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625B1 - 결제 대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제 대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625B1
KR101335625B1 KR1020120032407A KR20120032407A KR101335625B1 KR 101335625 B1 KR101335625 B1 KR 101335625B1 KR 1020120032407 A KR1020120032407 A KR 1020120032407A KR 20120032407 A KR20120032407 A KR 20120032407A KR 101335625 B1 KR101335625 B1 KR 10133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yment
information
compan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433A (ko
Inventor
이왕주
Original Assignee
이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주 filed Critical 이왕주
Priority to KR102012003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6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R 및 AP 항목에 대한 비용처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회계담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 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용 거래 당사자가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회계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접속되는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회수대상 AR(Account Receivable) 정보를 등록받는 AR 등록모듈 및 AR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에 AP(Account Payable) 정보로서 제공하며,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AR 앱에 의해 메신저 기능이 요구될 경우, AR에 대해 제1휴대단말기와 제2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메시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제 대행 시스템{Deputtizing settlement system}
본 발명은 결제 대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 간 메신저 기능을 이용하며, 기업과 기업, 또는 기업과 개인이 주고 받는 AR 및 AP의 비용처리를 대행하며, 전자세금 계산서를 발급받도록 함으로써 B2B 및 B2C 결제환경을 개선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과 기업 및 개인 사이의 온라인 거래 환경에서 신용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구매한 측 기업의 회계는 AP(Account Payable) 항목으로서 생성하게 되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의 회계에는 AR(Account Receivable) 항목으로서 생성되며, AR 및 AP 항목은 기업활동의 결과로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AR 항목에 대한 비용은 기업 측에서 회수해야할 자금에 해당하나 통상적으로는 일정한 기간마다 진행되거나, 비정규적으로 진행되는 측면이 있다. 기업 간 주고 받아 할 비용의 항목과 비용이 많은 경우 이러한 경향이 크다. 한편, 기업의 회계담당자가 자사 회계항목에 기재된 AR, AP 항목들 중 의문점이 있을 때, 연락을 취해야 하나, 거래처별 담당자 및 연락처를 확인하여야 하며, AR 항목에 대한 비용처리가 비 비정규적으로 되는 경우, 적절한 시점에 연락을 취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AR 항목에 대한 비용이 입금될 때,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부하여 상대 업체에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회계처리의 문제점에 대해 한국 공개특허 10-2004-0006023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소비자와 업체 사이에 신용카드 거래가 발생 시, 금융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거래내역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세금을 계산토록 하는 세금징수 및 배분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04-0006023는 국가기관에서 세금을 징수하고 배분하는 방식은 개선할 수 있으나,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개인 사이에 주고 받아야할 비용을 처리하거나 통보하는데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개인 사이의 AR 및 AP를 쉽게 처리가능하며, 비용거래의 당사자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한 결제 대행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AR 및 AP에 대한 회계정보를 교환하고 AR 및 AP항목에 대한 비용 처리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AR 및 AP 비용처리 결과에 대한 전자계산서를 제공함으로써 비용 거래의 당사자가 빠르고 정확하게 회계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되는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회수대상 AR(Account Receivable) 정보를 등록받는 AR 등록모듈 및 상기 AR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에 AP(Account Payable) 정보로서 제공하며,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AR 앱에 의해 메신저 기능이 요구될 경우, 상기 AR에 대해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메시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AR 정보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의 연락처 정보 및 담당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처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AR 앱은, 상기 거래처 정보를 대신하는 식별자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적어도 하나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된 식별자에 대해 상기 AR의 등록 및 상기 메신저 기능의 요청을 처리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R 및 AP 항목에 대한 비용처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회계담당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 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용 거래 당사자가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회계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대행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대행 시스템에 대한 블록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3은 AR 앱에 표시되는 식별자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중개모듈이 AR 및 AP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AR(Account Receivabl)은 매출채권, 미수금, 또는 외상매출금이라 하며, 기업이나 개인이 신용으로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이를 제공한 측에 지불해야 할 비용을 의미한다. AR은 기업의 입장에서는 자산(Asset)이라 할 수 있으며, 회계항목에서는 차변에 기재되는 항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AP(Account Payable)는 매입채무, 미지급금, 또는 외상매입금이라 하며, 기업이나 개인이 상품, 서비스 및 기타 원자재를 구입 후, 지불해야할 비용을 의미한다. AP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부채라고 할 수 있으며, 회계항목에서는 대변에 기재되는 회계항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노트북 및 기타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 가능한 장치라면, 전술한 기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기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에 따라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AR 앱(App)은 휴대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다. AR 앱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아이콘 및 메뉴의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의 아이콘 혹은 메뉴 선택에 따라 해당 기능이 실행되며, 푸시-업(PUSH-UP) 서버의 이벤트를 수신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금융사 서버는 국가기관이 세금 징수를 위해 운영하는 국세청 서버, 카드사 서버 및 은행 서버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국세청 서버, 카드사 서버 및 은행 서버와 같이 개별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비용을 회수해야할 기업을 기업 A로 표기하고, 비용을 지불해야할 기업을 기업 B로 표기할 수 있으며, 기업 A의 회계담당자 휴대단말기에는 참조부호 50을 부여하고, 기업 B 축 회계담당자 휴대단말기에는 참조부호 51을 부여할 수 있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참조부호 50과 51은 각각 AR을 요청하는 휴대단말기와 AP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단말기로 설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대행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대행 시스템은 기업(기업 A) 회계담당자의 휴대단말기(50)에서 AR 정보를 등록받고, 등록된 AR 정보를 분석하여 AR에 대응하는 AP를 구비한 기업(기업 B)을 판단하며, 기업 B의 회계담당자 휴대단말기(51)로 기업 A에 대한 AP를 통보하여 입금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기업 B의 회계담당자가 휴대단말기(51), 또는 퍼스널 컴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서버, 또는 은행 서버와 같은 금융사 서버(300)에 AP를 입금하도록 할 수 있다. 기업 A에서 받아야 할 비용이 AR이고, 기업 B에서는 갚아야할 비용에 해당하므로, 기업 A에서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통보하는 AR은 기업 B의 입장에서는 AP에 해당한다. 기업 A는 휴대단말기(50), 또는 회계담당자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휴대단말기(50)에 AR 앱을 제공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AR 앱은
1) 휴대단말기(50)가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네트워크 접속하는 기능,
2) 휴대단말기(5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AR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제공하는 기능,
3) AR에 관련된 거래처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제공하는 기능 및
4) 거래처 정보를 식별자로 표현하여 휴대단말기(50) 사용자가 식별자를 선택하는 과정만으로 비용정보를 입력하여 AR 정보를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통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AR 앱은 휴대단말기(50)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아이콘, 또는 메뉴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될 때, 거래처별 식별자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50) 사용자는 거래처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식별자를 선택하여 등록된 거래처 정보를 선택하고, AR 정보를 입력하면 AR에 대한 비용을 입금해야할 당사자에게 비용 입금을 요청할 수 있다. 기업과 기업 및 기업과 개인 간 거래에서 AR을 요청하는 측은 가변적이므로, AR 앱은 휴대단말기(51)에도 동일하게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기업과 개인 업자 사이에도 상품 및 서비스의 거래 관계가 있다면 개인 업자도 자신의 휴대단말기에 AR 앱을 설치하여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한편,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기업과 개인 업자 간 거래인 경우, 비용 발생의 형태에 따라 개인 업자의 휴대단말기(60)에 AP가 통보되거나, 또는 개인 업자의 휴대단말기(60)가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AR 정보를 통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인 업자는, 개인 사업자, 또는 자영업자일 수 있다. 예컨대, 개인 업자가 대리운전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 고객은 휴대단말기(70)로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비용을 입금하고, 개인 업자는 휴대단말기(60)를 이용하여 대리운전비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업자의 휴대단말기(60)에 의해 요청된 대리운전비는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대한 AR 정보일 수 있다.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개인 업자가 AR을 요청 시, 고객의 휴대단말기(70)를 통해 비용을 입금받고, 입금된 비용을 개인 업자의 휴대단말기(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금융사 서버(300)로부터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하고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금융사 서버(300) 측에 카드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키 값의 형태로서, 그 자체는 카드번호나 계좌번호, 비밀번호 및 개인정보와 같은 일체의 금융관련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카드사, 또는 은행의 서버와 같은 금융사 서버(300)에서 생성되어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제공된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추후 금융사 서버(300)에 저장된 카드정보, 또는 계좌번호에 매핑되어 비용 결제에 이용될 수 있다.
즉, AR에 대한 AP를 지불해야하는 측의 휴대단말기는 금융사 서버(300)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금융사 서버(300)는 결제 대행 시스템(100)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제공한다.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온라인 아이디 정보와 결제 비용을 금융사 서버(300)로 제공하여 비용 결제를 요청하며, 금융사 서버(300)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정보나 계좌정보를 매핑하여 비용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금융사 서버(300)는 OTP(One Time Password)나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휴대단말기(50, 51, 60 및 70 중 하나)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대행 시스템에 대한 블록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결제 대행 시스템(100)은, AR 등록모듈(110), 메시지 모듈(120), 결제 중개모듈(130), 세금계산서 모듈(140), 금융사 등록모듈(150), 데이터베이스(160), AP 수신모듈(170) 및 개인/기업 등록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R 등록모듈(110)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 기업 및 개인 업자의 AR 을 등록한다. AR 등록모듈(110)은 AR에 대한 AP를 지불해야할 기업이나 개인 업자의 연락처정보, 담당자 정보 및 거래처 정보의 입력이 요구된다. 이때, 휴대단말기(50)에 설치되는 AR 앱은 사전에 거래처 정보, 연락처 정보 및 담당자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등록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정의된 로고나 이미지를 식별자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기(50) 사용자는 AR 앱을 구동 후, 식별자를 선택함으로써 AR 등록모듈(110)로 제공할 담당자 정보, 연락처 정보 및 거래처 정보를 일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비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AR 등록모듈(110)로 원하는 AR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AP 수신모듈(170)은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 비용을 지불하고자 하는 AP를 수신한다. AP 수신모듈(170)은 AP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고자 하는 기업이나 개인 업자로부터 결제 비용과 해당 비용을 수신한다. AP를 결제할 금융사 정보는 AP를 결제할 금융사 서버(300)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AP 수신모듈(170)은 온라인 아이디 정보 및 결제 비용을 결제 중개모듈(13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비용에 대한 결제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개인/기업 등록모듈(180)은 결재 대행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AR과 AP를 처리하는 기업이나 개인 업자의 정보를 등록받는다. 개인/기업 등록모듈(180)에 등록되는 기업이나 개인 업자의 정보로는, 연락처정보, 담당자 정보 및 거래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기업 등록모듈(180)은 AR 등록모듈(110)을 통해 등록된 기업이나 개인 업자의 연락처정보, 담당자 정보 및 거래처 정보를 등록하거나, 혹은, 휴대단말기(50)에 설치되는 AR 앱에 저장된 기업이나 개인업자의 정보를 일괄 획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기(50)에 설치되는 AR 앱은 사전에 거래처 정보, 연락처 정보 및 담당자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등록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정의된 로고나 이미지를 식별자로서 등록할 수 있다.
메시지 모듈(120)은 AR 등록모듈(110)에 등록된 AR 정보를 참조하여 비용을 지불해야할 기업 B를 판단하고, 기업 B의 담당자 연락처로 AR에 대한 AP 정보를 통보한다. 기업 B의 회계담당자의 휴대단말기(51)에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AP의 내역이 통보될 수 있다. 만일 기업 B 측 회계담당자가 기업 A 측 회계담당자에게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메시지 모듈(120)은 휴대단말기(51)에서 입력되는 텍스트를 휴대단말기(5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R 앱은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메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메시지 모듈(120)은 메신저 기능을 구동하여 휴대단말기(50, 51)는 상호 메시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중개모듈(130)은 AP를 지불해야 할 기업 B측 휴대단말기(51)에서 신용카드로 비용을 결제하거나, 또는 은행계좌를 이용하여 계좌이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중개모듈(130)은 휴대단말기(51)에 설치되는 AR 앱에서 사용자 선택된 카드사 및 카드사에 부속되는 카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금융사 서버(3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51)는 금융사 서버(300)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생성을 요청하고 결제 비용을 결제 중개모듈(130)로 제공한다. 결제 중개모듈(130)은 금융사 서버(300)로부터 획득한 온라인 아이디 정보와 휴대단말기(51)에서 수신한 결제 비용을 금융사 서버(300)에 제공하여 비용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업 B는 AP에 대한 비용처리를 카드 결제, 또는 계좌이체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세금계산서 모듈(140)은 기업 B가 결제 중개모듈(130)을 통해 AP에 대한 비용을 입금하는 경우, 국세청 서버(400)에 접속하여 AR 정보 및 거래 내역을 통보하고, 기업 A와 기업 B에 대한 전자 세금계산서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금융사 등록모듈(150)은 모바일 결제를 원하는 사용자가 모바일 결제에 이용할 카드사 명칭, 카드 명칭, 계좌이체 은행 등의 금융사 정보와 사용자가 모바일 결제에 이용할 휴대단말기 번호를 등록받는다. 금융사 등록모듈(150)은 AP 지불을 수행하는 측을 결제 중개모듈(130)에 등록한다. 비용 지불은 상품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명확히 규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모바일 거래에 참여하는 자는 모두 등록됨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160)는 AR 등록모듈(110)에 등록된 AR 정보, 메시지 모듈(120)에서 기업 A와 기업 B 사이에 오고간 메시지 내역, 기업 B에 대한 비용 입금 내역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는 기업과 기업 사이의 AR 및 AP 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기업과 개인 업자 사이의 비용 처리도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기업 A가 개인 업자인 경우에도 AR 등록모듈(110)에 AR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개인 업자 또한, 메시지 모듈(120)을 통해 AR에 대한 비용 입금을 요청하거나, 협의할 수 있는 것이다. AR 정보를 등록하는 주체는 기업 A나, 개인 업자일 때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되므로 개인 업자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된 과정을 준용하도록 한다.
도 3은 AR 앱에 표시되는 식별자의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50)에 설치되는 AR 앱이 구동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거래처 정보는 LG Electronics, hynix 에 대한 기업 로고가 표시될 수 있으며, 기업 로고는 사용자 선택될 때, 담당자 정보, 연락처 정보, AP 정보 및 AR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만일 휴대단말기(50) 사용자가 식별자(hynix)(21)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식별자(21)의 일 측에는 담당자 정보, 연락처 정보, AP 정보 및 AR 정보에 대한 부가정보(22)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부가정보(22)에는 전화 메뉴, 메시지 통신을 위한 메뉴 및 종료 메뉴가 부가될 수 있으며, 여기서, 휴대단말기(50) 사용자가 전화 메뉴를 선택 시, 기업 B 측 휴대단말기(51) 사용자와의 음성전화를 연결하게 되고, 메시지 메뉴를 선택 시, 휴대단말기(51) 사용자와의 메신저 기능을 구동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중개모듈이 AR 및 AP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중개모듈(130)은 AP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기업 B 측의 휴대단말기(51)가 로그인하면, 결제 중개모듈(130)은 휴대단말기(51)로 AP 비용 결제에 이용할 카드사 및 카드사의 신용카드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휴대단말기(51)가 선택한 카드사 및 신용카드의 이용을 위한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단말기(51) 상에서 은행, 또는 카드사를 선택하면 휴대단말기(51)는 금융사 서버(300)에 사용자가 사용할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생성을 요청한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파일, 또는 숫자와 문자열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키 값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고유한 키 값을 나타내나, 그 자체가 계좌번호나 신용카드의 정보를 가지지 않는다. 반면,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하나의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51) 사용자는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 사용을 위하여 서비스 신청을 미리 하여야 하고, 은행이나 신용카드사는 휴대단말기(51) 사용자가 원하는 은행 계좌나 신용카드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금융사 서버(300)는 휴대단말기(5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생성한 후 결제 중개모듈(130)로 전달한다. 이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금융사 서버(300)와 결제 중개모듈(130) 간에 마치 신용카드나 은행 계좌처럼 이용할 수 있다. 반면, 휴대단말기(51)에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가 통보되지 않고 저장되지도 않기 때문에, 금융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제 중개모듈(130)은 휴대단말기(51)가 로그인 접속 시, 휴대단말기(51)가 결제에 이용할 카드사와 신용카드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금융사 서버(300)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금융사 서버(300)는 생성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또는 키 값, 이하 생략함)을 신용카드에 매칭해 두고, 이 후, 결제 중개모듈(130)로부터 온라인 아이디 정보와 함께 결재정보가 수신되면 카드결재 혹은 송금기능을 수행한다.
휴대단말기(51)는 금융사 서버(300)에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생성을 요청하고, 결제 중개모듈(130)에 결제비용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금융사 서버(300)로부터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획득한 결제 중개모듈(130)은 온라인 아이디 정보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를 대체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휴대단말기(51)가 금융사 서버(300)에 직접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결제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이는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는 결제 중개모듈을 이용하여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51)는 결제 중개모듈(130)에 로그인하여 계좌이체 서비스를 요청하고, 결제 중개모듈(130)은 계좌이체를 수행할 은행의 접속 경로를 휴대단말기(50)로 제공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50) 사용자는 금융사 서버(300) 측에 사용하고자 하는 은행 계좌에 대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신청하며, 이에, 금융사 서버(300)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중개모듈(130)에 등록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은행 계좌에 대한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결제 중개모듈(130)에 등록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51) 사용자는 휴대단말기(51)에 설치된 AR 앱(App)을 이용하여 결제 중개모듈(130)을 통해 이체 금액을 제공하여 계좌 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결제 중개모듈(130)은 온라인 아이디 정보와 이체 금액을 금융사 서버(300)로 전달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한다.
금융사 서버(300)는 결제 중개모듈(130)에서 제공된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에 대응하는 실 계좌번호를 조회한다. 조회결과,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에 대응하는 실 계좌가 존재할 때, 금융사 서버(300)는 해당 계좌에서 비용이 이체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후, 금융사 서버(300)는 휴대단말기(51)로 인증번호를 발송하고, 휴대단말기(51) 사용자는 수신된 인증번호를 확인 후, 휴대단말기(51)를 통해 금융사 서버(300)로 피드백함으로써 휴대단말기(51)에 대한 인증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이체 대상 은행이 타행인 경우, 금융사 서버(300)는 타행 입금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정 수수료를 이체 대상자, 또는 휴대단말기(51)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인증 과정이 완료되면, 금융사 서버(300)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에 대응하는 실 계좌에서 비용을 인출하여 휴대단말기(51) 사용자가 지정한 계좌번호로 계좌이체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휴대단말기(51)로 통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결제 중개모듈을 이용하여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다른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51) 사용자가 이체 대상 계좌번호를 알지 못하는 경우 계좌이체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 도면이다.
휴대단말기(51) 사용자는 결제 중개모듈(130)에 로그인 후, 이체 요청을 진행하고, 결제 중개모듈(130)이 금융사 서버(300)에 대한 접속 경로를 제공하면, 접속 경로를 이용하여 금융사 서버(300)에 접속 후, 휴대단말기(51) 인증을 위한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체 금액 내역, 이체 대상 휴대단말기의 폰 번호를 전송한다.
금융사 서버(300)는 휴대단말기(51)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의 키 값, 이체 금액 및 이체 대상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이체 대상자의 휴대단말기 폰 번호)를 포함하는 가상 계좌를 생성하여 결제 중개모듈(130)로 제공하거나, 또는 이체 대상자의 폰 번호를 참조하여 이체 대상자의 계좌번호를 조회할 수 있다.
가상계좌를 생성하는 경우, 이체 대상자의 폰 번호는 하나의 계좌로서 취급되며, 이체 대상자가 자신의 폰 번호를 이용하여 정당한 이체 대상자임을 입증할 경우, 이체 대상자에게 가상 계좌에 입금된 비용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이체 대상자는 온라인을 통해 금융사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의 폰 번호를 제시하고, 금융사 서버(300)에서 인증번호를 전송 시, 이를 피드백하여 이체 대상자임을 증명하거나, 또는 오프라인 은행에 들러 주민등록증 및 휴대단말기를 제시하여 정당한 이체 대상자임을 증명 후, 이체 금액을 수취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금융사 서버(300)는 휴대단말기(51) 사용자가 제시한 이체 대상자의 폰 번호를 이동통신사 서버(미도시)에 조회하여 이체 대상자를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이체 대상자가 이체 비용을 수취 가능한 계좌를 조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융사 서버(300)는 이체 대상자의 폰 번호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체 금액을 수취할 은행사 및 계좌번호를 문의하고, 이체 대상자의 휴대단말기로 인증번호를 전송하여 인증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이체 대상 은행이 타행인 경우, 금융사 서버(300)는 타행 입금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정 수수료를 이체 대상자, 또는 휴대단말기(51)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110 : AR 등록모듈 120 : 메시지 모듈
130 : 결제 중개모듈 140 : 세금 계산서 모듈
150 : 카드사 등록모듈 1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네트워크 접속되는 제1휴대단말기로부터 회수대상 AR(Account Receivable) 정보를 등록받는 AR 등록모듈; 및
    상기 AR 정보를 제2휴대단말기에 AP(Account Payable) 정보로서 제공하며,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AR 앱에 의해 메신저 기능이 요구될 경우, 상기 AR에 대해 상기 제1휴대단말기와 상기 제2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메시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AR 정보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의 연락처 정보 및 담당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처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AR 앱은, 상기 거래처 정보를 대신하는 식별자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적어도 하나 표시하며, 사용자 선택된 식별자에 대해 상기 AR의 등록 및 상기 메신저 기능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근무하는 업체의 로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서 상기 AR에 대응하는 AP 비용결제를 요청 시,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서 선택된 금융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금융사 서버로 상기 제2휴대단말기 사용자의 비용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중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모듈은,
    상기 제2휴대단말기가 상기 AR에 대응하는 AP 비용 결제를 처리 시, 상기 제1휴대단말기로 상기 AR의 처리 내역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중개모듈에서 상기 AP에 대한 비용결제를 처리 시, 국세청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AP 비용 결제에 대한 전자 세금계산서를 요청하는 세금계산서 납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중개모듈은,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선택된 신용카드 및 계좌번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며, 고유한 키 값으로 구성되는 온라인 아이디 정보를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와 상기 AR을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AR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아이디 정보는,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의 선택적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휴대단말기에서 상기 AP의 납부를 위해 선택 가능한 카드사 목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2휴대단말기와 네트워크 접속 시, 상기 제2휴대단말기로 상기 카드사 목록을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카드사 등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R은,
    기업, 상거래 업체 및 개인 업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AR 등록모듈에 등록하며,
    상기 AR 앱은,
    회수대상 및 비용 기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휴대단말기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된 사항을 상기 AR 등록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대행 시스템.
KR1020120032407A 2012-03-29 2012-03-29 결제 대행 시스템 KR10133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07A KR101335625B1 (ko) 2012-03-29 2012-03-29 결제 대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07A KR101335625B1 (ko) 2012-03-29 2012-03-29 결제 대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33A KR20130110433A (ko) 2013-10-10
KR101335625B1 true KR101335625B1 (ko) 2013-12-02

Family

ID=4963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07A KR101335625B1 (ko) 2012-03-29 2012-03-29 결제 대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1092B (zh) * 2019-04-02 2023-03-24 上海瀚之友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支付通道的兼容系统
KR102333518B1 (ko) * 2020-03-24 2021-11-30 임상훈 기업 복리 비용 결제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075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용 결제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12118A (ko) * 2005-07-22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인식이 가능한 이동체와 이동체 유도 시스템
KR20100012264A (ko) * 2008-07-28 2010-02-08 용순안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스템
KR20110029478A (ko) * 2009-09-15 2011-03-23 주식회사 솔버스 자가 카드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075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용 결제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12118A (ko) * 2005-07-22 200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인식이 가능한 이동체와 이동체 유도 시스템
KR20100012264A (ko) * 2008-07-28 2010-02-08 용순안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스템
KR20110029478A (ko) * 2009-09-15 2011-03-23 주식회사 솔버스 자가 카드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33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584A1 (en) Offline bill splitting system
EP3485448B1 (en) Digital asset distribution by transaction device
US20160055583A1 (en) Mobile global exchange platform
RU2620715C2 (ru) Система проведения денежных транзакций
CN109313764A (zh) 对在支付卡接受点处使用的存款账号进行令牌化的系统和方法
US20170372417A1 (en) Digital asset account management
US20120078736A1 (en) On-demand generation of tender ids for processing third-party payments via merchant pos systems
CN103858141A (zh) 带有集成芯片的支付设备
KR101879353B1 (ko) 가상화폐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955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중개 시스템
US20120173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uthenticating, implementing, brokering data transfers, and collecting fees for data transfers among distributed electronic devices and servers
US20210383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ring persons to perform services on a temporary basis
KR20140117105A (ko) 통합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35625B1 (ko) 결제 대행 시스템
EP3264349A1 (en) System of payment and communication connections for remote servicing of customers
US20120233021A1 (en) Online Transaction System
KR20080048645A (ko) 은행의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291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송금 서비스 시스템
KR20180089188A (ko) 가상화폐의 환전 및 현금정산 시스템 및 방법
WO2016073519A1 (en) Mobile global exchange platform
US20150262146A1 (en) Gratuity Exchange System
KR20110095762A (ko) 온라인 개인 신용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08008A (ko) 메신저를 이용하여 p2p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KR20140047783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9153067A (ja) 多種複数事業者対応のカードレス決済システム、同カードレス決済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及びカードレス決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