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250B1 -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 Google Patents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250B1
KR101333250B1 KR1020130063918A KR20130063918A KR101333250B1 KR 101333250 B1 KR101333250 B1 KR 101333250B1 KR 1020130063918 A KR1020130063918 A KR 1020130063918A KR 20130063918 A KR20130063918 A KR 20130063918A KR 101333250 B1 KR101333250 B1 KR 101333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unit
loading
water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인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13006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8Devices for melting snow or ice in situ and removing subsequently for the mud or melt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4Removing devices for dislodging snow or ice; followed by melting the removed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 작업시 염화칼슘 사용의 증가에 따른 노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노면의 제설작업이 가능한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노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제설하는 제설차로서, 전방측에 구비되어 노면의 눈을 흡입하는 제설부, 상기 제설부에서 흡입되는 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부, 상기 제설부에서 흡입되는 눈을 적재부로 이송하는 투설부, 상기 적재부에 흡입되는 눈을 융해 및 가열하는 융해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눈 또는 저온의 융해수를 융해부로 순환시키면서 융해 및 가열하도록 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적재부의 측방으로 융해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의 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ECO-FRIENDLY SNOW PLOW USING MELTED SNOW}
본 발명은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설 작업시 염화칼슘 사용의 증가에 따른 노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노면의 제설작업이 가능한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설차는 도로에 쌓인 눈을 제거하는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설방식은 차량의 적재함에 염화칼슘 살포기나 염화물용액 살포기 등을 적재한 후에 도로를 주행하면서 살포하는 방식과, 차량 전면에 블레이드와 같은 제설기를 장착하여 주행 과정에서 적설이나 압설을 도로변으로 모으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 밖에 적설을 강제로 흡입한 후에 도로의 측면으로 투설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도로나 고속도로와 같은 장소에서는 사용이 제한되고, 농촌지역이나 산악지역과 같이 제한 조건이 없는 장소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염화칼슘 살포기를 구비하는 방식의 경우 소금의 1.3배에 이르는 염도를 가지고 있고, 강한 부식성으로 인하여 가로수의 고사, 노면의 손상, 교각의 철제부분 부식, 차량의 부식 및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환경과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제설기 삽날을 이용한 제설차의 경우 차량 본체가 주행하게 되면 전방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통해 눈을 제거하거나 소정 부위에 적재하는 장비이다. 상기 블레이드는 차량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도로면에 인접하거나 밀착된 상태로 도로에 쌓인 눈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차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작업자의 탑승과 블레이드(2)의 이동을 위한 차량본체(1)의 전방에는 지지부(4)가 배치되어 블레이드(2)를 전방에 지지한다. 상기 블레이드(2)는 일반적으로 가로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도로의 1차선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2)와 지지부(4) 사이에는 틸팅이나 인출길이 등의 조절을 위한 실린더(3)가 개재되어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차량본체(1)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블레이드(2)가 도로면에 밀착하여 눈을 도로의 일측으로 모아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도로의 측면에 눈을 모아놓게 되므로 도로의 폭을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교통체증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주간에 융해된 도로변의 적설이 다시 도로로 유입되고 기온이 하강되는 야간에 결빙되면서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염화칼슘이나 염화물 용액을 통한 노면과 각종 장치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삽날을 이용한 제설차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노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제설하는 제설차로서, 전방측에 구비되어 노면의 눈을 흡입하는 제설부, 상기 제설부에서 흡입되는 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부, 상기 제설부에서 흡입되는 눈을 적재부로 이송하는 투설부, 상기 적재부에 흡입되는 눈을 융해 및 가열하는 융해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눈 또는 저온의 융해수를 융해부로 순환시키면서 융해 및 가열하도록 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적재부의 측방으로 융해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제공한다. 따라서, 노면의 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상기 순환유로가 상기 적재부의 저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일단부측에 적재된 눈 또는 저온의 융해수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융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융해수를 적재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융해수가 순환되면서 자체의 열을 통하여 적재부의 눈을 효과적으로 융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상기 흡입부가 상기 적재부와 융해부 사이의 격벽에 인접한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부가 상기 흡입부의 대각 방향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눈의 융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상기 배출부가 노면에 인접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배출구와, 상기 적재부의 저부의 공간에 융해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적재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흡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의 저장 및 융해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노면의 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상기 융해부가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연료를 통하여 작동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와, 상기 탱크부의 연료를 통하여 열을 발생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열을 순환유로에 전달하여 가열하도록 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부에 저장되는 연료는 CNG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제공한다. 따라서, 친환경적이며 작동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상기 융해부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제설수를 후방으로 살포하는 제설수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진행경로의 양측의 눈을 융해수를 통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설수저장부의 제설수를 살포하는 살포부는 제설부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진행경로 상에 잔류되는 눈을 후방측으로 살포되는 제설수를 통하여 제거하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제공한다. 따라서, 진행경로와 주변의 눈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제설부를 통하여 노면의 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적설을 융해 및 가열하여 다시 노면의 눈을 제거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설차의 이동 경로 및 그 주변의 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친환경적인 연료를 사용하며 자연의 눈을 활용한 제설이 이루어지므로 환경오염과 제설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제설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제설부측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융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이하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기본적으로 노면의 눈을 흡입하는 제설부(100)와, 상기 제설부(100)로부터 흡입된 눈을 적재하는 적재부(400)와, 상기 적재부(400)의 융해수를 가열하여 다시 적재부(400)로 환원하는 융해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들은 기본적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직접 운전하거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는 운전석부(300)를 구비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설부(100)는 노면의 눈을 흡입하여 적재부(4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블레이드나 삽날과 같은 부재가 결합되어 흡입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3 이하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적재부(400)는 운전석부(3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설부(100)에서 흡입된 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적재부(400)의 배치, 형상 및 용량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설부(100)로부터 적재부(400)에 눈을 이송할 수 있도록 소정의 이송수단인 투설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투설부(200)는 제설부(10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석부(300)의 상측을 거쳐서 적재부(400)의 상측에 이르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설부(200)는 소정의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개구가 후방 단부측에 형성되어 제설부(100)의 흡입 압력 및/또는 자중에 의하여 적재부(400)에 투척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400)에 인접한 융해부(500)에서는 소정의 융해수단과 배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융해부(500)는 적재부(400)에 수용된 눈을 흡입하고 소정의 가열과정의 통하여 융해하고 다시 적재부(400)로 환원할 수 있도록 소정의 순환유로(600)가 배치된다.
상기 순환유로(600)는 일종의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적재부(400)와 융해부(500)를 상호 연통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순환유로(600)에는 밸브가 구비되어 융해수 또는 눈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밸브는 전자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유로(600)의 일단부측에는 흡입부(610)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부(610)는 적재부(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부(610)는 융해부(500) 내부의 순환시 이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필터부재(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600)의 타단부측에는 토출부(620)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620)는 흡입부(610)에서 흡입한 눈 또는 눈과 융해수의 혼합상태를 융해 및 가열하여 다시 적재부(400)로 환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부(620)에서 토출된 융해수는 가열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융해수는 투설부(200)로부터 투입된 눈을 융해시키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융해부(500)는 전체적인 동력원인 엔진부(51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엔진부(510)를 통하여 제설차의 전체적인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엔진부(510)는 바람직하게는 무공해 CNG(Compressed Natural Gas) 엔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가솔린이나, 경유, LPG의 경우보다 적어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엔진부(510)의 연료의 공급을 위하여 융해부(500)에는 CNG저장수단인 탱크부(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엔진부(510)로부터의 동력은 융해부(500)에 구비되는 흡입동력부(520)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흡입동력부(520)는 유체펌프로서 흡입부(610)측에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압력은 적재부(400)의 눈 또는 융해상태의 눈을 순환유로(600)로 유동하는 동력원이 되는 것이다.
상기 순환유로(600)의 경로 상에는 열교환부(53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열교환부(530)는 소정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눈 또는 눈의 융해액을 가열하여 융해수로써 다시 적재부(400)로 환원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530)는 소정의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가열수단은 상기 탱크부(540)의 연료를 활용하여 눈을 가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전방측을 도시한 평면도며, 도 4는 측면도이다.
운전석부(300)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제설부(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면의 눈을 흡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노면에 인접되어 포집하는 포집부(120)와, 상기 포집부(120)측으로 눈을 안내할 수 있는 스크롤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120)는 측면상 대략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개구는 투설부(2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집부(120)에서의 눈의 흡입의 용이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스크롤부(1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고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120)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롤부(110)는 복수의 홈 내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홈 내지 블레이드는 포집부(120)의 중심측으로 노면의 눈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노면상의 눈을 제설하는 특성상 상기 스크롤부(110)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설부(100)의 개구측에는 포집된 눈의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로워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부(130)는 임펠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포집된 눈을 투설부(200)를 통하여 압송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블로워부(130)의 형상은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송스크류 방식으로 눈을 이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설부(100)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전방측에 구비되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설부(100)와 운전석부(300)의 전방측의 사이에는 경사조절부(31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경사조절부(310)는 제설부(100)의 상하 및/또는 좌우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하여 노면의 다양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조절부(310)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실린더의 동력원은 상기된 엔진부(510)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투설부(200)는 제설부(100)와 적재부(400)의 상측 공간을 연장하는 소정의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투설부(200)의 위치와 형상의 고정을 위하여 운전석부(300)의 상측에서는 소정의 브라켓부(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설부(200)의 후방측 단부에서는 적재부(400)의 상측으로 포집된 눈을 투입하게 되며, 이렇게 투입된 눈은 자중에 의하여 적재부(400)의 하측으로부터 쌓이게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적재부(400)에 적재된 눈을 융해하고 가열하여 이를 노면의 눈을 제설하는 데 활용하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융해부를 더욱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눈 및 융해수의 순환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설부(200)에서 투입되는 눈은 적재부(400)의 하측 공간부터 적재되는데, 상기 순환유로(600)의 적재부(400)에 배치되는 부위는 적재부(400)의 저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순환유로(600)는 일단부측에 흡입부(610)를 구비하고, 타단부측에 토출부(620)를 구비하는데, 상기 흡입부(610)와 토출부(620)는 최대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융해수의 유출입과 눈의 융해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토출부(620)는 적재부(400)의 일측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되 상기 흡입부(610)는 토출부(620)의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부(610)는 융해부(500)로의 거리상의 이점을 위하여 적재부(400)와 융해부(500)를 구획하는 격벽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부(400)에는 눈이 융해된 융해수의 노면에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41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배출부(410)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측방으로 융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를 가지는 경우 흡입부(610)에서 흡입되지 못하고 노면의 가장자리측으로 이동된 눈이 측방으로 배출되는 융해수에 의하여 노면에서 녹아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부(410)의 배치되는 부위 및 개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부(410)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배치되는 예가 설명된다.
이러한 배출부(410)는 소정의 관로 형태를 이루며, 노면에 인접되어 융해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적재부(4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부(410)의 흡입구가 적재부(400)의 저면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경우 적재부에 수용된 융해수가 전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 경우 눈의 적재 및 융해에 필요한 시간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410)는 적재부(400)의 저부에서 상측으로 더욱 연장되어 배치되어 흡입구(411)가 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재부(400)의 저면으로부터 흡입구(411) 사이의 간격이 일종의 저장 및 융해공간으로 기능하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흡입구(411)가 배치되는 높이는 적재부(400)의 전체적인 용량 및 융해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배출부(410)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적응하여 흡입구(41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순환유로(600)는 적재부(400)의 내부와 융해부(500)의 내부를 순환하며, 일부의 경로에서 열교환부(530)에 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눈을 융해하고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부(530)의 열교환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열교환부(530)에서의 순환유로(600)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중에 의한 토출부(620)로의 토출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흡입부(610)에서 흡입된 눈 또는 저온의 액체는 열교환부(53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530)는 가열부(560)와 결합되고, 상기 가열부(560)는 버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열부(560)가 버너로 이루어지는 경우 탱크부(540)의 연료를 산화하는 방식을 통하여 열을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연료는 CNG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후방측에 제설수저장부(55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설수저장부(550)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후단부측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별도의 제설수를 살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설수란 눈을 융해하는 물질을 의미하는데, 염화칼슘이 포함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적재부(400)에 수용된 융해수를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설수저장부(550)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연장되는 살포부(551)에서 노면의 후방측으로 제설수를 살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410)는 측방으로 융해수를 배출하고, 살포부(551)는 후방으로 제설수를 배출하는 차이점을 가지는데,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의 작동 과정에서 차량의 전방측의 적설은 흡입부(610)에서 흡입 및 적재하게 되고, 스크롤부(110)의 양측으로 밀려난 눈의 경우 배출부(410)에서 융해된 융해수에 의하여 융해되어 제거되며, 흡입부(610)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차량의 경로상의 노면에 잔류된 눈은 살포부(551)에서 배출된 제설수에 의하여 마무리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제설차의 이동 경로 및 그 주변에서 대부분의 적설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살포되는 제설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과 부재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는 상기한 바와 같이 노면의 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적설을 융해 및 가열하여 다시 노면의 눈을 제거하는 데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설차의 이동 경로 및 그 주변의 눈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친환경적인 연료를 사용하며 자연의 눈을 활용한 제설이 이루어지므로 환경오염과 제설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제설부 110...스크롤부
120...포집부 130...블로워부
200...투설부 300...운전석부
310...경사조절부 400...적재부
410...배출부 411...흡입구
412...배출구 500...융해부
510...엔진부 520...흡입동력부
530...열교환부 540...탱크부
550...제설수저장부 551...살포부
560...가열부 600...순환유로
610...흡입부 620...토출부

Claims (6)

  1. 노면을 따라 진행하면서 제설하는 제설차로서,
    전방측에 구비되어 눈을 흡입하는 제설부;
    상기 제설부에서 흡입되는 눈을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부;
    상기 제설부에서 흡입되는 눈을 적재부로 이송하는 투설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눈을 융해하고 가열하는 융해부;
    상기 적재부와 융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눈 또는 저온의 융해수를 융해부로 순환시키면서 가열하고 가열된 융해수를 다시 적재부로 환원시키는 순환유로; 및
    상기 적재부의 측방 외부로 융해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노면에 인접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배출구와, 상기 적재부의 저부의 공간에 융해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적재부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적재부의 저부에 인접하고 적재부와 융해부 사이의 격벽에 인접한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며 일단부측에 적재된 눈 또는 저온의 융해수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대각 방향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고 융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융해수를 적재부로 배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해부는,
    연료를 저장하는 탱크부와, 상기 탱크부의 연료를 통하여 작동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부와, 상기 탱크부의 연료를 통하여 열을 발생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열을 순환유로에 전달하여 가열하도록 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부에 저장되는 연료는 C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해부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제설수를 후방으로 살포하는 제설수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진행경로의 양측의 눈을 융해수를 통하여 제거하고,
    상기 제설수저장부에서 제설수를 살포하는 살포부는, 제설부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진행경로 상에 잔류되는 눈을 후방측으로 살포되는 제설수를 통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KR1020130063918A 2013-06-04 2013-06-04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KR101333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918A KR101333250B1 (ko) 2013-06-04 2013-06-04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918A KR101333250B1 (ko) 2013-06-04 2013-06-04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250B1 true KR101333250B1 (ko) 2013-11-26

Family

ID=4985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918A KR101333250B1 (ko) 2013-06-04 2013-06-04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2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613A (en) * 1996-07-03 1998-08-04 Derome; Andre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snow using exhaust and cooling system waste heat
US6904708B2 (en) * 2002-05-29 2005-06-14 Gary A. Rogers Snow remova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7613A (en) * 1996-07-03 1998-08-04 Derome; Andre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snow using exhaust and cooling system waste heat
US6904708B2 (en) * 2002-05-29 2005-06-14 Gary A. Rogers Snow remova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383B1 (ko) 차량의 배터리 냉각장치
CA2753023C (en) Enclosed snow melt system
KR101310727B1 (ko) 투설관 결빙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제설차
US9290899B2 (en) Snow removal vehicle
CN206279491U (zh) 多功能融雪车
JP6311077B2 (ja) 液化除雪装置
CN101581069B (zh) 路面整修机
US9945086B2 (en) Snow melting device
US10260209B1 (en) Mobile ice and snow utilization device and method
KR100927070B1 (ko)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KR101333619B1 (ko) 사이클론방식의 적설융해수단을 구비하는 제설차
KR101333250B1 (ko) 눈의 융해수를 이용하는 친환경 제설차
CN109881620A (zh) 一种道路除雪车
KR20150004218A (ko) 제설용액 살포장치
JP3867595B2 (ja) 融雪車の融雪装置
KR101333616B1 (ko) 오물배출수단을 구비하는 제설차
JP6042141B2 (ja) 融雪装置
KR101216943B1 (ko) 다층 발열판을 구비한 제설물 융해 저장식 제설기
KR20140108847A (ko) 소화전을 이용한 제설장치
KR101245297B1 (ko) 열교환기를 이용한 제설용액 가온장치
SE533491C2 (sv) Snöplog
KR102170640B1 (ko) 융설 방식의 친환경 제설차량
CN217536833U (zh) 一种多功能除雪车
KR101923224B1 (ko) 열효율이 향상된 용해 제설장비
JP2012184543A (ja) 融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