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14B1 -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514B1
KR101332514B1 KR1020100135804A KR20100135804A KR101332514B1 KR 101332514 B1 KR101332514 B1 KR 101332514B1 KR 1020100135804 A KR1020100135804 A KR 1020100135804A KR 20100135804 A KR20100135804 A KR 20100135804A KR 101332514 B1 KR101332514 B1 KR 10133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increase
value
decrease
decreas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883A (ko
Inventor
구수일
이창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514B1/ko
Priority to DE102011055172A priority patent/DE102011055172A1/de
Priority to CN2011103969121A priority patent/CN102568366A/zh
Priority to US13/333,519 priority patent/US20120162168A1/en
Publication of KR2012007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모듈로부터 광학특성을 센싱하는 센싱단계; 센싱단계에 의해 마련된 센싱된 색좌표와 목표 색좌표를 비교하고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결정하는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된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판단단계를 통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불만족하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에 대한 보정을 하되,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양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는 반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음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1차 보정단계; 1차 보정단계를 통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2차 보정단계; 및 2차 보정단계에 의해 보정된 R감마, G감마 및 B감마를 표시모듈에 적용하는 적용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Gamma Sett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짐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시장치는 텔레비전(TV)이나 비디오 등의 가전분야에서 노트북(Note book)과 같은 컴퓨터나 핸드폰과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통상 표시장치는 원하는 휘도와 색좌표를 표현하기 위해 감마값을 설정(색보정)을 하고 설정된 감마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면, 구동을 할 때마다 메모리에 저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종래에는 패널의 목표 색좌표 설정을 위하여 데이터구동부의 내부 감마를 조절하기 위해 RGB(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 중 RG 감마만 조절하여 색좌표를 설정하였다. 종래 기술은 RG 감마만을 변경하기 때문에 감마 설정시 감마 최소값이나 감마 최대값에 도달하여 더 이상 변경 불가능한 경우가 상당히 발생한다.
이렇듯, 종래 기술은 RG 감마 2가지만 사용하여 색좌표를 설정하기 때문에 목표 색좌표에 접근하기 위한 소요시간이 RGB 감마 3가지를 모두 사용할 때보다 오랜 시간이 요구된다.
하지만, RGB 감마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PC의 운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콘트롤보드 상의 펌웨어(Firmware)까지 호환되도록 종래에 사용하던 장치들을 변경해야 하는데, 이는 알고리즘 등의 기술적 난이도 상 쉽지 않은 문제가 있고 프로그램이 복잡할수록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 또한 해결해야 하는 등의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들에 의해 RG 감마 2가지만 사용하여 휘도와 색좌표를 표현하기 위한 감마 설정 방법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마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 절약, 설치 비용에서의 우위, 허용오차 감소에 따른 정확도 향상, 감마 한계값으로의 도달 회피를 통한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모듈로부터 광학특성을 센싱하는 센싱단계; 센싱단계에 의해 마련된 센싱된 색좌표와 목표 색좌표를 비교하고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결정하는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된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판단단계를 통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불만족하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에 대한 보정을 하되,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양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는 반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음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1차 보정단계; 1차 보정단계를 통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2차 보정단계; 및 2차 보정단계에 의해 보정된 R감마, G감마 및 B감마를 표시모듈에 적용하는 적용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1차 보정단계에서,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양수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낮추는 방법으로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음수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방법으로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일 수 있다.
1차 보정단계는, If (RG & GG 양수) then {BG = - |Min (RG, GG)| and RG = 0, GG = 0}, If (RG & GG 음수) then {BG = |Min (RG, GG)| and RG = 0, GG = 0}의 수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되, RG 는 R감마의 증감값이고, GG 는 G감마의 증감값이고, |Min (RG, GG)|은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작은값에 대한 절대값을 반환하는 함수일 수 있다.
2차 보정단계에서,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한 감마 최대값은 유지되고,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한 감마 최소값은 유지되고,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한 감마 최대값은 유지되고,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한 감마 최소값은 유지될 수 있다.
2차 보정단계는, If (RG or GG = MAX) then {BG 감소, RG or GG = MAX 유지}, If (RG or GG = MIN) then {BG 증가, RG or GG = MIN 유지}, If (BG = MAX) then {RG and GG 감소, BG = MAX 유지}, If (BG = MIN) then {RG and GG 증가, BG = MIN 유지}의 수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되, RG 는 R감마의 증감값이고, GG 는 G감마의 증감값이고, Min은 감마 최소값이고, MAX는 감마 최대값일 수 있다.
센싱단계,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 판단단계, 1차 보정단계, 2차 보정단계 및 적용단계는,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적용단계는,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 G감마의 증감값 및 B감마의 증감값을 시스템에서 보드로 전달하는 전달단계와, 보드에 존재하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 G감마의 증감값 및 B감마의 증감값을 보정된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으로 생성하고 이를 표시모듈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단계에서,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된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하면 보정단계를 종료할 수 있다.
표시모듈은,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모듈 및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마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 절약, 설치 비용에서의 우위, 허용오차 감소에 따른 정확도 향상, 감마 한계값으로의 도달 회피를 통한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
도 3은 액정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
도 4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장치 구성 예시도.
도 5는 감마 설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마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고, 도 2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 이며, 도 3은 액정표시패널의 서브 픽셀 회로 구성 예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는 타이밍구동부(TCN), 게이트구동부(SDRV), 데이터구동부(DDRV) 및 패널(PNL)이 포함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외부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데이터신호(D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구동부(DDRV)와 게이트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1 수평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여 프레임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구동부(TCN)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들에는 게이트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D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게이트신호가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에 공급된다.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신호로써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의 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이 포함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구동부(DDRV)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되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전송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게이트구동부(S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의 트랜지스터들이 동작 가능한 게이트 구동전압의 스윙폭으로 신호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게이트구동부(SDRV)에는 게이트라인들(SL1~SLm)을 통해 생성된 게이트신호를 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SDRV)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GIP) 방식으로 패널(PNL)에 직접 형성되거나 패널(PNL)의 외부에 형성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할 때,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신호(ADATA)를 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
패널(PNL)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적색, 녹색 및 청색(이하 RGB로 약기함)의 서브 픽셀(SP)을 포함한다. 패널(PNL)은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 또는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PNL)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서브 픽셀은 다음의 도 2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라인(SL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라인(DL1)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노드(n1)에 타단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1노드(n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고 전위의 구동 전원(Vdd)이 공급되는 제1전원 배선(VDD)에 연결된 제2노드(n2)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3노드(n3)에 타단이 연결된다. 스토리지커패시터(Cst)는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노드(n2)에 타단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타단에 연결된 제3노드(n3)에 애노드가 연결되고 저 전위의 구동 전원(Vss)이 공급되는 제2전원 배선(VSS)에 캐소드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서브 픽셀(SP)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은 게이트라인(SL1)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와, 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 서브 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이 발광을 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패널(PNL)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서브 픽셀(SP)은 다음의 도 3과 같은 회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신호가 공급되는 게이트라인(SL1)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라인(DL1)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노드(n1)에 타단이 연결된다. 액정셀(Clc)의 일측에 위치하는 화소전극(1)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FT)의 타단에 연결된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며 액정셀(Clc)의 타측에 위치하는 공통전극(2)은 공통전압배선(Vcom)에 연결된다. 스토리지커패시터(Cst)는 제1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되며 공통전압배선(Vcom)에 타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서브 픽셀(SP)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패널은 게이트라인(SL1)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신호와 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 서브 픽셀에 포함된 액정층의 변화에 따른 광의 투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도 2 및 도 3은 서브 픽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상의 회로 구성을 도시 및 설명한 것일 뿐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 또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원하는 휘도와 색좌표를 표현하기 위해 감마값을 설정(색보정)을 하고 설정된 감마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면, 구동을 할 때마다 메모리에 저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이하,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장치 구성 예시도이고, 도 5는 감마 설정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마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장치에는 센싱부(120), 광학측정부(130), 프로세서부(140) 및 보드부(150)가 포함된다.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장치는 센싱부(120)를 이용하여 표시모듈(110)에 표시된 광학특성(색좌표 등)을 센싱한다. 센싱부(120)에 의해 센싱된 광학특성은 광학측정부(130)에 의해 디지털신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로세서부(140)에 전달된다.
프로세서부(140)는 광학측정부(13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널(110)에 대한 센싱된 색좌표를 마련하고 센싱된 색좌표와 목표 색좌표를 비교하여 표시모듈(110)에 적합한 감마값을 설정하고 이를 보드부(150)를 통해 표시모듈(110)에 포함된 데이터구동부의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부(140)는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결과물을 확인 및 보정하고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구동부의 메모리부는 데이터구동부에 포함된 내부 메모리나 외부 메모리가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모듈(110)은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패널(PNL), 데이터구동부(DDRV) 및 게이트구동부(SDRV) 등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이나 액정표시패널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표시모듈(110)은 패턴 생성기 등에 의해 구동되어 RGB 서브 픽셀이 특정 영역에 걸쳐 표시되거나 패널(PNL) 전반에 걸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마 설정 방법은 위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표시모듈(110)에 적합한 감마값을 찾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마 설정 방법은 통상 휘도 설정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S10), 색좌표 설정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S30) 및 휘도&색좌표가 허용오차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로 진행된다.
표시모듈(110)에 대해 목표 광학특성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휘도를 설정한 후 색좌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휘도와 색좌표가 허용오차를 만족(YES)하면 감마 설정은 종료되고 이때 설정된 값은 보드부(150)를 통해 데이터구동부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반면, 휘도와 색좌표가 허용오차를 불만족(NO)하면 감마 설정은 휘도 설정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S10)부터 다시 진행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센싱단계(S101),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 판단단계(S105), 1차 보정단계(S107), 2차 보정단계(S109) 및 적용단계(S111, S113)와 같은 순으로 진행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센싱단계(S101)는 표시모듈(110)로부터 광학특성을 센싱하는 단계이다. 센싱단계(S101)에서는 표시모듈(110)에 표시된 광학특성을 센싱부(120)로 센싱함으로써 수행된다. 센싱부(120)에 의해 센싱된 표시모듈(110)의 광학특성은 광학측정부(130)에 의해 디지털신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로세서부(140)에 전달된다.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는 센싱단계(S101)에 의해 마련된 센싱된 색좌표와 목표 색좌표를 비교하고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에서는 센싱된 색좌표와 목표 색좌표를 비교함으로써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결정된다.
판단단계(S105)는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에 의해 결정된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허용오차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단계(S105)에서,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에 의해 결정된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허용오차를 만족(YES)하면 이후의 보정단계를 미수행하고 종료된다.
판단단계(S105)를 도시하는 도면에서는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 0으로 허용오차가 0인 것을 단편적인 예로 하였으나 허용오차는 0이 아닌 소수점을 포함하는 1 이하의 값인 α로 설정되며 이는 제품의 요구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허용오차가 0인 것을 예로 계속 설명한다.
1차 보정단계(S107)는 판단단계(S105)를 통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허용오차를 불만족(NO)하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에 대한 보정을 하는 단계이다. 1차 보정단계(S107)에서는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양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BG)을 낮추는 반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음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BG)을 높인다.
1차 보정단계(S107)에서는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양수이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을 낮추는 방법으로 B감마의 증감값(BG)을 낮추고,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이 음수이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을 높이는 방법으로 B감마의 증감값(BG)을 높인다.
한편, 앞서 설명된 1차 보정단계(S107)에 따른 보정방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는 하기 수식 1과 같고, 결국 이를 프로세싱하는 알고리즘은 하기 수식 1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수식 1]
If (RG & GG 양수) then {BG = - |Min (RG, GG)| and RG = 0, GG = 0},
If (RG & GG 음수) then {BG = |Min (RG, GG)| and RG = 0, GG = 0}
위의 수학식 1에서 RG 는 R감마의 증감값(RG)이고, GG 는 G감마의 증감값(GG)이고, |Min (RG, GG)|은 R감마의 증감값(RG)와 G감마의 증감값(GG) 중 작은값에 대한 절대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R감마의 증감값(RG)을 높이면 X 색좌표가 상승하고, R감마의 증감값(RG)을 낮추면 X 색좌표가 하강하고, G감마의 증감값(GG)을 높이면 Y 색좌표가 상승하고, G감마의 증감값(GG)을 낮추면 Y 색좌표가 하강하고, B감마의 증감값(BG)을 높이면 XY 색좌표가 하강하고 B감마의 증감값(BG)을 낮추면 XY 색좌표가 상승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2차 보정단계(S109)는 1차 보정단계(S107)를 통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MAX)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BG)을 낮추고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MIN)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BG)을 높인다. 또한, B감마의 증감값(BG)에 의해 감마 최대값(MAX)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을 낮추고 B감마의 증감값(BG)에 의해 감마 최소값(MIN)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을 높이는 형태로 추가 보정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2차 보정단계(S109)에 의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MAX)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한 감마 최대값(MAX)은 유지되고,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MIN)에 이르면 R감마의 증감값(RG)와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한 감마 최소값(MIN)은 유지된다. 그리고 B감마의 증감값(BG)에 의해 감마 최대값(MAX)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BG)에 의한 감마 최대값(MAX)은 유지되고, B감마의 증감값(BG)에 의해 감마 최소값(MIN)에 이르면 B감마의 증감값(BG)에 의한 감마 최소값(MIN)은 유지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2차 보정단계(S109)에 따른 보정방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는 하기 수식 2와 같고, 결국 이를 프로세싱하는 알고리즘은 하기 수식 2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수식 2]
If (RG or GG = MAX) then {BG 감소, RG or GG = MAX 유지},
If (RG or GG = MIN) then {BG 증가, RG or GG = MIN 유지},
If (BG = MAX) then {RG and GG 감소, BG = MAX 유지},
If (BG = MIN) then {RG and GG 증가, BG = MIN 유지}
위의 수학식 2에서 RG 는 R감마의 증감값(RG)이고, GG 는 G감마의 증감값(GG)이고, BG 는 B감마의 증감값(BG)이고, Min은 감마 최소값(MIN)이고, MAX는 감마 최대값(MAX)이다.
수학식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MIN)이나 감마 최대값(MAX)에 이르면 해당 값은 유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값을 낮추거나 높이는 방법을 이용한다.
2차 보정단계(S109)는 1차 보정단계(S107)를 통해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RG)과 G감마의 증감값(GG)에 의한 감마가 한계 값에 도달할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므로 이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적용단계(S111, S113)는 2차 보정단계(S109)에 의해 보정된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을 표시모듈(110)에 적용하는 단계이다.
적용단계(S111, S113)에는 2차 보정단계(S109)에 의해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RG), G감마의 증감값(GG) 및 B감마의 증감값(BG)을 시스템에서 보드로 전달하는 전달단계(S111)와, 보드에 존재하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 G감마의 증감값 및 B감마의 증감값을 보정된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으로 생성하고 이를 표시모듈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13)가 포함된다.
전달단계(S111)는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RG), G감마의 증감값(GG) 및 B감마의 증감값(BG)을 시스템이 되는 프로세서부(140)에서 보드가 되는 보드부(150)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그러면, 보드부(150)에 존재하는 펌웨어는 프로세서부(140)로부터 전달된 R감마의 증감값(RG), G감마의 증감값(GG) 및 B감마의 증감값(BG)을 각각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에 적용하여 보정된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을 생성한다.
저장단계(S113)는 보드가 되는 보드부(150)를 이용하여 보정된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을 시료가 되는 표시모듈(110)에 포함된 데이터구동부(DDRV)의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보정된 감마값을 적용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센싱단계(S101),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 판단단계(S105), 1차 보정단계(S107), 2차 보정단계(S109) 및 적용단계(S111, S113)와 같은 순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순으로의 진행은 R감마의 증감값(RG)와 G감마의 증감값(GG)이 허용오차를 만족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S103), 판단단계(S105), 1차 보정단계(S107) 및 2차 보정단계(S109)는 시스템이 되는 프로세서부(140)의 OS상에서 실질적인 알고리즘(Algorithm)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R감마의 증감값(RG)와 G감마의 증감값(GG)에 대한 증감값 결정 후 B감마의 증감값(BG)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기 표1은 종래 방법에 의한 감마 설정 방법과 본 발명 적용에 의한 감마 설정 방법으로 목표 광학특성 조절 소요시간 및 한계 값 도달(불량 패널 판정)에 대한 실험을 패널별로 실시한 결과 표이다.
  종래 방법 본 발명 적용
패널 # 목표 광학특성 조절 소요시간(sec) 한계 값 도달
(불량 패널 판정)
목표 광학특성
조절 소요시간
한계 값 도달
(불량 패널 판정)
1 120 양호 108 양호
2 122 양호 107 양호
3 121 양호 110 양호
4 118 양호 100 양호
5 118 양호 101 양호
6 130 불량 101 양호
7 117 양호 108 양호
8 116 양호 100 양호
9 114 양호 99 양호
10 125 불량 111 양호
11 114 양호 105 양호
12 128 양호 105 양호
13 119 양호 107 양호
14 131 양호 100 양호
15 124 양호 109 양호
16 124 양호 100 양호
17 129 양호 110 양호
18 118 양호 105 양호
19 122 양호 101 양호
20 118 불량 106 양호
21 122 양호 100 양호
22 131 양호 100 양호
23 118 양호 98 양호
24 117 양호 106 양호
25 126 불량 110 불량
26 129 양호 107 양호
27 129 양호 107 양호
28 117 양호 103 양호
29 121 양호 102 양호
30 130 양호 100 양호
평균 122 4 104 1
표 1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적용된 방법은 종래 방법 대비 평균 소요시간이 104초로 우위에 서고 한계 값 도달에 따른 불량 패널 판정률이 1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감마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 수량, 작업자 그리고 작업공간 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추가 장치 구성이나 알고리즘 설정이 불요하므로 설치 비용에서의 우위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한 목표값에 근접시킬 수 있어 허용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종래 방법에 비하여 고품질의 제품 제공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감마 설정시 감마 한계값으로의 도달을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감마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 절약, 설치 비용에서의 우위, 허용오차 감소에 따른 정확도 향상, 감마 한계값으로의 도달 회피를 통한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CN: 타이밍구동부 SDRV: 게이트구동부
DDRV: 데이터구동부 PNL: 패널
120: 센싱부 130: 광학측정부
140: 프로세서부 150: 보드부
S101: 센싱단계 S103: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
S105: 판단단계 S107: 1차 보정단계
S109: 2차 보정단계 S111, S113: 적용단계

Claims (9)

  1. 표시모듈로부터 광학특성을 센싱하는 센싱단계;
    상기 센싱단계에 의해 마련된 센싱된 색좌표와 목표 색좌표를 비교하고 RGB감마에 대한 R감마의 증감값과 G감마의 증감값을 결정하는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
    상기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된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를 통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불만족하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에 대한 보정을 하되,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양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는 반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음수이면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1차 보정단계;
    상기 1차 보정단계를 통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상기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상기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며, 상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상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2차 보정단계; 및
    상기 2차 보정단계에 의해 보정된 RGB감마를 상기 표시모듈에 적용하는 적용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보정단계에서,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양수이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을 낮추는 방법으로 상기 B감마의 증감값을 낮추고,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음수이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방법으로 상기 B감마의 증감값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보정단계는,
    If (RG & GG 양수) then {BG = - |Min (RG, GG)| and RG = 0, GG = 0},
    If (RG & GG 음수) then {BG = |Min (RG, GG)| and RG = 0, GG = 0}
    의 수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되,
    상기 RG 는 상기 R감마의 증감값이고, GG 는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고, 상기 |Min (RG, GG)|은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작은값에 대한 절대값을 반환하는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보정단계에서,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한 감마 최대값은 유지되고,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 중 하나에 의한 감마 최소값은 유지되고,
    상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대값에 이르면 상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한 감마 최대값은 유지되고,
    상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해 감마 최소값에 이르면 상기 B감마의 증감값에 의한 감마 최소값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보정단계는,
    If (RG or GG = MAX) then {BG 감소, RG or GG = MAX 유지},
    If (RG or GG = MIN) then {BG 증가, RG or GG = MIN 유지},
    If (BG = MAX) then {RG and GG 감소, BG = MAX 유지},
    If (BG = MIN) then {RG and GG 증가, BG = MIN 유지}
    의 수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되,
    상기 RG 는 상기 R감마의 증감값이고, GG 는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고, 상기 Min은 감마 최소값이고, 상기 MAX는 감마 최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 상기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 상기 판단단계, 상기 1차 보정단계, 상기 2차 보정단계 및 상기 적용단계는,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단계는,
    상기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 G감마의 증감값 및 B감마의 증감값을 시스템에서 보드로 전달하는 전달단계와,
    상기 보드에 존재하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R감마의 증감값, G감마의 증감값 및 B감마의 증감값을 보정된 R감마값, G감마값 및 B감마값으로 생성하고 이를 상기 표시모듈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RG감마의 증감값 결정단계에 의해 결정된 상기 R감마의 증감값과 상기 G감마의 증감값이 허용오차를 만족하면 보정단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모듈 및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KR1020100135804A 2010-12-27 2010-12-27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KR10133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804A KR101332514B1 (ko) 2010-12-27 2010-12-27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DE102011055172A DE102011055172A1 (de) 2010-12-27 2011-11-09 Verfahren zum Setzen eines Gammawerts einer Displayvorrichtung
CN2011103969121A CN102568366A (zh) 2010-12-27 2011-12-02 设置显示器的伽马的方法
US13/333,519 US20120162168A1 (en) 2010-12-27 2011-12-21 Method of setting gamma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804A KR101332514B1 (ko) 2010-12-27 2010-12-27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83A KR20120073883A (ko) 2012-07-05
KR101332514B1 true KR101332514B1 (ko) 2013-11-22

Family

ID=4631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804A KR101332514B1 (ko) 2010-12-27 2010-12-27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62168A1 (ko)
KR (1) KR101332514B1 (ko)
CN (1) CN102568366A (ko)
DE (1) DE102011055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70B1 (ko) 2014-01-03 2021-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영상 보정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2280922B1 (ko) * 2014-11-11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1490B1 (ko) * 2016-08-30 2023-09-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DE102018114175A1 (de) * 2018-06-13 2019-12-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Anordnung für ein Display und Verfahren
CN112992036B (zh) * 2021-02-26 2022-05-31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装置及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872A (ko) * 2008-04-16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감마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59551A1 (en) 2009-04-08 2010-10-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White balance corr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6177A (en) * 1972-06-19 1974-01-15 Rca Corp Apparatus for automatic color balancing of television camera signals
CN101471045B (zh) * 2007-12-27 2010-10-20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用以通过伽马曲线及色温曲线来调整伽马对照表的方法
JP2009177569A (ja)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Corp 液晶型映像表示装置とその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JP2009225440A (ja) * 2008-02-21 2009-10-01 Panasonic Corp 液晶型映像表示装置とその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US7760562B2 (en) 2008-03-13 2010-07-20 Qualcomm Incorporated Address multiplexing in pseudo-dual port memory
JP5177751B2 (ja) * 2008-09-29 2013-04-1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872A (ko) * 2008-04-16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감마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59551A1 (en) 2009-04-08 2010-10-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White balance corr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83A (ko) 2012-07-05
US20120162168A1 (en) 2012-06-28
CN102568366A (zh) 2012-07-11
DE102011055172A1 (de)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1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FT compensation circuit
EP3040978B1 (en) Display device
KR102570980B1 (ko)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0992B1 (ko) 보상마진 제어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275609B2 (en) Display device with programmable gamma unit
CN103187021A (zh) 发光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482210B1 (ko)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78634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32514B1 (ko) 표시장치의 감마 설정 방법
TW201330245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TW201814366A (zh) 資料輸出裝置
US11270652B2 (en) Display device, data driving circuit, and data driving method having offset data voltage
KR10176579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3040973A1 (en) Display device
KR20120040858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9288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11862897B (zh) 用于源极驱动装置的驱动方法及其显示系统
KR20080105672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EP3038093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00372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18150B1 (ko) 표시장치와 이의 광학 보상방법
KR20180013152A (ko) 표시장치
KR101773194B1 (ko) 표시장치
KR10212253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65091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