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501B1 - 분리 가능 식탁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501B1
KR101333501B1 KR1020110084570A KR20110084570A KR101333501B1 KR 101333501 B1 KR101333501 B1 KR 101333501B1 KR 1020110084570 A KR1020110084570 A KR 1020110084570A KR 20110084570 A KR20110084570 A KR 20110084570A KR 101333501 B1 KR101333501 B1 KR 10133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upper plate
pedal
dining tabl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968A (ko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11008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5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상판과 제1상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캐스터를 가지는 다수개의 제1받침다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식탁; 및 제1상판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상면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판과 제2상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받침다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식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개구부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제1상판 좌우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 식탁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리 가능 식탁 {DETACHABLE DINING TABLE}
본 발명은 분리 가능 식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 상판의 일단이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장애인이나 실버세대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되는 분리 가능 식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탁은 공지된 바와 같이 편편하게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탁에 식사를 하기 위하여 상판의 위에 음식물이 담긴 다수개의 그릇을 올려놓을 때는 그릇을 옮기는 쟁반을 이용하여 주방에서 식탁까지 음식물을 이동시키고 음식물이 담긴 그릇을 쟁반에서 다시 식탁의 상판으로 옮겨 늘어놓고 식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보관되는 그릇을 쟁반에서 식탁의 상판에 옮겨 놓으면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식당과 같은 곳에선 점심시간이나 저녁시간과 같이 손님이 많아 바쁜 시간에는 시간에 쫓기면서 일을 하므로 그릇을 상에 투박하게 널어놓아 손님이 불친절하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그릇을 쟁반에서 식탁의 상판으로 옮겨놓을 때 실수로 그릇을 놓치는 경우, 그릇이 엎어지면서 음식물이 쏟아져 손님의 의복을 손상시키는 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아울러 쟁반을 사용하여 운반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손님이 앉아 있는 식탁으로 옮겨 놓을 경우, 손님 옆의 비어 있는 식탁 위로 쟁반을 올려 놓는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많은 음식물을 쟁반에 옮길 경우에는 쟁반을 옮기는데 과도한 힘이 필요하며, 이 음식물을 손님이 앉아 있는 식탁으로 다시 옮기는 데에도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불편을 덜어 보고자 쟁반대신 별도의 이동대차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싣고 오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음식물을 싣고 온 대차로부터 손님의 식탁 위로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250145호에는 '슬라이드형 보조 식탁을 구비한 식탁'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250145호는, 식탁은 상판의 저부로 전,후방 받침간과 일측받침간 및 개방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틀의 전,후방받침간 내측면으로는 걸림턱을 형성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에는 보조식탁이 상기 전,후방받침간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타고 슬라이딩 출입하도록 결합하되; 일측으로는 상기 일측받침간에 대응하여 타측받침간 역할을 하는 타측굴곡부와 그 일측 전후방으로는 걸림편을 돌설시킨 보조상판과; 상기 보조상판의 저부 타측굴곡부 양측으로는 이동바퀴를 유설한 보조다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250145호는, 보조식탁이 식탁의 길이를 연장해 주는 기능으로 사용될 뿐, 별도로 분리하여 음식물을 운반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어 기존의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식탁과 제2식탁이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식탁에 음식물을 차린 후에 제2식탁과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차림이 완료될 수 있는 분리 가능 식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상판과 제1상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캐스터를 가지는 다수개의 제1받침다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식탁; 및 제1상판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상면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2상판과 제2상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받침다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식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개구부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제1상판 좌우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딩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 식탁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제1식탁과 제2식탁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별도의 쟁반없이도 음식물의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상판 아래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바퀴가 회전되므로 제1식탁의 용이한 이동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캐스터의 페달을 밟음으로 로킹이 가능해지므로, 식사시에는 제1식탁의 이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캐스터의 페달에는 제1홈과 제2홈이 구비되어 페달을 밟을 경우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 식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분리 가능 식탁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면을 절단하여 결합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 가능 식탁의 분리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가능 식탁의 캐스터에 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 식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 식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분리 가능 식탁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능 식탁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 가능 식탁의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가능 식탁의 캐스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 식탁은, 제1상판(110)과 상기 제1상판(1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캐스터(300)를 가지는 다수개의 제1받침다리(1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식탁(100); 및 상기 제1상판(110)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상면 일단에 개구부(240)가 형성된 제2상판(210)과 상기 제2상판(2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받침다리(2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식탁(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240)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 라이딩홈(2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110) 좌우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홈(230)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111)가 구비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가능 식탁은 제1식탁(100)과 제2식탁(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식탁(100)은 제1상판(110)과 제1받침다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식탁(200)은 제2상판(210)과 제2받침다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상판(110)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상판(110) 하측면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다수개의 제1받침다리(120)가 구비된다.
또한, 제1상판(110) 하측면에서 제1받침다리(120)의 반대 측면에는, 연장부(130)가 형성되고, 연장부(130)의 하측으로는 제1받침다리(12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보조다리(131)가 형성된다.
제1받침다리(120) 및 보조다리(131)의 하단 끝단에는 캐스터(300)가 구비되어 지면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식탁(100)은 지면위에서 쉽게 이동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상판(210)은 제1상판(110)보다 더 크게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제1상판(110)에 해당하는 단면적을 갖는 개구부(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상판(110)이 제2상판(210)의 개구부(240)에 결합되어 전체적인 하나의 식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상판(110)의 좌우측면에는 슬라이딩돌기(111)가 구비되며, 제2상판(210)의 개구부(240)의 내측에는 슬라이딩돌기(111)에 대응한 슬라이딩홈(230)이 구비된다.
슬라이딩돌기(111)는 제1상판(110)이 제2상판(210)과 결합할 때, 제2상판(210)의 결합부 반대편 끝단까지 결합되어 제1상판(110)과 제2상판(210)의 결합성을 더욱 좋게 한다.
또한, 제2식탁(200)의 개구부(240)로 삽입되는 제1식탁(100)의 측면에 형성된 연장부(130) 및 보조다리(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다리(131) 및 제2받침다리(220)의 외측면이 일치하도록 제1상판(110)보다 길이가 돌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식탁(100)과 제2식탁(20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보조다리(131)와 제2받침다리(220)가 일체로 되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어 미감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한편, 제2식탁(200)의 개구부(240)로 삽입되는 반대편 측면의 제1식탁(100)의 제1받침다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다리(12) 및 제2받침다리(220)의 외측면이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제1식탁(100)과 제2식탁(20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1받침다리(120)와 제2받침다리(220)가 일체로 되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가 있어 미감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결합된 후의 제1식탁(100)에서 제1상판(110)의 외측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홈(113)이 형성된다.
손잡이홈(113)은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홈 안쪽을 손으로 잡고 제1식탁(100)을 끌어당기기 쉽게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제1상판(110) 전면 끝단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제1상판(110) 전면 양측 끝단에 유선형 굴곡을 가지는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운동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관의 외주면에는 지압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 식탁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돌기(111)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롤러(112)가 구비된다.
슬라이딩돌기(111)가 슬라이딩홈(230)에 끼워져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동돌기(111)에는 다수개의 롤러(11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가능 식탁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300)는, 회전 가능한 바퀴(311); 상기 바퀴(311) 좌우 양측 중심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편(312); 상기 한 쌍의 연결편(312) 일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브라켓(313); 상기 브라켓(313)에 결합되는 페달(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페달(314)을 밟음으로 인하여 상기 페달(314) 하측면이 바퀴(311) 외주면과 접촉되어 로크가 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페달(314)과 발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314) 상면 전단에는 좌우방향의 다수개의 제1홈(314a)이 형성되고, 상기 페달(314) 상면 후단에는 전후 방향의 제2홈(314b)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캐스터(300)가 구비된다.
캐스터(300)는 바퀴(311)와 연결편(312)과 브라켓(313)과 페달(3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바퀴(311)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311)의 회전축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한쌍의 ㄱ자형 연결편(31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312) 끝단에는 지지편이 형성되며, 지지편이 제1받침다리(12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편(312) 중단 일단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브라켓(313)이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313) 상단에는 페달(314)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페달(314)을 밟는 경우 페달(314) 전단 하면이 바퀴(311)와 접촉되며 록킹이 이루어지므로, 제1식탁(100)의 이동과 고정이 조절된다.
페달(314)의 상면 전단에는 좌우방향의 다수개의 제1홈(314a)이 형성되고, 상면 후단에는 전후 방향의 제2홈(314b)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므로, 페달(314)을 밟을 경우 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상기 제1상판(110)과 제2상판(210)의 밀착 결합을 위하여 제1상판(110)의 후면에 자력성분을 함유시키며, 상기 제1상판(110)의 후면과 접촉하는 제2상판(210) 부위에는 상기 제1상판(110) 후면에 함유된 자력성분과 반대되는 자력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상판(110)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홈에 이탈방지막이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상판(110) 위에 위치한 음식물 용기가 갑작스러운 충격에 의해 미끄러지더라도 이탈방지막에 의해서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100 : 제1식탁
110 : 제1상판 111 : 슬라이딩돌기
112 : 롤러 113 : 손잡이 홈
120 : 제1받침다리 130 : 연장부
131 : 보조다리
200 : 제2식탁
210 : 제2상판 220 : 제2받침다리
230 : 슬라이딩 홈 240 : 개구부
300 : 캐스터
311 : 바퀴 312 : 연결편
313 : 브라켓 314 : 페달
314a : 제1홈 314b : 제2홈

Claims (5)

  1. 제1상판과, 상기 제1상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캐스터를 가지는 다수개의 제1받침다리와, 상기 제1상판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를 포함하는 제1식탁; 및
    상기 제1상판이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상면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상판의 슬라이딩돌기가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제2상판과, 상기 제2상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받침다리를 포함하는 제2식탁;으로 구성되는 분리 가능 식탁에 있어서,
    상기 제2식탁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제1식탁의 하측면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하측으로는 끝단에 캐스터가 구비된 보조다리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식탁의 제1상판 외측에는 긴 장공 형태의 손잡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판과 제2상판의 밀착결합을 위해 제1상판의 후면에는 자력성분이 함유되며, 상기 제1상판의 후면과 접촉하는 제2상판 부위에는 상기 제1상판 후면에 함유된 자력성분과 반대되는 자력성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 식탁.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다리는 상기 제1식탁 및 제2식탁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식탁의 제2받침다리와 모서리 및 외측면이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 식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돌기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 식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회전 가능한 바퀴;
    상기 바퀴 좌우 양측 중심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편;
    상기 한 쌍의 연결편 일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페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페달을 밟음으로 인하여 상기 페달 하측면이 바퀴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로크가 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페달과 발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 상면 전단에는 좌우방향의 다수개의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페달 상면 후단에는 전후 방향의 제2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 식탁.
KR1020110084570A 2011-08-24 2011-08-24 분리 가능 식탁 KR10133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570A KR101333501B1 (ko) 2011-08-24 2011-08-24 분리 가능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570A KR101333501B1 (ko) 2011-08-24 2011-08-24 분리 가능 식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968A KR20130021968A (ko) 2013-03-06
KR101333501B1 true KR101333501B1 (ko) 2013-11-28

Family

ID=4817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570A KR101333501B1 (ko) 2011-08-24 2011-08-24 분리 가능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436B1 (ko) * 2013-08-21 2013-12-23 황정훈 레져용 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37Y1 (ko) 2006-03-20 2006-06-01 권준형 분리 가능한 테이블
KR20060096552A (ko) * 2005-03-02 2006-09-13 광 섭 정 캐스터의 브레이크 장치
KR20100007423U (ko) * 2009-01-13 2010-07-22 김호영 음식 상차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2A (ko) * 2005-03-02 2006-09-13 광 섭 정 캐스터의 브레이크 장치
KR200417637Y1 (ko) 2006-03-20 2006-06-01 권준형 분리 가능한 테이블
KR20100007423U (ko) * 2009-01-13 2010-07-22 김호영 음식 상차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968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266B2 (en) Movable support device
US7871125B2 (en) Infant support with independently repositionable legs
US20080072802A1 (en) Portable folding table
US8505768B2 (en) Food tray
CA2884196A1 (en) Drawer for holding beverage cartridges
US20120223040A1 (en) Coffee caddy
US20150150393A1 (en) Article Holder
KR101333501B1 (ko) 분리 가능 식탁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KR101365153B1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KR101417322B1 (ko) 접이식 복합 주방가구
KR20210014306A (ko) 상판 분리가 가능한 식탁
KR200250145Y1 (ko) 슬라이드형 보조식탁을 구비한 식탁
KR101834460B1 (ko) 수저 받침대
JP2005287697A (ja) 配膳台
KR200439871Y1 (ko) 접이식 테이블
KR101219486B1 (ko) 야외용 접이식 탁자
KR20130000702U (ko) 테이블 장치
KR102186740B1 (ko) 분리가능한 잔받침이 내장된 업소용 쟁반
KR200480444Y1 (ko) 다용도 보관함이 구비된 테이블
KR20150000595U (ko) 일회용 수저받침대
US20120193857A1 (en) Adjustable food preparation device
JP3583316B2 (ja) バスケット
AU2018100870A4 (en) Convertible furniture kit
KR200401964Y1 (ko) 의자일체형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