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75B1 -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 Google Patents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75B1
KR101337575B1 KR1020120055422A KR20120055422A KR101337575B1 KR 101337575 B1 KR101337575 B1 KR 101337575B1 KR 1020120055422 A KR1020120055422 A KR 1020120055422A KR 20120055422 A KR20120055422 A KR 20120055422A KR 101337575 B1 KR101337575 B1 KR 10133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pipe
valve
temperature sensing
accommod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687A (ko
Inventor
김종하
윤재호
정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of excessiv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의해 벨로우즈관의 길이가 신축되어 동파방지밸브의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흐르는 유동배관의 배관포트에 연결되어 일정온도 이하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파방지밸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추고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지지부를 통해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로 구획되어 상기 배관포트에 연결되는 밸브본체;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실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제1수용실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배관포트로부터 제1수용실 측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부는 일정길이를 갖추어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제1수용실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Valve for preventing frozen to burst using temperature sensing unit}
본 발명은 동파방지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의해 벨로우즈관의 길이가 신축되어 동파방지밸브의 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 공기조화설비나 냉장 및 냉동 설비, 산업용 냉각 시설 등 다양한 설비와 시설물에서 물을 열교환 매체로 이용하고 있다. 특히, 수냉식 응축기와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코일, 증발식 냉각탑 등은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외기에 노출된 배관 내부의 물이 결빙되어 배관이 동파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다.
밀폐된 관로 내부의 물은 유동상태에서는 쉽게 결빙되지 않으나, 흐름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온도 저하에 따라 쉽게 결빙되며,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늘어남에 따라 팽창압력이 발생하여 관로에 크랙이나 파단 등의 형태로 동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동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대책으로서, 배관에 보온용품이나 가열장치를 설치하는 방법, 물에 부동액을 혼합하는 방법, 배관의 물을 지속적으로 배수하여 물의 유동을 유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별도의 보온용품이나 가열장치의 설치가 요구되고, 가열장치의 작동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며, 물의 손실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에 부동액을 혼합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혼합액은 열원설비의 열교환 효율을 최대 20~30%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혼합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소비동력이 증가하고 유지비용이 증대되며, 혼합액의 교환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기의 온도가 물의 결빙온도 이하로 하강되어 배관의 동파가 발생하기 전에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의해 벨로우즈관의 길이가 수축됨으로써 유출구를 통해 유체를 배출하여 배관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유동배관의 배관포트에 연결되어 일정온도 이하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파방지밸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추고 내부에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이 구비되어 상기 배관포트에 연결되는 밸브본체;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실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제1수용실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감지유닛은 상변화물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실이 형성되는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벨로우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기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마감캡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캡은 상기 수용기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로우즈관은 내부에 상변화물질이 채워져 상기 수용실과 연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로우즈관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실에 채워지는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강재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캡의 하부에는 마감캡을 상부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밸브본체의 하부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홀더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본체는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수용실 및 제2수용실이 구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배관포트로부터 제1수용실 측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런저부는 일정길이를 갖추어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제1수용실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은 길이 중간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는 일정길이를 갖추어 상기 벨로우즈관의 외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는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측에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수용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본체의 측부에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온 저하시 고체화되면서 체적이 감소하는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를 통하여 벨로우즈관의 길이가 수축됨에 따라 동파방지밸브의 개방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물이 결빙되기 전에 미리 외부로 배출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온도감지유닛을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100)는 외기온도의 하강으로 유동배관(10)이 동파될 우려가 있는 경우 수용기(122)에 채워지는 상변화물질(C)의 상변화시 발생되는 체적감소량만큼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축소되고, 이에 의해 밸브본체(110) 내부의 플런저부(130)가 이동되어 유동배관(10) 내의 유체가 유입되어 유출구(112)를 통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관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100)는 밸브본체(110), 온도감지유닛(120,120') 및 플런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본체(110)는 동파방지밸브(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추어 상,하부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측에 형성된 나사부(111)를 통해 유동배관(10)의 배관포트(15)에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밸브본체(110)는 내부의 길이중간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지지부(114)에 의해 상기 플런저부(130)가 배치되는 제1수용실(115)과 상기 온도감지유닛(120,120')이 배치되는 제2수용실(116)로 구획된다.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부측 측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112)가 상기 제1수용실(115)과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기온도의 하강으로 배관의 동파가 우려되는 경우 유체는 상기 밸브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측을 통하여 상기 제1수용실(115) 측으로 유입된 후 유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본체(110)의 개방된 상부측에는 유체가 상기 배관포트(15)로부터 제1수용실(115)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42)를 형성하는 연결관(140)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관(14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수용실(115)에 배치되는 플런저부(130)의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밸브본체(1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과 밸브본체의 내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118,143)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부(130)는 상기 제1수용실(115)에 배치되어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길이변화에 따라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부측이 상기 연결관(140)의 하부단과 밀착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유입구(142)를 개방하거나 패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런저부(130)는 일정길이를 갖추고 하부단이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상부단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피스톤(132)과, 상기 피스톤(132)의 상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140)의 하부단과의 밀착 및 분리를 통해 상기 유입구(14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디스크(13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기온도의 하강으로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축소되면 상기 피스톤(132)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밸브디스크(134)가 연결관(140)의 하부단과 분리됨으로써 상기 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1수용실(115)을 통과하여 유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외기온도의 상승으로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늘어나면 상기 피스톤(132)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밸브디스크(134)가 연결관(140)의 하부단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유입구(142)를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132)의 길이 중간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스토퍼(13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피스톤(132)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133)는 상기 유입구(142)의 폐쇄시 최대 높이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출구(11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피스톤(132)의 길이중간에 마련된다.
한편, 상기 플런저부(130)는 벨로우즈관(124)의 길이 변화에 의해 수직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길이 변화는 상기 제2수용실(116)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유닛(120,12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온도감지유닛(120,1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기(122), 벨로우즈관(124) 및 유출구(1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기(122)는 내부공간인 수용실(123)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구비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기(122)의 개방된 상부는 벨로우즈관(124)이 연결되고, 수용기(122)의 개방된 하부는 마감캡(126)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수용실(123)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상변화물질이 수용된다. 이러한 상변화물질(C)은 상기 수용기(122)의 하부를 통해 수용실(123)로 주입된 후 마감캡(126)에 의해 밀폐된다.
여기서, 상기 상변화물질(C)은 포접화합물 또는 공융염화물로써 상온에서는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물의 결빙온도인 0℃보다 약간 높은 온도(바람직하게는 2∼5℃)에서 고체상태로 변화되며, 결빙되면 체적이 증가하는 물과는 반대로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하면서 체적이 감소되는 성질을 갖는다.
한편, 상기 마감캡(126)은 상기 수용기(122)의 하부에 나사결합방식이나 억지끼움방식 등 공지의 여러가지 방식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수용실(123) 측으로 상변화물질(C)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캡(126)이 수용기(12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마감캡(126)의 하부를 상부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1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부재(150)는 밸브본체(110)의 하부측과 서로 대응되는 나사부(117,162)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홀더(16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즉, 스프링부재(150)의 상부단은 마감캡(126)의 하부면에 밀착되고 하부단은 스프링홀더(16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부재(150)가 마감캡(126)을 상부로 항상 가압함으로써 수용실(123)에 채워진 상변화물질(C)이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수용기(122)의 개방된 하부는 마감캡(126)을 삽입한 후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완전히 밀봉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벨로우즈관(124)은 외압에 의해 길이가 신축가능한 자바라 형태나 주름관의 형태로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내부가 상기 수용기(12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수용실(123)과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기(12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용실(123)과 연통 된 벨로우즈관(124)의 내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실(123)과 마찬가지로 상변화물질(C)이 채워지거나 일정길이를 갖는 강재(128)가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상변화물질(C)이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상온에서는 외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줄어들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한 후, 기온이 상변화물질(C)의 결빙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에만 상변화물질(C)이 고체상태로 상변화하면서 내부에 채워진 상변화물질(C)의 체적감소에 의해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강재(128)를 삽입배치하게 되면, 벨로우즈관(124)의 내부에 채워지는 상변화물질(C)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상부측에는 벨로우즈관(124)의 외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쉬(129)가 구비되어 벨로우즈관(124)의 신축시 정해진 방향(수직상방 또는 수직하방)으로 정확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온도감지유닛(120,120')은 상기 피스톤(132)의 하부단이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상부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2수용실(116)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실(123)과 연통된 벨로우즈관(124)의 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화물질(C)이 채워질 수도 있지만, 도 5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강재(128)가 삽입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온도감지유닛(120,120')은 수용실(123)에 채워진 상변화물질(C)이 외기의 온도변화에 의해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 또는 고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를 일으키면서 체적이 감소하거나 증가함에 따라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신축됨으로써 벨로우즈관(124)에 의해 하부단이 지지된 플런저부(1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유입구(14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즉, 상변화물질(C)이 액체상태인 상온에서는 벨로우즈관(124)이 내부에 채워진 상변화물질(C)의 체적에 의해 일정길이로 유지됨에 따라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축소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피스톤(132)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구속되어 상부단에 구비된 밸브디스크(134)에 의해 유입구(142)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6 참조) 그러나, 외기의 기온이 하강하여 일정온도(약 2∼5℃)에 도달하게 되면, 상변화물질(C)이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상변화되면서 체적이 감소되어 상변화물질의 감소된 체적만큼 상기 벨로우즈관(124)의 길이가 축소되어 상기 피스톤(231)이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140)의 하부단과 밀착되어 있던 밸브디스크(134)가 분리됨으로써 유입구(142)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유체가 유입구(142)를 통해 제1수용실(115)로 이동한 후 유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관이 동파되기 전에 미리 유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게 된다.(도 7 참조)
본 발명에 의하면, 기온 저하시 고체화되면서 체적이 감소하는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를 통하여 벨로우즈관의 길이가 수축됨에 따라 동파방지밸브의 개방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물이 결빙되기 전에 미리 외부로 배출하여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외기온도에 따라 체적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상변화물질이 수용기 및 벨로우즈관을 포함하여 유닛화됨으로써 다양한 동파방지밸브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을 통한 등가물, 변형물 및 교체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특히, 상술한 온도감지유닛은 다양한 종류의 동파방지밸브에서 유출구나 유입구를 개폐하는 플런저부와 연계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0 : 유동배관 15 ; 배관포트
100 : 동파방지밸브 110 : 밸브본체
111,117,118,143,162 : 나사부
112 : 유출구 114 : 지지부
115 : 제1수용실 116 : 제2수용실
120,120' : 온도감지유닛 122 : 수용기
123 : 수용실 124 : 벨로우즈관
126 : 마감캡 128 : 강재
129 : 가이드부쉬 130 : 플런저부
132 : 피스톤 133 : 스토퍼
134 : 밸브디스크 140 : 연결관
142 : 유입구 150 : 스프링부재
160 : 스프링홀더 C : 상변화물질

Claims (13)

  1. 유체가 흐르는 유동배관의 배관포트에 연결되어 일정온도 이하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파방지밸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를 갖추고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지지부를 통해 제1수용실과 제2수용실로 구획되어 상기 배관포트에 연결되는 밸브본체;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벨로우즈관이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실에 배치되는 온도감지유닛; 및
    상기 제1수용실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플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측에는 상기 배관포트로부터 제1수용실 측으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런저부는 일정길이를 갖추어 상기 벨로우즈관의 신축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제1수용실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유닛은 상변화물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실이 형성되는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벨로우즈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개방된 하부를 덮는 마감캡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은 상기 수용기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관은 내부에 상변화물질이 채워져 상기 수용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관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실에 채워지는 상변화물질의 체적변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의 하부에는 마감캡을 상부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밸브본체의 하부측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홀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길이 중간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하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는 일정길이를 갖추어 상기 벨로우즈관의 외부를 둘러싸는 가이드부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는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측에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수용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본체의 측부에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KR1020120055422A 2012-05-24 2012-05-24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KR10133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422A KR101337575B1 (ko) 2012-05-24 2012-05-24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422A KR101337575B1 (ko) 2012-05-24 2012-05-24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687A KR20130131687A (ko) 2013-12-04
KR101337575B1 true KR101337575B1 (ko) 2013-12-16

Family

ID=4998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422A KR101337575B1 (ko) 2012-05-24 2012-05-24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155A (ko) * 2014-12-30 2016-07-12 코웨이 주식회사 동파방지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2248A1 (de) * 2016-11-14 2018-05-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emperaturabhängiger Schaltmechanismus und dessen Verwendung
KR102615644B1 (ko) 2022-05-11 2023-12-1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유체흐름을 활용한 동결 방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74B1 (ko) 2008-03-10 2010-08-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동파방지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74B1 (ko) 2008-03-10 2010-08-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동파방지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155A (ko) * 2014-12-30 2016-07-12 코웨이 주식회사 동파방지밸브
KR102334758B1 (ko) * 2014-12-30 2021-12-07 코웨이 주식회사 동파방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687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9771B (zh) 利用相变材料的冻裂防止阀
KR101395292B1 (ko) 온도감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KR101337575B1 (ko) 온도감지유닛을 이용한 동파방지밸브
KR101252234B1 (ko) 원유 냉각기
CN106505437A (zh) 节能冷却箱式变电站
CN105509368A (zh) 一种热交换器及一种空调系统
CN101975286B (zh) 中央空调及其控制阀
CN104315889A (zh) 石墨制三效圆块孔式换热器
CN203758120U (zh) 一种二氧化碳热泵系统用的气液分离器
CN108332591B (zh) 一种蓄冷蓄热一体化装置
KR20150098256A (ko) 동파방지 장치를 갖는 냉매관
CN203964431U (zh) 一种二氧化碳制冷装置结构
CN103196260A (zh) 不耗水气囊呼吸冷凝器
CN207849840U (zh) 一种新型集油器
CN106969536B (zh) 地水气三源一体热泵机组
KR20170052119A (ko) 지열을 이용한 냉온수 공급장치
CN206274215U (zh) 一种热力膨胀阀
CN205026985U (zh) 降温服制冷装置
KR100975674B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동파방지 밸브
CN103758556B (zh) 矿井紧急避险设施制冷总成
CN205352823U (zh) 一种快速取样冷却装置
CN110986653A (zh) 一种防冻高效水室及换热器
CN205102483U (zh) 一种嵌入式分析仪器试剂冰箱
CN205448484U (zh) 一种饮料速冷机
US20130283839A1 (en) Geotherm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