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651B1 -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651B1
KR101249651B1 KR1020110055592A KR20110055592A KR101249651B1 KR 101249651 B1 KR101249651 B1 KR 101249651B1 KR 1020110055592 A KR1020110055592 A KR 1020110055592A KR 20110055592 A KR20110055592 A KR 20110055592A KR 101249651 B1 KR101249651 B1 KR 10124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late member
bed
rehabilitation train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579A (ko
Inventor
권대규
김정자
정구영
강승록
김경
유미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5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65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27Wobbling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진동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EARLY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USING A DIAPHRAGM}
본 발명은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진동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손상 또는 외상성 뇌손상 등과 같이 거동할 수 없거나 또는 편마비가 생기면 마비된 근육은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힘을 내지 못하고 필요한 크기의 힘을 생성하지 못하며 또한 양측 하지 근육을 이용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것은 거동할 수 없거나 편마비가 발생한 환자는 의식적으로 마비된 부분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으로 인한 것으로,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마비된 부분의 신경이 퇴화되고, 이로 인해 편마비 환자는 균형을 잡지 못하여 이상 보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마비 환자에게 있어서 재활훈련 시기는 환자가 정상인으로서 사회환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을 단축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마비 환자의 재활훈련시기는 환자가 어느 정도 거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시행되지만, 최초 발병 때부터 거동이 가능한 때까지의 기간이 적게는 몇개월부터 많게는 몇년까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며, 이 기간 동안 환자는 침대에 계속 누워있음으로 마비된 부분의 신경은 자연퇴화되고, 이로 인해 자연퇴화된 신경은 재활훈련을 통해서도 회복이 어려워 결국 정상인의 환원에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진동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진동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판부에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진동발생부는 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진동발생부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진동발생부는 PZT 엑츄에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부는 지지판부재와; 상기 지지판부재의 상부면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진동판부재와, 상기 지지판부재의 상부면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진동판부재로 구성되는 진동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부재의 상부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부재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진동판부재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지지판부재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축결합되는 기어와; 상기 일측진동판부재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와 치합되는 일측랙부와, 상기 타측진동판부재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와 치합되는 타측랙부로 구성되는 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부재는 하측지지판부재와; 상기 하측지지판부재의 상측에 축결합되고, 상부면에 상기 진동판부재가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측지지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진동판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베드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측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상측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측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가이드슬릿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드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에 누운 사용자가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와; 상기 베드부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드부의 경사각도를 계산하는 머리 회전각 측정부와; 상기 베드부에 누운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고, 각종 정보 또는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경사각도조절부, 모니터, 머리 회전각 측정부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베드부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진동판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진동판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하측지지판부재와 상측지지판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상측지지판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상하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경사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베드부(20) 및 진동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는 캐스터(10a)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베드부(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 전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베드부(20)는 하측베드부(210)와 상측베드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후단부와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측사이에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와 상기 상측베드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50)의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상기 하측베드부(210)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하측베드부(210)의 후단부 상측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측베드부(220)에는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눕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판부(3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부(30)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발바닥부위와 접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판부(30)에는 진동발생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31)는 스피커를 포함한 음파진동발생부재가 구비되는 공지된 음파진동자, 압전소자, PZT엑츄에이터, 초음파 진동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파 진동자, 압전소자, 초음파 진동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진동발생부(3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부(30)의 후술할 진동판부재(3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PZT엑츄에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진동발생부(3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부(30)의 후술할 지지판부재(310)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31)가 발생시킨 진동은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사용자에게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부(30)는 지지판부재(310)와 진동판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부재(310)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되도록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부재(320)는 일측진동판부재(321)와 타측진동판부재(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는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진동판부재(322)는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와 타측진동판부재(322)는 각각 사용자의 발바닥부위와 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재활훈련을 위해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와 타측진동판부재(322)를 수동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레일(311)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판부재(32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11)이 수용되는 하측이 개방된 상태인 가이드홈(323)이 상기 진동판부재(3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와 타측진동판부재(322)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수동으로 좌우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는 각각 상기 진동판부재(320)가 상기 지지판부재(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350)이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진동판부(3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판부재(320)를 자동으로 좌우이동시키기 위한 좌우이동부(3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330)는 구동모터(331), 기어(332) 및 랙부(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31)는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전측면 상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332)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31)의 축(331a)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랙부(333)는 일측랙부(333a)와 타측랙부(33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랙부(333a)는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의 타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랙부(333a)의 하측은 상기 기어(332)의 상측과 치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랙부(333b)는 상기 타측진동판부재(322)의 일측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랙부(333b)의 상측은 상기 기어(332)의 하측과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31)가 상기 기어(332)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와 타측진동판부재(322)는 상기 가이드레일(311)을 따라 자동으로 좌우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하측지지판부재(311)와 상측지지판부재(312)로 이루어지는 지지판부재(3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부재(310)는 하측지지판부재(311)와 상측지지판부재(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지지판부재(311)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베드부(210)의 상부방향에 일정높이로 구비되도록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부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지지판부재(312)는 상기 하측지지판부재(311)의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지지판부재(312)의 상부면에는 상기 진동판부재(320)가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지지판부재(312)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수직축(31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측지지판부재(312)의 수직축(312a)은 상기 하측지지판부재(311)의 상부면 중심부에 제자리에서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상측지지판부재(312)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발바닥이 상기 진동판부재(320)와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부재(320)와 상기 상측지지판부재(312)를 제자리에서 정역회전시켜 트위스트운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상하이동부(3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진동판부(3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측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슬릿(221)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부(30)의 지지판부재(310)의 하측지지판부재(311)의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슬릿(22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릿(22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몸체(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340)는 구동모터(341)와 리드스크류(3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41)는 상기 베드부(20)의 하측베드부(210)의 후단부 하부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42)는 상기 상하이동몸체(36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42)의 하단부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하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341)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41)가 상기 리드스크류(342)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진동판부(30)가 상기 가이드슬릿(221)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경사각도조절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드부(20)의 경사각도(도 2의 α)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몸체(410), 구동모터(420), 리드스크류(430), 전후이동부재(440) 및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410)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몸체(410)의 후측면에 축결합된 상태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30)는 상기 구동모터(42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440)는 상기 리드스크류(4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하측은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후이동부재(440)의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상측은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전후이동부재(440)는 상기 몸체(410)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커지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4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전후이동부재(440)는 상기 몸체(410)의 후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작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다른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410), 실린더부재(460) 및 상기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460)는 상기 몸체(410)의 후측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하측은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50)의 상측은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의 하부면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커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는 작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50), 머리 회전각 측정부(6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 및 제어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50)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50)는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가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는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고, 각종 정보 또는 가상현실을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 모니터(50), 머리 회전각 측정부(6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에 특히, 중추신경계 손상을 입은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눕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를 착용시키고, 사용자의 눈 부위에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베드부(20)의 상하경사각도(α)를 상기 제어부(8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정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베드부(20)의 상측베드부(220)에 안전띠(미도시)로 고정하며, 상기 상측베드부(220)에 눕혀진 사용자는 상기 상측베드부(220)의 중심부 상부면에 형성된 파지대(90)를 파지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로 가상현실에 따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가령, 가상현실이 자동차 경주라면 다수의 차량을 피하기 위해 본인의 차량을 좌, 우로 이송시켜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움직이면,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에서 측정하게 된다.
상기 머리 회전각 측정부(6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상기 제어부(80)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부(80)는 측정값에 따른 좌, 우 이송량을 계산하여 이를 가상현실의 본인 차량에 적용함으로서, 다수의 차량을 피하거나 갈림길의 진로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베드부(20)에 누워진 상태인 최초 발병에 의해 거동할 수 없거나 마비된 환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가 상기 진동판부(30)를 통해 지속적으로 조기 재활훈련을 보다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마비된 신경의 자연퇴화의 예방 및 말초신경을 자극시켜 2차 재활훈련이 가능한 상태의 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재활 훈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20; 베드부,
30; 진동판부.

Claims (15)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베드부(20)와;
    상기 베드부(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진동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부(3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부(30)에 진동발생부(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31)는 음파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31)는 압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31)는 PZT 엑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부(30)는 지지판부재(310)와;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진동판부재(321)와,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진동판부재(322)로 구성되는 진동판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재(310)의 상부면에 가이드레일(311)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부재(320)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레일(311)이 수용되는 가이드홈(3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부재(32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330)는 상기 지지판부재(31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331)와;
    상기 구동모터(331)의 축(331a)에 축결합되는 기어(332)와;
    상기 일측진동판부재(321)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332)와 치합되는 일측랙부(333a)와, 상기 타측진동판부재(322)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332)와 치합되는 타측랙부(333b)로 구성되는 랙부(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부재(310)는 하측지지판부재(311)와;
    상기 하측지지판부재(311)의 상측에 축결합되고, 상부면에 상기 진동판부재(320)가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측지지판부재(3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411)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후측면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420)와;
    상기 구동모터(42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드스크류(430)와;
    상기 리드스크류(430)와 나사결합되는 전후이동부재(44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440)의 상측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20)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슬릿(411)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후측면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재(460)와;
    상기 실린더부재(460)의 로드(461)에 하측이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410)의 가이드슬릿(411)내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베드부(20)의 하부면에 축결합되는 링크부재(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가 재활훈련상태 및 프로그램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50)와;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라 상기 베드부(20)의 경사각도를 계산하는 머리 회전각 측정부(60)와;
    상기 베드부(20)에 누운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고, 각종 정보 또는 가상현실을 보여주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 모니터(50), 머리 회전각 측정부(60) 및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15. 삭제
KR1020110055592A 2011-06-09 2011-06-09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KR10124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92A KR101249651B1 (ko) 2011-06-09 2011-06-09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92A KR101249651B1 (ko) 2011-06-09 2011-06-09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79A KR20120136579A (ko) 2012-12-20
KR101249651B1 true KR101249651B1 (ko) 2013-04-01

Family

ID=4790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592A KR101249651B1 (ko) 2011-06-09 2011-06-09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30U (ko) * 2015-10-13 2017-04-21 오르메사 에스.알.엘. 음파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정적 자세용 스태빌라이저
KR101991805B1 (ko) * 2017-12-28 2019-06-2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재활 훈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708B1 (ko) * 2014-08-14 2016-04-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형 도립기
ES2790402T3 (es) * 2017-10-06 2020-10-27 Simplana Gmbh Dispositivo de apoyo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l mism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7546A2 (de) * 1986-11-10 1988-05-18 Norbert Schipke Vorrichtung zur Vibrationstherapie
KR100793392B1 (ko) * 2007-01-03 2008-01-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기 재활훈련장치
US20080139979A1 (en) * 2005-07-18 2008-06-12 Juvent, Inc. Vibrational therapy assembly adapted for removably mounting to a bed
JP2010082127A (ja) * 2008-09-30 2010-04-15 Aisin Seiki Co Ltd ベッド用振動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7546A2 (de) * 1986-11-10 1988-05-18 Norbert Schipke Vorrichtung zur Vibrationstherapie
US20080139979A1 (en) * 2005-07-18 2008-06-12 Juvent, Inc. Vibrational therapy assembly adapted for removably mounting to a bed
KR100793392B1 (ko) * 2007-01-03 2008-01-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기 재활훈련장치
JP2010082127A (ja) * 2008-09-30 2010-04-15 Aisin Seiki Co Ltd ベッド用振動発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30U (ko) * 2015-10-13 2017-04-21 오르메사 에스.알.엘. 음파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정적 자세용 스태빌라이저
KR200495164Y1 (ko) * 2015-10-13 2022-03-17 오르메사 에스.알.엘. 음파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정적 자세용 스태빌라이저
KR101991805B1 (ko) * 2017-12-28 2019-06-2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재활 훈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79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h et al. Trunk stability enabled by noninvasive spinal electrical stimula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Vaugoyeau et al. Proprioceptive impairment and postural orientation control in Parkinson’s disease
US6599257B2 (en) Cervical therapy device
KR101249651B1 (ko) 진동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KR101823227B1 (ko) 경추 보조장치
JP3459999B2 (ja) 三次元脊椎矯正装置
CN101773702A (zh) 人体感觉冲突诱发装置
US10076461B2 (en) Apparatus for training dynamic balance and turning manoeuvres during walking
CN103054690A (zh) 一种下肢痉挛智能康复装置
CN105902356A (zh) 一种下肢康复设备
CN104905934A (zh) 一种新型偏瘫站立训练床
KR200275193Y1 (ko) 척추교정용 물리치료기
JP2004503296A (ja) ディジタルコントロール3次元脊椎矯正器
KR101458714B1 (ko) 척추견인 장치
KR100469862B1 (ko) 척추교정용 견인장치
CN101053545B (zh) 身体振动机
Hsieh et al. Robot-driven spinal epidural stimula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stimulation in adult spinalized rats
Olenšek et al. Adaptive dynamic balance training during overground walking with assistive device
KR101249581B1 (ko) 불안정판을 이용한 조기재활훈련장치
CN104055651A (zh) 柔性仿生全脊椎智能理疗机
KR20190011067A (ko) 연하장애 개선용 밴드
KR101220016B1 (ko) 자세균형 및 하지강화 훈련을 위한 진동형 자전거시스템
JP2022542267A (ja) 核磁気共鳴治療装置
RU893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яж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0978991B1 (ko) 자이로모션을 응용한 3차원 척추 근골격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