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90B1 -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390B1
KR101339390B1 KR1020090122327A KR20090122327A KR101339390B1 KR 101339390 B1 KR101339390 B1 KR 101339390B1 KR 1020090122327 A KR1020090122327 A KR 1020090122327A KR 20090122327 A KR20090122327 A KR 20090122327A KR 101339390 B1 KR101339390 B1 KR 10133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styrene
expandable polystyrene
polystyrene bead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707A (ko
Inventor
박종건
정병준
이돈익
이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12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렌계 폴리머 내에 난연제가 분산되어 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는 발포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스티렌계 폴리머, 난연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실리콘, 팽창 질석

Description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EXPANDABLE POLYSTYRENE BEAD COMPRISING SILICONE AND EXPANDED VERMICUL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성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물은,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를 발포·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그 우수한 단열성으로 인하여, 건축재료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물은, 단열성 및 시공성은 우수하지만, 난연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노력이 시도되었는데, 그러한 노력 중의 하나가, 난연제가 함유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종래에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함유된 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팽창 흑연 분말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6,444,714 호에는, 현탁용액 중에서,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와 함께, 스티렌을 중합함으로써 발포성 스티렌 폴리머 비드형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모노머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중량%의 "팽창된 흑연 (expanded graphite)"과 2 내지 20%의 인계 난연제의 존재 하에 상기 중합을 수행하는 단계와, 탄소수가 4 내지 6인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탄화수소 발포제를 상기 중합의 이전에, 동안에, 또는 후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평균직경이 0.2 내지 2.0 mm 인 발포성 스티렌 비드형 입자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444,714 호에는, 스티렌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의 중합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난연제로서 5 내지 50 중량%의 팽창된 흑연; 및 탄소수가 4 내지 6인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탄화수소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스티렌 폴리머 입자 분말로서, 상기 팽창된 흑연이 20 내지 10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스티렌 폴리머 입자는 0.2 내지 2.0 mm 의 평균직경을 갖고 있는, 발포성 스티렌 폴리머 입자 분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난연성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는 주로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팽창 흑연 분말, 질석 분말 등과 같은 난연성 물질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할로겐계 난연제의 경우 환경 규제 등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다.
또한, 인계난연제, 팽창 흑연 분말, 질석 분말 등은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발포성형 시에 발포셀의 성장이 저해되어 발포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발포된 폴리스티렌 비드가 갖게 되는 발포성 등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동시에, 발포된 폴리스티렌 비드가 우수한 난연성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난연제를 발견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은,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질석 분말을 스티렌계 폴리머에 분산·혼합하여, 향상된 난연성 및 우수한 단열성을 발휘하는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티렌계 폴리머 내에 난연제가 분산되어 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를 제공한다.
또한, 스티렌 폴리머 입자 내에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난연제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티렌 폴리머 입자 내에 발포제를 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스티렌계 폴리머 및 난연제를 용융ㆍ혼련시키는 것임;
을 특징으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로 발포된 발포체 성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는 발포성 등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는,
스티렌계 폴리머 내에 난연제가 분산되어 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있 어서, 상기 난연제는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폴리스티렌일 수 있다. 또는, 스티렌계 폴리머는 스티렌과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 (ethylenicallyunsaturated monomers), 알킬스티렌(alkylstyrenes),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알파메틸스티렌(α-methylstyren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비닐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스티렌계 폴리머는, 발포 후에 발포된 입자 전체의 밀도가 약 5 g/ℓ 내지 약 20 g/ℓ 의 범위가 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포된 스티렌계 폴리머는 더욱 우수한 단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발포 후에 입자 전체의 밀도가 약 5 g/ℓ 내지 약 20 g/ℓ 의 범위가 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스티렌계 폴리머로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0 내지 약 400,000 인 폴리스티렌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스티렌계 폴리머의 형태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는, 스티렌계 폴리머의 평균 입자크기는 약 0.3 내지 약 3 ㎜ 일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구형 또는 타원형 입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분말은 난연제로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 내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계 분말은 평균입자크기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티린계 폴리머와의 혼련성 측면에서 약 30 내지 약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40 내지 약 5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분말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실리콘계 분말은, 스티렌계 폴리머와의 상용성 측면에서, 말단에 디메틸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리카는 무기물적 성질이 강해,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는데, 표면에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처리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분말은,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실리콘계 분말이 말단에 디메틸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일 경우에는, 실리콘계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말단에 디메틸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 30 내지 70 중량부,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표면처리된 실리카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실리카가 실록산에 비해 더 많이 포함되면, 실리콘계 분말과 스티렌계 폴리머의 상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 미만으로 실리카가 실록산에 비해 더 적게 포함되면, 난연 성능 향상이 미미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팽창 질석 분말은 난연제로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 내에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서 주된 난연제로 사용되고 있는 팽창 질석(vermiculite)은 삽층 층상구조의 점토광물로서, 일반적으로 금운모나 흑운모의 변질산물인 함수운모를 의미한다. ‘버미큘라이트’라고도 한다. 질석을 열처리하여 팽창시키면 열처리의 조건과 원료의 성질에 따라서 약 6 ~ 20 배 정도로 팽창되어지는데, 이렇게 열에 의해서 박리 팽창된 질석이 "팽창 질석(expanded vermiculite)"이다. 팽창 질석은 저비중, 우수한 단열성 및 차음성을 가지고 있어서, 단열재, 경량 콘크리트의 골재, 흡음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팽창 질석 분말의 입자크기가 너무 작으면, 흡수력 및 이온교환능력이 미약하여, 절연성, 난연성의 만족할 만한 수준을 얻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발포성형과정에서, 제품의 수축으로 인한 강도 및 치수안정성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팽창 질석 분말의 입자크기가 너무 크면, 스티렌계 폴리머 내로 질석이 원활하게 투입되지 못하게 되고, 스티렌계 폴리머가 적정한 함량의 발포제를 포함하지 못하게 되며, 폴리스티렌 입자의 형태가 둥글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발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발포가 되더라도 가공성, 강도, 치수안정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예를 들면, 팽창 질석 분말의 평균입자크기는 약 30 내지 약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40 내지 약 5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팽창 질석 분말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난연성 향상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또한, 성형 후 심재의 강도 및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불을 끄는 역할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여 난연성이 불충분할 수 있다.
반면에, 팽창 질석 분말의 함량이 너무 크면, 팽창 질석 분말의 존재 하에서의 현탁중합법에 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시에, 중합된 폴리스티렌 입자의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중합된 폴리스티렌 입자가 종횡비가 큰 바늘의 형태를 가지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중합 자체가 실패할 수도 있다. 또한, 발포성형시에, 발포된 폴리스티렌 비드 간의 융착성이 과도하게 저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품은 저융착에 의한 수축을 겪게 되고, 제품 원래의 모양을 유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팽창 질석 분말의 뭉침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품의 품질이 매우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예를 들면, 팽창 질석 분말의 함량은, 스티렌계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2 내지 약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발포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발포제는 스티렌계 폴리머에 함침되어 있는데, 추후 발포공정에서, 스티렌계 폴리머의 발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포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난연성·불연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포함되는 발포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탄소수 4 내지 6의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예를드면, 부탄, 펜탄)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 비드는 난연성의 극대화를 위해서 난연성·불연성 화합물을 발포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발포제의 예로, 반응성 매우 낮은 불연성, 불활성 기체(비활성 기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질소, 헬륨, 네온, 및 아르곤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연성, 불활성 기체는 스티렌의 발포 작업 안정성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의 함량은, 통상적인 예를 들면, 스티렌계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3 내지 약 8 중량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제의 함량은, 발포된 스티렌계 폴리머가 약 5 g/ℓ 내지 약 20 g/ℓ 의 범위의 밀도를 갖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는 보조 난연제, 무기 첨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난연제는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의 난연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조 난연제로서는, 종래에 사용되오던 난연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계 난연제, 브롬계 난연제, 팽창흑연,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인계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또는 유기 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 또는 적린,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계 난연제로서, 디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디페닐 크레실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디페닐 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메틸 페닐 포스포네이트 및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브롬계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HBCD(hexabromocyclododecane), DBDPO (decabromo diphenyloxide),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또 다른 구현예는 무기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의 추가사용을 통하여, 발포된 폴리스티렌 발포체 성형품의 강도 및 치수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충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탈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그라파이트, 금속분말(예를들면, 구형 또는 판상 알루미늄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충진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그 첨가 효과가 미약할 수 있다. 무기충진제의 함량이 너무 과도하게 되면, 스티렌 비드의 발포 성형과정에서 융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무기충진제의 함량은, 스티렌계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 내지 약 1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은,
스티렌 폴리머 입자 내에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난연제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티렌 폴리머 입자 내에 발포제를 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스티렌계 폴리머 및 난연제를 용융ㆍ혼련시키는 것임;
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스티렌 모노머 현탁 중합 전 또는 중합 중에 난연제를 첨가하였는데, 이 경우 과량의 난연제가 투입되면 균일한 난연제의 분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현탁 중합 자체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았는 바, 난연제 투입 함량에 큰 제한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은, 스티렌 모노머의 현탁중합 전 또는 중합 중에 난연제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중합 된 스티렌계 폴리머에 난연제를 분산시키려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중합 여부에 관계없이 과량의 난연제를 스티렌계 폴리머에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에 난연제를 분산시킬 때, 스티렌계 폴리머 및 난연제를 용융ㆍ혼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티렌계 폴리머 및 난연제의 용융ㆍ혼련은 압출기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압출기 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권리범위를 이에 의해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실시예
폴리스티렌 (LG화학 제품 GPPS 25SPE) 20.0㎏과 실리콘계 분말 (말단에 디메틸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표면처리된 실리카를 1: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임) 2.0㎏ 및 팽창 질석 1.0㎏을 상온에서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이 스티렌 중합체 수지 내에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발포용 압출기에 투입한 후 섭씨 210℃의 온도로 가열 및 용융시키면서 이산화탄소 발포제를 주입하여 혼련하였다. 용융상태의 상기 조성물을 서서히 135℃까지 냉각 시키면서 난연성 발포체를 얻었다. 발포성은 우수하였으며, 발포체의 밀도는 약 0.06g/㎤였다.
비교예 1
폴리스티렌 20.0㎏에 난연제로서 실리콘계 분말 3㎏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발포체를 얻었다. 발포성은 우수하였으며, 발포체의 밀도는 약 0.06g/㎤였다.
비교예 2
폴리스티렌 20.0㎏에 난연제로서 팽창 질석 분말 3㎏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발포체를 얻었다. 발포성은 우수하였으며, 발포체의 밀도는 약 0.06g/㎤였다.
비교예 3
난연제를 첨가하지 아니하고, 폴리스티렌 20㎏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발포체를 얻었다. 발포성은 우수하였으며, 발포체의 밀도는 약 0.06g/㎤였다.
실험예 - [ 난연성 테스트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난연성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난연성 테스트는 연소시간, 및 형체유지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테스트 조건은 하기와 같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 테스트 조건 -
메탄가스 공급에 의한 불꽃을 발화시킨 후 불꽃 크기를 20㎜로 고정시켰다. 불꽃의 온도는 700 ± 3℃까지 상승하는데 44 ± 2초 걸렸다. 지름 8㎜, 길이 100㎜ 스트랜드 형태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편을 제작하여 이를 클램프에 고정시킨 후 불꽃을 5초간 가열한 후 연소시간 및 형체 유지시간을 측정하였다.
연소시간은 샘플이 다 타는데 걸리는 시간이며, 형체 유지시간은 샘플이 녹아내려 형체를 유지하지 못하고 분리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하였다. 즉, 연소시간 및 형체 유지시간이 길수록 잘 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연소시간(s/10㎝) 형체유지시간(s)
실시예 61.6 18.3
비교예 1 44.3 19.7
비교예 2 63.0 9.7
비교예 3 48.7 6.7
실리콘계 분말만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1)의 경우 형체유지시간 값이 높았으나, 연소시간 값이 다소 낮았다. 이는, 발화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난연성 측면에서 좋지 않은 것이다.
이와 반대로, 팽창 질석만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2)의 경우에는 연소시간 값은 높았으나, 형체유지시간 값이 낮았다. 이는, 발화 가능성은 다소 낮지만, 열에 의해 발포성 폴리스티렌 성형체가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이므로 역시 난연성 측면에서 좋지 않은 것이다.
난연제를 첨가하지 아니한 경우(비교예 3)의 경우에는 연소시간, 및 형체유지시간 값 모두 낮게 측정되어 매우 낮은 난연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비교예들에 반해,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소시간, 및 형체유지시간이 모두 우수하게 측정되어 매우 높은 난연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스티렌계 폴리머 내에 난연제가 분산되어 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말단에 디메틸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분말은,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분말은, 실리콘계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메틸 실록산 30 내지 70 중량부, 및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실리카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질석 분말은,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부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는 발포제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이산화탄소, 질소, 헬륨, 네온, 및 아르곤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8. 스티렌 폴리머 입자 내에 말단에 디메틸비닐기를 가진 디메틸실록산, 및 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처리된 실리카를 포함하는 실리콘계 분말 및 팽창 질석 분말을 포함하는 난연제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티렌 폴리머 입자 내에 발포제를 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제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스티렌계 폴리머 및 난연제를 용융ㆍ혼련시키는 것임;
    을 특징으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 및 난연제의 용융ㆍ혼련은 압출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의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로 발포된 발포체 성형물.
KR1020090122327A 2009-12-10 2009-12-10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27A KR101339390B1 (ko) 2009-12-10 2009-12-10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27A KR101339390B1 (ko) 2009-12-10 2009-12-10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707A KR20110065707A (ko) 2011-06-16
KR101339390B1 true KR101339390B1 (ko) 2013-12-09

Family

ID=4439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327A KR101339390B1 (ko) 2009-12-10 2009-12-10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475241T3 (da) 2016-07-20 2020-08-17 Synthos Dwory 7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lka Jawna Anvendelse af geopolymerisk tilsætningsstof i kombination med ikke-bromeret flammehæmmer i polymerskum
KR102108197B1 (ko) 2017-09-15 2020-05-07 김재천 팽창흑연이 코팅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
KR102070240B1 (ko) 2017-09-15 2020-03-02 김재천 팽창흑연을 발포성 폴리스티렌 수지입자에 코팅하는 방법 및 코팅된 수지입자
KR102149238B1 (ko) 2018-03-30 2020-08-28 김재천 팽창흑연을 발포한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에 코팅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068A (ja) * 2006-06-01 2007-12-13 Kaneka Corp 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0984A (ja) * 2006-11-09 2008-05-29 Eiwa Matekkusu:Kk 遮炎性断熱材用コーティングビーズ
KR20090051670A (ko) * 2007-11-19 2009-05-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1068A (ja) * 2006-06-01 2007-12-13 Kaneka Corp スチレン系樹脂押出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0984A (ja) * 2006-11-09 2008-05-29 Eiwa Matekkusu:Kk 遮炎性断熱材用コーティングビーズ
KR20090051670A (ko) * 2007-11-19 2009-05-22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707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275B1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JP2002531659A (ja) 難燃剤ポリスチレン発泡体
JP6216506B2 (ja) 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とその製造方法、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
JP6555251B2 (ja) 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514027A (ja) ペレット状の発泡性フィラー含有熱可塑性ポリマー材料から構成される成形用発泡成形体
KR101339390B1 (ko) 실리콘 및 팽창 질석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EP2614111A1 (en) Expandable vinyl aromatic polymers
EP2445953B1 (en) Expandable vinyl aromatic polymer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096797B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96798B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그 제조방법
WO2012052423A1 (en) Expandable vinyl aromatic polymers
EP3087125B1 (en) Combination of a mineral component with carbon black and its use for de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vinyl aromatic polymer
KR100840150B1 (ko) 융착성과 2차 발포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입자의 수지 조성물
KR20120034638A (ko) 입자상 발포성 폴리스타이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2786B1 (ko) 재생 스티렌계 수지를 이용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및 이의제조방법
KR101099027B1 (ko)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제조 방법
KR20140085261A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CN111278900B (zh) 发泡聚苯乙烯颗粒的制备方法和发泡聚苯乙烯颗粒
KR20160072411A (ko) 성형성이 우수하고 단열성능과 난연성능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9032B1 (ko) 발포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발포체 및 제조방법
RU219063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амозатухающих вспененных плит
JP2004277609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体
EP3087127B1 (en) Use of sterically hindered styrene comonomer for improving the thermal stability of expanded vinyl aromatic polymer
JP2007039606A (ja) スチレ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発泡体
KR100703823B1 (ko) 발포성 폴리스티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