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244B1 - 지하배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배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244B1
KR101331244B1 KR1020110130996A KR20110130996A KR101331244B1 KR 101331244 B1 KR101331244 B1 KR 101331244B1 KR 1020110130996 A KR1020110130996 A KR 1020110130996A KR 20110130996 A KR20110130996 A KR 20110130996A KR 101331244 B1 KR101331244 B1 KR 10133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pipe
drain
drain contain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405A (ko
Inventor
홍종인
김준섭
이성제
장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시그마기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시그마기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3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읜 지하수 배수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지하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과 연결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건축물의 벽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관과, 제1연장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을 경우, 지하수가 월류될 수 있도록 설계안정수위에 대응되는 높이에 제1토출구가 형성된 제1연직관과, 제1연직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제1연직관을 통해 배출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월류수 유도홀이 마련된 배수용기를 구비한다.
만일, 배수용기에 월류수 유도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연직관를 통해 배출된 지하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지하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고, 지하수가 설계안정 수위를 넘을 경우, 건축물의 바닥과 지하외벽의 지하수 수두 차이에 의한 양압력에 의해 건축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는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지하수는 집수정으로 배수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설계안정수위로 유지시키므로 지하수의 부력에 의해 건출물의 손상과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하배수 조절장치{Dewatering contro system for under 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배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수의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축조되는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 지반의 지하수 수위를 조절하는 지하배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최종 바닥이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될 경우, 건축물에 의해 배제된 공간 즉, 건축구조물의 바닥과 건축구조물의 지하외벽의 지하수 수두 차이에 의해 양압력(부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양압력은 건축물의 자중에 대한 반 반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건축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지하수의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건축물의 신축 시에는 최근 법적으로 지하주차장이 의무화되었고, 입주자의 차량증가 추세 및 입주자의 녹지공간 확보에 대한 욕구 등으로 인해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더욱 낮은 지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지고 있다.
배수공법의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17530호에는 지하구조물의 양압력 해소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195274호에는 지하 건축물 부력 방지용 연직 배수관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부력방지용 연직 배수관은 기초 슬래브 바닥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필터관이 연결되며 유입관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의 상단부에는 평상시의 지하수위 높이에 맞추어 연결된 상부배관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인은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력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적 자연 배수를 갖는 배수구조물 및 공법(등록 특허 제 0461920호)과, 지하배수구조물(실용신안등록 제 0271757호),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배수 조절 장치(등록특허 제 0601227호) 등을 개발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인은 적정 수위 이상의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모듈형 중간 집수박스(실용신안 등록 제 283008호)를 개발하여 등록 받았다.
본 발명은 설계안정수위 이하로 건축물 또는 구조물 주위의 지하수 수위를 유지함으로써, 지하수의 부력에 의해 건축물의 손상과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하수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는 건축물의 지하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과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관과, 상기 제1연장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 상기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지하수가 월류(overflow)될 수 있도록 상기 설계안정수위에 대응되는 높이에 제1토출구가 형성된 제1연직관과, 상기 제1연직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연직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월류수 유도홀이 마련된 배수용기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는 상기 배수용기 내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용기의 월류수 유도홀 및 상기 집수정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된 제1월류수 유도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배수 조절 장치는 상기 기초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며, 상기 배수용기 내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은 상기 배수용기의 하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수정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월류수 유도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배수용기는 내부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가 용이하게 상기 제2월류수 유도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월류수 유도홀은 상기 배수용기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용기 내부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가 상기 월류수 유도홀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월류수 유도홀에 인접된 일측보다 타측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는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지하수는 집수정으로 배수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설계안정수위로 유지시키므로 지하수의 부력에 의해 건출물의 손상과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하수 배수 장치의 메인토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지하수 배수 장치의 메인토출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의 메인토출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의 메인토출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의 메인토출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의 메인토출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1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하수 배수 장치(110)는 건축 구조물의 지하지반에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의 하부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23) 또는 배수판(21)과 같은 배수부(22)와 통수관(30)에 의해 연결된 배수관(20)과, 상기 배수관(20)에 연결되며, 상단부가 설계안정수위의 높이로 유지되어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메인토출부(40)와, 통수관(30)에 연통되며 상단부가 상기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은 높이로 유지되어 지하수를 배출하는 보조토출부(50)를 구비한다.
이때, 배수부(2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반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질 수 있는데, 연약지반의 경우 부직포 등에 의해 감싸여지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집수정(25)에 연통된 유공관들과 상기 유공관들의 상부에 명배수관 또는 배수판들을 구비 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집수된 지하수는 집수정(25)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암반지반의 경우 지하수를 집수하기 위한 부직포 및 배수판들과, 집수된 지하수를 집수정(25)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토출부(40)는 배수관(20)에 연통되며, 건축물의 벽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관(41)과, 제1연장관(4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1연직관(42)과, 건축물의 벽측에 설치되며, 제1연직관(42)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45)이 마련된 배수용기(43)를 구비한다.
제1연장관(41)은 내부에 지하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마련된 파이프로 형성되며, 일단은 배수관(20)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제1연직관(42)은 제1연장관(41)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설계안정수위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연직관(42)은 지하수의 수위가 상기 설계안정수위를 넘을 경우, 지하수가 월류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는 제1토출구(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제1연직관(42)이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연직관(42)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의 배수량에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배수용기(43)는 건축물의 벽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1연직관(42)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육면체 구조물로 형성된다. 배수용기(43)의 하측 외주면에는 제1연직관(42)으로부터 월류되어 배수용기(43) 내부로 유입된 지하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월류수 유도홀(46)이 형성된다.
상대적으로 많은 비가 내려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보다 높아지면, 이 지하수는 배수부(22)를 통해 배수관(20)으로 유입된다. 배수관(20)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제1연장관(41)으로 유입되고, 제1연장관(41)을 통해 유입된 지하수는 제1연직관(42)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1연직관(42)은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에 대응되는 높이에 제1토출구(44)가 형성되어 지하수가 월류하여 배수용기(43) 내로 배출된다. 배수용기(43) 내에 수용된 지하수는 월류수 유도홀(4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건축물 주위의 지하수는 설계안정수위를 유지한다.
만일, 배수용기(43)에 월류수 유도홀(46)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연직관(42)를 통해 배출된 지하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지하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고, 지하수가 설계안정 수위를 넘을 경우, 건축물의 바닥과 지하외벽의 지하수 수두 차이에 의한 양압력에 의해 건축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배수 조절 장치는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기 전에 월류수 유도홀(46)을 통해 배수용기(43) 외부로 배출하므로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토출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토출부(140)는 배수용기(43) 내부에 설치되며, 제1연직관(42)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제2연직관(141)과, 제1 및 제2연직관(42,141)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통관(142)과, 제2연직관(141)에 연통되며, 제2연직관(141)을 통해 배출되는 지하수를 집수정(25)으로 배출하기 위해 집수정(25)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연장관(143)을 더 구비한다.
제2연직관(14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단부가 제1연직관(42)의 상단에 대응되게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제2연직관(141)은 지하수의 수위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연통관(142)을 통해 유입된 지하수가 상단부를 통해 월류될 수 있도록 상단면에는 제2토출구(1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관(142)은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연직관(42,141)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각각 연결되되,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시, 제1연직관(42)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제1토출구(44)를 통해 윌류되기 전, 연통관(142)을 통해 제2연직관(141)으로 유입된다.
제2연장관(143)은 일단은 제2연직관(141)의 하단부에 연통되며, 타단은 집수정(25)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건축물 주위의 지하수가 상승할 경우, 배수관(20), 제1연장관(41)을 통해 제1연직관(42)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제1토출구(44)를 통해 월류되기 전에, 연통관(142)을 통해 제2연직관(141)으로 유입된다. 제2연직관(141)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제2연장관(143)을 통해 집수정(25)으로 배출된다.
이때,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보다 높도록 급격히 증가할 경우, 제1연직관(42)의 제1토출구(44) 및 제2연직관(141)의 제2토출구(144)를 통해 배수용기(43) 내부로 지하수가 월류되며, 월류된 지하수는 배수용기(43)의 월류수 유도홀(4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지하수의 수위를 설계안정수위에 대응되게 조절된다.
만일, 배수용기(43)에 월류수 유도홀(46)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연직관(42)를 통해 배출된 지하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지하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고, 지하수가 설계안정 수위를 넘을 경우, 건축물의 바닥과 지하외벽의 지하수 수두 차이에 의한 양압력에 의해 건축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배수 조절 장치는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기 전에 월류수 유도홀(46)을 통해 배수용기(43) 외부로 배출하므로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5에는 배수용기(15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수용기(150)의 바닥면은 배수용기(150) 내부에 저수된 지하수가 월류수 유도홀(46)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월류수 유도홀(46)에 인접된 일측보다 월류수 유도홀(46)에 대향되는 타측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배수용기(150)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배수용기(150) 내에 저수된 지하수는 중력에 의해 바닥면을 따라 월류수 유도홀(46)로 유동한다. 따라서, 지하수가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아질 때, 지하수가 배수용기(150) 내에 잔류하는 일없이 모두 배출되므로 잔류 지하수로 인한 부패나 해충발생,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토출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토출부(240)는 월류수 유도홀(46)을 통해 배수용기(43) 외부로 배출되는 지하수를 집수정(25)으로 유도하기 위해 제1월류수 유도관(24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월류수 유도관(241)은 양단이 각각 배수용기(43)의 월류수 유도홀(46) 및 집수정(25)에 각각 연통되게 설치된다. 제1월류수 유도관(241)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초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토출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토출부(340)는 배수용기(250) 내에 저수된 지하수를 집수정(25)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은 배수용기(250)의 하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집수정(25)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월류수 유도관(341)을 더 구비한다. 제2월류수 유도관(341)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초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용기(43)의 하단부는 배수용기(43) 내부에 저수된 지하수가 용이하게 제2월류수 유도관(34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배수용기(43)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지하수의 배출시, 배수용기(43) 내에 지하수의 잔류를 방지하여 잔류 지하수로 인한 부패나 해충발생,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인토출부(44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월류수 유도홀(447)은 배수용기(46)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배수용기(46)의 하단부는 배수용기(46) 내부에 저수된 지하수가 용이하게 월류수 유도홀(447)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배수용기(46)는 월류수 유도홀(447)이 형성된 바닥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이 아니라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토출부(440)는 일단이 월류수 유도홀(447)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기초콘크리트 내에 설치된 배수판(442)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월류수 유동관(441)을 더 구비한다. 상기 배수판(442)는 일단이 집수정(25)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월류수 유도홀(447)을 통해 배출된 지하수는 제3월류수 유동관(441)을 통해 기초콘크리트 내에 설치된 배수판(442)에 유입되고, 상기 배수판(442)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배수판(442)을 따라 집수정(25)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제3월류수 유도관(441)은 배수판(442)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타단이 집수정(25)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보조토출부(50)는 상단부가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은 높이로 유지되어 지하수를 집수정(25)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통수관(30)에 연결되어 건축물의 내벽 측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관(51)과, 상기 제3연장관(51)과 연결되며 상단부가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제3연직관(52)과, 상기 제3연직관(52)의 단부와 연결되어 제3연직관(52)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토출되는 지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4연직관(53)과, 상기 제4연직관(53)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4연직관(53)을 통하여 배출되는 지하수를 집수정(25)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4연장관(54)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3연직관(52)과 제4연직관(53)은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3연직관(52)과 제4연직관(53)은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인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연장관(51,54), 제3 및 제4연직관(52,53)은 상부 콘크리트 층에 매립시 그 매립에 따른 돌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사각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많은 비가 내려 지하수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배수부(22)로 유입된 지하수는 1차적으로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은 높이로 유지되는 보조토출부(50)를 통하여 배출된다. 즉, 배수부(22)로 유입된 지하수는 제3연장관(51), 제3연직관(52), 제4연직관(53) 및 제4연장관(54)을 통하여 집수정(25)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건축물 주위의 지하수는 설계안정수위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수의 수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수는 보조토출부(50)를 통하여 배출됨과 아울러 메인토출부(40)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건축물 주위의 지하수는 설계안정수위 이하가 될 때까지 배출된다.
만일, 배수용기(43)에 월류수 유도홀(46)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연직관(42)를 통해 배출된 지하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지하수의 수위가 계속 상승하고, 지하수가 설계안정 수위를 넘을 경우, 건축물의 바닥과 지하외벽의 지하수 수두 차이에 의한 양압력에 의해 건축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 장치(110)는 설계안정수위를 넘는 지하수는 집수정(25)으로 배수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설계안정수위로 유지시키므로 지하수의 부력에 의해 건출물의 손상과 위험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지하수 배수 장치
20: 배수관
30: 통수관
40: 메인배출부
41: 제1연장관
42: 제1연직관
43: 배수용기
46: 월류수 유도홀

Claims (6)

  1. 건축물의 지하지반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과 연결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관과;
    상기 제1연장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하수의 수위가 설계안정수위를 넘을 경우, 상기 지하수가 월류될 수 있도록 상기 설계안정수위에 대응되는 높이에 제1토출구가 형성된 제1연직관과;
    상기 제1연직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연직관을 통해 배출된 상기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월류수 유도홀이 마련된 배수용기와;
    상기 지하지반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며, 상기 배수용기 내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은 상기 배수용기의 하면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집수정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2월류수 유도관;을 구비하고,
    상기 배수용기는 내부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가 용이하게 상기 제2월류수 유도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배수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기 내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용기의 월류수 유도홀 및 상기 집수정에 각각 연통되게 연결된 제1월류수 유도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수 유도홀은 상기 배수용기의 하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기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용기 내부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가 상기 월류수 유도홀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월류수 유도홀에 인접된 일측보다 타측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배수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기는 상기 월류수 유도홀이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수용기 내에 저수된 상기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용기의 월류수 유도홀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3월류수 유도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배수 조절 장치.
KR1020110130996A 2011-12-08 2011-12-08 지하배수 조절장치 KR10133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96A KR101331244B1 (ko) 2011-12-08 2011-12-08 지하배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96A KR101331244B1 (ko) 2011-12-08 2011-12-08 지하배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05A KR20130064405A (ko) 2013-06-18
KR101331244B1 true KR101331244B1 (ko) 2013-11-19

Family

ID=4886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996A KR101331244B1 (ko) 2011-12-08 2011-12-08 지하배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2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56B1 (ko) * 2006-03-31 2007-08-30 박옥교 감압 배수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41095A (ko) * 2008-10-13 2010-04-22 홍종인 지하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56B1 (ko) * 2006-03-31 2007-08-30 박옥교 감압 배수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41095A (ko) * 2008-10-13 2010-04-22 홍종인 지하수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05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27B1 (en) Basement water drainage method for use with a foundation having no footing
CN110820778A (zh) 基坑局部降水施工方法
JP2011202472A (ja) 道路側溝用集水桝およびそれを備えた雨水流出抑制施設
EP2050891B1 (en) Green roof structure for a building, assembly of at least two similar such green roof structure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een roof on a roof
KR100710917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KR101331244B1 (ko) 지하배수 조절장치
JP6371625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
JP2009052303A (ja) 流量調整マス、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及び雨水貯留浸透方法
KR20100041095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103051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JP6250108B2 (ja)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100965002B1 (ko) 지하수 배수 장치
KR100870465B1 (ko) 부력조절에 의한 선행재하공법
KR20150073725A (ko) 지하수 배수시스템
CN208363178U (zh) 用于超高层建筑的雨水收集和排水系统
KR200445948Y1 (ko) 지하수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KR200419448Y1 (ko)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JP2008190196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1293778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93807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트렌치형 배수로 시공방법
KR100666102B1 (ko)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