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908B1 -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908B1
KR101332908B1 KR1020120085774A KR20120085774A KR101332908B1 KR 101332908 B1 KR101332908 B1 KR 101332908B1 KR 1020120085774 A KR1020120085774 A KR 1020120085774A KR 20120085774 A KR20120085774 A KR 20120085774A KR 101332908 B1 KR101332908 B1 KR 10133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or
dust coll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현
심성훈
윤병복
김태형
김인선
문성호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은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집진판 및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방전봉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유해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어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제1방전극; 상기 방전봉 상에 상기 제1방전극과 인접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방전극의 첨단부가 향하는 집진판과 대향되는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제2방전극; 상기 제1방전극과 상기 제2방전극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단일 공정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는 방전극 한 쌍을 이용함으로써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BINDING-TYP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집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해가스의 오염입자를 집진하는 장치로서 높은 집진효율을 가지고 다량의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가 여러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10)는 한 쌍의 집진판(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원형 파이프의 끝단이 날카로운 형성을 가지는 다수의 방전극(13)이 장착되는 방전봉(12)이 집진판(11) 사이에 다수 배치된다.
이러한 전기집진장치(10)에 의하면 방전봉(12)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극(discharge electrode)(13)의 주위에 국부적인 절연파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코로나(corona)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10) 내부를 유동하는 유해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오염물(분진)이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쿨롱힘에 의하여 집진판(11)에 부착됨으로써 제거된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방전극(13)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단일의 방전극(13)을 방전봉(12)에 관통시켜 설치하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방전극(13)의 끝단에서 양측의 집진판(11)과 사이에서 균일하게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실제로는 방전극(13)이 휘는 현상과 같이 설치 시에 발생하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방전극(13)을 중심으로 양측의 집진판 간의 대칭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즉 L1 과 L2가 정확하게 일치하기 어렵고), 이는 방전극(13)에서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이 어느 하나의 집진판(11) 측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유발시키며, 이로 인하여 방전극(13)에 의하여 양 집진판(11) 사이에 발생되는 코로나 방전의 강도는 서로 다르게 된다.
이로 인해, 코로나 방전이 강한 측의 집진판(11)에 대한 집진 성능만 부각되고 코로나 방전이 약한 측의 집진판(11)에 대한 집진 성능은 저하되어 결국 전체적인 집진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b)에서와 같이, 한 쌍의 방전극(13)을 방전봉(12)의 외주면에 접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방전극(13)과 방전봉(12) 사이에는 점접촉이 형성되어 정확히 평행한 치수로 접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 역시 거리 대칭성(L1=L2)을 유지하면서 방전극(13)과 방전봉(12)을 정확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제작원가의 상승과 직접 연결되는 문제가 된다.
한편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집진판(11) 길이에 대하여 방전봉(12)은 집진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 설치되는데, 이것은 코로나 방전은 각각의 방전극(13) 끝단에서 발생하고,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는 위치에서의 전기장 강도가 가장 강하기 때문에 집진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코로나 방전 위치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수의 코로나 방전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는 집진판(11)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방전극(13)이 설치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는 집진판(11)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방전봉(12)이 설치되어야 하여, 제작원가 상승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판과의 거리의 대칭성을 유지함으로써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집진판 및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방전봉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유해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어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제1방전극; 상기 방전봉 상에 상기 제1방전극과 인접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방전극의 첨단부가 향하는 집진판과 대향되는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제2방전극; 상기 제1방전극과 상기 제2방전극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방전극과 상기 제2방전극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집진판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을 이용하며, 유해가스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집진판;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방전봉; 상기 방전봉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장치; 상기 방전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봉의 소정의 높이에는 한 쌍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이 상기 방전봉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되, 상기 집진판의 이격 간격을 반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방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판 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방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하여 방전봉에 설치됨으로써, 우수한 경제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고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이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집진판에 각각 대향되는 한 쌍의 분리된 방전극이 결합된 구조를 이용하여 전기집진을 하므로, 방전극으로부터 양측의 집진판 사이의 거리의 대칭구조를 유지하는 동시에, 특정 집진판 방향으로 코로나 방전 쏠림현상을 방지하여 고효율의 전기집진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재를 통하여 방전극을 결합함으로써, 자중에 의한 방전극이 휘어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방전극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에 집진판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기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방전봉의 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봉 상에 장착되는 보조 방전극을 이용하여 방전극 설치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방전봉의 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는 동시에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방전극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이 장착된 방전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결합형 방전극이 장착된 방전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6의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결합형 방전극이 장착된 방전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는 한 쌍의 집진판(110)과 복수개의 방전봉(120)과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과 전원인가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집진판(11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판형태의 금속부재로서, 상호 이격된다.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집진판(110) 사이의 공간은 유해가스 내부의 오염입자가 집진되기 위한 공간으로서 유입된 유해가스의 유동로(111)를 형성한다. 한편, 각각의 집진판(110)은 접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방전봉(120)은 집진판(110) 사이의 공간, 즉, 유동로(111) 상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후술하는 전원인가장치(160)로부터 고압의 전원을 인가받는 봉형태의 금속부재이다.
한편, 다수개의 방전봉(120)은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방전봉(120)은 유동로(111)의 폭을 정확하게 반으로 분할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이 장착된 방전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은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과 고정부재(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방전극(131)은 방전봉(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통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부재로서, 방전봉(120)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제1방전극(131)에는 첨단부(132)가 형성되며, 첨단부(132)는 어느 하나의 집진판(110) 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방전극(133)은 제1방전극(131) 하방에서 제1방전극(131)과 나란하게 장착되며, 제1방전극(131)과 마찬가지로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제2방전극(133) 역시 첨단부(134)를 형성하나, 제1방전극(131)의 첨단부(132)가 향하는 집진판(110)과 대향되는 집진판(110) 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35)는 상술한 제1방전극(131) 및 제2방전극(133)을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중앙에는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이 수용되도록 한 쌍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방전봉(120)의 상하측에 장착되는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은 고정부재(135)의 삽입공에 수용됨으로써 나란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35)에 의하여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이 서로 견고히 결합, 고정되므로, 방전봉(120)에 설치된 후에 제1방전극(131) 또는 제2방전극(133)으로부터 각 대향되는 집진판(110) 까지 간격의 대칭성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35)로 결합되는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은 방전봉(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대칭되도록 방전봉(120)을 중심으로 양측에 장착된다.
한편,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의 갯수, 결합형 방전극(130)의 길이,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을 결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고정부재(135)의 갯수 등은 집진판(110)의 면적,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유량, 결합형 방전극(130)의 소재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은 고정부재(135)가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을 상호 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변형례에서는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을 용접 등의 별도의 선행공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결합한 후에, 임의의 충격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게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서 고정부재(135)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인가장치(140)는 각 방전봉(120)과 연결되어 방전봉(120) 및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에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부재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전기집진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 쌍의 집진판(110)의 이격공간, 즉, 유동로(111) 내로 유해가스가 유입됨과 동시에, 전원인가장치(140)를 통하여 고전압의 전원을 각 방전봉(120)에 인가한다.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각각의 방전봉(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형 방전극(130)의 첨단부(132, 134)는 집진판(110)과의 사이에서 전기장 필드를 형성하고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킨다.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들은 유해가스 내의 오염입자와 결합하여 각각의 집진판(110)에 집진됨으로써 유해가스를 정화하게 된다.
이때, 결합형 방전극(130)은 한 쌍의 방전극(131, 133)이 별도의 결합부재(135)에 의하여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자중(自重) 등의 이유로 인한 형상변형이 방지되고, 각 첨단부(132, 134)로부터 양측의 집진판(110)까지의 거리 대칭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높은 집진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한 쌍의 집진판(110)과 복수개의 방전봉(120)과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230)과 전원인가장치(14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집진판(110)과 방전봉(120)과 전원인가장치(14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결합형 방전극이 장착된 방전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230)은 제1방전극(231)과 제2방전극(233)과 고정부재(235)를 포함하며, 제1방전극(231) 및 제2방전극(233)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고정부재(235)에 대해서만 후술한다.
상기 고정부재(235)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방전극(231) 및 제2방전극(233)을 결합, 고정하는 동시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부재이다. 고정부재(235)에는 방전극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각 집진판(110)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236)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36)는 집진판(110)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첨단의 형태를 가지나, 돌출부(236)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의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전원인가장치(140)로부터 방전봉(120)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하여 결합형 방전극(230)과 집진판(110)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유입되는 유해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입자의 집진이 발생한다.
이때, 제1실시예의 전기집진장치의 경우에는 제1방전극(131)과 제2방전극(133)의 첨단부에서 집중적인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동시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방전봉(120)의 부근에서도 집진이 일어나기 어려운 정도의 상대적으로 약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집진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236)가 형성되는 고정부재(235)를 이용함으로써 제1방전극(231) 및 제2방전극(233) 간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각 방전극의 첨단부(232, 234)과 집진판(110)과의 대칭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돌출부(236)에서도 충분한 코로나 방전이 발생됨으로써 별도의 방전극이 설치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구현되므로 대면적의 집진판(110)에 대해서도 강한 전기장을 형성시키고 전체적으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를 도시하고 있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방전극의 첨단부(232, 234)에 의하여 집진영역(A1)이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부재(235)의 돌출부(236)에 의하여도 집진영역(A2)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전기장 강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며, 이로 인하여 집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설명하는 도 8(b)과 비교하면,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서 총 3개의 방전봉(12) 및 이에 설치되는 방전극(13)에 의하여 형성되는 집진영역(B)에 대응되는 집진성능이 본 실시예의 단일 방전봉의 설치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방전봉(120) 설치를 통하여 집진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균일화하고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한 쌍의 집진판(110)과 복수개의 방전봉(120)과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과 전원인가장치(140)와 보조 방전극(3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집진판(110)과 방전봉(120)과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130)과 전원인가장치(14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결합형 방전극이 장착된 방전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방전극(370)은 집진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결합형 방전극(130)과 하방으로 이웃하는 결합형 방전극(130) 사이 위치의 방전봉(120) 상에 설치된다.
보조 방전극(370)은 첨단부를 형성하며, 방전봉(120)의 양단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집진판(110) 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보조 방전극(370)의 첨단부의 길이는 제1방전극(131)의 첨단부(132) 및 제2방전극(133)의 첨단부(134)의 길이보다 짤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9의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집진성능을 도시하는 도 10(a)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성능을 도시하는 도 10(b)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집진장치는 보조 방전극(370)에 의해서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집진영역(A2)을 형성하여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전기장의 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므로 전체적인 집진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의 방전봉(120)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10(b)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서 총 3개의 방전봉(12)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집진영역(B)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최소한의 방전봉(120) 설치를 통하여 집진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균일화하여 집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110 : 집진판 120 : 방전봉
130 : 제1방전극 140 : 제2방전극
150 : 고정부재

Claims (6)

  1.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집진판 및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방전봉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유해가스 내에 포함되는 오염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어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제1방전극;
    상기 방전봉 상에 상기 제1방전극과 인접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방전극의 첨단부가 향하는 집진판과 대향되는 집진판 측으로 휘어지는 첨단부를 형성하는 제2방전극;
    상기 제1방전극과 상기 제2방전극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극과 제2방전극은 각각의 첨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집진판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을 이용하며,
    유해가스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집진판;
    상기 유동로 내에서 상기 유해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방전봉;
    상기 방전봉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장치;
    상기 방전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방전봉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봉의 소정의 높이에는 한 쌍의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이 상기 방전봉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되, 상기 집진판의 이격 간격을 반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봉 상에서 상기 집진판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대향되는 상기 집진판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보조 방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전극은 상기 방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20085774A 2012-08-06 2012-08-06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133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74A KR101332908B1 (ko) 2012-08-06 2012-08-06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774A KR101332908B1 (ko) 2012-08-06 2012-08-06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908B1 true KR101332908B1 (ko) 2013-11-26

Family

ID=4985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774A KR101332908B1 (ko) 2012-08-06 2012-08-06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9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545A (ko) 2015-07-06 2017-01-16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의 원격 자동 제어 장치
KR20170005555A (ko) 2015-07-06 2017-01-16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87444A (ko) 2017-07-21 2017-07-2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의 원격 자동 제어 장치
KR20190097578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가열 세척 구조의 집진 필터 장치 및 집진 필터의 세척 방법
KR20200098460A (ko) 2020-08-12 2020-08-2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고전압 절연 소자의 오염 방지 기능을 가진 전기 집진 필터 및 소방 기능을 가진 전기 집진 장치
KR20200117572A (ko) 2019-04-05 2020-10-14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자동 스팀 세척 방식의 전기 집진 장치
WO2024063340A1 (ko) * 2022-09-19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833A (ja) 1999-01-08 2000-07-18 Sumitomo Heavy Ind Ltd トンネル用電気集塵装置
JP2001009325A (ja) 1999-06-25 2001-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JP2001025683A (ja) 1999-07-15 2001-01-30 Sumitomo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JP2001070829A (ja) 1999-09-09 2001-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833A (ja) 1999-01-08 2000-07-18 Sumitomo Heavy Ind Ltd トンネル用電気集塵装置
JP2001009325A (ja) 1999-06-25 2001-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JP2001025683A (ja) 1999-07-15 2001-01-30 Sumitomo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JP2001070829A (ja) 1999-09-09 2001-03-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5545A (ko) 2015-07-06 2017-01-16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의 원격 자동 제어 장치
KR20170005555A (ko) 2015-07-06 2017-01-16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87444A (ko) 2017-07-21 2017-07-2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의 원격 자동 제어 장치
KR20190097578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가열 세척 구조의 집진 필터 장치 및 집진 필터의 세척 방법
KR20200117572A (ko) 2019-04-05 2020-10-14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자동 스팀 세척 방식의 전기 집진 장치
KR20200098460A (ko) 2020-08-12 2020-08-2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고전압 절연 소자의 오염 방지 기능을 가진 전기 집진 필터 및 소방 기능을 가진 전기 집진 장치
WO2024063340A1 (ko) * 2022-09-19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908B1 (ko) 전기집진장치용 결합형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TWI552801B (zh) 用於靠近靜電集塵器之高壓部分的結構之電屏蔽裝置
KR101199554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KR100724556B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KR101523209B1 (ko) 전기집진장치
US2018017822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KR20080023802A (ko) 전기집진기용 방전판
KR101287913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KR101413644B1 (ko) 전기 집진기용 절연애자
US20190143339A1 (en) Charger, electric dust collector, ventilator, and air cleaner
KR101180035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JP5380213B2 (ja) 電極板のスペーサ構造
US20210283621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30090516A (ko) 전기 집진기
JP6953605B2 (ja) 電気集塵装置
JP2019098219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処理用電気集塵装置の放電電極
KR101970781B1 (ko) 탄성 전극 구조의 전기 집진 필터
JP2011050896A (ja) 電気集塵機
KR101399457B1 (ko)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1399451B1 (ko) 전기집진장치용 방전극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160089101A (ko) 이중채널 전기집진장치
JP2978481B1 (ja) 電気集塵装置
CN219785142U (zh) 一种新型静电除尘结构及其金属氟化物颗粒捕集装置
JP7225019B2 (ja) 電気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