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17B1 -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 Google Patents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017B1
KR101337017B1 KR1020110147503A KR20110147503A KR101337017B1 KR 101337017 B1 KR101337017 B1 KR 101337017B1 KR 1020110147503 A KR1020110147503 A KR 1020110147503A KR 20110147503 A KR20110147503 A KR 20110147503A KR 101337017 B1 KR101337017 B1 KR 10133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magnetic material
shaft
roll motion
unit
mo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511A (ko
Inventor
권대규
이낙범
유미
정구영
고명환
정우석
강승록
신선혜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0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자전거부에 보다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모션 프레임과 연결부재를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최초 발명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하여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훈련을 포함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재활 훈련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COMPLEX DYNAMIC BODY MOVEMENTS EQUIPMENT}
본 발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자전거부에 보다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모션 프레임과 연결부재를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최초 발명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하여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훈련을 포함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재활 훈련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손상 또는 외상성 뇌손상 등과 같이 거동할 수 없거나 또는 편마비가 생기면 마비된 근육은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힘을 내지 못하고 필요한 크기의 힘을 생성하지 못하며 또한 양측 하지 근육을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거동할 수 없거나 편마비가 발생한 환자는 의식적으로 마비된 부분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으로 인한 것으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마비된 부분의 신경이 퇴화되고, 이로 인해 편마비 환자는 균형을 잡지 못하여 이상 보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마비 환자에게 있어서 재활훈련 시기는 환자가 정상인으로서 사회환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을 단축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마비 환자의 재활훈련시기는 환자가 어느 정도 거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시행되지만, 최초 발병 때부터 거동이 가능한 때까지의 기간이 적게는 몇개월부터 많게는 몇년까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며, 이 기간 동안 환자는 침대에 계속 누워있음으로 마비된 부분의 신경은 자연퇴화되고, 이로 인해 자연퇴화된 신경은 재활훈련을 통해서도 회복이 어려워 결국 정상인의 환원에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구조물의 천장 등에 그네처럼 매달리는 자전거부가 구비된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 훈련을 위한 자전거 시스템이 제안된바 있으나,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자전거부가 유동되기 때문에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하는 과정 중에 바닥으로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자전거부에 보다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모션 프레임과 연결부재를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최초 발명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하여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훈련을 포함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재활 훈련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되도록 제 1축에 의해 결합되는 롤모션 프레임과; 상기 롤모션 프레임에 전후로 회전되도록 제 2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자전거부와; 상기 제 1축 및 상기 제 2축에 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와; 상기 제 1축 및 상기 제 2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축 및 제 2축에 각각 댐핑력을 부여하는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자전거부에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전거부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를 감싸는 안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부재는 안전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후회전각도 및 좌우회전각도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조작부는 수동모드시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운동부하조절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의 댐핑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자전거부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하는 탑승용 부하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의 댐핑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축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 1강자성체와, 상기 제 2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2강자성체로 구성되는 강자성체와; 상기 제 1강자성체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후측 내주연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강자성체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와, 상기 제 1강자성체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의 후측 내주연 중심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강자성체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2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로 구성되는 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와; 상기 제 2강자성체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강자성체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연결부재 회전제한부와, 상기 제 2강자성체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면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강자성체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2연결부재 회전제한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회전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롤모션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의 하측에 구비된 자전거부에 탑승하여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훈련을 포함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고,
특히,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하는 과정 중에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상기 자전거부에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롤모션 프레임과 상기 연결부재를 각각 간편하게 좌우회전 및 전후회전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C - C선에 따른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D - D선에 따른 일부확대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프레임(11), 롤모션 프레임(15), 연결부재(19), 자전거부(10), 구동모터(12), 클러치(20) 및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바닥에 수평으로 안착고정될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후측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은 상기 지지프레임(13)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되도록 제 1축(14)에 의해 결합된다.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 1축(14)의 전단부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1축(14)의 후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3)의 상부 전측면 내부에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중심부를 관통한 상태로 용접고정될 수 있는 상기 제 1축(14)의 전단부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내측방향으로 전후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19)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내측에 전후로 회전되도록 제 2축(16)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9)는 일측 연결부재(191), 타측 연결부재(193) 및 하부 연결부재(19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연결부재(191)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일단부 하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연결부재(193)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타단부 하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재(195)는 상기 일측 연결부재(191)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 연결부재(193)의 하단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축(16)은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일단부와 상기 일측 연결부재(191)의 상단부 및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 연결부재(193)의 상단부를 좌우로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탑승하는 상기 자전거부(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9)의 하부 연결부재(195)의 상부면에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전거부(10)는 하우징(110), 회전체(120) 및 페달(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 전측에 수직형성되는 전측 수직축(111)의 상단부에는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50)가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 후측에 수직형성되는 후측 수직축(112)의 상단부에는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부(16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장부(160)는 판부(161)와 팔걸이부재(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161)의 하부면 중심부는 상기 후측 수직축(112)의 상단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판부(161)는 사용자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지지하게 된다.
상기 팔걸이부재(162)는 각각 상기 판부(161)의 일측과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재(162)는 사용자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팔부위를 안착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5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수직축(1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장부(160)에 앉은 사용자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이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170)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페달(130)은 상기 회전체(12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페달(130)의 상부면에는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발바닥부위가 안착된다.
사용자는 상기 페달(130)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체(120)를 수동으로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12)는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제 2축(16)에 동력을 각각 전달한다.
상기 구동모터(12)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축(1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구동모터(121)와, 상기 제 2축(1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2구동모터(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구동모터(121, 123)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구동모터(12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3)의 상부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모터(121)의 전단부는 상기 제 1축(14)의 후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동모터(121)는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제 1축(14)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 1축(14)은 상기 제 1구동모터(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여 상기 연결부재(19) 및 상기 자전거부(10)와 함께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을 좌우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모터(12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타측 외주면에 구비되는 커버(15a)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모터(123)의 일단부는 상기 제 2축(16)의 타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동모터(123)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제 2축(16)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 2축(16)은 상기 제 2구동모터(1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여 상기 연결부재(19)와 함께 상기 자전거부(10)를 전후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러치(20)는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단속한다.
상기 클러치(20)는 공지된 전자클러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구동모터(121)가 상기 제 1축(14)으로 전달하는 동력을 단속하는 제 1클러치(201)와, 상기 제 2구동모터(123)가 상기 제 2축(16)으로 전달하는 동력을 단속하는 제 2클러치(2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클러치(20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구동모터(121)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13)의 상부 일측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클러치(203)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구동모터(123)의 상측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커버(15a)의 내부 상측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는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제 2축(16)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제 2축(16)에 각각 댐핑력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등부위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부(10)의 안장부(160)의 후측에는 환자 등의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지지부(30)가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전거부(10)의 안장부(160)에 앉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환자 등의 사용자의 몸통부위을 감싸는 안전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50)의 일측은 상기 등지지부(3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50)의 타측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스너 등을 포함한 공지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등지지부(3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50)는 안전벨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제어부(6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후회전각도 및 좌우회전각도를 조작하는 조작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클러치(20)와 상기 구동모터(12)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자전거부(10)의 손잡이부(150)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자전거부(10)의 손잡이부(150)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제어부(60)상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방식 등 여러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는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환부(410)와, 전후회전각도설정부(430) 및 좌우회전각도설정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의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환부(410)를 조작하여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부재(19)가 상기 구동모터(12)의 제 1, 2구동모터(121, 123)에 의해 자동으로 각각 좌우회전 및 전후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부재(19)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각각 좌우회전 및 전후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의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환부(410)를 자동모드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클러치(201, 203)는 상기 제 1, 2구동모터(121, 123)의 동력을 상기 제 1, 2축(14, 16)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1, 2구동모터(121, 123)의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 1, 2축(14, 16)은 자동으로 정역회전하여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연결부재(19)을 자동으로 각각 좌우회전 및 전후회전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의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환부(140)를 수동모드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2클러치(201, 203)는 상기 제 1, 2구동모터(121, 123)의 동력이 상기 제 1, 2축(14, 16)으로 전달될 수 없도록 차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연결부재(19)을 수동으로 직접 각각 좌우회전 및 전후회전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의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환부(410)를 자동모드상태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40)의 전후회전각도설정부(430)를 조작하여 상기 연결부재(19)가 상기 구동모터(12)의 제 2구동모터(123)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전후회전각도설정부(430)의 설정값만큼 전후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40)의 전후회전각도설정부(430)의 설정값만큼 상기 제 2구동모터(123)의 정역회전수를 연산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 2축(16)과 상기 연결부재(19)는 상기 제어부(60)가 연산한 상기 제 2구동모터(123)의 연산값만큼 자동으로 전후로 정역회전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의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환부(410)를 자동모드상태로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40)의 좌우회전각도설정부(450)를 조작하여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이 상기 구동모터(12)의 제 1구동모터(121)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좌우회전각도설정부(450)의 설정값만큼 좌우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40)의 좌우회전각도설정부(450)의 설정값만큼 상기 제 1구동모터(121)의 정역회전수를 연산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 1축(14)과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은 상기 제어부(60)가 연산한 상기 제 1구동모터(121)의 연산값만큼 자동으로 좌우로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조작부(4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클러치(20)와 구동모터(12)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롤모션 프레임(15) 및 상기 연결부재(19)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좌우 및 전후로 회전되거나 상기 롤모션 프레임(15) 및 상기 연결부재(19)가 상기 구동모터(12)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좌우각도 및 설정된 전후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앞서 상술한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는 상기 제 1축(14)과 상기 제 1구동모터(1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축(14)에 댐핑력을 부여하는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와;
상기 제 2축(16)과 상기 제 2구동모터(123)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축(16)에 댐핑력을 부여하는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18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플럭스가이드(180a), 제 1회전축(180b), 제 1회전디스크(180c), 제 1자기장발생부(180d), 제 1서포터(180e) 및 제 1MR유체(180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는 상기 제 1축(14)과 상기 제 1구동모터(121) 사이에 좌우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축(180b)는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의 중심부에 전후로 수평으로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축(180b)의 전단부는 상기 제 1축(15)의 후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회전축(180b)의 후단부는 상기 제 1구동모터(121)의 전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는 상기 제 1회전축(180b)의 중심부 외주연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의 내부에 좌우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는 상기 제 1회전축(180b)을 따라 제자리에서 좌우로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자기장발생부(180d)는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의 양단부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자기장발생부(180d)는 코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서포터(180e)는 상기 제 1회전축(180b)의 중심부 외주연에 좌우로 수평으로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의 내부 중심부에 좌우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서포터(180e)의 내부에는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서포터(180e)는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의 수평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1MR유체(180f)는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의 외주연과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의 중심부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플럭스가이드(180a)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1MR유체(180f)와 후술할 제 2MR유체(181f)는 자기장의 존재하에 그 유동특성이 변화하는 지능형 재료로써, 실리콘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 등에 직경 내지 마이크론 크기의 자성입자를 분산시킨 비콜로이드 용액으로 자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뉴튼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지만 자기장이 가해지면 입자들이 정렬하여 자기장에 평행한 자화사슬을 형성하여 전단력이나 유동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유체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의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2플럭스가이드(181a), 제 2회전축(181b), 제 2회전디스크(181c), 제 2자기장발생부(181d), 제 2서포터(181e) 및 제 2MR유체(181f)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는 상기 제 2축(16)과 상기 제 2구동모터(123) 사이에 전후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축(181b)는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의 중심부에 전후로 수평으로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축(181b)의 일단부는 상기 제 2축(16)의 타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2회전축(181b)의 타단부는 상기 제 2구동모터(123)의 일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는 상기 제 2회전축(181b)의 중심부 외주연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의 내부에 전후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는 상기 제 2회전축(181b)를 따라 제자리에서 전후로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자기장발생부(181d)는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의 양단부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자기장발생부(181d)는 코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서포터(181e)는 상기 제 2회전축(181b)의 중심부 외주연에 전후로 수평으로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의 내부 중심부에 전후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서포터(181e)의 내부에는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서포터(181e)는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의 수평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2MR유체(181f)는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의 외주연과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의 중심부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플럭스가이드(181a)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40)에는 수동모드시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조절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동부하조절부(80)는 수동모드시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량를 조절하는 제 1운동부하조절부(81)와; 수동모드시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량을 조절하는 제 2운동부하조절부(8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40)의 운동부하조절부(8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의 댐핑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제 1운동부하조절부(81)의 신호에 따라 외부의 전원공급부(도 4의 61)로부터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로 공급될 전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운동부하조절부(81)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의 제 1자기장발생부(180d)로 공급될 전류량을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 1운동부하조절부(81)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의 제 1자기장발생부(180d)로 적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운동부하조절부(8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의 제 1자기장발생부(180d)로 적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자기장발생부(180d)에 발생된 약한 자기장은 상기 제 1MR유체(180f)로 전달되고, 상기 제 1MR유체(180f)로 전달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제 1MR유체(180f)와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사이에 발생되는 댐핑력, 즉 제동력이 적어 상기 제 1구동모터(121)에 따른 상기 제 1회전축(180b) 및 상기 제 1축(14)의 정역회전부하량이 작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상기 제 1회전축(180b),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을 빠른 속도로 원활하게 고속으로 제자리에서 좌우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 1운동부하조절부(81)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의 제 1자기장발생부(180d)로 보다 많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1운동부하조절부(8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0)의 제 1자기장발생부(180d)로 보다 많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자기장발생부(180d)에 발생된 강한 자기장은 상기 제 1MR유체(180f)로 전달되고, 상기 제 1MR유체(180f)로 전달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상기 제 1MR유체(180f)와 상기 제 1회전디스크(180c)사이에 발생되는 댐핑력, 즉 제동력이 커서 상기 제 1구동모터(121)에 따른 상기 제 1회전축(180b) 및 상기 제 1축(14)의 정역회전부하량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제 1회전축(180b),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을 저속으로 제자리에서 좌우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제 2운동부하조절부(83)의 신호에 따라 외부의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로 공급될 전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2운동부하조절부(83)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의 제 2자기장발생부(181d)로 공급될 전류량을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 2운동부하조절부(83)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의 제 2자기장발생부(181d)로 적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2운동부하조절부(8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의 제 1자기장발생부(181d)로 적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자기장발생부(181d)에 발생된 약한 자기장은 상기 제 2MR유체(181f)로 전달되고, 상기 제 2MR유체(181f)로 전달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제 2MR유체(181f)와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사이에 발생되는 댐핑력, 즉 제동력이 적어 상기 제 2구동모터(123)에 따른 상기 제 2회전축(181b) 및 상기 제 2축(16)의 정역회전부하량이 작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상기 제 2회전축(181b), 상기 제 2축(16) 및 상기 연결부재(19)를 빠른 속도로 원활하게 고속으로 제자리에서 좌우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 2운동부하조절부(83)를 조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61)로부터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의 제 2자기장발생부(181d)로 보다 많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 2운동부하조절부(8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1)의 제 2자기장발생부(181d)로 보다 많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자기장발생부(181d)에 발생된 강한 자기장은 상기 제 2MR유체(181f)로 전달되고, 상기 제 2MR유체(181f)로 전달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상기 제 2MR유체(181f)와 상기 제 2회전디스크(181c)사이에 발생되는 댐핑력, 즉 제동력이 커서 상기 제 2구동모터(123)에 따른 상기 제 2회전축(181b) 및 상기 제 2축(16)의 정역회전부하량이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강한 힘으로 상기 제 2회전축(181b), 상기 제 2축(16) 및 상기 연결부재(19)를 저속으로 제자리에서 좌우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수동모드시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하는 상기 운동부하조절부(80)를 통해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량 및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량을 단계별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부재(19)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동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40)는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10)의 안장부(160)에 앉은 상태로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탑승용 부하조절부(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는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를 통해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의 댐핑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부(10)에 탑승하고자 하는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를 ON상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로 보다 많은 양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의 댐핑력, 즉 제동력이 커져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연결부재(19)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10)에 탑승하는 과정 중에 너무 쉽게 좌우전후로 회전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의 조작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로 공급되는 전류량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10)에 탑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자전거부(10)가 상기 롤모션 프레임(15) 및 상기 연결부재(19)를 따라 좌우전후로 너무 쉽게 회전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 자전거부(10)에 안전하게 탑승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는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를 OFF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C - C선에 따른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D - D선에 따른 일부확대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자성체(100), 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0) 및 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100)는 제 1강자성체(101)와 제 2강자성체(1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강자성체(101, 103)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강자성체(10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축(14)의 전단부 하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강자성체(103)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축(16)의 일단부 하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0)는 제 1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1)와, 제 2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1, 133)는 상기 제 1강자성체(101)와 극성이 동일한 철, 코발트, 니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강자성체(101)의 일측 방향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후측 내주연 중심부 일측에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강자성체(10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강자성체(101)의 타측 방향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후측 내주연 중심부 타측에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1강자성체(101)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강자성체(101)와 제 1, 2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1, 133)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을 통해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0)는 제 1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1)와, 제 2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1, 153)은 상기 제 2강자성체(103)와 극성이 동일한 철, 코발트, 니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1)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강자성체(10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9)의 타측 연결부재(193)의 타측면 전측에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 연결부재(193)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3)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강자성체(10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9)의 타측 연결부재(193)의 타측면 후측에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 연결부재(193)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강자성체(103)와 상기 제 1, 2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1, 153)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상기 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0)와,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상기 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0)로 인해 상기 롤모션 프레임(15) 및 상기 연결부재(19)를 이용하여 운동중인 사용자가 상기 롤모션 프레임(15) 및 연결부재(19)에서 외부로 벗어나 바닥으로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19)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자전거부(10)에 탑승하여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훈련을 포함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보다 극대화될 수 있고,
특히,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자전거부(10)에 탑승하는 과정 중에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상기 자전거부(10)에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롤모션 프레임(15)과 상기 연결부재(19)를 각각 간편하게 좌우회전 및 전후회전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1; 베이스 프레임, 15; 롤모션 프레임,
19; 연결부재, 10; 자전거부,
12; 구동모터, 20; 클러치,
18;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13)과;
    상기 지지프레임(13)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되도록 제 1축(14)에 의해 결합되는 롤모션 프레임(15)과;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에 전후로 회전되도록 제 2축(16)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재(19)와;
    상기 연결부재(19)의 하측에 구비되는 자전거부(10)와;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제 2축(16)에 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20)와;
    상기 제 1축(14) 및 상기 제 2축(16)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축(14) 및 제 2축(16)에 각각 댐핑력을 부여하는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자동모드/수동모드, 전후회전각도 및 좌우회전각도를 조작하는 조작부(40)와;
    상기 조작부(4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클러치(20)와 상기 구동모터(12)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자전거부(10)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하는 탑승용 부하조절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탑승용 부하조절부(9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의 댐핑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부(10)에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지지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부(10)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를 감싸는 안전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50)는 안전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40)는 수동모드시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좌우회전부하 및 상기 연결부재(19)의 전후회전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조절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40)의 운동부하조절부(80)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회전형 자기유변유체 댐퍼(18)의 댐핑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축(14)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제 1강자성체(101)와, 상기 제 2축(16)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 2강자성체(103)로 구성되는 강자성체(100)와;
    상기 제 1강자성체(101)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후측 내주연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강자성체(101)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1)와, 상기 제 1강자성체(101)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롤모션 프레임(15)의 후측 내주연 중심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강자성체(101)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2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3)로 구성되는 롤모션 프레임 회전제한부(130)와;
    상기 제 2강자성체(10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9)의 타측면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강자성체(103)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1)와,
    상기 제 2강자성체(10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9)의 타측면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2강자성체(103)와 극성이 동일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2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2)로 구성되는 연결부재 회전제한부(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7. 삭제
  8. 삭제
KR1020110147503A 2011-12-30 2011-12-30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KR10133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03A KR101337017B1 (ko) 2011-12-30 2011-12-30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03A KR101337017B1 (ko) 2011-12-30 2011-12-30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511A KR20130078511A (ko) 2013-07-10
KR101337017B1 true KR101337017B1 (ko) 2013-12-16

Family

ID=4899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503A KR101337017B1 (ko) 2011-12-30 2011-12-30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194B1 (ko) * 2020-11-09 2022-12-14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자기유변유체 회전부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511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1285B2 (ja) 生体運動支援装置
KR101537817B1 (ko) 재활치료용 상하지 운동기구
CN106137575B (zh) 一种站立式生活自理车
CN105664436A (zh) 融入式全景虚拟现实步态训练互动系统
KR20140114715A (ko) 스쿼트 재활 운동장치
CN107157708A (zh) 一种患者自主运动的肢体康复训练器
KR20160036316A (ko) 발목 운동기구
KR101337017B1 (ko) 동적 전신 복합운동기기
US7678022B1 (en) Loading device of leg extension machine
KR101964039B1 (ko) 고령자 맞춤형 하지 통합 재활 운동기구
CN104069619A (zh) 康复步行运动器械
KR101104977B1 (ko) 회전축 토크제어가 가능한 동적 자세균형훈련시스템
CN102631764B (zh) 一种腰部支撑减重装置
KR20140138006A (ko) 하지 운동 로봇
KR101374600B1 (ko) 앉은 자세 훈련을 위한 정형용 기기
KR101249651B1 (ko)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KR102104262B1 (ko) 탑승형 보행 훈련장치
KR102581520B1 (ko) 재활 운동 장치
CN107970575A (zh) 跪位动静平衡训练装置
JP2008272328A (ja) 立ち乗り型運動装置
KR101305428B1 (ko) 회전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KR101220016B1 (ko)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 훈련을 위한 진동형 자전거시스템
KR101310646B1 (ko) 크랭크 방식의 승마 운동 기구
KR101249581B1 (ko)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KR101522979B1 (ko) 보행 훈련을 위한 로봇슈트 트레드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