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404B1 -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404B1
KR101332404B1 KR1020130052199A KR20130052199A KR101332404B1 KR 101332404 B1 KR101332404 B1 KR 101332404B1 KR 1020130052199 A KR1020130052199 A KR 1020130052199A KR 20130052199 A KR20130052199 A KR 20130052199A KR 101332404 B1 KR101332404 B1 KR 101332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oil paint
filter
dust collecting
supply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영
Priority to KR102013005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Abstract

본 발명은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필터디스크의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하우징, 집진필터디스크를 압착하여 흡수된 점액 상의 분진을 압착 배출시키는 압착유닛 및 분진배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필터디스크를 가지는 집진하우징과 압착유닛을 통하여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진배출유닛을 통하여 집진처리된 분진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집진장치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는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 및 상기 압착유닛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Collecting apparatus of oil-paint dust}
본 발명은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필터디스크의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하우징, 집진필터디스크를 압착하여 흡수된 점액 상의 분진을 압착 배출시키는 압착유닛 및 분진배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필터디스크를 가지는 집진하우징과 압착유닛을 통하여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진배출유닛을 통하여 집진처리된 분진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집진장치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성도료라 함은 시너(thinner)와 배합된 페인트에 의하여 도막이 형성되는 도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 열변형이 쉬운 목재, 플라스틱, 제지, PVC 등의 도장(塗裝)작업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유성도료를 적용한 제품의 도장작업시 발생 되는 도료분진가스는 대기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작업자의 신체건강에도 매우 유해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인바, 따라서 통상의 유성도료의 도장시설에는 유성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설비를 필수 구성요소로 갖추게 된다.
이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종래 유성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도료 도장 설비로부터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가 공급되는 덕트(10)와, 상기 덕트를 통해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를 강제적으로 유입되게 하는 송풍기(20)와, 상기 송풍기(20)에 의해 강제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에 원심력을 부여하여 입자상 물질을 제거토록 하는 원심력 집진기(30) 및 상기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미세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를 2차적으로 흡착처리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게 하는 활성탄흡착기(4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는 그 물질 특성상 덕트를 통한 이동과정에 있어, 상호 응집에 의해 점액질 상태로 변하게 되는 것인바, 따라서 이와 같이 점액질로 변한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는 종래 유성도료 분진 집진장치에 있어, 활성탄흡착기에 들러붙어 압력손실을 증가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점액질의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가 활성탄의 공극을 막아 흡착작용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이에 일련의 집진처리 과정에 있어, 활성탄 흡착기를 제거한 후, 상기 집진장치를 가동해야만 하는 등, 상당한 사용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유성도료 분진 집진장치는 필요에 따라 활성탄흡착기를 세정집진기로 대체 구성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나, 이와 같은 세정집진기는 용해(溶解)가 가능한 분진가스 처리 등에 적합한 구성일뿐, 세정수에 용해되지 않는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에 대해서는 어떠한 흡착 내지 정화작용도 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유성도료 도장시설에서 발생되는 유성도료 분진 및 가스를 그대로 대기중에 방출되게 하여, 소중한 환경을 오염되게 하는 등, 심각한 처리 효율상의 문제점이 상존 되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성도료 분진 집진장치는 원심력 집진기와 활성탄 흡착기의 복수의 기기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에 대한 비용이 부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덕트를 통한 유입과정에서 점액 상으로 변한 점액 상의 분진에 대한 집진처리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어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점액 상의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집진설비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필터디스크의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하우징 및 집진필터디스크를 압착하여 흡수된 점액 상의 분진을 압착 배출시키는 압착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필터디스크를 가지는 집진하우징과 압착유닛을 통하여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분진배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분진배출유닛을 통하여 집진처리된 분진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집진장치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는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 및 상기 압착유닛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집진하우징은 일정체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분할격벽은 평면에서 봤을 때 "V"자 형상으로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분할 형성되도록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본체는 스펀지 타입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필터층과 상기 필터층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층의 상, 하부에 각각 밀착되는 부직포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필터본체는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되 스펀지 공극이 큰 저밀도필터층과, 상기 저밀도필터층의 상부에 밀착되는 스펀지 공극이 상기 저밀도필터층보다 작은 중밀도필터층 및 상기 중밀도필터층의 상부에 밀착되는 스펀지 공극이 상기 중밀도필터층보다 작은 고밀도필터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집진필터디스크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 고정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 축의 하단은 축고정구에 의해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측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유닛은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되는 정역모터와, 상기 정역모터의 모터 축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가압판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본체 측으로 압착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착유닛은 승강로드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압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가압구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본체 측으로 압착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하우징은 상기 분할격벽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 하부에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의 저면 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의 저면 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노즐로 구성됨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의 상기 필터본체에 대한 압착시,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의 상기 필터케이스 외측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 외측 저면을 상기 집진필터디스크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토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가압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부재는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분할격벽에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집진필터디스크의 상기 필터케이스 외측 하부에 설치고정되는 지지가이드와, 상기 지지가이드의 상면에 하측 일부가 안착 고정되는 가이드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집진하우징은 일정높이를 가지는 받침다리를 가지는 받침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진배출유닛은 상기 집진하우징의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 분할된 내부공간 하부에 연통 설치되는 가이드 호퍼와, 상기 가이드 호퍼의 개구된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맞물려 연동되는 연동롤러와,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와 연동롤러에 의해 하향 안내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의 모터 축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집진함은 내면 상측에 롤러 표면처리구가 한 쌍으로 대향 설치되어 상기 롤러 표면처리구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와 연동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하향 안내하며,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하향 안내된 분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진배출유닛은 상기 집진함 하부에 연결되는 수집구와, 상기 수집구 하부에 연결되어 분진을 수집하는 수집함과, 상기 수집함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수집함 내에 수집된 분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배출함은 상기 수집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배출손잡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필터디스크의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하우징 및 집진필터디스크를 압착하여 흡수된 점액 상의 분진을 압착 배출시키는 압착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필터본체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집진필터디스크를 가지는 집진하우징과 압착유닛을 통하여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분진배출유닛이 구비됨으로써 분진배출유닛을 통하여 집진처리된 분진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집진장치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횡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의 종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서 요부인 집진필터디스크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집진필터디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횡단면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의 종단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서 요부인 집진필터디스크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집진필터디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구성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는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는 집진장치이다.
이러한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집진하우징(100), 집진필터디스크(110), 구동수단(120), 분할격벽(130), 압착유닛(140) 및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집진하우징(100)은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집진하우징(100)은 특히, 일정체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이때 상기 분할격벽(130)은 평면에서 봤을 때 "V"자 형상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분할 형성되도록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집진하우징(100)은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 하부에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저면 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50)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분사노즐(150)은 상기 분할격벽(130) 하부 일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사노즐(150)은 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151)와, 상기 본체(151)로부터 돌출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저면 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노즐(152)로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는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본체(11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펀지 타입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필터층(112a)과 상기 필터층(112a)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층(112a)의 상, 하부에 각각 밀착되는 부직포층(112b)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필터본체(11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되 스펀지 공극이 큰 저밀도필터층(112c)과, 상기 저밀도필터층(112c)의 상부에 밀착되는 스펀지 공극이 상기 저밀도필터층(112c)보다 작은 중밀도필터층(112d) 및 상기 중밀도필터층(112d)의 상부에 밀착되는 스펀지 공극이 상기 중밀도필터층(112d)보다 작은 고밀도필터층(112e)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필터본체(111)가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상기 저밀도필터층(112c), 중밀도필터층(112d) 및 고밀도필터층(112e)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로 적용됨에 따라 유성도료 분진가스에 내포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분진에 대하여 분진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20)은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1)와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 고정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축(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 축(123)의 하단은 축고정구(125)에 의해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할격벽(130)은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유닛(140)은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유닛(140)은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되는 정역모터(141)와, 상기 정역모터(141)의 모터 축(142)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정역모터(1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43)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43)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압판(145)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판(14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본체(111) 측으로 압착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60)가 더 구비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압착유닛(14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로드(142')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41') 및 상기 승강로드(142')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압구(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가압구(14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본체(111) 측으로 압착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6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압착유닛(140)에 의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본체(111)에 대한 압착시,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저면을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토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가압지지부재(10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지지부재(101)는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분할격벽(130)에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하부에 설치고정되는 지지가이드(102)와, 상기 지지가이드(102)의 상면에 하측 일부가 안착 고정되는 가이드볼(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가이드(102)는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미부호) 상에 안착 고정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지지가이드(102) 자체가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지지부재(101)는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분할격벽(130)에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하부에 설치고정되는 지지프레임(미도시)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서 상기 집진하우징(100)은 일정높이를 가지는 받침다리(171)를 가지는 받침대(17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진배출유닛(200)은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내부공간 하부에 연통 설치되는 가이드 호퍼(210)와, 상기 가이드 호퍼(210)의 개구된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 구동되는 구동롤러(211)와, 상기 구동롤러(211)와 맞물려 연동되는 연동롤러(215)와,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211)와 연동롤러(215)에 의해 하향 안내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함(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211)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13)의 모터 축(212)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집진함(220)은 내면 상측에 롤러 표면처리구(221)가 한 쌍으로 대향 설치되어 상기 롤러 표면처리구(221)에 의해 상기 구동롤러(211)와 연동롤러(215)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하향 안내하며, 일측에 배출구(223)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223)를 통하여 하향 안내된 분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킴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분진배출유닛(200)은 상기 집진함(220) 하부에 연결되는 수집구(250)와, 상기 수집구(250) 하부에 연결되어 분진을 수집하는 수집함(260)과, 상기 수집함(260)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수집함(260) 내에 수집된 분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함(26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출함(261)은 상기 수집함(26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수집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배출손잡이(262)가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서, 특히 상기 압착유닛(14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본체(111)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상면 전체에 걸쳐 다수의 횟수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압착유닛(140)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는 상기 압착유닛(140)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수단(120)의 구동모터(121)를 함께 제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정지되어 상기 압착유닛(140)을 가동시켜 상기 필터본체(111)의 일정면적을 1차적으로 압착시키며, 이후 상기 구동모터(121)의 구동이 상기 필터본체(111)의 나머지 면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압착되도록 일정각도씩 회전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필터본체(111)의 상면 전체에 걸쳐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필터본체(111)의 상면 전체에 걸쳐 압착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구동모터(121)가 다시 일정속도로 구동되도록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컨트롤박스(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필터본체(111)의 압착에 의해 하향 안내되는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분진은 상술한 분진배출유닛(200)을 통하여 배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의하면,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본체(111)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하우징(100) 및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를 압착하여 흡수된 점액 상의 분진을 압착 배출시키는 상기 압착유닛(1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필터본체(111)가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를 가지는 상기 집진하우징(100)과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분진에 대한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진배출유닛(2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분진배출유닛(200)을 통하여 집진처리된 분진의 배출이 용이함과 동시에 집진장치에 대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집진하우징 101: 가압지지부재
102: 지지가이드 103: 가이드볼
110: 집진필터디스크 111: 필터본체
112a: 필터층 112b: 부직포층
112c: 저밀도필터층 112d: 중밀도필터층
112e: 고밀도필터층 113: 메쉬망
115: 필터케이스 120: 구동수단
121: 구동모터 123: 구동모터축
125: 축고정구 130: 분할격벽
140: 압착유닛 141: 정역모터
141': 승강실린더 142: 모터 축
142': 승강로드 143: 승강부재
145: 가압판 145': 가압구
150: 분사노즐 151: 본체
152: 노즐 160: 진동기
170: 받침대 171: 받침다리
200: 분진배출유닛 210: 가이드 호퍼
211: 구동롤러 212: 모터축
213: 모터 215: 연동롤러
220: 집진함 221: 롤러 표면처리구
223: 배출구 250: 수집구
260: 수집함 261: 배출함
262: 배출손잡이 300: 공급팬
310: 공급덕트 400: 배출팬
410: 배출덕트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고,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10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110);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130);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140); 및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111)는 스펀지 타입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필터층(112a)과 상기 필터층(112a)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층(112a)의 상, 하부에 각각 밀착되는 부직포층(112b)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4.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고,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10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110);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130);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140); 및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111)는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되 스펀지 공극이 큰 저밀도필터층(112c)과, 상기 저밀도필터층(112c)의 상부에 밀착되는 스펀지 공극이 상기 저밀도필터층(112c)보다 작은 중밀도필터층(112d) 및 상기 중밀도필터층(112d)의 상부에 밀착되는 스펀지 공극이 상기 중밀도필터층(112d)보다 작은 고밀도필터층(112e)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5. 삭제
  6. 삭제
  7.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고,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10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110);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130);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140); 및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유닛(140)은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되는 정역모터(141)와,
    상기 정역모터(141)의 모터 축(142)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정역모터(1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143)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43)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압판(145)을 포함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4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본체(111) 측으로 압착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8. 삭제
  9.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고,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10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110);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130);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140); 및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유닛(140)은 승강로드(142')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41') 및
    상기 승강로드(142')의 하단에 연결되는 가압구(145')를 포함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145')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필터본체(111) 측으로 압착시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16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10.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고,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10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110);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130);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140); 및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하우징(100)은 상기 분할격벽(130)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 하부에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저면 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50)은 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151)와, 상기 본체(151)로부터 돌출되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저면 측으로 공기를 분사시키는 노즐(1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11.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가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되는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에 대하여 분진을 필터링하여 배출시키고,
    유성도료의 도장설비로부터 상기 공급팬(300)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다량의 점액 상 분진을 내포하는 분진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급덕트(310)가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유성도료 분진가스를 필터링 처리한 후 배출팬(400)의 작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덕트(410)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집진하우징(10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덕트(310)를 거쳐 유입된 점액 상 성분을 다량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가스로부터 분진을 필터링하도록, 중앙이 관통된 도넛 형상으로 상, 하부가 개방형성되되 개방된 하부는 메쉬망(113)으로 밀폐되는 필터케이스(115)와,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상부로부터 안착 고정되되 스펀지 타입으로 구비되는 필터본체(111)로 이루어지는 집진필터디스크(110);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일측 일정영역에 대하여 분할시키는 분할격벽(130);
    상기 분할격벽(130)에 의해 분할된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에 필터링된 다량의 점액 상을 내포하는 유성도료 분진을 압착하여 하향 안내시키는 압착유닛(140); 및
    상기 압착유닛(140)을 통하여 하향 안내되는 유성도료 분진을 집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유닛(200)을 포함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140)에 의해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본체(111)에 대한 압착시,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저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저면을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토록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가압지지부재(10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지지부재(101)는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집진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상기 분할격벽(130)에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집진필터디스크(110)의 상기 필터케이스(115) 외측 하부에 설치고정되는 지지가이드(102)와,
    상기 지지가이드(102)의 상면에 하측 일부가 안착 고정되는 가이드볼(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052199A 2013-05-09 2013-05-09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KR101332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99A KR101332404B1 (ko) 2013-05-09 2013-05-09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99A KR101332404B1 (ko) 2013-05-09 2013-05-09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404B1 true KR101332404B1 (ko) 2014-01-10

Family

ID=5014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199A KR101332404B1 (ko) 2013-05-09 2013-05-09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74B1 (ko) * 2015-03-02 2015-06-04 (주)아사히코리아 도료의 분진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791B1 (ko) * 2012-06-28 2012-09-04 고상옥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KR101179853B1 (ko) * 2012-07-04 2012-09-05 고상옥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791B1 (ko) * 2012-06-28 2012-09-04 고상옥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KR101179853B1 (ko) * 2012-07-04 2012-09-05 고상옥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74B1 (ko) * 2015-03-02 2015-06-04 (주)아사히코리아 도료의 분진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853B1 (ko)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KR101179791B1 (ko)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CN108554567B (zh) 一种生活垃圾粉碎设备
CN218249357U (zh) 一种便携式降尘装置
CN201394780Y (zh) 打磨加工的吸尘装置
KR101332404B1 (ko) 유성도료 분진의 집진장치
CN114558875B (zh) 一种建筑节能环保用废料无尘回收装置
KR100923280B1 (ko) 흡착성 연기 및 냄새 제거 집진기
KR102051460B1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CN109603382A (zh) 一种气液分离装置
CN110548755B (zh) 一种垃圾物的处理方法
CN219664721U (zh) 污染场地土壤的修复装置
CN109158307B (zh) 一种选矿振动筛筛网用清堵装置
CN107726463A (zh) 一种可智能调节滤网孔径的空气过滤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350829B1 (ko) Uv도료분진의 집진장치
CN214862243U (zh) 一种自动化工程生产车间的环保除尘设备
CN114887714A (zh) 一种用于屋面防水保护高性能复合材料的制备设备
KR20170087771A (ko) 도료 분진 집진장치
EP0884967B1 (de) Verfahren und maschine zum behandeln ebener flächen
CN207838607U (zh) 可回收利用资源的工业废气处理设备
CN108814451B (zh) 一种室内地面除污方法
CN108325950B (zh) 一种固态二氧化碳清洗机
CN217910900U (zh) 一种生活垃圾处理用磁选装置
CN215842219U (zh) 一种用于降尘的干湿分离装置
CN113876234B (zh) 一种复合地板加工用碎屑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