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642B1 -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642B1
KR101339642B1 KR1020130103147A KR20130103147A KR101339642B1 KR 101339642 B1 KR101339642 B1 KR 101339642B1 KR 1020130103147 A KR1020130103147 A KR 1020130103147A KR 20130103147 A KR20130103147 A KR 20130103147A KR 101339642 B1 KR101339642 B1 KR 10133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installing
coupled
trampoline
perio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인
Original Assignee
주광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이엔씨(주) filed Critical 주광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3010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반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를 만드는 단계와, (b) 기초의 표면 일측에 다수개의 앙카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단계와, (c) 일단이 앙카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제1주기둥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제1주기둥은 기초의 표면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줄로 설치되는 단계와, (d) 일단이 앙카에 고정되도록 제2주기둥이 설치되되, 제2주기둥은 제1주기둥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주기둥이 설치된 곳에 이웃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는 단계와, (e) 빔 형상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이 제1주기둥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1주기둥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제1세로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f) 제1세로보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이 제2주기둥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2주기둥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세로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g) 제1세로보와 같은 형상으로 일단이 제1세로보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세로보의 일단에 결합되는 경사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h)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제1주기둥 또는 제2주기둥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가로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i) 트러스 형상의 보강재가 제1세로보, 제2세로보, 경사보의 하면에 제1주기둥과 제2주기둥에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설치되는 단계와, (j) 빔 형상으로 일단이 제2세로보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세로보와 마주보게 설치된 제2세로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바닥가로보가 다수개 설치되고, 바닥가로보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이 설치되는 단계와, (k)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지지대 위에 판 형상의 통행판이 설치되고, 통행판과 대기판의 외측에 휀스가 설치되는 단계 및 (l) 양측면에 탄성부재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매트가 경사보와 제1세로보 사이에 설치되도록 탄성부재가 경사보와 제1세로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The establishment method of a trampolin }
본 발명은 사용자가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텀블링이라고도 불리우는 트램펄린은 캔버스 천 위에서 퉁퉁 튀어 오르면서 타는 점핑 운동기구로서, 본디 체조선수들이 운동 전후 회전이나 착지기술을 익히기 위해 사용하던 기구이다. 그러나 트램펄린은 운동과 동시에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에 비해 경제적인 헬스 및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인 트램펄린은 강철 프레임 안에 스프링으로 연결한 특수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용한 도약용 운동기구로서 운동량도 상당히 많아서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트램펄린은 대부분 실내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설치를 하더라도 소규모로 설치되어 다수의 어린이 등이 한꺼번에 사용할 수 없어 서로 장난을 치는 등의 재미난 행위를 하기가 쉽지 않다. 즉, 사용자들은 좁은 공간에서 단순히 뛰어오르는 동작만 반복적으로 함으로 사용자들이 금방 실증을 내는 경우가 있고, 공간이 좁아 뛰다가 서로 부딪처 부상을 당할 염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많아지면 줄을 서서 기달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막상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즐길수 있는 시간이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3-000020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경사가 있고, 대기실(휴게실)이 설치되어 있는 대형 사이즈의 트램펄린을 설치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한꺼번에 사용하되 단순히 뜀만 뛰는 것이 아니라 서로 장난을 치며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고, 간간히 휴식을 취할 수 있게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사용자가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반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를 만드는 단계와, (b) 기초의 표면 일측에 다수개의 앙카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단계와, (c) 일단이 앙카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제1주기둥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제1주기둥은 기초의 표면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줄로 설치되는 단계와, (d) 일단이 앙카에 고정되도록 제2주기둥이 설치되되, 제2주기둥은 제1주기둥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주기둥이 설치된 곳에 이웃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는 단계와, (e) 빔 형상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이 제1주기둥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1주기둥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지지대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제1세로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f) 제1세로보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이 제2주기둥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2주기둥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세로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g) 제1세로보와 같은 형상으로 일단이 제1세로보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세로보의 일단에 결합되는 경사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h)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제1주기둥 또는 제2주기둥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가로보가 설치되는 단계와, (i) 트러스 형상의 보강재가 제1세로보, 제2세로보, 경사보의 하면에 제1주기둥과 제2주기둥에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설치되는 단계와, (j) 빔 형상으로 일단이 제2세로보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세로보와 마주보게 설치된 제2세로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바닥가로보가 다수개 설치되고, 바닥가로보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이 설치되는 단계와, (k)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지지대 위에 판 형상의 통행판이 설치되고, 통행판과 대기판의 외측에 휀스가 설치되는 단계 및 (l) 양측면에 탄성부재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매트가 경사보와 제1세로보 사이에 설치되도록 탄성부재가 경사보와 제1세로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길이가 긴 대형사이즈의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공법은 대형 사이즈의 트램펄린이 안전하게 설치되도록하여 다수의 어린이 등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트램펄린의 한쪽 또는 양쪽 끝단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 즉, 어린이 등이 다양한 난이도로 즐기수 있다. 또한, 트램펄린의 양 끝단 또는 일단에 대기판(대기공간, 휴게공간)이 설치되어 있어 운동중 기구 아래로 내려가 쉬었다 다시 올라오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운동 중인 사람과 대기하는 사람과의 부딪침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하다.
도1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는 지반위에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기초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3은 기초 위에 앙카와 베이스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4는 기초 위에 제1주기둥과 제1세로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5는 기초 위에 제2주기둥, 제2세로보, 경사보, 가로보, 바닥가로보, 바닥보조보, 대기판, 보강재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6은 기초 위에 제1주기둥, 경사보, 가로보, 받침판, 통행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7은 통형판 외측에 출입계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8은 경사보와 제1세로보 사이에 안전망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9는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에 의하여 완성된 트램펄린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1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측면도이다.
도11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1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1주기둥과 제2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측면도이다.
도13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2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 내지 도9는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에 의하여 시공되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1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측면도이고, 도11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1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1주기둥과 제2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측면도이고, 도13은 본원발명인 트램펄린의 제2주기둥이 설치된 곳의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은 트램펄린(10)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반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100)를 만드는 단계와, (b) 기초(100)의 표면 일측에 다수개의 앙카(200)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단계와, (c) 일단이 앙카(200)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제1주기둥(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제1주기둥(300)은 기초(100)의 표면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줄로 설치되는 단계와, (d) 일단이 앙카(200)에 고정되도록 제2주기둥(350)이 설치되되, 제2주기둥(350)은 제1주기둥(300)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주기둥(300)이 설치된 곳에 이웃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는 단계와, (e) 빔 형상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4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이 제1주기둥(300)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1주기둥(30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지지대(450)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제1세로보(400)가 설치되는 단계와, (f) 제1세로보(400)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이 제2주기둥(350)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2주기둥(35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세로보(410)가 설치되는 단계와, (g) 제1세로보(400)와 같은 형상으로 일단이 제1세로보(40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세로보(4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경사보(420)가 설치되는 단계와, (h)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제1주기둥(300) 또는 제2주기둥(35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가로보(430)가 설치되는 단계와, (i) 트러스 형상의 보강재(440)가 제1세로보(400), 제2세로보(410), 경사보(420)의 하면에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에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설치되는 단계와, (j) 빔 형상으로 일단이 제2세로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세로보(410)와 마주보게 설치된 제2세로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바닥가로보(500)가 다수개 설치되고, 바닥가로보(500)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550)이 설치되는 단계와, (k)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지지대(450) 위에 판 형상의 통행판(600)이 설치되고, 통행판(600)과 대기판(550)의 외측에 휀스(650)가 설치되는 단계 및 (l) 양측면에 탄성부재(710)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매트(700)가 경사보(420)와 제1세로보(400) 사이에 설치되도록 탄성부재(710)가 경사보(420)와 제1세로보(40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트램펄린(10)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a)단계 내지 (l)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공법으로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다양한 난이도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트램펄린(10)을 설치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텀블링이라고도 불리우는 트램펄린은 캔버스 천 위에서 퉁퉁 튀어 오르면서 타는 점핑 운동기구로서, 본디 체조선수들이 운동 전후 회전이나 착지기술을 익히기 위해 사용하던 기구이다. 그러나 트램펄린은 운동과 동시에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에 비해 경제적인 헬스 및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인 트램펄린은 강철 프레임 안에 스프링으로 연결한 특수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용한 도약용 운동기구로서 운동량도 상당히 많아서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트램펄린은 대부분 실내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설치를 하더라도 소규모로 설치되어 다수의 어린이 등이 한꺼번에 사용할 수 없어 서로 장난을 치는 등의 재미난 행위를 하기가 쉽지 않다. 즉, 사용자들은 좁은 공간에서 단순히 뛰어오르는 동작만 반복적으로 함으로 사용자들이 금방 실증을 내는 경우가 있고, 공간이 좁아 뛰다가 서로 부딪처 부상을 당할 염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많아지면 줄을 서서 기달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막상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즐길수 있는 시간이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경사가 있고, 대기실(휴게실)이 설치되어 있는 대형 사이즈의 트램펄린을 설치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한꺼번에 사용하되 단순히 뜀만 뛰는 것이 아니라 서로 장난을 치며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고, 간간히 휴식을 취할 수 있게하는 트램펄린(10)의 설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원발명은 길이가 긴 대형사이즈인 트램펄린(10)의 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공법은 대형 사이즈의 트램펄린(10)이 안전하게 설치되도록하여 다수의 어린이 등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트램펄린(10)의 한쪽 또는 양쪽 끝단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 즉, 어린이 등이 다양한 난이도로 즐기수 있다. 또한, 트램펄린의 양 끝단 또는 일단에 대기판(대기공간, 휴게공간)이 설치되어 있어 운동중 기구 아래로 내려가 쉬었다 다시 올라오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운동 중인 사람과 대기하는 사람과의 부딪침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하다.
(a)단계는 지반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100)를 만드는 단계이다. (a)단계는 트램펄린(10)이 설치될 장소에 부등침하 등의 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트램펄린(10)에 불의의 데미지를 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초(100)를 만드는 단계이다. 또한 기초(100)는 균질한 표면을 제공하고 있어 트램펄린(10)의 설치가 용이하다. 기초(100)는 트램펄린(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m~10m정도의 길이로 설치된다. 여기서 기초(10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든다고 하였으나 기초 역할을 할 수 있는 재료면 어떠한 재료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b)단계는 기초(100)의 표면 일측에 다수개의 앙카(200)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단계이다. (b)단계는 기초(100) 표면에 앙카(200)를 설치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이 용이하게 설치되게 하기 위한 단계이다. 앙카(200)는 기초(100) 표면에 4개를 한쌍으로 하여 3.5m 내지 5m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앙카(200)가 케미칼앙카인 경우 앙카(200)가 설치되고 후에 볼트가 사용되어 마무리 된다. 앙카(2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형태의 앙카가 사요용될 수 있다.(b)단계에서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사각형의 베이스판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c)단계는 일단이 앙카(200)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제1주기둥(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제1주기둥(300)은 기초(100)의 표면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줄로 설치되는 단계이다. (c)단계는 제1주기둥(300)이 설치되는 단계로서 일단이 기초(100)에 설치된 앙카(20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세워지는 단계이다. 제1주기둥(300)은 트램펄린(10)의 뼈대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트램펄린(10)에서 운동시 그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1주기둥(300)은 양단부위에 각 부재와 결합을 위하여 접합판과 볼트 구멍이 생성되어 있는 강관형태의 부재로서 각 부재와 볼트 조립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주기둥(300)의 볼트 구멍에 앙카(200)가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1주기둥(300)과 앙카(200)가 결합된다. 제1주기둥(300)은 기초(100) 위에 2줄로 앙카(200)가 설치된 간격으로 설치된다.
(d)단계는 일단이 앙카(200)에 고정되도록 제2주기둥(350)이 설치되되, 제2주기둥(350)은 제1주기둥(300)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주기둥(300)이 설치된 곳에 이웃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d)단계는 제1주기둥(300)과 같이 일단이 앙카(20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세워지는 단계이다. 제2주기둥(350)은 트램펄린(10)의 뼈대역할을 하는데 주로 사용자가 대기하고 있는 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제2주기둥(350)은 제1주기둥(300)과 같은 형상으로 단지 제1주기둥(300)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2줄로 다수개가 설치된 제1주기둥(300)의 양 끝단 또는 일단으로부터 이웃하여 제1주기둥(300)과 같이 2줄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주기둥(350)은 제1주기둥(300)보다 크게 설치되어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은 일정높이의 단차가 생긴다. 제2주기둥(350)과 제1주기둥(300)의 크기 차이는 설치되는 트램펄린(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m 내지 3m 정도의 차이가 적당하다.
(e),(f),(g)단계는 트램펄린(10)의 하중을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에 분배시켜 트램펄린(10)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세로보(400), 제2세로보(410)와 경사보(420)는 빔에 다수의 지지대(450)가 결합되어 있는 동일한 형상(H빔, I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단지 설명을 위해서 달리 명칭된 것이다. 지지대(450)는 하중의 분배를 위해서 경사대(46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경사대(460)는 일단이 지지대(450) 하면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주기둥 또는 제2주기둥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e)단계는 빔 형상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4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이 제1주기둥(300)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1주기둥(30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지지대(450)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제1세로보(40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e)단계는 제1세로보(400)가 마주보고 2줄로 세워진 제1주기둥(300)의 세워진 방향을 따라 2줄로 설치되는 단계이다. 즉, 제1세로보(400)는 다수의 지지대(450)가 외측방향(2줄의 제1주기둥(300) 사이를 내측방향으로 정함)을 향하도록 제1주기둥(30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에 맞게 다수개가 조립되어 질 수 있다. 제1주기둥(300)과 제1세로보(400)는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볼트가 사용되어 결합된다.
(f)단계는 제1세로보(400)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이 제2주기둥(350)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제2주기둥(35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세로보(41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f)단계는 제2세로보(410)가 마주보고 2줄로 세워진 제2주기둥(350)의 세워진 방향을 따라 2줄로 설치되는 단계이다. 제2주기둥(350)과 제2세로보(410)는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볼트가 사용되어 결합된다.
(g)단계는 제1세로보(400)와 같은 형상으로 일단이 제1세로보(40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세로보(4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경사보(42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g)단계는 단차져 있는 제1세로보(400)와 제2세로보(410)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g)단계는 경사보(420)의 안전성을 위해 제1주기둥(300)과 같은 형상으로 제1주기둥(300)보다 크고 제2주기둥(350)보다 작은 보조기둥을 경사보(420) 하면에 설치할 수 있다. 보조기둥은 경사보(4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기초(100)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는 설치되는 장소를 계산하여 조정된다. 즉,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의 단차와 보조기둥이 설치되는 위치를 계산하여 보조기둥의 길이가 조정된다. 보조기둥은 제1주기둥(300)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h)단계는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제1주기둥(300) 또는 제2주기둥(35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가로보(43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h)단계는 구조물의 하중이 편중되게 가해질 때 가해진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가로보(430)를 2줄로 설치된 제1주기둥(300) 또는 제2주기둥(35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단계이다. 즉, 가로보(430)는 양단이 마주보고 서 있는 제1주기둥(또는 제2기둥)에 각각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가로보(430)는 하중을 분산시켜 줄 수 있는 부재면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h)단계는 현장상황에 따라 (e),(f),(g)단계보다 먼저 시공되어 질 수 있다.
(i)단계는 트러스 형상의 보강재(440)가 제1세로보(400), 제2세로보(410), 경사보(420)의 하면에 제1주기둥(300)과 제2주기둥(350)에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설치되는 단계이다. (i)단계는 구조물의 강성을 높이고 하중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트러스 형상의 보강재(440)가 결합되는 단계이다. 보강재(440)는 상면이 제1세로보(400)의 하면에 결합되고 양단이 세워진 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된 제1주기둥(300)에 각각 결합되고, 상면이 제2세로보(410)의 하면에 결합되고 양단이 세워진 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된 제2주기둥(350)에 각각 결합되고, 상면이 경사보(420)의 하면에 결합되고 일단이 제1주기둥(3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주기둥(35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각각 제1세로보(400)와 제2세로보(410), 경사보(420)의 하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보강재(440)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트러스 형상으로 되어 있고 소요되는 역할(하중분배, 소요되는 강도)을 만족하면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j),(k)단계는 트램펄린(10)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통행하거나 대기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만드는 단계이다.
(j)단계는 빔 형상으로 일단이 제2세로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세로보(410)와 마주보게 설치된 제2세로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바닥가로보(500)가 다수개 설치되고, 바닥가로보(500)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550)이 설치되는 단계이다.
바닥가로보(500)는 제2세로보(4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기판(5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대기판(550)은 판 형상의 부재로 사용자가 트램펄린(10)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부재이다. 즉, 대기판(550)은 사용자가 매트(700)로 뛰어 들기 전에 대기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을 만드는 부재이다. 바닥가로보(500)와 대기판(55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j)단계에서 바닥가로보(500) 사이에 막대부재가 서로 교차연결하여 구성된 바닥보조보(510)가 설치되고 바닥가로보(500)와 바닥보조보(510)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550)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보조보(510)는 그물모양의 형태로 되어 있어 바닥가로보(500) 사이에 설치되되 양단은 제2세로보(41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대기판(550)은 바닥가로보(500) 또는 바닥보조보(510)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용접 또는 볼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k)단계는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지지대(450) 위에 판 형상의 통행판(600)이 설치되고, 통행판(600)과 대기판(550)의 외측에 휀스(65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통행판(600)은 제1세로보(400), 제2세로보(410), 경사보(4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45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용접 또는 볼트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통행판(600) 위에 인조잔디를 설치하여 통행판(600)의 사용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통행판(600)은 사용자가 트램펄린(10)에서 이동시 이용하는 판으로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휀스(65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일정높이 1m 내지 2m로 설치된다. 휀스(650)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조가 사용된다.
또한, (k)단계에서 통행판(600) 외측 일측에 휀스(650)가 간섭되지 않도록 출입계단(8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입계단은 트램펄린(10)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올라가는 계단이다.
본원발명은 (k)단계 후에 양측면이 보강재(44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보강재(440) 사이에 안전망(900)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전망(900)은 트램펄린(10)이 높게 설치된 구조물로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이다. 안전망(9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l)단계는 양측면에 탄성부재(710)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매트(700)가 경사보(420)와 제1세로보(400) 사이에 설치되도록 탄성부재(710)가 경사보(420)와 제1세로보(40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단계이다. (l)단계는 트램펄린(10)의 핵심적인 요소로 사용자가 뜀을 뛰는 등 다양한 놀이를 하는 곳으로 2줄로 설치된 경사보(420)와 제1세로보(400) 사이에 설치되는 단계이다. 매트는 고탄성이 있는 재료로 양측면에 강철원형고리를 삽입하여 재단되고 상기 강철원형고리에 강철스프링이 결합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보(420)와 제1세로보(400)의 모서리에 원형고리를 용접한 후 여기에 매트의 강철스프링이 연결되는 방법으로 매트가 설치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램펄린의 설치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트램펄린
100 : 기초
200 : 앙카
300 : 제1주기둥 350 : 제2주기둥
400 : 제1세로보 410 : 제2세로보
420 : 경사보 430 : 가로보
440 : 보강재 450 : 지지대
460 : 경사대
500 : 바닥가로보 510 : 바닥보조보
550 : 대기판
600 : 통행판 650 : 휀스
700 : 매트 710 : 탄성부재
800 : 출입계단
900 : 안전망

Claims (5)

  1. 사용자가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을 할 수 있는 트램펄린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지반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100)를 만드는 단계;
    (b) 상기 기초(100)의 표면 일측에 다수개의 앙카(200)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단계;
    (c) 일단이 상기 앙카(200)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제1주기둥(300)이 설치되되, 다수개의 상기 제1주기둥(300)은 상기 기초(100)의 표면 위에 일정간격을 두고 2줄로 설치되는 단계;
    (d) 일단이 상기 앙카(200)에 고정되도록 제2주기둥(350)이 설치되되, 상기 제2주기둥(350)은 상기 제1주기둥(300)보다 일정높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주기둥(300)이 설치된 곳에 이웃하여 다수개가 설치되는 단계;
    (e) 빔 형상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지지대(4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이 상기 제1주기둥(300)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주기둥(30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지지대(450)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제1세로보(400)가 설치되는 단계;
    (f) 상기 제1세로보(400)와 같은 형상으로 하면이 상기 제2주기둥(350)이 설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주기둥(35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세로보(410)가 설치되는 단계;
    (g) 상기 제1세로보(400)와 같은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세로보(40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세로보(4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경사보(420)가 설치되는 단계;
    (h) 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 상기 제1주기둥(300) 또는 상기 제2주기둥(35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가로보(430)가 설치되는 단계;
    (i) 트러스 형상의 보강재(440)가 상기 제1세로보(400), 상기 제2세로보(410), 상기 경사보(420)의 하면에 상기 제1주기둥(300)과 상기 제2주기둥(350)에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설치되는 단계;
    (j) 빔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2세로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세로보(410)와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제2세로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바닥가로보(500)가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바닥가로보(500)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550)이 설치되는 단계;
    (k)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450) 위에 판 형상의 통행판(600)이 설치되고, 상기 통행판(600)과 상기 대기판(550)의 외측에 휀스(650)가 설치되는 단계; 및
    (l) 양측면에 탄성부재(710)가 다수개 결합되어 있는 매트(700)가 상기 경사보(420)와 상기 제1세로보(400) 사이에 설치되도록 상기 탄성부재(710)가 상기 경사보(420)와 상기 제1세로보(40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j)단계에서 상기 바닥가로보(500) 사이에 막대부재가 서로 교차연결하여 구성된 바닥보조보(510)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가로보(500)와 상기 바닥보조보(510) 위에 판 형상의 대기판(550)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단계에서 상기 통행판(600) 외측 일측에 상기 휀스(650)가 간섭되지 않도록 출입계단(8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단계에서 상기 통행판(600) 위에 인조잔디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단계 후에 양측면이 상기 보강재(44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보강재(440) 사이에 안전망(900)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KR1020130103147A 2013-08-29 2013-08-29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KR10133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47A KR101339642B1 (ko) 2013-08-29 2013-08-29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47A KR101339642B1 (ko) 2013-08-29 2013-08-29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642B1 true KR101339642B1 (ko) 2013-12-09

Family

ID=4998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47A KR101339642B1 (ko) 2013-08-29 2013-08-29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269A1 (en) * 2018-04-25 2019-10-31 Robovision Limited Play apparatus
CN112458873A (zh) * 2020-04-03 2021-03-09 吕世宽 一种防高填土路基桥头跳车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204A (ko) * 2011-06-22 2013-01-02 전호연 룸 설치형 프레임 방식 어린이 놀이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204A (ko) * 2011-06-22 2013-01-02 전호연 룸 설치형 프레임 방식 어린이 놀이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269A1 (en) * 2018-04-25 2019-10-31 Robovision Limited Play apparatus
EP3900799A1 (en) * 2018-04-25 2021-10-27 Robovision Limited Trampoline with a multiplane bounce area
US11806598B2 (en) 2018-04-25 2023-11-07 Robovision Limited Safety barrier for play apparatus
CN112458873A (zh) * 2020-04-03 2021-03-09 吕世宽 一种防高填土路基桥头跳车结构
CN112458873B (zh) * 2020-04-03 2022-07-15 吕世宽 一种防高填土路基桥头跳车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8511A1 (en) Climb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AU2015296883A1 (en) Support system and structure supported thereby
KR101526279B1 (ko) 모험 시설용 발판
CA2291919C (en) Recreation deck with central load bearing member
KR101339642B1 (ko) 트램펄린의 설치공법
WO2012157812A1 (ko)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JP7153389B2 (ja) ネット遊具
US20130190137A1 (en) Children's Playground with Trampoline
KR101232865B1 (ko) 운동기구의 지지대
US6302824B1 (en) Playground appliance
US4251069A (en) Child recreation structure
US20180296931A1 (en) Adventure Park
KR200426581Y1 (ko) 스카이 챌린지 타워 시설물
JP2001161880A (ja) 吊り下げ手段を備えたネット状の遊具
CN212308729U (zh) 一种水上蹦床
KR101623191B1 (ko) 어린이놀이시설 및 체육기구용 기초 보강 지주
RU106552U1 (ru)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US20030096684A1 (en) Structure for practicing the acrobatic and ludic form of sport
KR200371027Y1 (ko) 조합놀이대
IT201900005162A1 (it) Campo polivalente recintato, nonché metodo e kit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JP2000116959A (ja) コンクリート製遊具
JPH0591750U (ja) 球技用フレーム構造物
IT201900005166A1 (it) Campo polivalente recintato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KR20160046629A (ko) 인도교 구조 및 인도교 시공용 강재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