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888B1 -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888B1
KR101338888B1 KR1020120039340A KR20120039340A KR101338888B1 KR 101338888 B1 KR101338888 B1 KR 101338888B1 KR 1020120039340 A KR1020120039340 A KR 1020120039340A KR 20120039340 A KR20120039340 A KR 20120039340A KR 101338888 B1 KR101338888 B1 KR 10133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ress material
press
electromagne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711A (ko
Inventor
한재형
Original Assignee
한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형 filed Critical 한재형
Priority to KR102012003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88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4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4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magnetic means, e.g. electro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이 설치된 지지봉 상단부에 높낮이 및 프레스 소재와의 이격거리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는 소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프레스 소재의 형상 모양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지봉(2)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 상기 고정판(3)의 저부면에 체결되는 전자석(4), 상기 지지봉(2)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 상기 센서설치부재에 설치되는 소재감지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설치부재는, 수평부(8), 상기 수평부(8)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11), 상기 수평부(8)의 타측 저부면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9), 상기 수직부(9)에 형성되는 세로 장공(10), 상기 세로 장공(10)에 체결되는 소재감지센서(13), 상기 수평부(8)를 지지봉(2)의 상부면 체결시키는 볼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SENSING DEVICE OF PRESS MATERIALS}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이 설치된 지지봉 상단부에 높낮이와 및 프레스 소재와의 이격거리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는 소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프레스 소재의 형상 모양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대의 프레스기 또는 프레스 라인의 최선단에는 여러장의 프레스 소재가 적재된(적층된) 프레스 소재 적재장치가 설치되며, 적재된 프레스 소재는 이송장치에 의해 최선단의 프레스 금형으로 이송 공급되면서 타발되고, 후속하는 프레스 금형으로 차례로 이송되면서 단계별로 타발되어 소정의 부품이 양산된다.
상기 프레스 소재 지지장치와 관련한 국내 특허문헌으로는 2010. 5. 7. 특허공고된 등록특허 제10-0956034호(발명의 명칭: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특허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 4 내지 도 9에 게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는 프레스 소재 적재장치의 적재대 상부면 소정 두께와 소정 형상(또는 형상/모양)의 프레스 소재(철판)가 적재(적층)되고, 적재된 프레스 소재의 측부(가장자리 부분 또는 변부)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에 의해 적재된 프레스 소재의 측부가 지지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프레스 소재는 프레스 금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되며, 적재대의 일측 상부면에는 프레스 소재를 감지한 다음 제어기로 입력시켜 프레스 소재의 최상부 위치가 항상 일정높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제어기에 미리 설정된 기준신호를 비교하되 입력신호가 기준신호 범위 미만이면 감속모터 및 엘리베이터를 구동시켜 적재된 프레스 소재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프레스 소재의 상승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프레스 소재를 금형으로 계속 공급할 수 있어서 프레스 작업이 중단없이 진행된다.
상기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는, 수직봉의 상단부에 소재감지센서가 단순 설치되고, 수직봉 하단에는 적재대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고정판이 설치된 구성으로 프레스 소재의 형상 모양이 변경되는 경우, 소재감지센서의 높낮이 및 소재감지센서와 프레스 소재 간의 이격거리 등을 미세 조정하여야 하나,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적재대에 탈/부착되는 고정판은 적어도 4개 이상의 볼트 및/또는 볼트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이어서 적재되는 프레스 소재의 형상 모양이 변경되면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의 고정판에 체결된 볼트 및/또는 볼트 너트를 풀어 형상이 변경된 최상부 프레스 소재가 감지되도록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풀었던 볼트 및/또는 볼트 너트로 적재대에 체결시켜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체결 및 분리되는 볼트 및/또는 볼트 너트의 개수가 많아 전체 작업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가 이동된 위치 또는 체결 위치에 볼트 구멍이 없는 경우 천공작업이 필요하며, 천공위치에 근접하거나 중첩하여 볼트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천공작업이 여의치 않거나 천공이 아예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의 부피가 대형이고 무거워 취급이 어렵고, 잔고장이 많으며, 가격 또한 고가인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2010. 5. 7. 특허공고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6034호(발명의 명칭: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의 상세한 설명 및, 도 4 내지 도 9 참조.
본 발명은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이 설치된 지지봉 상단부에 높낮이 및 프레스 소재와의 이격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소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프레스 소재의 형상 모양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의 하단에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을 설치하여 프레스 소재 적재장치의 적재대에 신속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는, 지지봉(2), 상기 지지봉(2)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 상기 고정판(3)의 저부면에 체결되는 전자석(4), 상기 지지봉(2)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 상기 센서설치부재에 설치되는 소재감지센서(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설치부재는, 수평부(8), 상기 수평부(8)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11), 상기 수평부(8)의 타측 저부면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9), 상기 수직부(9)에 형성되는 세로 장공(10), 상기 세로 장공(10)에 체결되는 소재감지센서(13), 상기 수평부(8)를 지지봉(2)의 상부면 체결시키는 볼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재감지센서(13)는, 센서설치부재의 세로 장공(10)에 끼워진 다음 너트(16)로 체결 및 고정되고, 상기 세로 장공(10) 내에서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소재감지센서(13)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2)의 상부면 양측에 상부로 개방 형성되는 구멍(23)(24), 상기 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스프링(25)(26), 상기 스프링(25)(26) 상부에 구름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볼(27)(28), 상기 볼(27)(28)이 결합되는 센서설치부재의 저부면(81)에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되는 요입홈(8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4)은, 케이스(4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하향 돌출형 코어(44), 상기 코어(44) 외면에 설치되고 코일이 감긴 보빈(43), 상기 코어(44)와 코일이 감긴 보빈(43)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몰딩재, 상기 코일 양단에 연결되는 전원선(7), 상기 케이스(40)를 고정판(3)에 탈/부착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2)의 평면 형상은 원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석(4)의 흡착력은 0~500㎏/㎠ 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이 설치된 지지봉 상단부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에 의해 소재감지센서의 높낮이 및 프레스 소재와의 이격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설치부재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소재감지센서와 프레스 소재간의 이격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프레스 소재의 형상 모양이 변경되는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봉의 하단부에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서 프레스 소재 적재장치의 적재대에 신속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석(電磁石) 방식의 탈/부착 수단에 의해 적재대에 부착시키기 위한 천공작업 등이 불필요하고 프레스 소재를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전자석으로 흡착시켜 고정하면 되므로 작업성이 편리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거의 없고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석(電磁石)의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적재대에 흡/탈착시키므로 프레스 소재의 형상이나 크기 및 특성 등에 따라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를 간편하게 설치 및 이동 설치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사용이 간편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배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 : 본 발명 도 6의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평면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평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및 사용 상태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및 사용 상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1)는, 철판 등으로 구성되는 적재대(54) 위에 적재되는 소정 두께와 소정 형상(또는 형상/모양)의 프레스 소재(철판)(18)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봉(2)과, 지지봉(2) 하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고정판(3)과, 고정판(3)의 저부면에 복수의 체결부재(5)로 탈/부착할 수 있게 체결되는 전자석(電磁石)(4)과, 지지봉(2)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소재감지센서(13)가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설치부재는, 수평부(8)와, 상기 수평부(8)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11)과, 상기 수평부(8)의 타측 저부면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9)와, 상기 수직부(9)에 형성되는 세로 장공(10)과, 상기 세로 장공(10)에 체결되는 소재감지센서(13)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8)의 통공(11)은 지지봉(2)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나사구멍(22)에 일치시킨 다음 피스 또는 볼트(12)로 체결하면 지지봉(2)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소재감지센서(13)는 센서설치부재의 세로 장공(10)에 끼워진 다음 양측 너트(15)(16) 또는 일측 너트(16)에 의해 센서설치부재에 체결 및 고정되며, 상기 세로 장공(10) 내에서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소재감지센서(13)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레스 소재(18)의 적재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된다.
즉, 센서설치부재의 양측 너트(15)(16) 또는 일측 너트(16)를 느슨하게 이완시킨 다음 소재감지센서(13)를 세로 장공(10) 내부로 이동시켜 높이(또는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한 다음 이완시켰던 너트를 죄임시키면 이동시킨 높이에서 고정되므로 소재감지센서(13)의 높이 설정이 완료된다.
도 1, 도 2는 세로 장공(10)의 하부에 소재감지센서(13)를 설치한 것이고, 도 3은 세로 장공(10)의 하부의 대략 중앙부에 소재감지센서(13)를 상승시켜 설치한 것이며, 도 1의 부호 14는 소재감지센서(13)의 센싱부이고, 17은 전원선 및 신호선이다.
또한 적재대(54)에 적재되는 프레스 소재(18)의 형상 모양이 변경되는 경우, 프레스 소재(18)를 지지하는 위치가 변경되고,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간의 이격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프레스 소재(18)의 피감지부(182)와 소재감지센서(13)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서 감지되지 않거나 감지가 불량한 경우 센서설치부재를 고정시킨 볼트(12)를 느슨하게 이완시킨 다음 볼트(12)를 축으로 센서설치부재를 A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와 같이 적절히 근접시킨 다음 이완시켰던 볼트(12)를 죄임시키면 지지봉(2)의 상부면에 고정되므로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 간의 감지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반대로 프레스 소재(18)의 피감지부(182)와 소재감지센서(13)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 볼트(12)를 느슨하게 이완시킨 다음 볼트(12)를 축으로 하여 센서설치부재를 B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9와 같이 적절히 근접시킨 다음 이완시켰던 볼트(12)를 죄임시키면 지지봉(2)의 상부면에 고정되므로,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 간의 감지거리가 간편하게 조절된다.
물론, 상기 처럼 센서설치부재를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대신 지지봉(2) 하단부에 설치된 전자석(4)을 이용하여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 간의 감지거리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자석(4)의 전원선(7)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전자력(電磁力)이 제거되면서 적재대(54)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며, 프레스 소재(18)의 피감지부(182)와 소재감지센서(13)간의 거리가 적절히 유지되게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1)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전원선(7)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강한 전자력에 의해 적재대(54)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흡착되면서 고정되고, 지지봉(2)은 프레스 소재(18)의 측부(181)를 지지하게되며, 소재감지센서(13)는 프레스 소재(18)를 정확히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프레스 소재(18)의 측부가 요입되어 있는 경우, 그 요입부에 지지봉(2)이 수직으로 위치하면서 프레스 소재(18)의 측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봉(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 간의 감지거리를 적절히 조절하면 효과적인 센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도 5와 같이 서로 밀착되거나 접촉하는 지지봉(2)의 상부면(2a)과 센서설치부재의 저부면(81)에 요철(미세하거나 작은 크기의 요철)을 각각 형성하거나 스크래치형의 흠집을 각각 형성하여 마찰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센서설치부재 및 소재감지센서(13)의 유동이 방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6,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로, 지지봉(2)의 상부면 양측, 이를테면 나사구멍(22)의 양측에 상부로 개방된 구멍(23)(24)을 각각 형성한 다음 스프링(25)(26)을 각각 끼우고, 스프링(25)(26)의 상부에 볼(27)(28)이 구름 운동할 수 있게 각각 결합시키되, 상기 볼(27)(28)은 센서설치부재의 일측에서 둥글게 형성되는 고정부(82)의 저부면(81)에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되는 요입홈(83)에 결합되어 탄지되게 구성함으로써, 프레스 소재(18)이 형상 모양이 변경되어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 간의 감지거리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볼트(12)를 일일이 이완시키거나 죄임하지 않더라도 스프링(27)(28)과 볼(27)(28)에 의해 탄지되는 센서설치부재를 필요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된 위치에서 탄지되면서 회전이나 유동이 억제되므로 프레스 소재(18)와 소재감지센서(13) 간의 감지거리를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석(4)은, 안정적이면서 강한 전자력(電磁力)을 얻을 수 있도록 평면적이 넓은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철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구성되는 케이스(40) 내부에 하향 돌출형의 코어(44)가 설치되고, 코어(44) 외면에는 코일이 감긴 보빈(43)이 설치되며, 상기 상기 코어(44)와 코일이 감긴 보빈(43)은 합성수지나 에폭시 등의 몰딩재로 케이스(4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 양단에는 전원선(7)이 연결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0)는 복수의 체결부재(5)에 의해 고정판(3)에 탈/부착형으로 체결 및 고정된다.
따라서 전원선(7)으로 전원(電源)이 인가되면 케이스(40) 외부로 노출된 코어(44)가 전자석(電磁石)이 되고, 상기 전원이 차단되면 코어(44)의 전자력이 제거되므로, 적재대(54) 상부면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되며, 전자석(4) 케이스(4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봉(2)에 의해 도 10, 도 11과 같이 적재되거나 적재된 프레스 소재(18)의 가장자리 부분(변부)이 지지되며, 상부에 적재된 프레스 소재(18) 들은 프레스 소재 분리 및 지지장치(70)의 회전봉(68) 내부에 설치된 지향성 영구자석(68a)의 자력(磁力)에 의해 상하로 이격 및 분리된다.
도 4, 도 5에서 지지봉(2)의 하부에 형성되는 요입부(21)는 전자석(4)의 케이스(40)의 일측 외주면이 결합되거나 접촉하는 부분이고, (42)는 평면부이다.
상기 지지봉(2)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환봉이나 파이프 구조이며, 평면 형상(평단면 형상)은 다각형이나 타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방향성이 없는 원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구조는 걸림현상이 없고, 셋팅이 쉬울 뿐 아니라, 프레스 소재(18)의 적재면을 따라 최적의 조건으로 근접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봉(2)은 하단부에 설치되는 전자석(4)의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도 10, 도 11과 같이 프레스 소재 적재장치의 적재대(54) 상부면에 견고하게 흡착 및 고정되어 적재된 프레스 소재(18)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며, 지지봉(2) 상단부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에는 소재감지센서(13)가 설치된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및 평면도로, 적재대(54) 위에 적재되는 프레스 소재(18)의 형상을 감안하여 복수의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70)를 적재대(54) 위에 수직으로 세워 적절히 배치하되 지지봉(2)의 외부 일측면이 적재된 프레스 소재(18)의 가장자리 부분을 근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전자석(66)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력(電磁力)에 의해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70)들이 적재대(54)의 상부면에 흡착 및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적재되거나 적재된 프레스 소재(18)의 측면(복수의 가장자리 부분)이 지지된다.
상기 전자석(4)은 케이스(40)의 중앙에 원형 봉상물인 코어(44)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코어(44)의 하단부가 케이스(40) 바깥으로 돌출되고, 코어(44)의 외주에는 코일이 권회(권취)된 보빈(43)이 결합되어 전자석(電磁石)이 구성되며, 코일의 양끝단은 전원선(7)에 접속되며, 전원선(7)을 통하여 통전(通電)되면 하향 발생되는 강한 자력(磁力)에 의해 프레스 소재 지지장치(1)의 하부가 적재대(54)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흡착되고, 전원선(7)으로 공급되던 전원이 단전(斷電)되면 전자석의 자력이 상실되면서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1)의 흡착력이 제거되므로 적재대(54) 상의 소정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소정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어 코일로 전원이 공급되게 통전(通電)시키면 하향 발생되는 강한 자력(磁力)에 의해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1)의 하부가 적재대(54)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흡착 고정되므로, 프레스 소재(18)의 형상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코어(44)는 연성 자성체의 철금속으로 코일로 전원이 공급되면 강력한 자력이 집중하여 발생되고, 코일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 쉽게 자력(磁力)이 제거되면서 적재대(54)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40) 또한 하향 개방형의 방자형 구조이면서 연성 자성체의 철금속으로 구성되어 하방을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는 자력(磁力)이 거의 방출되지 않는 자기 차폐 구조여서 코어(44)를 포함한 케이스(40)의 하방으로 대부분의 자력(磁力)이 방출된다.
상기 전자석(4)의 흡착력은 0~500㎏/㎠ 전후의 흡착력, 예컨대 3,000~5,000N/m 전후의 힘으로 적재대(54)에 흡착되며, 이에 따라 지지봉(2)의 수직 지지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
도 10에 예시된 프레스 소재 적재장치는, 복수의 받침대(50) 위에 설치되는 기대(51)와, 기대(51)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판(52)과, 하부판(52)의 상부면에 평행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55)과, 상기 레일(55)의 상부면에 구름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휠(56)과, 휠(56)이 축 설치되는 상부판(53)과, 상부판(53)의 양측에 고정되는 좌우 수직부재(59)와, 수직부재(59)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적재대(54)와, 상부판(53)에 설치되는 제어기 및 감속모터(61)와, 상부판(53) 및 적재대(54)의 가운데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통공(63)과, 상부판(53)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60)와, 감속모터(61)에 의해 엘리베이터(60) 상부로 출몰하면서 통공(63)을 지나 승강하는 승강봉(65)과, 승강봉(65) 상부에 설치되고 최하부의 프레스 소재가 고정되는 지지판(64)과, 하부판(52)에 설치된 에어실린더(58)와, 적재대(54) 이송용 에어실린더(58)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고 상부판(57)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57)로 구성되며, 적재대(54)에는 적재된 프레스 소재(18)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상부의 프레스 소재를 분리시키는 복수의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70) 및 적재된 프레스 소재(18)의 측부를 지지하면서 최상부의 프레스 소재(18)를 감지하는 본 발명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1)가 설치된다.
상기 적재대(54)와 상부판(53)과 감속모터(61) 및 엘리베이터(60)는 에어실린더(58)의 로드(도시안됨)가 출몰하면서 이동하는 지지부재(57) 및 하부판(53)에 의해 휠(56)이 구름운동하면서 적재대(54)가 전진 및 후진하게되며, 프레스 소재(18)를 적재대(54)의 상부면 전후에 각각 적재된 일측 프레스 소재가 소모되면 타측에 적재된 프레스 소재(18)를 이동시켜 프레스 금형으로 지속 공급할 수 있어서 프레스 작업이 중단없이 진행된다.
상기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70)는, 지지봉(67) 하부에 전자석(66)이 설치되어 적재대(54)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67) 상부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분리봉(68)이 축설치되며, 지지봉(67)과 분리봉(68) 사이에는 복귀수단(69)이 구성된다. 따라서 적재되는 프레스 소재(18)의 형상이 다양하게 바뀌더라도 회전봉(68) 내부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의 집중 자력(磁力)에 의해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자동 회전하여 가장 강한 자력으로 프레스 소재(18)를 상하로 분리시키게 되므로 분리 효율과 생산성이 극대화 되며, 종래 처럼 영구자석의 자기장(磁氣場)의 방향을 미세 조정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2)--지지봉
(2a)--지지봉의 상부면 (3)--고정판
(4)(66)--전자석 (5)--체결부재
(7)--전원선 (8)--수평부
(9)--수직부 (10)--세로 장공
(11)--통공 (12)--볼트
(13)--소재감지센서 (15)(16)--너트
(18)--프레스 소재 (21)--요입부
(22)--나사구멍 (23)(24)--구멍
(25)(26)--스프링 (27)(28)--볼
(40)--케이스 (43)--보빈
(44)--코어 (54)--적재대
(70)--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81)--저부면
(82)--고정부 (83)--요입홈
(181)--프레스 소재의 측부 (182)--피감지부

Claims (7)

  1. 삭제
  2. 지지봉;
    상기 지지봉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저부면에 체결되는 전자석;
    상기 지지봉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센서설치부재;
    상기 센서설치부재에 설치되는 소재감지센서; 를 포함하되,
    센서설치부재는,
    수평부(8);
    상기 수평부(8) 일측에 형성되는 통공(11);
    상기 수평부(8)의 타측 저부면으로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9);
    상기 수직부(9)에 형성되는 세로 장공(10);
    상기 세로 장공(10)에 체결되는 소재감지센서(13);
    상기 수평부(8)를 지지봉(2)의 상부면 체결시키는 볼트(12);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재감지센서는,
    센서설치부재의 세로 장공(10)에 끼워진 다음 너트(16)로 체결 및 고정되고,
    상기 세로 장공(10) 내에서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소재감지센서(13)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봉(2)의 상부면 양측에 상부로 개방 형성되는 구멍(23)(24);
    상기 구멍에 각각 끼워지는 스프링(25)(26);
    상기 스프링(25)(26) 상부에 구름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볼(27)(28);
    상기 볼(27)(28)이 결합되는 센서설치부재의 저부면(81)에 소정 간격으로 빙둘러 형성되는 요입홈(83);
    을 더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39340A 2012-04-16 2012-04-16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KR10133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40A KR101338888B1 (ko) 2012-04-16 2012-04-16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340A KR101338888B1 (ko) 2012-04-16 2012-04-16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11A KR20130116711A (ko) 2013-10-24
KR101338888B1 true KR101338888B1 (ko) 2013-12-09

Family

ID=4963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340A KR101338888B1 (ko) 2012-04-16 2012-04-16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3895B (zh) * 2021-12-02 2024-05-17 巴彦淖尔市金子峰纸箱包装有限公司 一种环保绿色印刷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480A (ja) * 1997-10-24 1999-05-11 Orii Corp 板材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KR20100104914A (ko) * 2009-03-19 2010-09-29 한재형 프레스 소재 흡착용 전자석의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480A (ja) * 1997-10-24 1999-05-11 Orii Corp 板材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KR20100104914A (ko) * 2009-03-19 2010-09-29 한재형 프레스 소재 흡착용 전자석의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711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433B1 (ko)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의 틸팅구조
KR101019111B1 (ko) 프레스 소재 흡착용 전자석의 틸팅장치
KR101338888B1 (ko) 프레스 소재 감지장치
KR101262703B1 (ko) 전자석을 이용한 프레스 소재 지지장치
KR101949087B1 (ko) 판재분리장치
KR101689144B1 (ko) 마그네틱 베이스를 이용한 소재 정열 및 지지장치
JP6502215B2 (ja) 磁気吸着装置
CN202040439U (zh) 三导柱且带限位功能的碟簧吊架
KR101317955B1 (ko)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KR20130128064A (ko) 프레스 소재 회전억제장치
KR101317483B1 (ko)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CN104416566B (zh) 磁体输送定位装置
KR101330701B1 (ko)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JP2011172474A5 (ko)
CN214562372U (zh) 一种磁铁吸附式固定预埋镶件的滚塑模具结构
KR101633606B1 (ko)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KR10126270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프레스 소재 지지장치
CN102252154B (zh) 三导柱且带限位功能的碟簧吊架
KR10131748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프레스 소재 지지장치
CN211389815U (zh) 一种车辆外饰件自动抓取系统
CN204408139U (zh) 一种定子嵌线支撑
CN220690287U (zh) 一种无线传感器夹持机构
CN203486850U (zh) 一种定位起升传感器的装置和含有该装置的工业车辆
CN105719566A (zh) 一种太阳能供电指示的道路交通指示牌紧固设备
CN105926478B (zh) 一种道路交通指示牌紧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