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819B1 - Apparatus for cultivating lotus root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ultivating lotus root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7819B1 KR101337819B1 KR1020120009180A KR20120009180A KR101337819B1 KR 101337819 B1 KR101337819 B1 KR 101337819B1 KR 1020120009180 A KR1020120009180 A KR 1020120009180A KR 20120009180 A KR20120009180 A KR 20120009180A KR 101337819 B1 KR101337819 B1 KR 101337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 lotus root
- longitudinal
- root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8—Protection for the ears, e.g. removable ear muff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6—Balaclav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재배조와, 재배조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조커버와, 재배조 또는 방조커버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종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근지지대와, 재배조 또는 방조커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재배조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방조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detachably coupl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cov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ne or more longitudinal support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uxiliary cover and supporting the longitudinal roots, and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djacent cover of the cultivation tank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uxiliary cover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nd a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연근은 연(蓮, lotus)의 땅속줄기를 지칭한다. 연은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식용, 약재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3 내지 4종 정도가 식용으로 재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주로 땅속줄기 중 가을철에 양분이 저장되어 굵어진 부분이므로, 재배 후 수확을 할 때 이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채취한다.Lotus root refers to the underground stem of lotus. There are a variety of varieties, and is used for edible, medicinal, ornamental, etc. Among them, about 3 to 4 kinds are known to be grown for food. The edible part is mainly thickened because the nutrients are stored in the fall season of the subterranean stem, so be careful not to damage this part when harvesting after cultivation.
연의 파종 및 수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연의 파종 시에는 종근의 정상적인 성장을 위하여 재배지의 토양에 종근이 묻히는 깊이 및 각도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수확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연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많은 숙련을 요한다.The sowing and harvesting of lotuses is largely dependent on manual labor. At the time of sowing seedling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epth and angle at which the seedlings are buried in the soil of the plantation for normal growth of the seedlings, and the harvesting of the lotus roots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lot of skill.
한편, 연의 생장에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므로, 연근을 얻기 위한 연은 얕은 연못이나 깊은 논에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연의 파종 및 수확은 보통 토양에 다량의 물이 포함된 상태로 행해지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할 뿐만 아니라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연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kite, the kite for obtaining lotus root is generally grown in a shallow pond or a deep paddy field. Therefore, since the seeding and harvesting of the lotus is usually carried out in a state that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soil, not only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but also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ime, and skilled workers are required to prevent damage to the lotus root.
또한, 종근을 파종한 후 두루미나 청둥오리와 같은 야생동물이 종근 및 종근으로부터 자란 새 순을 먹거나 손상시켜 연근의 재배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재배지의 토양에 포함된 자갈이나 단단하게 뭉친 흙덩어리인 토괴와 같은 장애물들이 종근의 성장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종근이 자갈이나 토괴를 우회하며 성장하게 되므로 추후 연근의 형상이 고르지 못하여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sowing seedlings, wild animals such as cranes and mallards rarely suffer from cultivation of lotus root by eating or damaging seedlings grown from seedlings and seedlings. In addition, when obstacles such as gravel included in the soil of the plantation or ingots, which are solid aggregates of soil, are located in the growth direction of the roots, the roots of the roots grow by bypassing the gravel or ingots. Value may be lowered.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연근의 파종이나 수확은 여전히 수작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shortcomings,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being conducted, but the sowing or harvesting of lotus root is still highly dependent on manual lab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근의 파종 및 수확에 필요한 수작업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연근재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되도록 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ave time and effort in lotus root cultivation by minimizing the amount of manual work required for sowing and harvesting lotus roo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조커버와,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종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근지지대와,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재배조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방조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upper side is ope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is detachably coupl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uxiliary cov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t least one longitudinal support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uxiliary cover and supporting the root of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djacent cultivation tank adjacent to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uxiliary cover, respectively,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may be provided compris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rotective cover disposed to each other.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원통 형상의 윗면 및 밑면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원통 형상의 중심부 반대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cultivation tank and the guiding cover are respectively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when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connector can be coupled to the cultivation tank or the protection cover. In this cas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auxiliary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may be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hape.
한편, 상기 재배조의 횡단면은,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호 및 상기 한 쌍의 반원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나란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 네 꼭지점 부분이 원호인 직사각형 및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ulture tank is a figure surrounded by a pair of semicircular arc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parallel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pair of semicircular arcs, the shape of any one of a rectangle and an ellipse whose four vertices are circular arcs It is formed to have, the cultivation tank or the protection cover may be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or.
상기 재배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 및 상기 방조커버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은 망구조체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Portion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cultivation tank and portion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protective cover may be formed of a network structure, respectively.
상기 연근재배장치에서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조커버 또는 상기 재배조에는 상기 체결홈 또는 상기 체결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a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ir conditioning cover, and a fastening groove or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or the fastening protrusion in the faux cover or the cultivation tank. Fastening protrusions or fastening grooves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bove may be formed.
상기 종근지지대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종근지지부와, 상기 종근지지부에 결합 또는 상기 종근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ngitudinal support may include a ring shaped longitudinal support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that one side is open and the width of the open portion is expandable, and a leg portion coupled to the longitudinal support or protruding from the longitudinal support. .
여기서, 상기 종근지지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개방된 부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종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근이 상기 종근지지부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종근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Here, an opening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longitudinal guide por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 portion extend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uscle when the longitudinal root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그리고, 상기 종근이 상기 다리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종근지지대에 의해 경사지도록 지지되어, 상기 종근의 일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근의 타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하측을 향할 수 있다.The longitudinal roots are supported to be inclined by a pair of longitudinal supporters having different lengths of the leg portions, so th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roots is disposed at the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roots faces the low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Can be.
또한, 상기 재배조 내측 하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결합구가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supporter couplers may be formed or coupl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tank so that the ends of the leg portions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연결구는, 선형의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의 양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의 후크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후크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형상으로 상기 후크에 결합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hook in a linear connector body, a hook of a ring shape formed o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body and open at one side, and closes the open portion of the hook with flexibility. It may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연근재배장치 또는 복수의 상기 재배조를 재배지로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종근지지대에 상기 종근을 고정하는 종근고정단계와, 재배토가 상기 방조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재배조에 충전되도록 하는 복토단계와, 상기 재배지에 물을 대는 관개단계와,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의 상기 복수의 방조커버를 상기 복수의 재배조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방조커버분리단계와, 상기 종근지지대로부터 연근을 분리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or a plurality of the cultivation tank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the connector to the planting site; And, the anchoring step of fixing the roots to the root support, the soil cover step to allow the cultivation soil to be filled in the cultivation tank passing through the aid cover, the irrigation step of watering the plantation, by the plurality of connectors A moving step of moving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outside the plantation, an auxiliary cove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plurality of auxiliary cover of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s from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tanks, and from the longitudinal support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harvesting step of separating the lotus root can be provided.
상기 이동단계 이전에는, 상기 재배지로부터 물을 빼는 배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Before the moving step, a draining step for removing water from the plant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방조커버분리단계 이전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상승시켜 상기 재배조 내의 상기 재배토 및 상기 물이 상기 재배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Before the step of removing the cover cover, the step of raising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connectors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step to discharge the cultivation soil and the water in the cultivation tank outside the cultivation tank. ha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근의 재배 과정 중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상당 부분을 농업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연근의 재배에 소요되는 막대한 노동력 및 시간이 절약되도록 함으로써, 연근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manual work of the cultivation of lotus root to work with the equipment commonly used in agriculture to save enormous labor and time required for the cultivation of lotus root,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lotus root It can lower, and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work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조커버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이 종근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재배토에 섞인 토괴나 자갈 등이 종근의 생장 영역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근의 손실이 감소되고 연근이 곧은 형상으로 성장하여 상품가치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id cover to prevent the wildlife access to the roots and to prevent the ingots and gravel mixed in the cultivation soil mixed in the growth zone of the roots, the loss of the roots is reduced and the lotus roots It can grow in a straight shape to improve the value of good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근 수확에 쇠스랑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성장한 연근이 재배조 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연근이 수확 과정에서 손상될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used for harvesting lotus root and so that the grown lotus root in the cultivation tank,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lotus root is damaged in the harvesting process even if not ski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에 연결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가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연결체를 재배지에 배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연결체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표시된 X-X'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에 표시된 Y-Y'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
도 12는 연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 연결체를 재배지에 배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내에 종근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 내에 재배토가 충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가 물에 잠긴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포클레인으로 상승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nector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is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arranging the connecting body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moving the connector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side the planta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ultivation tank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tank along the line X-X 'shown in FIG.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tank along the line Y-Y 'shown in FIG. 8;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nector.
Figure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rranging the cultivation connector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lanta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ot is placed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d soil is filled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ure 15 submerged in water.
1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forkl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stat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100)에는 재배조(110), 방조커버(120), 종근지지대(130) 및 지지대결합구(150)가 포함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lotus
재배조(110)에는 재배조본체(111) 및 체결돌기(114)가 포함된다. 재배조본체(11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망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망구조체는 그물과 같은 형상을 가진 구조체를 지칭한다.The
재배조본체(111)의 상측에는 복수의 체결돌기(114)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본체(111)는 반원통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조본체(111)의 하측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평면 형상을 갖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재배지의 지면 상에 재배조본체(111)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방조커버(120)에는 방조커버본체(121), 체결부(123), 체결홈(124) 및 연결부(125, 126)가 포함된다. 방조커버본체(121)는 재배조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통 형상의 망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조커버본체(121)는 반원통 형상 외에도 재배조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복수의 체결홈(124)을 갖는 체결부(123)는 방조커버본체(121)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체결돌기(114) 및 체결홈(124)은 상응하는 수 및 상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A
따라서, 재배조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방조커버본체(121)로 커버한 다음 체결돌기(114)가 체결홈(124)에 삽입되도록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114) 및 체결홈(124)이 다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면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cover of the open upper side of 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홈을 갖는 체결부는 재배조본체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체결부에는 체결홈 대신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체결홈이 재배조본체 또는 방조커버본체에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a fastening part having a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body, and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astening part instead of the fastening groove,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cultivation tank body or the auxiliary cover body.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결합된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 내에는 종근(10)이 수용되어 성장할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재배공간은 종근(10)이 도시되지 않은 연근으로 충분히 성장했을 때 필요한 공간을 의미한다. 성장한 연근이 필요로 하는 재배공간은 종근(10)이 재배될 지역의 기후나 토양, 수질 등에 의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의 길이, 폭 및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In the combined
참고로, 종근(10)은 연의 땅속줄기 중 일부분으로, 연밥이라 칭하는 연의 종자를 발아시키거나, 도시되지 않은 연근으로부터 채취될 수 있다. 연의 종근(10)을 얻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root of the
재배조본체(111)의 내부 하측에는 종근(10)을 지지하는 종근지지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종근지지대(130)는 다리부(131), 종근지지부(132) 및 종근가이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An inner lower side of the
종근지지부(132)는 종근(10)을 재배조(110) 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근지지부(132)는 일측이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갖는데,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술한 중공부로 종근(10)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종근지지부(132)는 삽입되는 종근(10)의 굵기가 상술한 중공부보다 굵거나, 종근(10)이 성장하여 그 굵기가 중공부보다 증가하는 경우,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종근(10) 또는 성장한 연근(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다리부(131)는 별도로 제조되어 종근지지부(132)에 결합되거나, 종근지지부(132)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131)의 단부는 재배조본체(111)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근지지부(132)가 재배조본체(111)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The
다리부(131)의 단부가 재배조본체(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재배조본체(111)의 내측 하면에는 지지대 결합구(150)가 형성 또는 결합된다. 지지대 결합구(150)에는 다리부(131)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지지대 결합구(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end of the
지지대 결합구(150)는 방조커버본체(121)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다리부(131)가 방조커버본체(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따라서, 종근지지부(132)는 다리부(131)에 의하여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근재배장치(100) 내에 삽입된 종근(10)은 재배조(110) 및 방조커버(120) 내의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종근(10)의 재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the
종근가이드부(133)는 종근지지부(132)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종근가이드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근(10)이 종근지지부(13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그 중공부에 삽입될 때 종근(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종근가이드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근지지부(132)의 개방된 부분이 확장될 경우, 그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종근(10)과 접촉되는 부위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설명하지 않은 연결부(125, 126)에 대해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에 연결구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연결구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onnector illustrated in FIG. 3.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연결구(160)에는 연결구본체(161), 후크(162, 164) 및 이탈방지돌기(163, 165)가 포함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 the
연결구본체(161)로는 벨트, 체인, 로프, 와이어 등과 같이 선형을 갖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구본체(161)의 양측에는 후크(162, 164)가 결합될 수 있으며, 후크(162, 164)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the
후크(162, 164)에는 이탈방지돌기(163, 165)가 각각 형성 또는 결합되고, 이탈방지돌기(163, 165)는 후크(162, 164)의 개방된 부분을 각각 폐쇄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돌기(163, 165)는 가요성을 갖도록 제조되거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후크(162, 164)에 결합된 물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연결구(160)가 연결부(125, 126)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a plurality of
연결부(125, 126)는 방조커버본체(도 1의 121 참조)에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60)의 후크(도 4의 162, 164)가 결합될 수 있는 형성을 갖는다.The connecting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125, 126)는 도시된 고리형상 외에도 후크(162, 164)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25, 126)는 연결구(16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연결부(125, 126)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방조커버본체(1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125, 126)는 재배조(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the
복수의 연결구(160)에 의해 연근재배장치(100)는 인접하게 배치된 연근재배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Lotus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5 shows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onnected.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100)는 연결구(16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근재배장치(1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60)에 의해 연쇄적으로 연결된 것을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라 칭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5,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3, lotus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의 양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해당되는 연결구(160)에는 견인고리(170)가 결합될 수 있다. 견인고리(170)는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재배지에 배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lantation.
도 6을 참조하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에 결합된 견인고리(170)가 포클레인(50)의 삽(5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포클레인(50)을 이동시킴에 따라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할 재배지(20)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참고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의 견인에는 도시된 포클레인(50) 외에도 윈치, 중장비 및 농업용 장비 등 다양한 견인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견인수단에 따라 견인고리(170)의 형상 또한 변형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addition to the
다만, 견인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 포클레인(50)을 도시한 이유는, 종래의 수작업으로 연근을 수확하기 전에는 연 잎을 제거하고 재배지(20) 표면의 토양을 일부 제거하여 연근이 묻혀있는 깊이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연근의 수확 작업을 조금이나마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에 포클레인(50)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근재배 농가의 포클레인(50) 보유율이 높기 때문이다.However,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ction means, the reason for showing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에 포함된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이 각각 하나씩 배치된 상태일 경우에는,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에 재배토(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뿌려서 재배토(도시되지 않음)가 각각의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를 통과한 후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각각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재배토로는 유기질이 많은 양토(壤土)나 점질양토(粘質壤土)를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each of the longitudinal roots (see 10 of FIG. 1)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es (see 100 of FIG. 3) included in the lotus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재배지(20) 상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재배토(도시되지 않음)를 충전시키기 전에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의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를 각각 개방하고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종근지지대(도 3의 130 참조)에 각각 고정시키는 과정을 선행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lotus
여기서, 재배토(도시되지 않음)가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은 재배토(도시되지 않음) 내에 포함된 자갈이나 토괴가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에 의해 걸러져서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의 재배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soil (not shown) to pass through the cover (refer to 120 of FIG. 3) is that the gravel or soil contained in the soil (not shown) is filtered by the cover (see 120 in FIG. 3) It is to prevent the inflow into the growing space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100 of Figure 3).
방조커버본체(도 1의 121 참조)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의 크기 또는 망구조체의 눈의 크기는 다음의 두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rotective cover body (see 121 of FIG. 1) or the size of the eyes of the network structur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우선,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중 종근(도 1의 10 참조) 및 종근(도 1의 10 참조)에서 자란 새 눈을 먹거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통공의 크기가 야생동물이 종근(도 1의 10 참조)에 접근할 수 없을 정도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First, among the wild animals inhabiting the areas where they want to grow Chong (see 10 in Fig. 1), those that are likely to eat or damage new eyes grown in Chong (see 10 in Fig. 1) and Chong (see 10 in Fig. 1).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ize of the aperture can be determined such that the wildlife is inaccessible to the root (see 10 in FIG. 1).
다음으로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하고자 하는 재배지에 포함된 자갈이나 토괴 중 종근(10)의 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최소 크기를 고려하여 그보다 작은 정도의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Next, considering the minimum size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growth of the
상기 두 조건 중 통공의 크기 또는 망구조체의 눈의 크기가 더 작은 것을 기준으로 하면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및 재배토에 혼입된 이물질에 의한 피해를 모두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재배조본체(도 1의 111 참조) 및 방조커버본체(도 1의 121 참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상당한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실외에서 장기간 물과 토양 속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내수성 및 내후성 등을 갖는 소재를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or the size of the eyes of the network structure is smaller than the above two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both the damage caused by wild animals and the damage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mixed into the soil. For reference, the cultivation tank body (see 111 of FIG. 1) and the cover cover body (see 121 of FIG. 1) may be applied with a significant tensile force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lotus root
상술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포클레인(50)과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재배지(20)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지(20)에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다. 또한,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및 재배토에 혼합된 이물질에 의한 피해가 모두 예방될 수 있으므로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lotus root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7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planta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견인고리(170)가 포클레인(50)의 삽(51)에 결합되고, 포클레인(50)이 이동함에 따라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재배지(20) 외부로 이동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이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충분히 성장하여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재배지(20) 내의 토양에 비해 지면이 견고한 영역으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를 이동시킴으로써 연근(도시되지 않음)의 수확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for harvesting lotus roots (not shown) with sufficient growth of the roots (see 10 in FIG. 1), and the lotus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를 재배지(20) 외부로 이동시킨 후에는 복수의 재배조(도 1의 110 참조) 및 복수의 방조커버(도 1의 120 참조)를 각각 분리한 후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성장하여 형성된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수확할 수 있다.After moving the lotu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은, 연근(도시되지 않음)의 수확을 위하여 작업자가 재배지(20) 내를 이동하면서 쇠스랑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근(도시되지 않음) 수확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근 수확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이 크게 감소되며, 수확 과정에서 연근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연근의 손실률이 매우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the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worker moves in the
이상의 연근재배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8에 표시된 X-X'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8에 표시된 Y-Y'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ultivation tank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ure 8, Figure 10 is shown in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tank along the line X-X 'is show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tank along the Y-Y' line shown in FIG.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S. 8-11.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200)에는 재배조(210), 방조커버(220), 종근지지대(230, 240) 및 지지대결합구(251, 253, 255, 257)가 포함된다.8 to 11, the lotus
재배조(210)에는 재배조본체(211), 거름부재(213), 체결돌기(214) 및 연결부(215, 216)가 포함된다. 재배조본체(21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면의 일부분 이상에 개방부(212)가 형성되며, 거름부재(213)는 개방부(212)를 커버하며 재배조본체(211)의 하측부에 결합된다. 거름부재(213)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재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다공판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210)에 형성된 개방부(212)를 거름부재(213)로 커버하는 대신, 재배조(210)에 개방부(212)를 형성하지 않고 재배조(210)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 복수의 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stead of covering the
재배조본체(211)의 모서리 부분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호 및 반원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나란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본체(211)는 그 횡단면이 타원 또는 네 꼭지점이 원호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rner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재배조본체(211)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재배조본체(211) 내에서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성장하는 도중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의 단부가 재배조본체(211)에 접하게 되었을 때 완만하게 우회하며 성장하게 함으로써 종근(도 1의 10 참조)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us, the edge portion of the
재배조본체(211) 내에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수용되어 성장할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재배공간은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연근으로 충분히 성장했을 때 필요한 공간을 의미한다. 성장한 연근이 필요로 하는 재배공간은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재배될 지역의 기후나 토양, 수질, 종근의 품종 등에 의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재배조본체(211)의 길이(L), 폭(W) 및 높이(H)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In the
재배조본체(211)의 상측부에는 복수의 체결돌기(214)가 형성된다. 체결돌기(214)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A plurality of
그리고, 재배조본체(211)의 상측부 양측에는 연결부(215, 216)가 형성된다. 연결부(215, 216)는 앞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연결부(125, 126)와 같이, 강한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재배조본체(2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Then, connecting
방조커버(220)에는 방조커버본체(221) 및 체결부(223) 가 포함된다. 방조커버본체(221)는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방조커버본체(2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조커버본체(221)는 그 외에도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그리고, 방조커버본체(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조체로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조커버본체(211) 자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체결부(223)는 방조커버본체(221)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체결부(223)에는 복수의 체결홈(224)이 형성되는데, 체결홈(224)은 재배조본체(211)에 형성된 체결돌기(214)와 상응하는 수 및 상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을 방조커버본체(221)로 커버한 다음 체결돌기(214)가 체결홈(22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재배조본체(211) 및 방조커버본체(2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홈을 갖는 체결부는 재배조본체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체결부에는 체결홈 대신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체결홈이 재배조본체 또는 방조커버본체에 형성되는 등 재배조본체(211) 및 방조커버본체(2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fastening part having a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body, and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astening part instead of the fastening groove,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the cultivation tank body or the auxiliary cover body. Various methods may be used such that the
재배조본체(211)의 내부 하측에는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는 앞에서 설명한 종근지지대(도 1의 13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종근지지대(230)가 제2 종근지지대(240)에 비하여 길이가 긴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first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는 거름부재(213)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가 재배조본체(211) 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부(212)가 작은 경우에는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가 재배조본체(211)의 하면 내측에 형성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The support coupler (251, 253, 255, 257) is formed or coupled to the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에는 각각 삽입공(242, 254, 246, 25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sertion holes 242, 254, 246, and 258 may be formed in the
도 12에는 연결구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12 shows a variant of the connector.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구(260)에는 연결구본체(261), 후크(262, 264) 및 이탈방지돌기(263, 265)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연결구본체(2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구본체(261)의 양단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162, 16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162, 164)의 개방된 부분에는 이탈방지돌기(163, 16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연결구(260)가 용이하게 제조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구본체(261), 후크(262, 264) 및 이탈방지돌기(263, 265)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구(260) 전체를 한 번의 사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구(260)가 강한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후크부(262, 264) 및 연결구본체(261) 내에 강선 등의 심재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in order to easily manufacture the
이와 같이, 연결구(26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by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the
복수의 연결구(260)를 재배조본체(도 8의 211 참조)에 형성된 연결부(도 8의 215, 216)에 각각 연결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재배조(210)를 연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 연결체가 재배지에 배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3 shows a state that the cultivation connector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planta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재배조(210)가 연결구(260)에 의해 연결된 결합체의 양단부에는 견인고리(270)가 결합되고, 견인고리(270)는 포클레인(50)의 삽(5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포클레인(50)을 이동시킴에 따라 복수의 재배조(210)들이 재배지(20)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견인고리(27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견인고리(170)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3, a
이후, 복수의 재배조(210) 내에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을 각각 고정시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reafter, the roots (see 10 of FIG. 1) are respectively fixed in the plurality of
도 14에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내에 종근이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 내에 재배토가 충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가 물에 잠긴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FIG. 1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oots are arranged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ed soil is filled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4.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ure 15 is shown submerged in water.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지(도 13의 20 참조) 상에 배치된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 중 하나를 대표로 나타낸 것으로, 이 설명으로 도 13에 도시된 나머지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14 to 16 are representative of one of a plurality of cultivation tanks (see 210 of FIG. 13) disposed on the cultivation site (see 20 of FIG. 13) as shown in FIG.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plurality of cultivators (see 210 of FIG. 13) shown will be replaced.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200) 내에 종근(10)이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4, the
여기서 종근(10)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지(20)의 지면(21) 상에 재배조(210)가 배치된 다음,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후, 재배조(210)에 방조커버(220)를 결합시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Here, the root of the
종근지지대(230, 240)에는 다리부(231, 241), 종근지지부(232, 242) 및 종근가이드부(233, 243)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단, 종근지지대(230, 240)의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각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200)에는 하나의 종근(10)이 한 쌍의 종근지지대(230, 24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제1 종근지지대(230)의 다리부(231)의 길이가 제2 종근지지대(240)의 다리부(24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종근(10)은 지면(21)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된다.As described above, one
이는 종근(10)의 일단부는 재배조본체(211)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재배조본체(211)의 하측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is one end of the
도 15를 참조하면, 재배조본체(211) 내에 재배토(30)가 충전되어 있다. 재배토(30)는 방조커버본체(221)를 통과하여 재배조본체(211) 내에 충전되도록 하는데, 이때 종근(1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눈은 재배토(3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D)에 배치되고, 종근(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잎은 재배토(30)의 표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참고로, 종근(1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눈은 연의 뿌리줄기가 성장하는 부분이고, 일단부에 형성된 잎은 지상으로 성장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종근(10)의 눈은 최대한 장애물이 근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종근(10)의 잎은 눈에 비해 재배조본체(211)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ey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ot of the
여기서, 소정의 깊이(D)는 12 내지 15 센티미터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당업자들이 실험 등에 의해 얻은 값이며, 종근(10)의 품종, 재배환경, 종근(10)의 용도 등에 따라 이 깊이(D)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조본체(211)의 높이(H)는 종근(10)의 타단부의 위치(D) 및 종근(10)이 성장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depth (D) is known to be suitable for 12 to 15 centimeters, this is a valu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xperiments, etc., this depth (depending on the varieties of the
이와 같이 한 쌍의 종근지지대(230, 240)는 종근(10)의 원활한 성장을 위하여 종근(10)이 재배토(30) 내에서 일정한 깊이 및 각도를 유지하도록 종근(10)을 고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재배조본체(211) 내에 재배토(30)를 충전하는 복토작업은, 작업자가 삽 등을 이용하거나 포클레인(도 6의 50 참조)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재배토(30)를 방조커버(220) 상에 뿌리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cover work for filling the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종근(10)의 재배토(20) 내에서의 위치는 제1 종근지지대(230)의 다리부(231)의 길이, 제2 종근지지대(240)의 다리부의 길이(241) 및 종근지지대(230, 240) 사이 거리(G)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231, 24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다리부(231, 241)가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구(251, 253) 사이의 거리(G)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4, the position in the
참고로, 재배조본체(211) 내에 다수의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가 설치된 것은 재배조본체(211)가 배치된 방향과 상관없이 종근(10)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점선으로 나타낸 다른 종근(10a) 및 종근지지대(230a, 240a)와 같이, 필요한 경우 하나의 재배조본체(211) 내에서 한 쌍의 종근(10, 10a)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plurality 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200) 내에 재배토(30)를 충전시키는 복토작업 후에는 재배지(20)에 물을 대는 관개작업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cover work for filling the
도 16을 참조하면, 재배지(20)에는 관개작업이 행해져서 물(40)이 재배토(3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W)가 되도록 공급된다. 이때, 물(40)의 깊이(W)는 15 내지 20 센티미터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irrigation is performed to the
이후, 일반적인 재배방법에 따라 종근(10)이 성장하도록 하고, 연근이 충분히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면 연근을 수확한다.After that, according to the general cultivation method to grow the root of the
연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포클레인(도 13의 50 참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연근재배장치(200)가 연결구(260)에 의해 연쇄적으로 연결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17의 201 참조)를 재배지(20) 외부로 이동시킨다.In order to harvest the lotus root, the lotus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포클레인으로 상승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rise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nnecting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ocla.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연근재배장치 연결체(201)를 재배지(20)의 지면(21) 및 물(40)보다 높게 상승시키면, 재배조본체(211) 내의 재배토(30) 및 물(40)이 재배토본체(211)에 형성된 개방부(212)를 통하여 연근재배장치(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lotus
다만, 재배조본체(211) 내에 있던 연근(도시되지 않음) 또한 개방부(2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에는 수확해야 할 연근(도시되지 않음)이 분산되거나 손상되어서, 연근의 수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손실률이 커질 수 있다.However, when the lotus root (not shown) in the
따라서, 개방부(212)를 커버하는 거름부재(도 16의 213)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는, 재배조본체(211) 내의 재배토(30) 및 물(40)은 원활히 통과할 수 있지만 연근(도시되지 않음)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ltering member (213 of FIG. 16) covering the
이후, 재배지(도 16의 20 참조) 외부로 이동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201)의 재배조(210) 및 방조커버(220)를 분리한 다음, 재배조(2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Then, after separating the
도 18 및 도 1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 도 18은 종근의 파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9는 재배된 연근의 수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18 and 1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se, Figure 18 is for explaining the seeding method of the seedlings, Figure 19 is for explaining the harvesting method of cultivated lotus root.
우선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중 종근의 파종방법에는, 배치단계(S11), 종근고정단계(S12), 방조커버결합단계(S13), 복토단계(S14) 및 관개단계(S15)가 포함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8, in the seeding method of the root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tch step (S11), longitudinal root fixing step (S12), the cover cover step (S13) , Cover step (S14) and irrigation step (S15) is included.
배치단계(S1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참조) 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를 재배지(도 7 또는 도 13의 20 참조) 상에 배치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rranging step S11 may be performed on a plantation site (see 20 of FIG. 7 or FIG. 13) of a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nnecting body (see 101 of FIG. 7) or a cascade connected (see 210 of FIG. 13). It is the step which performs the operation | positioning in the.
종근고정단계(S1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조(도 1의 110, 도 8의 210 참조) 내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을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ongitudinal root fixing step S12 is a step of fixing the longitudinal root (see 10 of FIG. 1) in the cultivation tank 110 (see FIG. 1 and 210 of FIG. 8).
방조커버결합단계(S1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조(도 1의 110, 도 8의 210 참조)에 방조커버(도 1의 120, 도 8의 220)를 결합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uxiliary cover coupling step (S13), as described above, is a step of coupling the protective cover (120 in Fig. 1, 220 in Fig. 1) to the cultivation tank (110 in Fig. 1, 210 of Fig. 8).
복토단계(S14)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토(도 15의 30 참조)가 방조커버(도 1의 120, 도 15의 220 참조)를 통과하여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15의 200 참조) 내에 충전되도록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ver step (S14), the redistribution soil (see 30 of FIG. 15) passes through the cover (120 of FIG. 1 and 220 of FIG. 15), and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100 of FIG. 1 and FIG. 15). (See 200).
관개단계(S1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지(도 6, 도 16의 20 참조)에 물(도 16의 40 참조)을 공급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rrigation step (S15) is a step of supplying water (see 40 in FIG. 16) to the plantation site (see 20 in FIG. 6 and FIG. 16).
따라서,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8의 200 참조)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연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를 재배지(도 13의 20 참조)에 배치(S11)하고,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 내에 종근(도 14의 10 참조)을 각각 고정(S12)한 후, 재배조(도 14의 210 참조)에 방조커버(도 14의 220 참조)를 결합(S13)시킨 다음 복토단계(S14) 및 관개단계(S15)를 행하여 종근(도 14의 10 참조)을 재배지(도 13의 20 참조)에 파종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200 of FIG.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7,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ultivation tanks connected in series (see FIG. 13). 210) is placed on the plantation site (see 20 in FIG. 13) (S11), and the roots (see 10 in FIG. 14) are fixed (S12) in a plurality of cultivation tanks (see 210 in FIG. 13), respectively. 14 (see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조(110) 내에 고정(S12)하고, 방조커버(도 1의 120 참조)를 재배조(도 1의 110 참조)에 결합(S13)한 후,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6의 101 참조)를 재배지(도 6의 20 참조)에 배치(S11)한 다음 복토단계(S14) 및 관계단계(S15)를 행하여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지(도 6의 20 참조)에 파종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100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seed root (see 10 of FIG. 1) is cultivated as described above. After fixing (S12) in the 110, the cover (see 120 of FIG. 1) to the cultivation tank (see 110 of FIG. 1) (S13),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see 101 of Figure 6) planting 6 (see 20 in FIG. 6), and then the cover step (S14) and the relationship step (S15) are performed to seed the roots (see 10 in FIG. 1) to the plantation (see 20 in FIG. 6). Can be.
즉,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의 구조에 따라 종근(도 1의 10 참조)의 파종 순서가 다소 변경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100 in FIG. 1, 200 in FIG. 8), the seeding order of the longitudinal root (see 10 in FIG. 1) may be changed slightly.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중 연근의 수확방법에는, 이동단계(S21), 방조커버분리단계(S22) 및 수확단계(S23)가 포함된다.19, the method of harvesting lotus root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step (S21), the cover cover step (S22) and harvesting step (S23) do.
이동단계(S2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재배지(도 7 또는 도 13의 20 참조) 외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step S21 is a step of mov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101 in FIG. 7, 201 in FIG. 17) to the outside of the plantation (see 20 in FIG. 7 or FIG. 13).
방조커버분리단계(S2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조(도 1의 110, 도 8의 210 참조)에 결합된 방조커버(도 1의 120, 도 8의 220)를 각각 분리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ep of removing the cover cover S22 is performed to separate the protective cover (120 of FIG. 1 and 220 of FIG. 8) coupled to the cultivation tank (110 of FIG. 1 and 210 of FIG. 8). Step.
수확단계(S2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15의 200 참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수확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arvesting step (S23) is a step of harvesting the lotus root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100 in Fig. 1, 200 in Fig. 15).
연근의 수확방법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 및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에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의 상태 등에 따라 상술한 연근수확작업의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Lotus root harves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100 of Figure 1) and 8 to 1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t may be the same in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100 in FIG. 1, 200 in FIG. 8). However, the order of the above-mentioned lotus root harvesting oper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lantation site (see 20 of FIG. 7 and FIG. 13).
한편, 이동단계(S21) 이전에는, 앞에서 설명한 관개단계(도 18의 S15 참조)에서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에 공급한 물(도 16의 40 참조)을 빼는 작업을 행하는 배수단계가 더 행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fore the moving step (S21), the drainage for removing the water (see 40 of Fig. 16) supplied to the plantation site (see 20 of Figs. 7, 13) in the above irrigation step (see S15 of Fig. 18) Steps can be done further.
이동단계(S21)에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포클레인(도 7, 도 17의 50 참조) 등의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때,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의 물(도 16의 40 참조)에 의해 토양이 매우 무른 상태일 경우에는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각각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매우 강할 수 있다.In the moving step (S21), when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nnecting body (101 in Fig. 7, 201 in Fig. 17) is moved by using a towing means such as forkine (see 50 in Figs. 7, 17), plantation (Fig. 7 When the soil is very soft by water (see 40 of FIG. 16), the resistanc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s (100 of FIG. 1 and 200 of FIG. 8) is very high. Can be strong.
이럴 경우 연결구(도 4의 160, 도 12의 260 참조)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크게 증가되어 연결구(도 4의 160, 도 12의 260 참조)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In this cas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connector (160 in FIG. 4 and 260 in FIG. 12)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connector (160 in FIG. 4 and 260 in FIG. 12) is likely to be damaged.
또한,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에 물(도 16의 40 참조)이 있는 상태에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이동시키면, 재배지(도 7, 도 13의 20) 내의 물(도 16의 40 참조)에 재배토(도 16의 30 참조)가 다량 부유된 상태가 되므로, 이런 상황에서 배수를 하면 다량의 재배토(도 16의 30 참조)가 물(도 16의 40 참조)과 함께 유실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tus root cultivator connecting body (101 in FIG. 7, 201 in FIG. 17) is moved in the state where water (see 40 in FIG. 16) exists in the plantation (see FIG. 7 and FIG. 20, FIG. 20), 7, the soil (see 30 in FIG. 16) in the water (see 40 in FIG. 16) in a large floating state in the water (see 40 in FIG. 16), so if drained in such a situation, a large amount of soil (see 30 in FIG. 16) ) May be lost with water (see 40 of FIG. 16).
이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 후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에 양토나 점질양토를 보충하는 작업이 필요하거나, 배수하기 전까지 물(도 16의 40 참조)에 부유된 재배토(도 16의 30 참조)가 침전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after the drainage of the loam or viscous loam is required to reclaim the plantation (see FIG. 7 and FIG. 20 of FIG. 13), or the land suspended in water (see 40 of FIG. 16) until draining. It may be necessary to wait a predetermined time until the precipitation (see 30 of FIG. 16).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배수단계는 이동단계(S21) 이전에 행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refore, for the reasons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draining step is performed before the moving step S21.
그리고, 방조커버분리단계(S22) 이전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견인수단 등을 이용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내에 충전된 재배토(도 16의 30 참조) 및 물(도 16의 40)이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Then, before the cover cover separation step (S22) by raising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chain (101 in Fig. 7, 201 in Fig. 17) using a traction means, th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Fig. 1 100, 200 of FIG. 8) and the reclaimed soil (see 30 of FIG. 16) and water (40 of FIG. 16) are discharged outside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100 of FIG. 1, 200 of FIG. 8). The discharging step can be further performed.
이는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내에 수용된 연근을 더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make it easier to harvest the lotus root accommodated in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see 100 of FIG. 1, 200 of FIG. 8).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300)에는 재배조(310), 방조커버(320), 종근지지대(330, 340) 및 지지대결합구(351, 353, 355, 357)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20, the lotus
여기서, 체결돌기(314), 체결부(323) 및 체결홈(324)은 앞에서 설명한 체결돌기(도 1의 114), 체결부(도 1의 123) 및 체결홈(도 1의 124)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연결부(315, 316), 종근지지대(330, 340) 및 지지대 결합구(351, 353, 355, 357) 또한 앞에서 설명한 연결부(도 8의 215, 216), 종근지지대(도 8의 230, 240) 및 지지대 결합구(251, 253, 355, 257)와 각각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재배조(310)에는 재배조본체(311), 체결돌기(314) 및 연결부(315, 316)가 포함된다. 재배조본체(31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일부분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구조체(313)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방조커버(320)에는 방조커버본체(321) 및 체결부(323)가 포함된다. 방조커버본체(321)는 재배조본체(3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조커버본체(321)의 일부분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구조체(322)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반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재배조본체(311)가 반원통 형상이 아닌 원통의 일부의 형상을 가질 경우, 방조커버본체(321)는 원통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the
재배조본체(311)의 하측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재배지의 지면 상에 재배조본체(311)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한편,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원통 형상의 윗면 및 밑면에 해당되는 부분, 즉, 원통 형상의 양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이는, 서로 결합된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재배공간의 가장자리가 둥근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성장하던 종근(10)이 재배공간의 가장자리에 접했을 때 둥근 형상을 따라 성장방향이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edge of the cultivation spac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또한,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연근재배장치(3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클레인(도 6의 50 참조)과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지면 상에서 이동될 때, 지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nd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will als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종근 20: 재배지
30: 재배토 40: 물
100, 200, 300: 연근재배장치 110, 210, 310: 재배조
111, 211, 311: 재배조본체 114, 214, 314: 체결돌기
120, 220, 320: 방조커버 121, 221, 321: 방조커버본체
123, 223, 323: 체결부 124, 224, 324: 체결홈
160, 260: 연결구 170, 270: 견인고리
125, 126, 215, 216, 315, 316: 연결부
130, 230, 240, 330, 340: 종근지지대
150, 251, 253, 255, 257, 351, 353, 355, 357: 지지대결합구10: Cuff 20: Plantation
30: reclaimed soil 40: water
100, 200, 300: lotus
111, 211, and 311:
120, 220, 320:
123, 223, 323: Fastening
160, 260:
125, 126, 215, 216, 315, 316: connection
130, 230, 240, 330, 340: longitudinal support
150, 251, 253, 255, 257, 351, 353, 355, 357: support coupler
Claims (14)
상기 재배조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조커버;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종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근지지대; 및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재배조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방조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
An cultivation tank having an upper side ope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An opening cover covering an open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and being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thereof;
At least one longitudinal support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uxiliary cover and supports the longitudinal root; And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is coupled to each of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uxiliary cover, compris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ultivation tank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r the auxiliary cover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protection cover are each formed to form a cylindrical shape when combined with each other,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id cov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원통 형상의 윗면 및 밑면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원통 형상의 중심부 반대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ylindrical shape formed by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auxiliary cover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재배조의 횡단면은,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호 및 상기 한 쌍의 반원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나란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 네 꼭지점 부분이 원호인 직사각형 및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section of the cultivation tank is formed to have a shape surrounded by a pair of opposing semicircular arcs and a pair of parallel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pair of semicircular arcs, and four vertex portions having a circular arc and an ellipse shape. Become,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ultivation tank or the aid cov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상기 재배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 및 상기 방조커버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은 망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protective cover made of a network structure.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조커버 또는 상기 재배조에는 상기 체결홈 또는 상기 체결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astening part is formed in the cultivation tank or the protection cover,
The fastening portion has a fastening groove or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over or the cultivation tank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or a fastening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or the fastening projection.
상기 종근지지대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종근지지부; 및
상기 종근지지부에 결합 또는 상기 종근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ngitudinal support,
A ring-shaped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that one side is open and the width of the open portion is expandable; And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g coupled to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or protruding from the longitudinal support.
상기 종근지지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개방된 부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종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근이 상기 종근지지부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종근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tender root cultivation apparatus is formed in the open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upport portion, wherein the longitudinal root guide por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 portion is expand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longitudinal muscle when the longitudinal root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support.
상기 종근이 상기 다리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종근지지대에 의해 경사지도록 지지되어, 상기 종근의 일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근의 타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하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ngitudinal root is supported so as to be inclined by a pair of longitudinal supporters having different lengths of the leg portions, one end of the longitudinal roo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tank,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root faces downward of the cultivation tank.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상기 재배조 내측 하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결합구가 형성 또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ner root surface of the cultivation tank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or more supporter coupling sphere is formed or coupled to the end of the leg portion detachably coupled.
상기 연결구는,
선형의 연결구본체;
상기 연결구본체의 양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의 후크; 및
가요성을 갖고 상기 후크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형상으로 상기 후크에 결합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includes:
Linear connector bodies;
A hook having a ring shape formed o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or body and open at one side thereof; And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hook in a shape to close the open portion of the hook with flexibility.
복수의 상기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연근재배장치 또는 복수의 상기 재배조를 재배지로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종근지지대에 상기 종근을 고정하는 종근고정단계;
재배토가 상기 방조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재배조에 충전되도록 하는 복토단계;
상기 재배지에 물을 대는 관개단계;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의 상기 복수의 방조커버를 상기 복수의 재배조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방조커버분리단계; 및
상기 종근지지대로부터 연근을 분리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As a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batch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the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es or a plurality of the cultivation tank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the connector as plantation sites;
A longitudinal fixation step of fixing the longitudinal muscle to the longitudinal support;
A cover step of allowing the reclaimed soil to fill the regrowth tank by passing through the aid cover;
Irrigation step of applying water to the plantation;
A moving step of moving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connectors to the outside of the plantation;
An aid cove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plurality of aid covers of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s from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tanks, respectively; And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harvesting step of separating the lotus root from the root support.
상기 이동단계 이전에는,
상기 재배지로부터 물을 빼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Before the moving step,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ing step of removing water from the plantation.
상기 방조커버분리단계 이전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상승시켜 상기 재배조 내의 상기 재배토 및 상기 물이 상기 재배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Before the protective cover separating step,
A lotus root cultiv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step of raising the plurality of lotus root cultivation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connectors so that the cultivation soil and water in the cultivation tank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ltivation tank.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314 | 2011-11-24 | ||
KR20110123314 | 2011-11-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924A KR20130057924A (en) | 2013-06-03 |
KR101337819B1 true KR101337819B1 (en) | 2013-12-06 |
Family
ID=4885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9180A KR101337819B1 (en) | 2011-11-24 | 2012-01-30 | Apparatus for cultivating lotus root and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781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13786A (en) * | 2015-05-08 | 2015-08-05 | 苏州市农业科学院 | Shipborne deepwater lotus root planter |
CN106034704A (en) * | 2016-06-28 | 2016-10-26 | 重庆星溪海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 Lotus rhizome planting and harvesting method |
CN108738561A (en) * | 2018-04-26 | 2018-11-06 | 凤冈县高山有机莲藕种植专业合作社 | A kind of Sheng lotus root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92479B (en) * | 2013-07-30 | 2015-02-11 | 山西五洲昕宇农林科技发展有限公司 | Energy-saving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using shallow pool gridding |
CN118285308A (en) * | 2023-01-05 | 2024-07-05 | 刘军 | Water plant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4356U (en) * | 1986-02-18 | 1987-08-24 | ||
JPH03128084U (en) * | 1990-04-04 | 1991-12-24 | ||
JPH0928181A (en) * | 1995-07-24 | 1997-02-04 | Muneo Hiratani | Always blooming bag |
KR100863673B1 (en) * | 2008-01-21 | 2008-10-15 | 신순규 | Seedstock block for growing aquatic plants and planting method thereof |
-
2012
- 2012-01-30 KR KR1020120009180A patent/KR10133781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4356U (en) * | 1986-02-18 | 1987-08-24 | ||
JPH03128084U (en) * | 1990-04-04 | 1991-12-24 | ||
JPH0928181A (en) * | 1995-07-24 | 1997-02-04 | Muneo Hiratani | Always blooming bag |
KR100863673B1 (en) * | 2008-01-21 | 2008-10-15 | 신순규 | Seedstock block for growing aquatic plants and planting method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13786A (en) * | 2015-05-08 | 2015-08-05 | 苏州市农业科学院 | Shipborne deepwater lotus root planter |
CN106034704A (en) * | 2016-06-28 | 2016-10-26 | 重庆星溪海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 Lotus rhizome planting and harvesting method |
CN106034704B (en) * | 2016-06-28 | 2019-04-19 | 重庆星溪海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 Lotus rhizome kind receiving method |
CN108738561A (en) * | 2018-04-26 | 2018-11-06 | 凤冈县高山有机莲藕种植专业合作社 | A kind of Sheng lotus root device |
CN108738561B (en) * | 2018-04-26 | 2021-08-03 | 凤冈县高山有机莲藕种植专业合作社 | Lotus root contain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7924A (en) | 2013-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83507B2 (en) | Lotus root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pparatus using shallow bed cultivation tank | |
KR101337819B1 (en) | Apparatus for cultivating lotus roo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40892B1 (en) | Height Adjustable Seed Collector for Scapharca subcrenata | |
WO2017078400A1 (en) | Agricultural air injection apparatus | |
CN109673436A (en) | A kind of plantation of green rice and fish polyculture method | |
KR20140116351A (en) | Vegetation and port,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this port | |
JP42315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natural selection | |
KR101615887B1 (en) | Seeds rope installaation and artificial reef for creation of marine ecosystem which is easy harvesting of marine products | |
KR101168995B1 (en) | High institution cultivation pot for damages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prevention by blight | |
US20160309670A1 (en) | Multi-functional flowerpot | |
KR101262677B1 (en) |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 |
KR102129109B1 (en) | Assembly type cultivation equipment | |
CN207201433U (en) | Passionflower culture apparatus | |
KR102097756B1 (en) | Method of cultivation and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 |
KR101442344B1 (en) | Crop cultivation device of folding type | |
CN214155630U (en) | Protector is used in crop seedling cultivation | |
CN211746257U (en) | Special enemy prevention system for loach breeding in rice field | |
KR20150127326A (en) | Water culture and fish farming water tank of horizontal structure using fertilizer derived from fish excretion | |
KR20140004927U (en) | Plants Cultivation Vessel | |
KR102009570B1 (en) | Multi-function net for weeds prevention and harvest | |
JP2017029069A (en) | Method for cultivating lotus root | |
GB2558545B (en) |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 |
CN213603550U (en) | Fish, frog, rice planting ecological co-culture system | |
RU2200383C2 (en) | Grape bush training method | |
KR102366449B1 (en) | Napa cabbage seedling transplant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