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127B1 -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127B1
KR101338127B1 KR1020120013690A KR20120013690A KR101338127B1 KR 101338127 B1 KR101338127 B1 KR 101338127B1 KR 1020120013690 A KR1020120013690 A KR 1020120013690A KR 20120013690 A KR20120013690 A KR 20120013690A KR 101338127 B1 KR101338127 B1 KR 101338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cover
rosary
mobile phone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150A (ko
Inventor
박길홍
Original Assignee
박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홍 filed Critical 박길홍
Priority to KR102012001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1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8Devices related to praying, e.g. counters, reminders, study aids, compasses, rugs, cush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3/00Ros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주장치의 염주알을 회전시켜 회전되는 상기 염주알의 개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염주계수기로서, 휴대폰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염주장치가 설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염주장치를 덮으면서 상기 장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곡선의 절개부가 구비된 염주커버와 상기 염주커버의 하부에 배치되게 상기 휴대폰에 설치되고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체결홈에 설치되어 상기 염주커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장치로 이루어어져, 항시 휴대하는 휴대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염주커버를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염주알을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크기나 위치에 따라 염주알의 돌출되는 염주커버의 절개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 Phone for digital counting rosary }
본 발명은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시 휴대하는 휴대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염주커버를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염주알을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크기나 위치에 따라 염주알의 돌출되는 염주커버의 절개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불교도나 수행자들이 사용하는 염주는 일반적으로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목재재질의 구 형상의 구슬을 끈으로 여러 개를 꿰어 묶은 링 형상으로서, 이러한 염주는 수행자 등이 불교경전을 반복해서 읽거나 또는 염불을 할 때 또는 부처님을 향해 배례를 하거나 명상할 때에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염주알을 돌리면서 사용하는데, 이때 염주는 불교의식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불경을 독경한 횟수 또는 배례한 횟수를 계수하는 용도로도 사용되며, 이러한 계수용도로서 사용되는 염주는 끈에 묶인 염주알의 수에 따라 백팔염주, 천주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손목에 차고 다니는 단주가 있다.
단주는 염주알의 개수가 작아 계수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하기 때문에 계수를 위한 용도보다는 자신이 불교도임을 나타내거나 부처님을 숭배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징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계수용으로는 주로 백팔염주나 천주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백팔염주와 천주는 해당 개수만큼의 염주알이 실이나 끈에 묶여져 있기 때문에 그 길이가 길어 휴대하기가 곤란하며, 설령 백팔염주 등을 휴대하여 계수용으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수행자 등은 염주알의 계수에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명상하거나 경전을 암송할 때 사용하는 경우 정신이 흐트러져 오히려 수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염주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휴대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개발하여 출원(공개특허 제2009-68861호)한 바 있는데, 이 염주 계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뭉치(300)가 일체화되어 있는 하우징(400)과, 상기 하우징(300)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염주알뭉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염주알을 회전시킬 때마다 염주알뭉치(200)에 형성된 돌기(204)가 계수뭉치(300)의 푸시스위치(302)를 눌러 계수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염주알을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계수 디스플레이(301)를 통해 숫자로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출원에 개시된 염주 계수기는 염주알뭉치(200)와 함께 회전되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204)가 푸시스위치(302)를 누르는 경우에 염주알을 카운트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가 다소 커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이로 인해 그 외관도 미려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시 휴대하는 휴대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염주커버를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염주알을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크기나 위치에 따라 염주알의 돌출되는 염주커버의 절개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염주장치의 염주알을 회전시켜 회전되는 상기 염주알의 개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염주계수기로서, 휴대폰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염주장치가 설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염주장치를 덮으면서 상기 장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곡선의 절개부가 구비된 염주커버와 상기 염주커버의 하부에 배치되게 상기 휴대폰에 설치되고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체결홈에 설치되어 상기 염주커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주커버는 저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체결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염주커버를 가압하는 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의 상부는 상기 염주커버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곡선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가 끼움되도록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양측면에는 승강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홀에 배치되어 승강되는 안내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는 항시 휴대하는 휴대폰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므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염주커버를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염주알을 회전시키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크기나 위치에 따라 염주알의 돌출되는 염주커버의 절개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가 구비된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가 구비된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10)(이하 염주 계수기)는 염주장치(200)의 염주알(220)을 회전시켜 회전되는 상기 염주알(220)의 개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염주계수기로서, 이에 이와같은 염주 계수기(10)는 장착판(20), 염주커버(30), 디스플레이 본체(40) 및 가압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판(20)은 휴대폰(100)의 일면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며 상기 염주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한 염주장치(200)는 상기 장착판(2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체(210)와 상기 회전체(210)를 감싸면서 환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염주알(22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염주알(220)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체(2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체(210)는 상기 장착판(20)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염주알(220)들은 상기 회전체(210)의 외주연에 융착되거나 다르게는 상기 회전체에 구비되며 별도의 홈부를 갖는 회전판(도시생략)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장착판(20)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패널구조로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턱부(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염주장치(200)는 사용자가 염주알(20)을 회전시켜 회전되는 염주알(220)의 개수를 염주장치(200)에 내장된 센서(도시생략)가 감지 후 그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40)에 전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4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누적숫자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미 해당 분야에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염주커버(30)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염주장치(200)를 덮으면서 상기 장착판(20)의 테두리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염주알(220) 중 어느하나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되도록 곡선의 절개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염주커버(30)에는 곡선의 저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상기 턱부에 걸림되도록 지지턱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염주커버(3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2)들이 형성된 양측에 스토퍼(34)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40)는 상기 염주커버(30)의 하부에 배치되게 상기 휴대폰(100)에 접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면에는 체결홈(41)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40)의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홈(41)과 연통되게 승강홀(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40)의 일면에는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누적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3)가 마련된다. 또한 표시조건변경 및 온/오프 위한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장치(50)는 상기 체결홈(21)에 설치되어 상기 염주커버(3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가압장치(50)는 상기 체결홈(41)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51)과 상기 체결홈(41)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염주커버(30)의 하부를 가압하는 헤드(52)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52)의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홀(42)에 배치되어 승강되는 안내손잡이(521)가 더 형성되며, 상기 헤드(52)의 상부는 상기 염주커버(30)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곡선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32)가 끼움되도록 다수의 걸림홈(5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휴대폰(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단부가 상기 염주커버(30)의 절개부(31)에 배치되도록 상기 안내손잡이(521)를 하향으로 내린 후 상기 염주커버(30)를 회전시켠 다음 안내손잡이(521)를 놓게 된다.
이후, 상기 헤드(52)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된 탄성스프링(51)의 탄성에 의해 헤드가 상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염주커버(30)의 하부를 가압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32)에 상기 걸림홈(522)에 끼움되어 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일련의 사용준비를 마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절개부(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염주알(220)을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염주커버(30)를 회전 후 고정시킬 수 있어 왼손이나 오른손의 엄지로 염주알(220)의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각각 다른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위치에 맞게 염주커버(30)를 회전시켜 맞출 수 있게 됨으로서, 편안하게 염주알(22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10 : 염주 계수기 20 : 장착판
30 : 염주커버 40 : 디스플레이 본체
50 : 가압장치 21 : 턱부
31 : 절개부 32 : 걸림돌기
33 : 지지턱부 34 : 스토퍼
41 : 체결홈 42 : 승강홀
43 : 디스플레이부 51 : 탄성스프링
52 : 헤드 521 : 안내손잡이
522 : 걸림홈 200 : 염주장치
210 : 회전체 220 : 염주알

Claims (3)

  1. 염주장치의 염주알을 회전시켜 회전되는 상기 염주알의 개수를 계수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염주계수기로서,
    휴대폰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염주장치가 설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염주장치를 덮으면서 상기 장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곡선의 절개부가 구비된 염주커버와 상기 염주커버의 하부에 배치되게 상기 휴대폰에 설치되고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본체과 상기 체결홈에 설치되어 상기 염주커버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염주커버는 저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체결홈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염주커버를 가압하는 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의 상부는 상기 염주커버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곡선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가 끼움되도록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양측면에는 승강홀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홀에 배치되어 승강되는 안내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KR1020120013690A 2012-02-10 2012-02-10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KR101338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90A KR101338127B1 (ko) 2012-02-10 2012-02-10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690A KR101338127B1 (ko) 2012-02-10 2012-02-10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50A KR20130092150A (ko) 2013-08-20
KR101338127B1 true KR101338127B1 (ko) 2013-12-06

Family

ID=4921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90A KR101338127B1 (ko) 2012-02-10 2012-02-10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69083B (zh) * 2018-10-04 2019-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佛珠測試裝置及其測試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6690A2 (en) * 2005-08-02 2007-02-08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Adjustable wrench
KR20110010671A (ko) * 2009-07-25 2011-02-07 김정찬 착탈식 냉매수용팩이 부설된 주전자
KR20110032387A (ko) * 2009-09-23 2011-03-30 박길홍 휴대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KR101053766B1 (ko) * 2009-10-30 2011-08-02 정용안 배례 횟수 계수용 휴대용 디지털 계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6690A2 (en) * 2005-08-02 2007-02-08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Adjustable wrench
KR20110010671A (ko) * 2009-07-25 2011-02-07 김정찬 착탈식 냉매수용팩이 부설된 주전자
KR20110032387A (ko) * 2009-09-23 2011-03-30 박길홍 휴대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KR101053766B1 (ko) * 2009-10-30 2011-08-02 정용안 배례 횟수 계수용 휴대용 디지털 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50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4508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3002364C (en) Mobile phone holder
EP3399383B1 (en) Mobile terminal
WO2016038468A1 (en) Cover or faceplate for electronic smart watch
CN106073069B (zh) 设计成安装在可移除的支承件上的手表
KR200493347Y1 (ko) 휴대가 용이한 마스크
EP2749966B1 (en) Watch with interchangeable member
JP6550452B2 (ja) コンバーチブルスマートウォッチ
JP6269403B2 (ja) 機器ケースの耐衝撃構造及び時計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38127B1 (ko) 휴대폰용 디지털 염주 계수기
CN104730901B (zh) 覆盖有两个金属半壳的塑料表壳
US20140213330A1 (en) Cell Phone / Phone Case Finger Clutches
JP5806422B1 (ja) 携帯端末ホールド用カバー
US9411372B1 (en) Wearable device
KR10138437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JP5489256B1 (ja) 操作ボタン誤操作防止具および電子機器
US10578258B1 (en) Removable illumination device for a button
KR101353430B1 (ko) 디지털 염주
CN206741225U (zh) 智能手表
CN205847372U (zh) 一种手机保护壳
KR200440561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256657B1 (ko) 휴대폰 지지 장치
CN104808820B (zh) 一种变形鼠标
CN211905992U (zh) 多功能保健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