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226B1 -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 Google Patents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226B1
KR101338226B1 KR1020120021195A KR20120021195A KR101338226B1 KR 101338226 B1 KR101338226 B1 KR 101338226B1 KR 1020120021195 A KR1020120021195 A KR 1020120021195A KR 20120021195 A KR20120021195 A KR 20120021195A KR 101338226 B1 KR101338226 B1 KR 10133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ject
camera
support
3dv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578A (ko
Inventor
김경호
김진대
조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네이처
Priority to KR102012002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2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전방위에 대해 영상 획득이 가능한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촬영기를 상하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이송시키는 촬영기 이송 유닛과, 그리고 촬영기 이송 유닛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피사체를 좌우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은 지지부와, 그리고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사체가 올려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턴테이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roducing 3-dementional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3DVR(3-dementional virtual reality)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VR(3-dementional virtual reality)은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의 사이버 공간 상에서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한 3차원 효과를 통해 사용자가 마치 그 장소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3차원 가상 현실감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특히, 사용자가 마우스를 드래그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등의 사용자 인터렉티브(interactive)를 통해, 3차원 이미지가 드래그 또는 터치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실제로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현실감 및 생동감 있는 교육 내용을 전달을 위한 학교,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공고 회사, 유물 또는 예술품 등을 전지하는 박물관, 특수 촬영을 위한 스튜디오, 제품의 외관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도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분야에 3DVR 기술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3DVR 제작용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장치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피사체의 전방위에 대해 영상 획득이 가능한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촬영기를 상하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이송시키는 촬영기 이송 유닛; 및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피사체를 좌우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은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사체가 올려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턴테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은 원판 현상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지지 롤러부는 상기 턴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에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 롤러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 상기 지지 롤러부의 상기 힌지축에 구비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턴테이블을 감싸는 형상을 하고, 상기 수직 지지대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대 중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을 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상기 수직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마주하는 부위가 개방된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을 함께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은 원호 형상의 이송 레일; 상기 촬영기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기 거치대; 및 상기 촬영기 거치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레일과 상기 촬영기 거치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기 거치대를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사체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선 상에 상기 원호의 양단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의 중심각은 180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의 중심 좌표에 상기 피사체가 위치되도록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기 이송 유닛과 피사체 회전 유닛을 제공하고 턴테이블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사체의 하부 및 저면을 포함하는 등 피사체의 전방위에 대해 영상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촬영기가 피사체의 저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촬영기가 피사체의 저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그리고 피사체 회전 유닛(200)을 포함한다.
촬영기 이송 유닛(100)은 촬영기(10)를 상하 방향으로 원호(도 3의 "M" 참조)를 그리며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송 레일(110)과, 촬영기 거치대(120)와, 가이드 롤러부(140)와, 그리고 가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촬영기 이송 유닛(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송 레일(110)은 원호 형상을 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며, 그 오목한 면이 피사체 회전 유닛(200)을 향하여 위치된다. 나아가, 피사체(20)의 상방 및 하방으로 가상의 선인 수직선(도 3의 "L" 참조)을 그었을 때 이송 레일(110)의 양단이 이 수직선(L) 상에 걸쳐 있도록 이송 레일(110)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기 거치대(120)가 원호(도 3의 "M" 참조)를 그리며 이송되되 상기 수직선(L)에 이르면 멈추도록 이송 레일(11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스토퍼(미도시)(stopp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촬영기 거치대(120)의 이송 경로(도 3의 "M" 참조)는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그 길이가 정해지며 대략 중심각이 180도를 갖는 원호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그 원호 형태의 이송 경로(M)의 중심 좌표(C)에 피사체(20)가 위치되도록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피사체 회전 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촬영기 거치대(120)는 촬영기(10)가 장착되며 이송 레일(11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이드 롤러부(140)는 촬영기 거치대(1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면이 이송 레일(110)에 접촉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부(140)는 촬영기 거치대(120)를 이송 레일(1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시킨다.
가동부(130)는 촬영기 거치대(12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이드 롤러부(140)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 롤러부(140)의 힌지축(미도시)과 이송 모터(131)의 축이 서로 기어 세트(미도시)에 의해 기어 결합되거나 풀리-벨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송 모터(131)의 동력을 가이드 롤러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모터(131)의 동력은 가이드 롤러부(140)를 거쳐 촬영기 거치대(120)에 전달되어 촬영기 거치대(120)는 이송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피사체 회전 유닛(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피사체 회전 유닛(200)은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피사체(20)를 좌우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지부(210)와 턴테이블(220)을 포함한다.
지지부(210)는 턴테이블(2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지지대(211)와, 그리고 수평 지지대(211)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수평 지지대(211)는 턴테이블(220)을 감싸는 형상을 하고, 수직 지지대(212)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 즉, 외팔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20)의 저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촬영기(10)가 촬영기 이송 유닛(100)에 의해 수평 지지대(211)의 아래로 이송될 경우 수직 지지대(212)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수직 지지대(212)로부터의 방해를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해, 수직 수평 지지대(211) 중 촬영기 이송 유닛(100)을 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수직 지지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수평 지지대(211)는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마주하는 부위가 개방된 개방부(211a)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20)의 하부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촬영기(10)의 초점이 피사체(20)의 하부를 향할 때 촬영기(10)의 수평 지지대(211)가 아닌 수평 지지대(211)의 개방부(211a)를 통과하게 되므로, 촬영기(10)는 수평 지지대(211)에 의해 그 시야가 가로 막히지 않고 원활한 피사체(20)의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직 지지대(212)는 피사체(2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지지대(212)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직 지지대(212)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측에서 원호 형태의 이송 경로(도 3의 "M" 참조)의 중심 좌표(도 3의 "C" 참조)에 피사체(20)를 보다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턴테이블(220)은 피사체(20)가 올려지는 곳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평 지지대(2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턴테이블(220)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촬영기(10)가 촬영기 이송 유닛(100)에 의해 수평 지지대(211)의 아래에 위치되더라도 촬영기(10)는 턴테이블(220)에 놓인 피사체(20)의 하부 또는 저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220)은 원판 형상의 유리일 수 있으며, 피사체(20)의 하중을 고려하여 강화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사체 회전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220)을 수평 지지대(2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롤러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롤러부(230)는 턴테이블(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평 지지대(211)에 설정 간격(대략 120도)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지지 롤러(231)(232)(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 회전 유닛(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2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40)는 지지부(210)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241)와, 그리고 회전 모터(241)의 회전력을 지지 롤러부(230)의 제1 지지 롤러(231)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모터(241)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부(242)와 제1 지지 롤러(231)를 거쳐 턴테이블(220)에 전달되어 턴테이블(220)은 360도 회전하게 된다. 특히, 동력 전달부(242)는 회전 모터(241)의 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242a)와, 제1 지지 롤러(231)의 힌지축(230a)에 구비되는 제2 풀리(242b)와, 그리고 제1 풀리(242a)와 제2 풀리(242b)를 연결하는 벨트(24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풀리-벨트 구조를 채용한 이유는 회전 중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벨트(242c)를 통해 흡수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진동을 보다 완벽하게 흡수하기 위해 벨트(242c)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진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굳이 이러한 풀리-벨트 구조가 아니어도 무방하며, 진동을 고려할 필요는 없으며 보다 정밀한 회전을 요하는 경우에는 동력 전달부(242)로 기어 세트(미도시)를 통한 기어 결합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피사체 회전 유닛(200)을 함께 지지하는 받침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피사체 회전 유닛(200)은 받침대(300)에 의해 그 위치가 정확히 셋팅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원호 형태의 이송 경로(도 3의 "M" 참조)의 중심 좌표(C)에 피사체(2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피사체 회전 유닛(200)은 받침대(300)에 의해 그 위치가 셋팅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위치 셋팅을 사용자측에서 보다 더 완벽하게 하기 위해 받침대(300)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과 같이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촬영기 이송 유닛(100)에 의해 촬영기(10)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되며, 촬영기(10)가 설정 거리 이송되면 촬영기 이송 유닛(100)은 정지되고, 피사체 회전 유닛(200)에 의해 피사체(20)가 360도 회전된다. 피사체(20)가 회전되는 동안, 촬영기(10)는 피사체(20)의 해당 높이의 둘레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피사체(20)의 해당 둘레 이미지 획득이 완료되면 촬영기 이송 유닛(100)에 의해 촬영기(10)가 다시 설정 거리 이송된다. 같은 방식으로 피사체 회전 유닛(200)에 의해 피사체(20)가 360도 회전되는 동안 촬영기(10)는 피사체(20)의 해당 높이의 둘레 이미지들을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피사체(20)의 전체 둘레 이미지들을 획득하게 되고, 피사체(20)의 상부 및 평면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턴테이블(220)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촬영기(10)가 턴테이블(220)의 아래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상술한 과정의 반복으로 피사체(20)의 하부 및 저면 이미지들을 원활하게 획득하게 된다.
한편, 도시도지는 않았지만, 촬영기(10)의 셔터 속도와, 그리고 이송 모터(131) 및 회전 모터(241)의 회전 속도 등은 별도의 입력 유닛(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측에서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 유닛(미도시)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 유닛(미도시)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는 보정 등의 이미지 처리 과정을 거쳐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을 계속해서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들은 3DVR 제작용 프로그램을 통해 3DVR용 이미지 콘텐츠로 가공되어 컴퓨터, 태블릿 PC 및 스마트 폰 등에 사용되는 운영체제에 맞게 변환되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기 이송 유닛(100)과 피사체 회전 유닛(200)을 제공하고 턴테이블(220)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사체(20)의 하부 및 저면을 포함하는 등 피사체(20)의 전방위에 대해 영상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촬영기 20: 피사체
100: 촬영기 이송 유닛 110: 이송 레일
120: 촬영기 거치대 130: 가동부
200: 피사체 회전 유닛 210: 지지부
220: 턴테이블

Claims (17)

  1. 촬영기를 상하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며 이송시키는 촬영기 이송 유닛; 및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이격되어 구비되며 피사체를 좌우 회전시키는 피사체 회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피사체의 측면을 향해 개방된 원호 형상의 이송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은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사체가 올려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턴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캔틸레버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수평 지지대 중 상기 이송 레일을 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대 중 상기 이송 레일과 마주하는 부위가 개방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은
    상기 수평 지지대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원판 현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롤러부는 상기 턴테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 지지대에 설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평 지지대 또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 롤러부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축에 구비되는 제1 풀리;
    상기 지지 롤러부의 상기 힌지축에 구비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턴테이블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서,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을 함께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촬영기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촬영기 거치대; 및
    상기 촬영기 거치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가동부
    를 더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이송 레일과 상기 촬영기 거치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촬영기 거치대를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이드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이송 모터를 포함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피사체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선 상에 상기 원호의 양단이 위치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원호의 중심각은 180도인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17. 제15항에서,
    상기 원호의 중심 좌표에 상기 피사체가 위치되도록 상기 촬영기 이송 유닛과 상기 피사체 회전 유닛이 배치되는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KR1020120021195A 2012-02-29 2012-02-29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KR10133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95A KR101338226B1 (ko) 2012-02-29 2012-02-29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95A KR101338226B1 (ko) 2012-02-29 2012-02-29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78A KR20130099578A (ko) 2013-09-06
KR101338226B1 true KR101338226B1 (ko) 2013-12-10

Family

ID=4945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95A KR101338226B1 (ko) 2012-02-29 2012-02-29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635B1 (ko) * 2015-04-27 2022-10-24 주식회사바텍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66261B1 (ko) * 2017-10-18 2018-06-11 오렌지몽키코리아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를 통한 입체 이미지 표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00042863A (ko) * 2018-10-16 2020-04-24 박경제 3d 영상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2615813B1 (ko) * 2018-11-16 2023-12-2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약db 구축장치
KR102225530B1 (ko) * 2019-08-23 2021-03-08 조혜영 360도 회전이 가능한 파노라마 촬영장치 및 운영시스템
KR102460639B1 (ko) * 2021-03-17 2022-10-2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복수의 비디오 이미지를 조합하여 파노라마 비디오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833A (ja) 2000-05-18 2001-11-22 Takahiro Odate 三次元画像表示のための画像を撮影する画像撮影装置および画像撮影方法
JP2002232768A (ja) * 2001-02-06 2002-08-16 Olympus Optical Co Ltd 全周囲画像撮影装置
JP2009188832A (ja) 2008-02-07 2009-08-20 Taito Corp 立体表示入力装置、立体表示入力プログラム及び立体表示データ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6833A (ja) 2000-05-18 2001-11-22 Takahiro Odate 三次元画像表示のための画像を撮影する画像撮影装置および画像撮影方法
JP2002232768A (ja) * 2001-02-06 2002-08-16 Olympus Optical Co Ltd 全周囲画像撮影装置
JP2009188832A (ja) 2008-02-07 2009-08-20 Taito Corp 立体表示入力装置、立体表示入力プログラム及び立体表示データ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78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226B1 (ko) 3dvr 제작용 이미지 획득 장치
US996133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with sensors and control approaches
Baur et al. Virtual projection: exploring optical projection as a metaphor for multi-device interaction
CN201607606U (zh) 快速自动立体成像系统
CN102495519A (zh) 三维摄影系统
CN105827986A (zh) 一种自动多维拍摄系统和全景图片采集生成系统
CN104251669B (zh) 一种具有旋转工作台的三维扫描系统
CN104999666A (zh) 三维扫描打印装置
TWI510052B (zh) 掃描裝置
CN104866013B (zh) 一种电子设备
CN202339473U (zh) 三维摄影系统
CN205721064U (zh) 旋转屏幕的3d投影装置
US907557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keyboard thereof
CN204832687U (zh) 一种头戴式无线虚拟现实显示器
CN204650112U (zh) 一种全方位自动拍摄仪
WO2016197492A1 (zh) 一体式智能桌面设备
CN105807549A (zh) 一种电子设备
CN203745952U (zh) 一种电子设备
US2018036444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ual-lens element
CN209057283U (zh) 一种3d扫描仪
US20170223342A1 (en) Object capture and illumination
CN208076916U (zh) 半球面摄影工作站
KR20170063313A (ko) 가상현실 영상 이동 장치
CN105635580A (zh) 一种图像获取方法及图像获取装置
WO2016096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pin phot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