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896B1 -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896B1
KR101339896B1 KR1020120072242A KR20120072242A KR101339896B1 KR 101339896 B1 KR101339896 B1 KR 101339896B1 KR 1020120072242 A KR1020120072242 A KR 1020120072242A KR 20120072242 A KR20120072242 A KR 20120072242A KR 101339896 B1 KR101339896 B1 KR 10133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lectronic device
micro lens
portable electronic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식
백운호
장기문
Original Assignee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072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센싱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 측에서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The displaying apparatus for a mobile electric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센싱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 측에서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유형의 휴대형 전자기기들(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형 전자기기의 기능개선에 대한 사용자 요구 역시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근래에 이러한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휴대형 전자기기의 충전을 지원할 수 있는 여러 유형의 투명 태양 광 관련기술이 개발되어 큰 각광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공개 제2011-63729호(명칭: Optical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surface of a solar panel)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투명 태양 광 관련기술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앞의 미국공개특허 제2011-63729호에서는 단순히 투명 태양 광 구조물의 전반적인 기술구현내역만을 개시하고 있었을 뿐, 이 투명 태양 광 구조물을 휴대형 전자기기의 구조 내에 실질적으로 어떻게 장착/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생산자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구조물의 장점을 십분 인식하면서도, 이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미국특허공개 제2011-63729호(명칭: Optical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surface of a solar pane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센싱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 측에서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과;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 패널과;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센싱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과; 태양전지 유닛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과;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과; 태양전지 유닛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배면에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이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 및 태양전지 패널의 계면에는 상기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과 상기 태양전지 유닛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 레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과;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과; 태양전지 유닛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커버한 상태에서,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구비하는 센싱 레이어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센싱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전혀 겪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을 뒤집어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도 9를 뒤집어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17)과, X좌표용 센싱패턴들(16a)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16b)을 구비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17)의 하부에 배치되는 ITO 재질의 센싱 패널(16)과, 마이크로 렌즈(도시 안됨)를 구비한 상태에서, 센싱 패널(16)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14)과, 태양전지 유닛(도시 안됨)을 구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널(14)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13)과, 태양전지 패널(13)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11)(예컨대, LCD 패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 패널(16)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14) 사이의 계면에는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시트형 접합테이프(15)가 추가로 배치되며, 태양전지 패널(13) 및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11) 사이의 계면에도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12)가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 마이크로 렌즈 패널(14)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측에서는 태양광을 굴절시키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사용자가 태양전지 패널(13)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시야 각도에 따라, 일련의 투명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태양전지 패널(13)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유닛 측에서는 태양광을 수신한 후, 해당 태양광에 상응하는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휴대형 전자기기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자신의 충전량을 보다 극대화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이러한, 마이크로 렌즈 및 태양전지 유닛의 세부적인 역할 수행은 상술한 미국특허공개 제2011-63729호에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의 센싱 패널(16)에 구비된 X좌표용 센싱패턴(1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16b)들은 서로 반대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예를 들어, X좌표용 센싱패턴(16a)들이 가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할 경우, Y좌표용 센싱패턴(16b)들은 세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센싱 패널(16)에 구비된 X좌표용 센싱패턴(16a)들은 전기연결 패턴(도시 안됨)을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17)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16a)들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을 이루면서, 센싱 패널(16) 내에 추가 배열되는 Y좌표용 센싱패턴(16b)들은 전기연결 패턴을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17)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16a)들과의 연계 하에,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센싱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전혀 겪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27)과, 마이크로 렌즈(도시 안됨)를 구비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27)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24)과, 태양전지 유닛(도시 안됨)을 구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널(24)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23)과, 태양전지 패널(23)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21)(예컨대, LCD 패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윈도우 패널(2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24) 사이의 계면에는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시트형 접합테이프(25)가 추가로 배치되며, 태양전지 패널(23) 및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21) 사이의 계면에도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22)가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에도, 마이크로 렌즈 패널(24)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측에서는 태양광을 굴절시키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사용자가 태양전지 패널(23)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시야 각도에 따라, 일련의 투명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태양전지 패널(23)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유닛 측에서는 태양광을 수신한 후, 해당 태양광에 상응하는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휴대형 전자기기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자신의 충전량을 보다 극대화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을 마이크로 렌즈 패널(24)의 배면에 추가 형성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이 경우, 상술한 센싱 패널은 그 배치가 자연스럽게 생략된다).
이때에도, 앞의 마이크로 렌즈 패널(24)에 구비된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은 서로 반대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예를 들어,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이 가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할 경우,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은 세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은 전기연결 패턴(도시 안됨)을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27)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을 이루는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은 전기연결 패턴을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27)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과의 연계 하에,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전혀 겪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을 마이크로 렌즈 패널(24)의 배면에 형성시키기 때문에, 만약,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할 경우,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 그리고 이의 하부에 배치된 태양전지 패널(23) 측 태양전지 유닛 사이에 예측하지 못한 전기적인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24) 및 태양전지 패널(23)의 계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2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26b)들과 태양전지 유닛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 레이어(28)를 추가 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함으로써(이 경우, 절연 레이어(28)는 증착 기법, 프린트 기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장치(20)가 상술한 구조변화 하에서도 별다른 전기적인 충돌 없이 정상적인 기능을 정상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37)과, 마이크로 렌즈(도시 안됨)를 구비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37)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34)과, 태양전지 유닛(도시 안됨)을 구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널(34)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33)과, 태양전지 패널(33)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31)(예컨대, LCD 패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윈도우 패널(3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34) 사이의 계면에는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시트형 접합테이프(35)가 추가로 배치되며, 태양전지 패널(33) 및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31) 사이의 계면에도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32)가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에도, 마이크로 렌즈 패널(34)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측에서는 태양광을 굴절시키는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사용자가 태양전지 패널(33)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시야 각도에 따라, 일련의 투명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태양전지 패널(33)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유닛 측에서는 태양광을 수신한 후, 해당 태양광에 상응하는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휴대형 전자기기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자신의 충전량을 보다 극대화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는 태양전지 패널(33)의 전면에 이를 커버하는 센싱 레이어(38)를 추가로 신규 배치한 다음(이 경우, 센싱 레이어(38)는 증착 기법, 프린트 기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센싱 레이어(38) 상에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을 추가 형성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이 경우에도, 상술한 센싱 패널은 그 배치가 자연스럽게 생략된다).
이때에도, 앞의 센싱 레이어(38)에 구비된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은 서로 반대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예를 들어,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이 가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할 경우,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은 세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
여기서,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은 전기연결 패턴(도시 안됨)을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37)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을 이루는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은 전기연결 패턴을 통해,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37)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과의 연계 하에,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내에 일련의 터치 센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들(예컨대, 윈도우 패널, X좌표용 센싱패턴, Y좌표용 센싱패턴 등)을 투명 태양 광 구조물과 연계시켜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배치 하에서도 사용자 터치에 의한 기능 구동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 측에서는 투명 태양 광 필름의 장착/활용에 기인한 어려움을 전혀 겪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는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을 태양전지 패널(33)의 상부에 형성시키기 때문에, 만약,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할 경우,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 그리고 이의 하부에 배치된 태양전지 패널(33) 측 태양전지 유닛 사이에 예측하지 못한 전기적인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센싱 레이어(38)의 재질을 <X좌표용 센싱패턴(3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36b)들과 태양전지 유닛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절연성 물질>로 채택함으로써, 장치(30)가 상술한 구조변화 하에서도 별다른 전기적인 충돌 없이 정상적인 기능을 정상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47)과, X좌표용 센싱패턴들(46a)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6b)을 구비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47)의 하부에 배치되는 ITO 재질의 센싱 패널(46)과, 마이크로 렌즈(도시 안됨)를 구비한 상태에서, 센싱 패널(46)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44)과, 태양전지 유닛(도시 안됨)을 구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널(44)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43)과, 태양전지 패널(43)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41)(예컨대, LCD 패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태양전지 패널(43) 및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41) 사이의 계면에는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42)가 추가로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는 센싱 패널(46)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44)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매개물로, 상술한 시트형 접합테이프 대신에, 조각형 접합테이프(45)를 대체 활용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조각형 접합테이프(45)의 조각 형상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이처럼 센싱 패널(46)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44)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매개물이 앞의 시트형 접합테이프에서 조각형 접합테이프(45)로 유연하게 바뀌게 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패널(46)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44)의 중간에는 일련의 갭(G)이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어쩌면 당연하게도, 센싱 패널(46)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44)의 중간에 일련의 갭(G)이 자연스럽게 정의된 상황 하에서, 센싱 패널(46) 측에서는 자신의 하부에 놓인 마이크로 렌즈 패널(44)을 불필요하게 누르지 않게 되며, 결국, 마이크로 렌즈 패널(44) 측에서는 자신의 상부에 센싱 패널(46)이 놓여 있다 하더라도, 이 센싱 패널(46)에 의해 자가 마이크로 렌즈가 손상되는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57)과, 마이크로 렌즈(도시 안됨)를 구비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57)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54)과, 태양전지 유닛(도시 안됨)을 구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53)과, 태양전지 패널(53)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51)(예컨대, LCD 패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면부호 58은 절연 레이어를 의미한다). 이 경우에도, 태양전지 패널(53) 및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51) 사이의 계면에는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52)가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에도, X좌표용 센싱패턴(5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56b)들은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의 배면에 추가 형성되어, 사용자 측 터치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등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등을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윈도우 패널(5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매개물로, 상술한 시트형 접합테이프 대신에, 조각형 접합테이프(55)를 대체 활용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조각형 접합테이프(55)의 조각 형상 역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이처럼 윈도우 패널(5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매개물이 앞의 시트형 접합테이프에서 조각형 접합테이프(55)로 유연하게 바뀌게 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패널(5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의 중간에는 일련의 갭(G)이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어쩌면 당연하게도, 윈도우 패널(5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의 중간에 일련의 갭(G)이 자연스럽게 정의된 상황 하에서, 윈도우 패널(57) 측에서는 자신의 하부에 놓인 마이크로 렌즈 패널(54)을 불필요하게 누르지 않게 되며, 결국, 마이크로 렌즈 패널(54) 측에서는 자신의 상부에 윈도우 패널(57)이 놓여 있다 하더라도, 이 윈도우 패널(57)에 의해 자가 마이크로 렌즈가 손상되는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67)과, 마이크로 렌즈(도시 안됨)를 구비한 상태에서, 윈도우 패널(67)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64)과, 태양전지 유닛(도시 안됨)을 구비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렌즈 패널(64)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63)과, 태양전지 패널(63)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61)(예컨대, LCD 패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태양전지 패널(63) 및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61) 사이의 계면에는 이들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양면테이프(62)가 추가로 배치된다.
이때에도, X좌표용 센싱패턴(66a)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66b)들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센싱 레이어(68)에 추가 형성되어, 사용자 측 터치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등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등을 휴대형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휴대형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윈도우 패널(6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64)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매개물로, 상술한 시트형 접합테이프 대신에, 조각형 접합테이프(65)를 대체 활용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조각형 접합테이프(65)의 조각 형상 역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이처럼 윈도우 패널(6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64)을 일체로 접합시키기 위한 매개물이 앞의 시트형 접합테이프에서 조각형 접합테이프(65)로 유연하게 바뀌게 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패널(6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64)의 중간에는 일련의 갭(G)이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어쩌면 당연하게도, 윈도우 패널(67)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64)의 중간에 일련의 갭(G)이 자연스럽게 정의된 상황 하에서, 윈도우 패널(67) 측에서는 자신의 하부에 놓인 마이크로 렌즈 패널(64)을 불필요하게 누르지 않게 되며, 결국, 마이크로 렌즈 패널(64) 측에서는 자신의 상부에 윈도우 패널(67)이 놓여 있다 하더라도, 이 윈도우 패널(67)에 의해 자가 마이크로 렌즈가 손상되는 피해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구조물의 시각적 노출 강화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20,30,40,50,60: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11,21,31,41,51,61: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
12,22,32,42,52,62: 양면테이프
13,23,33,43,53,63: 태양전지 패널
14,24,34,44,54,64: 마이크로 렌즈 패널
15,25,35: 시트형 접합테이프 16,46: 센싱 패널
16a,26a,36a,46a,56a,66a: X좌표용 센싱패턴
16b,26b,36b,46b,56b,66b: Y좌표용 센싱패턴
17,27,37,47,57,67: 윈도우 패널 28,58: 절연 레이어
38,68: 센싱 레이어 45,55,65: 조각형 접합테이프

Claims (6)

  1.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과;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 패널과;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센싱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과;
    태양전지 유닛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계면에는 해당 센싱 패널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을 접합시키기 위한 시트형 접합테이프 또는 조각형 접합테이프가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3.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과;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과;
    태양전지 유닛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배면에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이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 및 태양전지 패널의 계면에는 상기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과 상기 태양전지 유닛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절연 레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4. 휴대형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패널과;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 패널과;
    태양전지 유닛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태양전지 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커버한 상태에서,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구비하는 센싱 레이어와;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정보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패널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의 계면에는 해당 윈도우 패널 및 마이크로 렌즈 패널을 접합시키기 위한 시트형 접합테이프 또는 조각형 접합테이프가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레이어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72242A 2012-07-03 2012-07-03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42A KR101339896B1 (ko) 2012-07-03 2012-07-03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42A KR101339896B1 (ko) 2012-07-03 2012-07-03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896B1 true KR101339896B1 (ko) 2013-12-10

Family

ID=4998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242A KR101339896B1 (ko) 2012-07-03 2012-07-03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55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628A (ja) 2000-08-08 2002-02-20 Tdk Corp 携帯用小型電子装置
KR20080095857A (ko) * 2006-01-26 2008-10-2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태양 판넬의 표면 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학시스템
KR20100130469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20016950A (ko) * 2010-08-17 2012-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채용한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628A (ja) 2000-08-08 2002-02-20 Tdk Corp 携帯用小型電子装置
KR20080095857A (ko) * 2006-01-26 2008-10-2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태양 판넬의 표면 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학시스템
KR20100130469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120016950A (ko) * 2010-08-17 2012-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채용한 터치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55A (ko) * 2014-04-15 2015-10-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894B1 (ko) * 2014-04-15 2021-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50747U (zh) 触摸输入装置
KR101284496B1 (ko) 투명 전자 디바이스
JP2016201113A (ja) 圧力検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スマートフォン
CN101387772B (zh) 触控显示面板、显示器和手机
CN203894720U (zh) 触控装置
CN105353923A (zh) 一种压力感应触摸屏和电子触摸震动设备
CN105511669A (zh) 一种具有压力检测功能的触控屏及电子设备
CN103885235A (zh) 具触控功能的偏光结构
TW200846997A (en) A single layer of touch sensor structure and a touch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N106547391B (zh) 具有压力感测的显示装置
JP2006259815A (ja) タッチパネル
US20140176501A1 (en) Non-touch control system
CN106055155A (zh) 集成压力感应显示面板和电子设备
JP2007233513A (ja) タッチパネル
JP3182382U (ja) タッチ機能を有する偏光構造
CN104063087A (zh) 触控模块与电子装置
KR10133989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08139A (zh)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TW200913635A (en) Touch-control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same
CN103885649A (zh) 触控模组
TWI488102B (zh) 電容式觸控螢幕
KR10075970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1187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0373402C (zh) 触控式面板及使用该面板的显示系统与电子装置
CN205121514U (zh) 触控显示屏结构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