합체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6) 상기 수득된 복합체 분말을 열화학적 환원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이금속 원소 기반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나노복합체의 열화학적 환원으로 인해 박테리아 표면에 부착된 전이금속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음극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채용한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바실러스 박테리아 표면에 주석 산화물을 직접적으로 결합시켜 획득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의 분말을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화학적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0 차원 형상을 갖는 다상의 주석 산화물들 및 주석 금속과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과의 복합화를 이루는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를 제작할 수 있다.
(ii) 본 발명은 박테리아를 템플릿으로 적용하여 저온에서 손쉽게 획득 가능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바탕으로, 간단한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iii)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제조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시간 절약 효과의 장점을 갖는다.
(iv)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한 번의 제조 공정으로 다상의 저차원 나노구조체와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를 얻을 수 있는 강점이 있다.
(v) 전기화학적인 특성 측면에선 주석 금속 및 다상의 주석 산화물들이 갖는 고용량의 특성과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의 고 전기전도성 부여 및 튜브 형상의 구조로 인한 리튬과의 합금반응 시 큰 부피 변화를 완충 작용할 수 있는 장점에 따른 고출력의 특성을 지닌다.
(vi) 본 발명에서 제시한 주석 원소를 기반으로 한 다상의 나노구조체들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는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중간 단계인 박테리아/주석 산화물의 대량 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리튬 이차전지, 전기 이중층 슈퍼 커패시터, 유사 슈퍼 커패시터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박테리아 템플릿 및 주석 전구체의 사용을 통해 제조되는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 제조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중간 단계의 매개체로 제조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SnO2)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사진이다[(a) 저 배율 사진, (b) 고 배율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중간 단계의 매개체로 제조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SnO2)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투과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사진이다[(a)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b) 고 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서 중간 단계의 매개체로 제조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SnO2)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X-선 분말 회절 패턴(X-ray Diffraction patterns, XRD)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중간 단계의 매개체로 제조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SnO2)로 이루어진 복합체의 열 중량분석(Thermogravimetry Analyzer, TGA)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전계방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및, 고 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SAED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패턴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 4에 따른 제조된 나노복합체 형상을 나타내는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a) 실시예 2, (b) 실시예 3, (c)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 ~ 9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들의 X-선 분말 회절 패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 형상의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및 투과 전자현미경, 고 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이다[(a)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 (b)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c) 고 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나노복합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 및 실시예 8과 비교예 1의 분말들을 이용해 제작된 음극활물질들의 다양한 전류밀도 변화에서 사이클에 따라 측정된 용량 변화 곡선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1) 표면에 음이온을 띠는 박테리아를 배양 후 박테리아의 농도를 탈이온수로 조절하여 박테리아 분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전이금속 전구체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주석 전구체 용액을 상기 1)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20 ~ 30 ℃에서 0.5 ~ 2 시간 동안 스터링(stirring)하여 바실러스 박테리아와 전이금속 전구체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
3) 하이드라진(N2H4ㆍH2O)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 2)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반응시켜 상기 박테리아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이 고르게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4) 상기 3)의 반응 용액을 원심분리 후 세척하여 석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상기 석출물을 진공 건조하여 박테리아/전이금속 산화물 복합체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6) 상기 수득된 복합체 분말을 열화학적 환원 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이금속 기반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이금속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주기율표 상의 4주기 원소인 Cu, Co, Fe, Ni, Mn, Ti와 주기율표 상의 5주기 원소인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주기 원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Sn이다.
본 발명은 고 용량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주석 원소 기반의 산화물 나노구조체를 바실러스 박테리아 표면에 결합시키고, 획득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화학적 환원시켜, 고 용량의 특성과 함께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에 의한 고 전기전도도 부여로 고 출력의 특성 및 튜브 형상을 통한 리튬과의 반응 시 부피 변화를 완화할 수 있는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간 단계인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수득된 복합체의 열화학적 환원을 통한 최종 나노복합체를 획득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중간 단계로 획득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는 합성 공정이 단순하고, 저온에서 이루어지며, 템플릿으로 사용되는 박테리아의 증대에 따라 결합되는 주석 산화물 나노구조체의 수득율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최종 획득되는 나노복합체의 대량생산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합성 공정은, 본 발명자들이 이전에 특허 출원한 바실러스 박테리아 표면에 전이금속 산화물을 결합시키는 것에 착안하여 [국내특허출원, 출원번호: 10-2009-0011628] 유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실러스 박테리아를 배양 후 박테리아의 농도를 탈이온수로 조절하여 박테리아 분산 용액을 제조하는 1 단계;
주석 전구체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주석 전구체 용액을 상기 1 단계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20 ~ 30 ℃에서 0.5 ~ 2 시간 동안 스터링(stirring)하여 박테리아와 주석 전구체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2 단계;
하이드라진(N2H4ㆍH2O)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 2 단계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반응시켜 박테리아 표면에 주석 산화물이 고르게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3 단계;
상기 반응 용액을 원심분리 후 세척하여 석출물을 수득하는 4 단계;
상기 석출물을 진공 건조하여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제조하는 5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복합체 분말을 400℃의 수소 분위기 하에서 12 시간 동안 열화학적 환원 시키는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석 전구체는 산화가 수가 2가 및 4가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질산염, 염화물, 초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중간 단계인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합성은 용액 내에서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박테리아 표면에 부착된 양이온의 주석 이온을 환원제로 쓰인 하이드라진드(N2H4ㆍH2O)를 사용하여 환원시키고 동시에 산화 과정이 이루어지는 액상 합성법을 기반으로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상 합성법은 결정성이 우수하지는 않지만 합성방법에 따라 저온에서 결정질 물질을 얻을 수 있으며, 균일하고 작은 크기의 입자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합성 공정은 그 과정이 단순하고, 상온(20 ~ 30 ℃)에서 결정성을 지닌 균일한 크기의 주석 산화물 나노구조체들로 이루어진 나노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일련의 합성 방식은 도 1에 잘 나타나 있고, 도 1에 의거한 구제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템플릿으로 사용되는 바실러스 박테리아를 준비하기 위해 냉동 보관되어있는 바실러스 박테리아의 보존액으로부터 일부 채취하여 10 ~ 12 시간의 초기 배양과 액체 배지가 들어있는 삼각 플라스크에서 계대 배양을 수행한다. 이 후, 원심분리 및 세척 과정을 진행하고 탈이온수를 첨가하면서 박테리아가 분산된 희석용액의 적정 농도를 맞추고 상온에서 스터링을 진행한다. 상기 원심분리를 통한 박테리아를 수집하는 것에서, 계대 배양 후 5 시간 미만의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수행하면 수집되는 박테리아 양이 적고 이로 인해 중간 단계로 획득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양이 적게 되므로, 상기 원심분리는 5 시간 이상의 계대 배양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박테리아 성장 곡선에서 성장기의 끝부분 부근에 도달했을 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테리아 템플릿 용액의 농도 조절은 자외선 분광계(UV spectrometer)를 이용한 600 ㎚ 파장에서 측정된 광학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통해 수행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적용된 박테리아 템플릿의 농도는 600 ㎚ 파장에서 광학 흡광도가 1.0 ~ 2.0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정 농도 범위로 맞춰진 박테리아 분산용액이 상온에서 스터링되면서 유지되는 동안, 주석 전구체를 탈이온수에 넣어 10 ~ 100 mM 범위의 염화 주석 전구체를 제조하고 스터링 과정을 진행하면서 주석 전구체가 충분히 분산되도록 용해시킨다. 이 후, 용해 과정을 마친 주석 전구체 용액을 상온에서 스터링되고 있는 박테리아 분산용액에 스터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천천히 첨가한다. 이때, 주석 전구체 용액을 급격히 첨가하게 되면, 분산되어 있는 박테리아의 표면에 양이온의 전이금속 전구체가 고른 분포로 부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후 하이드라진의 환원제에 의해 환원, 수용액 내에서 자발 산화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 간의 응집 및 제대로 된 단일 막대 모양의 형상을 얻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가급적 뷰렛을 이용해 천천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양이온의 주석 전구체와 박테리아 간의 충분한 부착과 고른 분포 및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 ~ 30 ℃에서 0.5 ~ 2 시간의 충분한 스터링 시간을 유지시킨다.
상기 박테리아 템플릿과 주석 전구체의 혼합 용액이 20 ~ 30 ℃에서 0.5 ~ 2 시간 스터링되고 있는 동안, 환원제로 작용할 수 있는 하이드라진을 탈이온수에 넣어 10 ~ 1000 mM 범위의 하이드라진 용액을 제조하고 스터링 과정을 진행하면서 충분히 분산되도록 용해시킨다. 이 후, 용해 과정을 마친 하이드라진 용액을 상온에서 스터링되고 있는 상기의 혼합 용액에 스터링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천천히 첨가한다. 이때, 역시 상기 주석 전구체 용액을 첨가했을 때처럼 뷰렛을 이용해 분당 10 ml 정도의 양이 첨가되는 속도로 첨가한다.
그런 다음, 용액 내에서 하이드라진의 고른 분산으로 박테리아 표면에 부착된 양이온의 주석 전구체가 주석 산화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충분한 스터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제인 하이드라진까지 첨가된 상기의 혼합 용액을 20 ℃ ~ 30 ℃에서 계속 스터링을 해주면서 10 ~ 15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이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한 뒤, 상등액을 제거하고 아랫부분의 침전물은 탈이온수와 아세톤(acetone)을 사용하여 세척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석출된 침전물은 박테리아 표면에 주석 산화물이 고르게 분포되어 부착되어있는 상태이다. 이 후, 수득된 석출물은 진공 오븐 내에서 건조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진행된 상기 진공 건조는 6 ~ 8 시간 동안 60 ~ 70 ℃의 온도, 10-2 ~ 10-3 torr의 압력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진공 건조 후 얻은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 분말의 형상은 지름이 500 ~ 800 ㎚이고, 길이가 1 ~ 2 ㎛인 바실러스 박테리아 표면을 2 ~ 5 ㎚의 주석 산화물 나노구조체들이 고르게 둘러싸고 있으며, 산화물 나노구조체의 입자 크기는 매우 균일하고 미세한 입도 분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중간 단계로써 상기 제조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형상은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및 투과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사진을 통해 관찰이 가능하다[도 2, 도 3]. 또한, 제조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합성 결과물의 상(phase) 종류와 결정 구조는 X선 회절 패턴(X-ray Diffraction patterns, XRD)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도 4]. 도 4에 의하면, 합성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 분말은 SnO2(JCPDS card No. 41-1445)와 동일한 X선 회절 패턴을 보인다. 또한, 도 5에 의하면 열 중량 분석(Thermogravimetry Analyzer, TGA)을 통해 합성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에 결합된 주석 산화물의 정량적 특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합성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는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주석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과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형의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행된 열화학적 환원 공정은 수소 분위기 하에서, 분당 10 ℃의 승온 속도로 400 ℃에 도달한 후 12 시간 동안 유지하는 바, 이때의 기체 분위기, 온도, 시간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원하는 주석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과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를 얻을 수 없으므로 조건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화학적 환원 과정 후 얻은 최종 분말의 형상은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및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관찰이 가능하며, 진공 건조 후 보인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에 비해 지름이 100 ~ 200 ㎚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6, 도 7]. 더욱이, 도 7에 의하면 고 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열화학적 환원 후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의하면 열역학적 환원 후 획득된 결과물의 상과 결정 구조들은 X선 회절 패턴을 이용하여 확인되었다[도 8].
한편, 이와 같은 중간 단계의 매개체로써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및 열화학적 환원을 통한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와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를 당 분야에서는 전기화학 소자,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기 이중층 슈퍼 커패시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박테리아/주석 산화물로 이루어진 중간 단계의 복합체뿐 아니라,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획득되는 튜브 형상의 다상의 주석 원소 기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으로 구성되어 있는 나노복합체 분말을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활물질로서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리튬 전지용 전극을 따로 제작하고 반쪽 전지를 구성하여 전기 화학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사용되는 음극활물질의 단위 분자량 당 반응할 수 있는 리튬 전하의 수가 클수록, 충ㆍ방전 시 입자 응집 현상이 제한될수록 더욱 우수한 전기 화학적인 성능을 보인다.
먼저, 상기 중간 단계로써 제조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혹은 열화학적 환원 후 최종 획득되는 튜브 형상의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으로 구성된 분말 및 도전제(conductive additive)와 결합제(binder)를 불활성 유기 용매에 녹인 후, 초음파 처리 및 기계적인 혼합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섞이도록 한다. 이 후, 상기 혼합물을 슬러리 상태로 구리 집전체(current collector)에 얇게 도포하여 전극을 제조한다.
리튬 금속을 음극으로, 상기 제조된 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두 전극 사이에 전해질과 분리막을 넣고 반쪽 전지를 완성한다. 상기 제조된 전지는 0.01 ~ 3.0 V 사이의 전압 영역에서 흘려주는 전류 밀도를 바꿔가며 충ㆍ방전 사이클 평가를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말 중, 400 ℃에서 열화학적 환원 처리된 분말에 한해서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중간 단계로 제조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및 500 ℃에서 열화학적 환원 처리된 분말에 관해서도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각각을 비교하였다.
상기 제시된 순서에 의해 전극을 제조하고 특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제안된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분말의 경우에서 대조군들의 측정된 결과보다 고용량의 특성을 나타내며,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고용량의 특성으로 보다 좋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시 예
(1) 실시 예 1
냉동 보관되어있는 바실러스 섭틸러스 박테리아(Bacillus subtilis)의 보존액으로부터 5 ㎕을 채취한 후, 5 ㎖ LB 액체 배지(Luria-Bertani, LB broth)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접종하고 37 ℃에서 200 rpm으로 회전하는 인큐베이터에서 초기 배양하였다. 초기 배양으로부터 10 ~ 12 시간이 지난 후, 배양액으로부터 500 ㎕ 씩을 채취하여 200 ㎖의 액체 배지가 들어있는 5 개의 삼각 플라스크에 각각 계대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으로부터 5 시간이 지난 박테리아 배양액을 12,000 rpm에서 20 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고 박테리아와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등액과 분리된 가라앉은 박테리아는 탈이온수를 이용하여 2 번 세척 및 원심분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 후, 1 ℓ 이상의 탈이온수를 첨가하면서 자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여 600 ㎚ 파장에서 광학 흡광도 측정을 통해 박테리아의 농도를 1.0 (= 1 × 108 cells/㎖)로 맞추었다. 상기 박테리아가 분산된 용액을 상온에서 스터링되는 동안, 사용된 염화 금속 물질 중 하나인 SnCl4ㆍ5H2O의 몰 농도가 각각 10 mM이 되게끔 칭량하여 각각을 탈이온수 400 ㎖에 녹인 후 상온에서 30 분 동안 스터링하였다. 상기 용액을 30 분 동안 스터링을 한 후, 상온에서 스터링이 유지되며 박테리아가 분산되어있었던 용액에 (분당 10 ml 정도의 양이 첨가되는 속도로) 첨가하였다. 이 후, 주석 전구체 및 박테리아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스터링을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유지되는 동안, 환원제로 쓰인 N2H4ㆍH2O의 몰 농도가 각각 10 mM이 되게끔 칭량하여 각각을 탈이온수 200 ㎖에 녹인 후 상온에서 30 분 동안 스터링하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의 분산과정을 거친 혼합물에 상기 N2H4ㆍH2O가 30 분간 스터링된 용액을 각각 200 ㎖씩 천천히 넣었다. 이 후, 25 ℃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이 후 10,000 rpm에서 20 분간의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한 뒤, 상등액을 제거하고 아랫부분의 침전물은 탈이온수와 아세톤(acetone)을 사용하여 3 ~ 4 회의 세척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석출된 침전물은 바실러스 박테리아 표면에 주석 산화물이 고르게 분포되어 부착되어있는 상태이며, 합성된 석출물을 60 ℃의 온도, 10-2 torr의 압력 조건 하에서 6 시간 동안 진공 건조를 실시한 바, 중간 단계의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 후, 제조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화학적 환원을 실시하였는바, 먼저 제조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 분말을 0.2 ~ 0.3 g을 칭량하고, 이를 튜브형 고온 전기로 안에서 열화학적 환원을 시행하였다. 튜브형 고온 전기로의 열처리를 수행하기 전 완전한 환원 분위기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열처리를 진행하기 위해, 진공 펌프를 작동 시킨 상태에서 아르곤 가스를 100 sccm의 유량으로 30 분간 흘려보내 퍼지(purge) 과정을 진행하고 이 후 30 분간 40 sccm의 유량으로 수소 가스를 흘려보내 환원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 후 400 ℃에서 12 시간의 열화학적 환원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이 때, 진공 펌프는 작동을 하지 않고, 수소 가스만 계속적으로 40 sccm의 유량으로 흘려주는 상태로 진행하였으며, 승온 속도는 10 ℃/min로 진행하였다. 12 시간의 열화학적 환원이 진행된 이후 최종 튜브 형상의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와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2) 실시 예 2 ~ 4
상기 실시예 1과 합성 방법은 동일하되, 다음 표 1에 기재된 염화주석 전구체의 농도를 10 mM로 고정한 후, N2H4ㆍH2O 환원제의 농도를 각각 100, 500, 1000 mM로 변하는 것에 따라 본 발명의 중간 단계로써 획득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9에 의하면, 각각의 실시예 2, 3, 4의 조건에 따라 제조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었다.
(3) 실시 예 5
상기 실시예 1과 합성 방법은 동일하되, 다음 표 1에 기재된 염화주석 전구체의 농도를 100 mM로 하고, N2H4ㆍH2O 환원제의 농도를 100 mM로 하여 본 발명의 중간 단계로써 획득되는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의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2 ~ 5를 통해 예상할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중간 단계 합성물인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가 박테리아 템플릿의 막대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또한 주석 산화물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이 후의 열화학적 환원을 통해 획득되는 최종 튜브 형상을 갖는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는 제조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을 통한 알맞은 형태의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 중간 단계 매개체를 제조해야만 한다.
(4) 실시 예 6 ~ 9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합성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되, 최종 열화학적 환원 처리 공정간 다음 표 1에 기재된 것처럼 처리 온도를 달리하거나 혹은 아르곤으로의 열처리 분위기를 달리하면서, 본 발명의 최종 수득물인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하, 상기 실시예 6 ~ 9 조건에 따른 최종 획득된 분말의 결정 상들은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이를 도 11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도 11에 의하면, 실시예 6 ~ 9의 조건을 통해 최종 제조된 분말의 경우, 실시예 1을 통해 획득된 X선 회절 분석 결과처럼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이 합성된 것이 아니라, 단일상의 주석 산화물 (SnO2) 혹은 주석 금속 (metallic tin, Sn)으로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을 통한 열화학적 환원 공정간 본 발명의 최종 형태인 튜브 형태를 가지며, 주석 원소 기반으로 다상의 나노구조체들과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화학적 환원 공정간 온도, 시간, 분위기 등의 조건들이 알맞게 갖추어 져야만 한다. 특히, 상기 실시예 8을 통해 제조된 나노복합체의 형상을 전계방출 주사 전자현미경 및 투과 전자현미경, 고 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열화학적 환원 공정 후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과 주석 원소 기반으로 이루어진 나노구조체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높은 환원 온도로 인한 주석 금속으로 재결정된 환원이 이루어지며, 크기 또한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 후 리튬과의 이차전지 테스트에서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을 갖는 복합체들보다 낮은 용량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실시 예 10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합성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되, 다음 표 1에 기재된 것처럼 박테리아 템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 단계의 석출물을 획득하였다. 또한 획득된 석물출의 주사 현미경 사진을 도 13에 나타냈으며,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박테리아 템플릿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중간 단계로 수득되는 주석 산화물의 템플릿 위로 형성되지 않아 원하는 막대 형상을 얻을 수 없게 되며, 이는 본 발명의 최종 튜브 형상을 갖는 주석 원소 기반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는 제조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구분 박테리아 농도 (O.D. 600 nm) 주석 전구체 (SnCl4ㆍ5H2O) N2H4ㆍH2O 환원제 합성 온도 (oC) 열화학적 환원
농도 (mM) 주입량 (mL) 농도 (mM) 주입량 (mL) 온도 (oC) 시간 (h) 분위기
실시예 1 2.0 10 400 10 200 25 400 12 H2
실시예 2 10 400 100 200 25 -
실시예 3 500
실시예 4 1000
실시예 5 100 400 100 200 25 -
실시예 6 10 400 10 200 25 200 12 H2
실시예 7 300
실시예 8 500
실시예 9 400 12 Ar
실시예 10 X 10 400 10 200 25 -
2. 비교 예 1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되는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이차전지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 표 2에 제시된 것처럼 대조군으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한 합성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되, 열화학적 환원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중간 단계의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복합체 및 실시예 8를 통해 제조되는 나노 분말을 이용하여 이차전지 특성을 비교하였다.
구분 박테리아 농도 (O.D. 600 nm) 주석 전구체 (SnCl4ㆍ5H2O) N2H4ㆍH2O 환원제 합성 온도 (oC) 열화학적 환원
농도 (mM) 주입량 (mL) 농도 (mM) 주입량 (mL) 온도 (oC) 시간 (h) 분위기
비교예 1 2.0 10 400 10 200 25 -
3. 시험 예 1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되는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음극활물질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나노 분말 및 실시예 8를 통해 제조되는 분말의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로서의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전극을 제조한 후 반쪽 전지의 용량을 측정하였다.
(a) 전극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 분말 음극활물질 0.5 ~ 1 ㎎을, 도전제인 흑연(MMM Cabon)과 결합제인 Kynar 2801(PVdF- HFP)과 질량비가 70 : 15 : 15가 되도록 칭량한 후, 불활성의 유기 용매인 N-메틸-피톨리돈(NMP)에 용해시켜 슬러리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슬러리를 집전체인 구리 호일에 도포시켜 100 ℃의 진공 오븐에서 4 시간 건조하여 유기 용매를 휘발시킨 후, 프레싱(pressing)하여 직경이 1 ㎝인 원 형태로 펀칭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8에서 만들어진 나노 분말 역시 음극활물질로서 0.5 ~ 1 ㎎을, 도전제인 흑연과 결합제인 상기 Kynar 2801의 질량비를 70 : 15 : 15가 되도록 칭량한 후, 불활성 유기 용매에 녹여 슬러리 형태로 만들었다. 이 후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샘플을 통해 제시된 전극의 제조 과정과 동일하다.
(b)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용 반쪽 전지 제작 및 측정
본 발명에서 제조된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구성되어 있는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음극으로 리튬 금속 이온, 양극으로 상기 (a)에서 제조된 전극들 및 둘 사이에 전해질과 분리막(Celgard 2400)을 넣고 스와즐락(Swagelok) 타입(type)의 반쪽 전지를 구성하였다. 사용된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의 부피비가 1 : 1로 섞여 있는 용액에 LiPF6이 용해된 물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시된 반쪽 전지 제조의 모든 과정은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으로 채워져 있는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스와즐락 타입의 반쪽 전지는 충ㆍ방전 싸이클러(WBCS 3000, WonA Tech., Korea)를 이용하여 0.01 ~ 3.0 V 전압 사이에서 0.03 ㎷/sec로 전압을 바꿔가며 정전압 방식(Potentialstatic mode)의 측정 및 전류 밀도를 바꿔가며 정전류 방식(Galvanostatic mode)으로 실행되었고, 이때의 전류 밀도는 각각 78 mA/g, 157 mA/g, 235 mA/g, 392 mA/g이고, 각각의 전류 밀도에서 10 번의 사이클 충ㆍ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전류 밀도를 변경하여,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정전류 방식의 측정에 따라 분석된 그래프는 도 14에 잘 나타내었다. 이것들의 비교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로 제조된 음극활물질의 경우, 본 발명의 중간 단계로 획득된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SnO2)로 구성된 복합체 또는 상기 실시예 8을 통해 제조되는 비정질 카본/단일상의 주석 금속 (metallic tin, Sn)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들의 경우보다,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고용량의 특성을 구현하면서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표 3은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9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분말들의 이차전지 특성 평가에서, 각각의 전류 밀도에서 10번의 충ㆍ방전 사이클 테스트를 수행했을 때의 방전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음극활물질 방전 용량 (mAh/g)
[전류 밀도 (mA/g)]
10 cycle
[78]
20
[157]
30
[235]
40
[392]
실시예 1 튜브 형상의 비정질 카본/주석 산화물 (SnOx, 1x2)/주석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621 505 433 340
실시예 8 튜브 형상의 비정질 카본/주석 금속 (Sn) 복합체 332 274 242 205
비교예 1 박테리아/주석 산화물 (SnO2) 복합체 335 217 160 112
상기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음극활물질이 실시예 8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분말들을 이용한 음극활물질들에 비해서 훨씬 우수한 고용량의 특성을 지니고,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고용량의 특성과 함께 사이클 안정성을 보여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서 제기된 비정질 카본/주석 원소 기반 다상의 나노구조체들로 이루어진 튜브 형상의 나노복합체의 물질은, 다상의 주석 원소들로 이루어진 저차원 나노구조체들로 인한 고용량의 특성을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비정질 카본과의 복합화를 통한 향상된 전기전도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인하여,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상대적으로 고용량의 특성을 구현하며, 튜브 형상의 특징으로, 리튬과의 반응 시에 작은 부피 변화로 인하여 고용량을 유지하며 사이클 안정성 또한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표면에 음이온을 띠는 박테리아를 배양 후 박테리아의 농도를 탈이온수로 조절하여 박테리아 분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주석 전구체를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주석 전구체 용액을, 상기 1)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20∼30 ℃에서 0.5∼2 시간 동안 스터링(stirring)하여 바실러스 박테리아와 주석 전구체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
3) 하이드라진(N2H4ㆍH2O)을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상기 2)의 용액에 첨가하면서 반응시켜 상기 박테리아 표면에 주석산화물이 고르게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4) 상기 3)의 반응 용액을 원심분리 후 세척하여 석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5) 상기 석출물을 진공 건조하여 박테리아/주석산화물 복합체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6) 상기 수득된 복합체 분말을 350∼500 ℃의 온도 및 수소 분위기 하에서 열화학적 환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석 기반의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음전하를 나타내는 박테리아는 바실러스 섭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박테리아 농도는 자외선 분광계 측정을 통해 600 nm 파장에서 광학 흡광도가 1.0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주석 전구체 용액은 농도가 1∼2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하이드라진 용액은 농도가 10∼10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반응은 20∼30 ℃에서 10∼15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진공 건조는 60∼70 ℃의 온도, 10∼2∼10∼3 torr 압력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의 열화학적 환원은 수소 분위기 하에서 분당 10 ℃의 승온 속도로 400 ℃까지 승온하고, 400 ℃에서 10∼15 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의 박테리아/주석산화물 복합체 분말은 지름이 500∼800 nm이고 길이가 1∼2 ㎛인 박테리아 표면에 2∼5 nm의 주석 산화물 나노 구조체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구조체/비정질 카본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한 것으로, 튜브 형상의 비정질 카본 표면에 다상의 주석 산화물 결정이 부착되어 분포되어 있는 나노복합체.
청구항 제 14 항의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활물질.
청구항 제 14 항의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20054458A 2012-05-22 2012-05-22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KR10134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458A KR101340523B1 (ko) 2012-05-22 2012-05-22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PCT/KR2012/011355 WO2013176363A1 (ko) 2012-05-22 2012-12-24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458A KR101340523B1 (ko) 2012-05-22 2012-05-22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553A KR20130130553A (ko) 2013-12-02
KR101340523B1 true KR101340523B1 (ko) 2013-12-11

Family

ID=4962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458A KR101340523B1 (ko) 2012-05-22 2012-05-22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0523B1 (ko)
WO (1) WO2013176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115B (zh) * 2018-03-02 2020-12-22 华南理工大学 一种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9197992A1 (en) * 2018-04-09 2019-10-17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Bacteria-based catalysts and method of making
US10876093B2 (en) * 2019-04-02 2020-12-29 Acon-Holding Inc. Composite shell particle, biological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shell particle
CN113292064B (zh) * 2021-07-07 2021-09-17 湖南大学 一种钠离子电池负极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786A (ko) * 2008-04-02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n차 계층 구조를 갖는 리튬-전이 금속 복합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전극을 구비한 리튬 전지
KR20100092324A (ko) * 2009-02-12 2010-08-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테리아 및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유ㆍ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319A (ko) * 2004-01-05 2007-02-09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무기 나노와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786A (ko) * 2008-04-02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n차 계층 구조를 갖는 리튬-전이 금속 복합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전극을 구비한 리튬 전지
KR20100092324A (ko) * 2009-02-12 2010-08-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테리아 및 전이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유ㆍ무기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6363A1 (ko) 2013-11-28
KR20130130553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Achieving ultrafast and stable Na-ion storage in FeSe2 nanorods/graphene anodes by controlling the surface oxide
Reddy et al. Template free facile molten synthesis and energy storage studies on MCo2O4 (M= Mg, Mn) as anode for Li-ion batteries
Wang et al. Constructing three-dimensional porous carbon framework embedded with FeSe2 nanoparticles as an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batteries
Idrees et al. Transition metal nitride electrodes as future energy storage devices: A review
Li et al. Controllable synthesis of oxalate and oxalate-derived nanomaterials for applications in electrochemistry
Hameed et al. Lithium storage properties of pristine and (Mg, Cu) codoped ZnFe2O4 nanoparticles
Li et al. In situ sol-gel synthesis of ultrafine ZnO nanocrystals anchored on graphene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KR101103104B1 (ko) 아연안티모나이드-탄소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재료
Wang et al. Carbon coated Fe3O4 hybrid material prepar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KR20100028356A (ko) 전이금속 산화물/다층벽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270503B2 (ja) 遷移金属酸化物ロッドの製造方法、2次電池の製造方法
Durai et al.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BiFeO3 nanoparticles: an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y application
Xu et al. Copper‐based nano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Nayak et al. Urchin-like NiCo2O4 microsphere by hydrothermal route: structural, electrochemical, optical and magnetic properties
Liang et al. High performance g-C3N4@ NiMoO4/CoMoO4 electrode for supercapacitors
Liu et al. Self‐Supported Transition Metal‐Based Nanoarrays for Efficient Energy Storage
Chen et al. Cyanide-metal framework derived porous MoO3-Fe2O3 hybrid micro-octahedrons as superior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Pan et al. Application of transition metal (Ni, Co and Zn) oxides based electrode materials for ion-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Kubr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Pr6O11/Mn3O4 nanocomposites for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s
Santhoshkumar et al. Time-efficient synthesis of MnO2 encapsulated α-Fe2O3 ellipsoids for lithium ion battery applications
Xiao et al. Core-shell N-doped carbon embedded Co3O4 nanoparticles with interconnected and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 as superior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Wei et al. Formation of carbon coated yolk-shelled Fe3O4-CeO2 hollow spheres toward remarkable performance supercapacitors
Fu et al. Co-doped nickel sulfide (NiS2) derived from bimetallic MOF for high-performance asymmetric supercapacitors
KR101340523B1 (ko) 주석 기반 다상 나노 구조체 및 비정질 카본의 나노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Zhang et al. Bead-milling and recrystallization from natural marmatite to Fe-doping ZnS-C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y an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