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411B1 -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411B1
KR101338411B1 KR1020070102734A KR20070102734A KR101338411B1 KR 101338411 B1 KR101338411 B1 KR 101338411B1 KR 1020070102734 A KR1020070102734 A KR 1020070102734A KR 20070102734 A KR20070102734 A KR 20070102734A KR 101338411 B1 KR101338411 B1 KR 10133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signal
signal module
recogni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207A (ko
Inventor
임훈
이진욱
이진무
공원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11B1/ko
Priority to US12/037,201 priority patent/US8244180B2/en
Priority to JP2008114486A priority patent/JP5383081B2/ja
Publication of KR2009003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인식, 컨텐츠, 공유, 무선

Description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OF RECOGNIZING EACH OTHER BETWEEN THE DEVICES}
본 발명은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가 주변의 각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각각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각 방향마다 어떠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사용시 상기 각 방향에 대한 방향 정보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그 사용 방법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이러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요구한다.
컴퓨터의 소형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컴퓨터를 휴대하기 시작함에 따라 사무실 내에서뿐만 아니라 외부 이동 중에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성능과 기능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데스크탑에서나 가능하던 네트워크를 이용한 컴퓨터들 간의 컨텐츠 공유가 이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가능하여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주변 컴퓨팅 여건이 수시로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로 컨텐츠를 복사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각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매번 일일이 설정해 주어야 하는 등의 복잡하고 번거로운 설정이 필요하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키보드, 마우스, 디스플레이, 프린더 등으로 연결되는 분산형 하드웨어 구조에서도 자원의 공유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모바일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하드웨어 자원이나 소프트웨어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사용자가 각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매번 일일이 설정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게 각 디바이스 간의 하드웨어 자원 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의 공유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방향을 지향하도록 설치된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각각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 간의 별다른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어떠한 디바이스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디바이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각 방향 중 제1 방향에 위치한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방향 정보만을 상기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중,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1 무선 신호 모듈(111) 내지 제N 무선 신호 모듈(112),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PC, 노트북, 프린터, PMP, MP3 플레이어, 콘솔 게임기 등 데이터 연산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무선 신호 모듈(111) 내지 제N 무선 신호 모듈(112)는 디바이스(100) 외 부의 각 면에 물리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 및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일부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디바이스의 기존 구성에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디바이스(100)의 기존 구성 중 디바이스(100)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나 MPU 등의 중앙제어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무선 신호 모듈(111) 내지 제N 무선 신호 모듈(112)은 디바이스(100)의 각 면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각각 송수신한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제1 디바이스(210)가 좌측에 위치한 제2 디바이스(220), 상측에 위치한 제3 디바이스(230), 및 우측에 위치한 제4 디바이스(240)와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각 디바이스들(220 내지 240)의 위치를 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디바이스(210)의 좌측면에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211)이 설치되고, 상측면에는 제1-2 무선 신호 모듈(212)이 설치되며, 우측면에는 제1-3 무선 신호 모듈(213)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20)의 우측면에는 제2-1 무선 신호 모듈(221)이 설치되고, 하측면에는 제2-2 무선 신호 모듈(222)이 설치되며, 좌측면에는 제2-3 무선 신호 모 듈(223)이 설치될 수 있다.
제3 디바이스(230)의 하측면에는 제3-1 무선 신호 모듈(231)이 설치되고, 좌측면에는 제3-2 무선 신호 모듈(232)이 설치되며, 우측면에는 제3-3 무선 신호 모듈(233)이 설치될 수 있다.
제4 디바이스(240)의 좌측면에는 제4-1 무선 신호 모듈(241)이 설치되고, 하측면에는 제4-2 무선 신호 모듈(242)이 설치되며, 우측면에는 제4-3 무선 신호 모듈(24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디바이스들(210 내지 24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각 면에 설치된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서로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210)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211)을 통해 제2 디바이스(220)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221)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고, 제2-1 무선 신호 모듈(221)로부터 제2 디바이스(220)의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210)는 제1-2 무선 신호 모듈(212)을 통해 제3 디바이스(230)의 제3-1 무선 신호 모듈(231)로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신하고, 제3-1 무선 신호 모듈(231)로부터 제3 디바이스(230)의 제3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210)는 제1-3 무선 신호 모듈(213)을 통해 제4 디바이스(240)의 제4-1 무선 신호 모듈(241)로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고, 제4-1 무선 신호 모듈(241)로부터 제4 디바이스(240)의 제4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디바이스(210 내지 240)는 연결을 원하는 디바이스를 지향하는 면에 설치된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서로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어느 방향에 어떤 디바이스가 위치하는가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각 디바이스(210 내지 240)이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방향의 무선 신호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경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무선 신호 모듈(111) 내지 제N 무선 신호 모듈(112)는 직진성이 강한 초단거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즉, 상기 디바이스 인식 신호가 각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직진성을 갖고 전파되도록 하여, 상기 각 무선 신호 모듈이 각각의 지향 방향에 위치한 다른 디바이스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Zigbee 모듈, 및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는 제1 무선 신호 모듈(111) 내지 제N 무선 신호 모듈(112)로부터 각각 수신한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각각 추출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에서, 제1 디바이스(210)의 제1-1 무선 신호 모듈(211)을 통해 제2 디바이스(220)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221)로부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210)의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종류 정보, 식별 정보, 사용 권한 정보, 및 네트워크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추출된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한 무선 신호 모듈의 위치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 모듈의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에서, 제1 디바이스(210)의 제1-1 무선 신호 모듈(211)의 위치 정보는 "좌" 라는 방향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디바이스(210)는 제2 디바이스(220)의 위치 정보를 "좌"로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 및 상기 무선 신호 모듈 위치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300)은 도 2의 제1 디바이스(210)가 제2 디바이스(220), 제3 디바이스(230), 및 제4 디바이스(240) 각각에 대하여 디바이스 정보 및 무선 신호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디바이스(210)의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211)을 통해 수신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제1 디바이스(210)의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는 제1-2 무선 신호 모듈(212)을 통해 수신한 제3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3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제1 디바이스(210)의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는 제1-3 무선 신호 모듈(213)을 통해 수신한 제4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4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한다.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120)는 상기 각 디바이스 정보들을 상기 각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한 각각의 무선 신호 모듈에 대응하여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300)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211)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되고, 상기 제3 디바이스 정보는 제1-2 무선 신호 모듈(212)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되며, 상기 제4 디바이스 정보는 제1-3 무선 신호 모듈(213)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각 무선 신호 모듈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무선 신호 모듈이 설치된 제1 디바이스(210)의 면이 지향하는 방향에 따른 지향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21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제1-1 무선 신호 모 듈(211) 위치 정보는 "좌"라는 지향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디바이스(210)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1-2 무선 신호 모듈(212) 위치 정보는 "상"이라는 지향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디바이스(21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제1-3 무선 신호 모듈(213) 위치 정보는 "우"라는 지향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300)에 기록되는 상기 각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의 종류 정보, 식별 정보, 사용권한 정보, 네트워크 주소 정보, 또는 취급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는 "프린터" 라는 제2 디바이스(220)의 종류 정보, "삼성 PN101"이라는 제2 디바이스(220)의 식별 정보, "사용 가능" 이라는 제2 디바이스(220)의 사용권한 정보, 및 "192.168.0.1"이라는 제2 디바이스(220)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는 제2 디바이스(220)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취급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디바이스 정보는 "PC" 라는 제3 디바이스(230)의 종류 정보, "삼성 매직스테이션 MV65"라는 제3 디바이스(230)의 식별 정보, "사용 불가" 라는 제3 디바이스(230)의 사용권한 정보, 및 "192.168.0.2"이라는 제3 디바이스(230)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디바이스 정보는 제3 디바이스(230)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취급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디바이스 정보는 "노트북" 이라는 제4 디바이스(240)의 종류 정보, "삼성 센스 Q45"라는 제4 디바이스(240)의 식별 정보, "사용 가능" 이라는 제4 디바이스(240)의 사용권한 정보, 및 "192.168.0.3"이라는 제4 디바이스(240)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디바이스 정보는 제4 디바이스(240)에서 실행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취급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에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더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삼성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는 디바이스 종류 정보, "삼성 애니콜 SCH-V940"이라는 식별 정보, "사용 가능" 이라는 사용 권한 정보, 및 "192.168.0.0"이라는 네트워크 주소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선 신호 모듈(111) 내지 제N 무선 신호 모듈(112)은 상기 디바이스 정보가 포함된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각각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즉, 디바이스(100)가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입력과 함께 방향 정보를 입력 받는다. 즉,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입력과 함께 디바이스(100)의 입력 장치를 통해 특정 방향을 더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로 문의한다.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로부터 문의 받은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로부터 검색 하여 응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입력과 함께 방향 정보 "좌"를 입력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로 상기 방향 정보 "좌"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로 문의한다.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130)의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300)로부터 상기 방향 정보 "좌"에 대응하여 기록된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한다.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140)는 상기 추출한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로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0)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WLAN이나 Ethernet 등을 통해 제2 디바이스(220)로 전송한다. 제2 디바이스(2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른 컴퓨팅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제1 디바이스(210)로 텍스트 파일의 프린팅에 대한 입력과 함께 제1 디바이스(210)의 키패드 중 좌측 방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210)는 좌측 방향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프린터로 구현되는 제2 디바이스(220)임을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을 통해 감지한다. 제1 디바이스(210)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제2 디바이스 정보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파일을 제2 디바이스(220)로 전송한다. 제2 디바이스(220)는 상기 텍스트 파일을 수신하여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210)로 동영상 파일의 재생에 대한 입력과 함께 제1 디바이스(210)의 키패드 중 상측 방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210)는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PC로 구현되는 제3 디바이스(230)임을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을 통해 감지한다. 제1 디바이스(210)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제3 디바이스 정보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파일을 제3 디바이스(230)로 전송하고, 제3 디바이스(230)는 상기 동영상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210)로 이미지 파일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입력과 함께 제1 디바이스(210)의 키패드 중 우측 방향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210)는 우측 방향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노트북으로 구현되는 제4 디바이스(240)임을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을 통해 감지한다. 제1 디바이스(210)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제4 디바이스 정보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을 제4 디바이스(240)로 전송하고, 제4 디바이스(240)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에 따르면, 디바이스 사용자는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간에 별도의 네트워크 연결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더라도, 특정 방향을 입력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상기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들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재생, 저장, 또는 프린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이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간에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주변 디바이스의 검색을 입력 받는다(단계(411)).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 내지 제1-N 무선 신호 모듈 모두를 통해 각 방향으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송출한다(단계(412)).
상기 제1 디바이스 사용자는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1-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방향인 제1-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413)).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1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근접된다(단계(414)). 이때,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근접됨에 따라,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송출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한다(단계(415)).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방향인 제2-1 방향으로 설정한다(단계(416)).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2-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제2 디 바이스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단계(417)).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한다(단계(418)).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한다(단계(419)).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방향인 제1-1 방향으로 설정한다(단계(420)).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단계(421)).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컴퓨팅 동작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간 인식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입력 받는다(단계(511)).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함께 제1-1 방향 정보를 더 입력 받는다(단계(512)).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한다(단계(513)).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어프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한다(단계(514)).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515)).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따른 컴퓨팅 동작을 수행한다(단계(516)).
비록 간단히 설명하였으나,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및 컴퓨팅 동작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상기 디바이스 간 디바이스 인식 제어 방법 및 컴퓨팅 동작 제어 방법을 각각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및 컴퓨팅 동작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 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 컴퓨팅 동작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바이스
111: 제1 무선 신호 모듈
112: 제N 무선 신호 모듈
120: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
130: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
140: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
150: 어플케이션 제어부

Claims (15)

  1.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방향을 각각 지향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각 방향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이동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근접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방향과 마주하는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2.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2-1 방향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2-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종류 정보, 식별 정보, 사용 권한 정보, 취급 컨텐츠 정보 및 네트워크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4.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종류 정보, 식별 정보, 사용 권한 정보, 취급 컨텐츠 정보 및 네트워크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6. 제1 디바이스가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제2 디바이스의 제2-1 무선 신호 모듈로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이 지향하는 제2-1 방향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통해 상기 제1-1 방향에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위치함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정된(predetermined)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1 방향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1 방향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컴퓨팅 동작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컴퓨팅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방향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제2-1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삭제
  11.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중,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각각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디바이스와 근접되는 경우,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12.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중,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1 방향과 마주보는 제2-1 방향을 지향하는 제2-1 무선 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1-1 무선 신호 모듈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디바이스 인식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2-1 방향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13.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각각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모듈 중, 제1-1 방향을 지향하는 제1-1 무선 신호 모듈이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인식 신호로부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는 디바이스 정보 추출부;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제1-1 방향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방향 정보를 입력 받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 받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로 응답하는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 응답부로터 수신하는 디바이스 정보가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인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컴퓨팅 동작을 수행하는
    디바이스.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종류 정보, 식별 정보, 사용 권한 정보, 취급 컨텐츠 정보, 및 네트워크 주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070102734A 2007-10-11 2007-10-11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KR10133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734A KR101338411B1 (ko) 2007-10-11 2007-10-11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US12/037,201 US8244180B2 (en) 2007-10-11 2008-02-26 Device and recognition control method among devices
JP2008114486A JP5383081B2 (ja) 2007-10-11 2008-04-24 デバイスおよびデバイス間の認識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734A KR101338411B1 (ko) 2007-10-11 2007-10-11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07A KR20090037207A (ko) 2009-04-15
KR101338411B1 true KR101338411B1 (ko) 2013-12-10

Family

ID=4053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734A KR101338411B1 (ko) 2007-10-11 2007-10-11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44180B2 (ko)
JP (1) JP5383081B2 (ko)
KR (1) KR101338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408B1 (ko) 2011-11-03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37104B1 (ko) * 2014-07-2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전자 기기와 페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01641B1 (ko) 2016-01-08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5935A1 (en) * 2005-02-01 2006-11-16 Scalisi Joseph F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individuals and objects using tracking devices
US20070149222A1 (en) * 2005-12-27 2007-06-28 Berislav Hodko Methods,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for directive person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1752B1 (en) * 2000-12-30 2002-08-27 Mundi Fomukong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obile units tracking another or within a prescribed geographic boundary
JP2003152621A (ja) * 2001-11-12 2003-05-23 Seiko Epson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30061124A (ko) 2002-01-10 2003-07-18 최광석 이륜 자동차의 단속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송, 수신시스템 및 그 방법
JP3751936B2 (ja) * 2002-11-28 2006-03-08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時刻整合システム及び時刻整合方法
KR100606762B1 (ko) 2003-08-04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상대방 위치의 방향 표시 장치 및방법
US7110779B2 (en) * 2004-01-29 2006-09-19 Harri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a wireless device locator and related methods
KR100620681B1 (ko) 2004-10-26 2006-09-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60115099A (ko) 2005-05-04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기기의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723269B1 (ko) 2005-11-15 2007-05-30 강민정 다수의 컴퓨터를 운영하기 위한 디바이스 공유장치 및 방법
JP4762766B2 (ja) * 2006-03-17 2011-08-31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7822384B2 (en) * 2006-10-12 2010-10-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mobile ad hoc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s and related devices
US8630205B2 (en) * 2007-01-16 2014-01-14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discovery of wireless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5935A1 (en) * 2005-02-01 2006-11-16 Scalisi Joseph F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individuals and objects using tracking devices
US20070149222A1 (en) * 2005-12-27 2007-06-28 Berislav Hodko Methods,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for directive person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44180B2 (en) 2012-08-14
JP2009094999A (ja) 2009-04-30
JP5383081B2 (ja) 2014-01-08
KR20090037207A (ko) 2009-04-15
US20090100199A1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5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EP27121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US2010010544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touch screen apparatuses
US20140123043A1 (en) Selecting Devices for Data Transactions
US998013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333170A1 (en) Smart Mouse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095324B2 (en) Method for handling pen multi-input ev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130257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exible bezel
KR102091509B1 (ko) 문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EP27284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rtual screen
KR20130028407A (ko)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US20150033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KR101338411B1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 간 인식 제어 방법
CN103207759A (zh) 使用触摸的键盘布局方法和装置
JP6403398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40099832A (ko) 휴대 장치에서 플로팅 키들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5707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US20150121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put of electronic device
US2015004680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document thereof
US2015035827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710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JP201800574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第1情報処理装置、及び第2情報処理装置
JP2015088017A (ja)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