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575B1 - 유해생물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유해생물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575B1
KR101334575B1 KR1020110109395A KR20110109395A KR101334575B1 KR 101334575 B1 KR101334575 B1 KR 101334575B1 KR 1020110109395 A KR1020110109395 A KR 1020110109395A KR 20110109395 A KR20110109395 A KR 20110109395A KR 101334575 B1 KR101334575 B1 KR 10133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oil
soil
medicament
electrodeposition ag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990A (ko
Inventor
정미우
Original Assignee
정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미우 filed Critical 정미우
Priority to KR102011010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5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령토, 점토, 황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물질과 폐석탄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토양이 유해생물의 방제를 위한 약제와 약제의 지속적인 누출을 위한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한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과 같은 유해생물 방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한 인공토양을 이용함으로써 약제의 방제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유효한 방제기간 및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초제, 살균제 또는 살충제 등에 의한 자연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유해생물 방제방법{METHOD FOR CONTROLLING HARMFUL BIO-ORGANISMS}
본 발명은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과 같은 유해생물 방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고, 인공토양의 약제 보유력이 우수하여 약제의 방제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유효한 방제기간 및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견이나 나대지 등과 같이 자연토양이 존재하는 장소에는 다양한 종류의 잡초가 생육하게 된다.
이러한 잡초는 생장 속도가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며, 종자의 수명도 매우 길고, 주변 환경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병균과 벌레의 서식처 또는 번식처가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도로변에 위치하는 노견의 경우 잡초로 인해 도로 표시 등을 위한 구조물이나 노견과 직접 인접한 도로의 차선을 가리게 되어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므로 잡초 방제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종래에는 잡초의 제거를 위해 예초기나 낫을 이용하여 잡초의 뿌리를 제거하지 아니한 채, 잡초의 줄기 부분만을 제거함으로써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제초작업을 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폐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고, 잡초의 뿌리까지 제거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신체적 부담감과 피로감을 주게 됨으로써 넓은 범위에 걸친 작업이나 장시간의 작업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자의 수고를 덜기 위해서 제초제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실시하기도 한다.
또한, 자연토양에 존재하는 유해 세균이나 해충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과수원이나 농경지 등에서 유해 세균이나 해충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살균제나 살충제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잡초의 제거작업은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 제초제의 특성상 잡초나 토양에 잔존하는 시간이 짧아서 일시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지속적인 잡초의 제거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초제의 사용량을 늘리게 될 경우 토양을 비롯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과수원이나 농경지 등에서 유해 세균이나 해충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한 인공토양을 사용함으로써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과 같이 유해한 생물의 방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유해생물의 유효 방제기간과 효능을 증대시키며, 제초제, 살균제 또는 살충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있어서, 고령토, 점토, 황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물질과 폐석탄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토양이 유해생물의 방제를 위한 약제와 상기 약제의 지속적인 누출을 위한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 및 상기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기 인공토양을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 및 상기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에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살포 내지 혼합에 의해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약제를 보유한 상기 인공토양을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된 상기 인공토양에 상기 전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을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된 상기 인공토양에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각각 도포하거나,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은, 상기 광물질과 상기 폐석탄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분말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비드 성형체를 소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물질은, 상기 분말의 입자 크기가 0.25∼1.0㎜일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은, 상기 광물질과 상기 폐석탄의 중량비율이 0.1∼5 : 1일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은, 제조 과정에서 상기 광물질과 상기 폐석탄과 함께 하수 슬러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은, 상기 광물질 및 상기 폐석탄의 혼합물 중량에 대한 상기 하수 슬러지의 중량 비율이 100 : 1 ∼ 30일 수 있다.
상기 약제는, 제초제, 살균제, 살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착제는, 원액을 10∼1,0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상기 인공토양 1,000㎡에 30∼300ℓ가 살포됨으로써 상기 인공토양에 보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에 잡초의 생육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를 상기 자연토양에 덮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시트상에 적층되는 상기 인공토양의 흐름이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흐름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의하면,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과 같은 유해생물 방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한 인공토양을 이용함으로써 약제의 방제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유효한 방제기간 및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초제, 살균제 또는 살충제 등에 의한 자연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의 보유 및 적층 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의 보유 및 적층 단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의 보유 및 적층 단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은 인공토양이 약제 및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보유 및 적층 단계에 의하면, 고령토, 점토, 황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물질과 폐석탄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토양이 유해생물의 방제를 위한 약제와 약제의 지속적인 누출을 위한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한다.
인공토양은 고령토, 점토, 황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물질에 폐석탄이 혼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폐석탄의 뛰어난 공극률로 인해 그 표면적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하고, 특히 전착제의 도포에 의해 약제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누출되어 장시간 약제의 효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인공토양을 제조를 위하여, 일례로, 광물질과 폐석탄의 혼합물을 분말로 분쇄한 다음, 이러한 혼합물의 분말에, 바인더, 예컨대 물, 물유리, 인산염수용액, 규산알칼리염수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성형기에 의해 비드(bead) 형태로 성형하고, 이렇게 성형된 비드 성형체를 소성로에서 가열에 의해 소성과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성과정에서 폐석탄이 잔존하는 연료 성분으로 인해 자체 연소함으로써 소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광물질은 분말의 입자 크기가 0.25∼1.0㎜일 수 있는데, 입자 크기가 0.25㎜미만인 경우 폐석탄과의 흡착이 과다하여 기공율을 저하시키고, 1.0㎜를 초과하는 경우 폐석탄과의 흡착이 어려워 약제의 지속 누출을 위한 기공율의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인공토양은 광물질과 폐석탄의 중량비율이 0.1∼5 : 1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물질의 중량이 폐석탄의 중량에 대하여 0.1배 미만인 경우 폐석탄의 코팅을 어렵게 하고, 폐석탄의 중량에 대하여 5배를 초과하는 경우 폐석탄이 약제를 함유하기 위한 기공 형성을 어렵게 한다.
한편, 인공토양은, 제조 과정에서 광물질과 폐석탄과 함께 하수 슬러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폐석탄과 광물질이 하수 슬러지의 함수율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하수 슬러지의 미생물 멸균을 통한 하수 슬러지의 유용성을 제공한다. 한편, 인공토양은 광물질 및 폐석탄의 혼합물 중량에 대한 하수 슬러지의 중량 비율이 100 : 1 ∼ 30일 수 있으며, 이러한 중량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하수 슬러지의 영향에 의해 약제와 전착제의 보유 효율을 저하시킨다.
약제는 제초제, 살균제, 살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약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선택성 제초제는 물론 선택성 제초제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살균제는 미생물을 살상시키거나 생장을 억제하는 효능을 지닌 소독제를 비롯한 모든 약품이 해당될 수 있으며, 항균성을 가진 항생물질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살충제는 사람은 물론 농작물 등에 해가 되는 곤충을 죽이는 효능을 지닌 모든 약품이 해당될 수 있다.
전착제는 약제를 에멀젼, 수화제, 액제를 첨가하여 살포액의 물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으로서, 약제를 대상으로 하는 인공토양, 잡초, 병충해의 표면에 균일하게 퍼지고 잘 붙어서 풍우에도 유실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거나 약제에 침투성을 부가하여 약제를 인공토양, 잡초, 병충해 내에 침투시키는 성질을 증강시키도록 하는데, 예컨대 비누, 카세인석회, 중성세제, 비해리성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착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로 든 물질의 원액을 10∼1,0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자연토양에의 적층 전 또는 적층 후의 인공토양 1,000㎡에 10∼300ℓ가 살포됨으로써 인공토양에 보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착제는 상기한 희석비율 및 살포량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약제의 지속적 누출을 어렵게 하고, 이로 인해 약제의 누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방제 기능을 달성하기 어렵고, 상기한 희석비율 및 살포량을 초과하는 경우 약제의 누출을 어렵게 하여 방제에 필요한 약제의 누출량을 달성하기 어려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토양이 약제 및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S20; 도 1에 도시)는, 일례로서, 인공토양이 약제 및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S21)와, 약제와 전착제를 보유한 인공토양을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토양을 제조 후 약제와 전착제를 스프레이방식 등에 의해 각각 도포함으로써 인공토양이 약제와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공토양이 약제 및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S21)는 인공토양에 약제와 전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살포 내지 혼합에 의해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악제 상에 전착제가 코팅되어 인공토양의 공극에 약제와 전착제의 혼합물이 흡착되는 효과가 높아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토양이 약제와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S20; 도 1에 도시)는, 다른 예로서, 인공토양이 약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S23)와, 약제를 보유한 인공토양을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S24)와, 자연토양에 적층된 인공토양에 전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토양을 제조 후 스프레이 방식 등에 의해 약제를 도포함으로써 인공토양이 약제를 보유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연토양에 적층하고, 자연토양에 적층된 인공통양에 전착제를 스프레이 방식 등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전착제가 인공토양의 갭이나 공극 사이에 침투하여 약제가 지속적으로 장시간 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토양이 약제와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S20; 도 1에 도시)는, 또 다른 예로서, 인공토양을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S26)와, 자연토양에 적층된 인공토양에 약제를 도포하는 단계(S27)와, 약제가 도포된 인공토양에 전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8)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공토양을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S26) 이후에, 자연토양에 적층된 인공토양에 약제를 도포하는 단계(S27)와 약제가 도포된 인공토양에 전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8)의 순서를 바꿈으로써 자연토양에 적층된 인공토양에 약제와 전착제를 순서에 상관없이 각각 도포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자연토양에 적층된 인공토양에 약제와 전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토양을 제조 후 자연토양에 적층시킨 다음, 인공토양에 스프레이 방식 등에 의해 약제 및 전착제를 각각 도포하거나 약제 및 전착제의 혼합물을 도포함으로써 인공토양뿐만 아니라 인공토양의 갭이나 공극 사이에 약제와 전착제가 제대로 침투하여 약제 및 전착제의 효능이 효과적으로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은 인공토양이 약제와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S20; 도 1에 도시) 이전에 잡초의 생육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를 자연토양에 덮는 단계(S10; 도 1에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토양에 차단시트를 덮는 단계(S10)는 노견, 과수원, 농경지 그 밖의 유해생물 방제가 필요한 자연토양(11)에 차단시트(12)를 덮도록 하여 잡초의 생육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인공토양에 보유되는 약제의 목적이나 효능과 관련하여 차단시트(12)가 불필요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차단시트(12)는 비닐막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적층되는 인공토양(13)과 자연토양(11)의 경계를 이룰 수 있으며, 자연토양(11)의 전면적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자연토양(11)의 일부에 걸쳐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은 자연토양(11)에 적층되거나 차단시트(12)상에 적층된 인공토양(13)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흐름방지부재(14)를 설치하는 단계(S30; 도 1에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흐름방지부재(14)를 설치하는 단계(S3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자연토양(11) 또는 차단시트(12)상에 적층된 인공토양(13)이 약제를 보유하도록 한 이후에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자연토양(11) 또는 차단시트(12) 상에 적층된 인공토양(13)이 약제를 보유하기 이전에 실시될 수도 있다.
흐름방지부재(14)는 적층된 인공토양(13)이 흘러내리거나 유동할 수 있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고, 자연토양(11)에 삽입 설치되거나 차단시트(12)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인공토양(13)이 흘러내리거나 유동하지 못하도록 격벽 역할을 하는 판재나 각재, 그 밖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수지나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흐름방지부재(14)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일례로 노견의 일측에 설치됨을 나타내었으나, 노견, 과수원, 농경지 등의 양측은 물론 인공토양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나란하게 또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의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이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작용을 나타낸다. 여기서, 고령토와 폐석탄의 중량비는 인공토양 전체에 대한 중량비를 나타내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전착제 원액을 7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자연토양에의 적층 후 인공토양 1,000㎡에 150ℓ를 살포함으로써 인공토양이 보유하도록 하였다.
고령토 폐석탄 약제 전착제 약제지속성
실시예1 20w% 80w% 제초제 보유 우수
실시예2 80w% 20w% 제초제 보유 우수
비교예1 5w% 95w% 제초제 비보유 불량
비교예2 90w% 10w% 제초제 비보유 불량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약제의 누출 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은,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과 같은 유해생물 방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약제의 보유력이 우수한 인공토양을 이용함으로써 약제의 방제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제초, 살균 또는 살충 등의 유효한 방제기간 및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초제, 살균제 또는 살충제 등에 의한 자연토양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생물 방제방법은 화학발전소 등에서 대량으로 발생되는 폐석탄을 이용함으로써 폐석탄의 재활용을 통한 비용 절감을 가져오며, 소성과정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 자연토양 12 : 차단시트
13 : 인공토양 14 : 흐름방지부재

Claims (13)

  1. 유해생물 방제방법에 있어서,
    고령토, 점토, 황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광물질과 폐석탄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인공토양이 유해생물의 방제를 위한 약제와 상기 약제의 지속적인 누출을 위한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자연토양에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토양은,
    상기 광물질과 상기 폐석탄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분말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 비드 성형체를 소성로에서 상기 폐석탄이 가지는 연료성분의 연소에너지를 이용하여 소성과정을 거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광물질과 상기 폐석탄의 중량비율이 0.1∼5 : 1이며,
    제조 과정에서 상기 광물질과 상기 폐석탄과 함께 하수 슬러지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광물질 및 상기 폐석탄의 혼합물 중량에 대한 상기 하수 슬러지의 중량 비율이 100 : 1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 및 상기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기 인공토양을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 및 상기 전착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에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살포 내지 혼합에 의해 보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를 보유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약제를 보유한 상기 인공토양을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된 상기 인공토양에 상기 전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토양을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연토양에 적층된 상기 인공토양에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각각 도포하거나,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은,
    상기 분말의 입자 크기가 0.2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제초제, 살균제, 살충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착제는,
    원액을 10∼1,0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상기 인공토양 1,000㎡에 30∼300ℓ가 살포됨으로써 상기 인공토양에 보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이 상기 약제와 상기 전착제를 보유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에 잡초의 생육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시트를 상기 자연토양에 덮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차단시트상에 적층되는 상기 인공토양의 흐름이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흐름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생물 방제방법.
KR1020110109395A 2011-10-25 2011-10-25 유해생물 방제방법 KR10133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95A KR101334575B1 (ko) 2011-10-25 2011-10-25 유해생물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95A KR101334575B1 (ko) 2011-10-25 2011-10-25 유해생물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90A KR20130044990A (ko) 2013-05-03
KR101334575B1 true KR101334575B1 (ko) 2013-11-28

Family

ID=4865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95A KR101334575B1 (ko) 2011-10-25 2011-10-25 유해생물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5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14A (ja) 2001-03-19 2002-09-25 Sugawara Doboku Kk 雑草防止舗装構造
KR20040083540A (ko) * 2002-02-19 2004-10-02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잡초의 방제 방법
KR20090035714A (ko) * 2006-07-24 2009-04-10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제어방출형 과립
KR20110012352A (ko) * 2009-07-30 2011-02-09 정미우 유해생물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14A (ja) 2001-03-19 2002-09-25 Sugawara Doboku Kk 雑草防止舗装構造
KR20040083540A (ko) * 2002-02-19 2004-10-02 엥겔하드 코포레이션 잡초의 방제 방법
KR20090035714A (ko) * 2006-07-24 2009-04-10 신젠타 파티서페이션즈 아게 제어방출형 과립
KR20110012352A (ko) * 2009-07-30 2011-02-09 정미우 유해생물 방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90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79817C (zh) 含有化合物2-氰基-3-氨基-3-苯基丙烯酸乙酯的杀菌组合物
TWI401028B (zh) Control the composition of tree parasitic pests
CN101394741A (zh) 抑霉唑和银化合物的组合
KR101041863B1 (ko) 유해생물 방제방법
CN102461525A (zh) 唑嘧磺草胺或双氯磺草胺与吡啶硫酮锌的协同组合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334575B1 (ko) 유해생물 방제방법
KR101315652B1 (ko) 유해생물 방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유해생물 방제방법
JP2001114620A (ja) イチゴの病害虫防除組成物
CN102150686A (zh) 用熏蒸方法治虫杀菌灭鼠的硫酰氟复配剂
KR101141981B1 (ko) 유해생물 방제용 인공토양,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유해생물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제방법
US5595748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nematodes
KR101893125B1 (ko) 항충용 코팅 조성물
JP2013135693A (ja) クロルピクリン乳剤
KR101453403B1 (ko) 중탄산 암모늄을 포함하는 포도 갈색무늬병 방제용 조성물 및 방제 방법
CN106973820B (zh) 一种垫料鸡粪舍内发酵、装袋外运无污染处理方法
WO2012169682A1 (ko) 유해생물 방제방법
JP4526054B2 (ja) 農薬の散布方法
KC et al.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 of Bioagents with Agro Chemicals
JP2001327237A (ja) シロアリ駆除装置およびシロアリ駆除方法
EP3316691B1 (en) Coniothyrium minitans for use against moss growth
JPH08325108A (ja) 土壌燻蒸剤の燻蒸方法
KR101839727B1 (ko) 골프장 그린에 사용가능한 친환경 제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생육환경 개선방법
JPH04198110A (ja) 陸棲腹足類防除剤、防除方法および防除用マット
NL2013020B1 (en) Method for preventing or inhibiting damages to plants during cultivation or for preventing growth retar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